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러시아 즉각 휴전해라" EU·英, 러시아 대상 제재 수위 높여
Picture

Member for

7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내 전쟁 아니다" 유럽에 책임 전가 나선 트럼프
푸틴도 '근본적 원인' 언급하며 즉각적 휴전 회피해
분노한 EU·英, 對러시아 제재 패키지 채택

유럽연합(EU)과 영국이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안을 채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진행한 통화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가운데, 유럽이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인 것이다.

유럽의 대러시아 제재 폭탄

20일(이하 현지시간) EU와 영국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외교·국방장관회의를 열고, 제17차 대(對)러시아 제재 패키지를 채택했다. 이에 따라 이른바 '그림자 함대 ' 유조선 189척이 제재를 받게 됐다. 그림자 함대란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운영하는 선박 네트워크로, AIS(자동식별시스템)를 끄고 이동하거나 선박 간 환적을 통해 원유의 출처를 숨기는 방식으로 활동한다. 이로써 EU의 제재를 받는 선박은 총 342척이 됐다. 그림자 함대 운영을 지원한 아랍에미리트(UAE)·튀르키예·홍콩 소재 기업들과 러시아의 주요 해운 보험사도 제재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밖에도 러시아 군수 산업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한 러시아와 튀르키예, 베트남 등의 법인 31곳도 EU의 제재 대상에 들었고, 제재 우회와 러시아 무기 공급 등에 관여한 개인 17명, 법인·기관 58곳도 개별 제재를 받게 됐다. 개별 제재를 받은 이들은 EU 내 자산이 동결되고 역내 여행도 금지된다. 개별 제재 대상엔 러시아 최대 석유·가스 기업 수르구트네프테가즈도 포함됐다.

영국 정부도 같은 날 러시아의 군사·에너지·금융 부분을 겨냥한 100여 건의 신규 제재를 발표했다. 영국은 러시아 이스칸데르 미사일 공급망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고, 러시아 크렘린궁의 자금 지원을 받아 정보 공작을 수행하는 소셜디자인에이전시(SDA) 소속 인사 14명에게도 제재를 가했다. 러시아의 제재 회피를 도운 상트페테르부르크 외환거래소와 러시아 예금보험공사 등 46개 금융 관련 기관도 제재 대상으로 지목됐다.

이처럼 EU와 영국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인 것은 최근 진행된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논의가 사실상 공회전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요한 바데풀 독일 외무장관은 “우리는 러시아에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을 계속해서 요구해 왔다”며 “러시아가 결정적인 조처를 취하지 않는 것에 실망감을 느끼며, 우리는 여기에 대응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美 "협상 이뤄지지 않으면 물러나겠다"

앞서 지난 19일 푸틴 대통령과 2시간가량 통화를 진행한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푸틴 대통령과의 논의가) 매우 잘됐다고 믿는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더 중요한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적었다. 이어 "그(휴전) 조건은 양쪽(러·우)만이 협상할 수 있는데, 누구도 알지 못하는 협상 세부 사항을 그들이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협상 진전을 위해서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직접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종전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관련 사안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사도 표명했다. 워싱턴포스트(WP)와 CNN 등에 따르면 그는 기자들과 만나 “(종전 협상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협상이 이뤄질 것 같지 않으면 물러날 것(back away)”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그(푸틴 대통령)가 멈추고 싶어 한다고 믿는다”며 “푸틴 대통령이 이 일을 끝내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면 이 문제에 대해 언급조차 안 했을 것이고, 그냥 손을 뗐을 것”이라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에 전쟁 관련 책임을 전가하는 발언도 내놨다. 그는 "이건 내 전쟁이 아니다"라며 "이는 유럽의 상황이었고 유럽 상황으로 남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휴전 논의에 진전 가능성이 있다며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추가 제재 가능성을 일축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한 외교 전문가는 "미국은 이미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발을 많이 뺐고, 양국 사이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사실상 미국이 비교적 종전이 시급한 유럽 측에 재정 부담 등을 떠넘긴 것인데, 유럽 입장에서는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가 달가울 리가 없다"고 설명했다.

무의미한 논의에 외신 비판 쏟아져

푸틴 대통령 역시 유보적인 태도를 유지 중이다. 푸틴 대통령은 19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크라이나 측에 향후 가능한 평화 협정에 대한 각서를 제안하고 협력할 준비가 됐으며 적절한 합의에 도달하면 휴전할 수 있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전쟁의 책임이 우크라이나와 서방에 있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함과 동시에, '각서'라는 명분만을 챙기고 즉각적 휴전을 거부한 것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추진 등으로 서방이 자국의 세력권을 위협한 것이 전쟁의 근본적 원인이라고 주장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양국 정상의 논의가 사실상 헛돈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매체들은 이날 통화에 대해 일제히 혹평을 쏟아냈다. CNN방송은 “트럼프는 통화 직후 이미 분쟁에서 물러난 사람처럼 보였다”며 “마치 다른 누군가가 협상 중재를 이끌기를 바라는 것처럼 이야기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은 자신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휴전 요구에서 멀어졌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직접 대화를 강조한 것은 즉각적 휴전을 거부해 온 푸틴 대통령을 사실상 지지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워싱턴포스트 역시 “이날 통화로 오히려 러시아가 무조건 휴전을 거부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있을 만큼의 진전을 이루는 데 성공했다”고 꼬집었고, 영국 텔레그래프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평화 계획을 포기했다”며 “왜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났는지 이해하기보다는 러시아와의 무역 기회에 더 집중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일갈했다.

Picture

Member for

7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