Skip to main content
부동산 PF 사업장 10곳 중 1곳은 구조조정 대상, 저축은행 시름 깊어져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정리·재구조화 완료 PF 사업장 4.5조원
가장 위험 등급 ‘부실우려’ 7% 그쳐
고위험 PF 집중된 저축은행만 먹구름

금융당국이 210조원 상당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을 대상으로 2차 사업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가장 위험 수준인 ‘부실 우려’ 등급을 받은 사업장 규모가 14조7,00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위원회는 연내 9조3,000억원, 내년 상반기까지 16조2,000억원 규모의 부실 사업장 구조조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상호금융과 저축은행에 대한 금융당국의 압박 수위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의·부실우려’ 사업장 규모 10.9%

금감원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위원회 등과 ‘부동산 PF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결과 및 재구조화·정리 이행 현황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9월 말 진행된 2차 사업성 평가에서 부동산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22조9,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이 중 유의 등급을 받은 사업장의 익스포저는 8조2,000억원, 부실우려 등급은 14조7,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사업성 평가기준은 △양호 △보통 △유의 △부실우려 등 네 등급으로 나뉘는데, 양호 및 보통 등급은 정상 사업장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유의 등급은 재구조화 또는 자율 매각을 추진해야 하며, 가장 위험 등급인 부실우려는 경·공매 방식으로 정리해야 한다. 이번 평가에서 위험 또는 부실우려 등급을 받은 사업장은 전체 사업장(210조4,000억원)의 10.9%로, 전체 PF 사업장 10곳 중 1곳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셈이다. 유형별 구조조정 대상은 토지담보대출이 13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본PF와 브릿지론은 각각 4조6,000억원, 4조8,000억원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PF 충당금 적립액과 자본비율 등을 감안했을 때 금융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다만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전년 말 대비 상승함에 따라 부실채권 정리 및 연체율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신기준을 적용한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말 5.2%에서 올 9월 말 11.3%로 6.1%p 증가했다. 은행 등의 전체 여신 중 회수에 문제가 생긴 여신 비중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지난 10월 말까지 정리 및 재구조화가 완료된 PF 사업장은 4조5,000억원 규모다. 금융당국은 올해 말까지 9조3,000억원의 사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후관리 이행 실적 점검을 통해 문제가 있는 사업장의 신속한 정리를 독려할 방침이다. 또 지난달 발표한 책임준공 합리화 방안에 따라 PF 수수료 관행 개선 등을 적극 지원하고, 신디케이트론 등을 통해 자금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상호금융·저축은행 향하는 칼날

금융당국이 기존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평가에 나서면서 부실 사업장이 급증할 것을 우려했던 금융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6월 진행된 1차 평가에서는 유의 사업장이 7조4,000억원, 부실 우려 사업장이 13조5,000억원으로 집계된 바 있다. 2차 평가에서 유의 등급은 8,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고, 부실 우려 등급은 1조2,000억원 증가했다. 대부분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이 1차 평가에 반영된 만큼 이번 평가에서 추가로 발견된 부분이 크지 않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다만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경우 금융당국의 압박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금융기관은 고위험 PF인 브릿지론과 토지담보대출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업권별 구조조정 대상 PF에서는 새마을금고(상호금융)가 10조9,000억원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이어 저축은행(4조4,000억원), 증권사(3조8,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2조7,000억원), 보험사(7,000억원), 은행(4,000억) 순을 보였다.

특히 부실위험 사업장에 PF를 제공한 금융기관의 재무적 부담이 막대하다. 금융기관은 문제가 된 대출액의 75%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9월 말 PF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총 11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조4,000억원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이 4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증권사(2조6,000억원), 저축은행(2조원), 여신전문금융사(1조2,000억원), 은행 (1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저축은행 ‘손해 최소화’에 방점

가뜩이나 적자의 늪에 빠진 저축은행 업계는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금융당국은 올해 들어서만 여러 차례 저축은행업계에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신속한 정리를 당부해 왔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업계가 다른 업권에 비해 건전성 강화에 소극적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지적이다. 지난달에는 금감원이 PF 대출 규모가 큰 일부 저축은행의 대표이사를 소집해 “건설경기 부진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큰 만큼 PF 정리 대상 사업장은 신속히 경·공매, 상각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사업장 구조조정이 느린 상황에 대해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는 입장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 사업장은 상호금융을 비롯한 다른 업권에 비해 규모가 크고, 이 때문에 대주단 사이 협의가 쉽지 않다”고 짚으며 “주주들 또한 부동산 시장이 살아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낮은 가격에 구조조정을 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고 전했다.

수익성도 큰 고민거리다. 경·공매는 빠른 구조조정에 목적이 있는 탓에 낮은 가격에 해당 사업장을 넘겨야 하고, 그 과정에 손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실적이 공개된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인 신한·KB·우리금융·하나저축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손실 합계는 394억원으로 전년 동기(207억원)와 비교해 190%로 뛰었다. 업계 전반이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는 조금이라도 대출 원금에 가깝게 매각해야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게 저축은행 관계자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부실 PF 정리를 둘러싼 저축은행과 금융당국의 견해차를 좁히기 쉽지 않으리라고 예상되는 대목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