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美 선박법, MRO서 상선건조·수리로 협력 넓혀 “K-조선 반사이익 기대”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미·중 조선업 생산력 차이 '232배'
美 해상안보 위해 상선 250척 운용키로
국내 업체들 수주 기회 확대 기대
한화그룹이 인수한 미국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사진=한화오션

미국이 중국 해운력 견제를 위해 한국과 일본 조선소 활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국내 조선업계에 다시 한번 훈풍이 불고 있다. 현재 미국은 80척의 원양 화물선을 보유하고 있는 데 반해, 중국은 232배 큰 조선 능력을 바탕으로 5,500척을 운영하고 있다. 게다가 미국 선박은 국제 상업 화물의 2% 미만만을 운송하고 있어, 해상 운송의 대외 의존도가 심각한 상황이다.

美 의회, 조선업 경쟁력 강화 방안 추진

2일 닛케이 아시아에 따르면 최근 미국 공화당 및 민주당 소속 상·하원 의원 4명은 미국 선적 상선을 10년 내 250척까지 늘려 '전략상선단'을 운영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미국의 번영과 안보를 위한 조선업과 항만 시설법’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해 윈스턴 앤 스트론의 찰리 파파비자스 해양실무의장은 "아시아 조선소들에 두 가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중간 선박 수주 기회와 함께, 250척의 안정적 수요가 미국 조선소 투자 유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한화그룹은 지난해 12월 19일 필라델피아 조선소를 1억 달러(약 1,460억원)에 인수한 데 이어 추가 인수도 검토 중이다. 필라델피아 조선소는 미국 마지막 상선 생산업체 중 하나다.

법안은 이 외에도 백악관 해양안보보좌관 신설, 정부 화물의 미국 선박 운송 의무화, 2029년부터 중국발 상업 화물의 일부 미국 선박 운송 의무화, 미국 조선소 투자에 대한 25% 세액공제 등을 담고 있으며, 이달 3일 새 회기에서 재상정될 예정이다.

해양 패권·함정 규모, 中이 앞서

이번 법안 발의는 표면적으로는 상선 해운을 활성화하겠다는 게 목표지만 진짜 속내는 중국에 밀린 해상 안보 강화를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비등하다. 2022년 말 기준 미국의 건조 중인 원양 선박은 5척에 불과한 반면, 중국은 1,794척을 건조 중이다. 더군다나 현재 미국에 수입되는 재화의 2%만 미국 선적 선박을 이용하는 수준이다. 미국 선적 국제무역 상선(해군 지원선 포함)은 80척 수준으로 감소했고, 미국 내 조선소 수도 20개 규모다.

이에 반해 중국은 막강한 조선업 인프라를 구축한 상태다. “반세기 만에 미국이 해상에서 패배(defeat at sea)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미 국방부의 ‘중국 군사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해군이 현재 세계 최대 규모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0년엔 보유량이 더 늘어날 전망이다. 2020년 양(함정 수)에서 미국을 처음 추월한 중국 해군이 이제 항공모함과 핵추진 잠수함 등 첨단 군함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질의 차이도 좁혀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세계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의 해군 규모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2년 집권한 이후 10여 년 동안 빠르게 팽창했다. 1999년 이후 증강된 중국 해군력의 70% 이상이 시진핑 1·2기(2012~2022년) 때 누적된 것이다. 앞서 중국 지도부는 2012년 18차 당대회에서 해군 강화, 해외 군사기지 확보를 목표로 하는 ‘해양 강국’ 건설을 국가 발전 전략으로 채택했다. 2017년 19차 당대회 때 시진핑이 해군 증강을 ‘중국몽 실현의 필연적 선택’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같은 시기 중국 해군 전략도 ‘방어’에서 ‘확장’으로 기조가 바뀌었다. ‘제1도련선’ 안에서 적을 방어하는 ‘근해(近海) 방어 전략’이 그 너머로 해군력을 확장하는 ‘원해(遠海) 호위 전략’으로 진화했다. 도련선은 중국이 설정한 가상의 대미 방위선으로, 제1도련선은 규슈~오키나와~대만~필리핀, 제2도련선은 오가사와라 제도~괌~사이판~파푸아뉴기니를 잇는다. 중국 해군이 제1도련선 밖으로 나아가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은 2차 대전 이후 태평양을 장악해 온 미 해군에 정면으로 맞서며, 남중국해부터 서태평양까지 진출하겠다는 의미다. 2차 대전 이후 압도적 해군력을 유지하며 세계 패권을 놓치지 않았던 미국 입장에선 큰 위협일 수밖에 없다.

트럼프, 한국에 ‘선박 협력’ 손 내민 배경

문제는 이 같은 격차가 더 벌어진다는 데 있다. 조선업의 역량 차이 때문이다. 미 해군정보국의 ‘중국 해군 건조 추세와 미국 해군 건조 계획(2020-2030)’ 자료를 보면, 중국은 미국 최대 조선소보다 규모와 생산성이 더 큰 상업용 조선소를 수십개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유출된 미국 해군 브리핑 자료에는 미 해군정보국이 평가한 미·중 조선업 역량 차이가 그래픽으로 등장하는데, 한 국가가 1년에 건조할 수 있는 총톤수 기준으로 중국 조선소의 생산능력을 약 2,325만 톤으로 평가하고 있다. 미국은 10만 톤 이하로, 중국의 생산 역량이 미국의 최소 232배에 이른다는 의미다.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하며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선박 건조 능력'을 협력 희망 분야로 지목한 배경에도 이 같은 위기감이 작용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얘기한 협력은 크게 두 가지를 뜻한다. ‘수리’와 ‘조선소 인수’다. 미국 번스-톨리프슨 수정법(USC 8679)은 외국 조선소에서 함정 건조를 금지하는데, 이는 안보 문제 때문이다. 이 법이 개정되지 않는 한 한국·일본 등 외국 조선소가 미 해군의 배를 만들 순 없다.

하지만 선박 유지·보수·정비(MRO), 즉 수리는 예외 조항을 통해 일부 가능하다. △해외에 배치된 미 해군의 군함을 한국·일본 등 동맹국 조선소에서 빠르게 수리하고 △이들 나라 기업이 미국 조선소를 인수해 미국 조선업의 생산성을 끌어올려 주길 기대한다. 미국 선주들이 내년부터 한국 및 일본 조선사와 2029년 납기 상선 건조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전망되는 배경이다.

더불어 외국 주체가 미국 내 상선 및 군함 조선소, 기자재 업체, 강재 제작 시설에 투자할 경우 이를 적격 투자로 분류하고 금융이나 고용 지원 등의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해 한국해양전략연구소는 ‘미 해군 부활을 위한 한국의 역할’ 보고서에서 “한국이 미국에서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하고 한국에서 미군 함정을 정비하는 데 참여한다면, 한-미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미국의 전략적 계산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