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트럼프 “태국·캄보디아, 즉시 휴전하기로” 관세 지렛대로 중재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트럼프, SNS서 양국 정상과 통화 내용 소개
"전쟁 계속하면 미국과 관세 협상 없다"
CNN “태국-캄보디아, 미·중의 대리 충돌 양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백악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경에서 교전 중인 태국과 캄보디아를 향해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앞세우며 휴전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에 곧바로 태국과 캄보디아 모두 휴전에 긍정적 입장을 밝혔지만 여전히 두 나라 국경 일부에서 무력충돌이 이어지며 긴장이 계속되는 양상이다.

트럼프, 양국 정상에 경고

26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태국과 캄보디아의 휴전을 중재하기 위해 각국 정상과 통화했다며 “만약 양국이 전쟁 중이라면 어느 나라와도 무역 협상을 이어가고 싶지 않다고 전달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달 1일부터 양국에 각각 36%씩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으며, 이들은 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협상을 미국과 진행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글을 올린 지 약 30분 만에 다시 글을 올려 “양측은 즉시 만나 휴전, 그리고 궁극적으로 평화를 신속히 가능하게 하자는 데 동의했다”며 “양측은 지금 미국과의 ‘무역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기를 원하는데 싸움이 끝날 때까지 그건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이 전쟁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있지만, 파키스탄과 인도 간의 분쟁도 성공적으로 종식됐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 4월 인도와 파키스탄이 국경 분쟁을 벌였을 때도 자신이 관세를 지렛대로 활용해 휴전을 이끌어냈다고 주장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태국과 캄보디아는 즉각 휴전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는 26일 페이스북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하며 “캄보디아가 양국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휴전 제안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멈춰야 협상이 가능하다며 조건부 입장을 고수해 온 태국 정부도 “캄보디아의 진심 어린 의도를 보고 싶다”며 “태국은 가능한 한 빨리 양자 대화를 소집해 휴전 등 평화적 해결을 위한 조치와 절차를 마련하고 싶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27일에도 양국의 일부 국경지대에서 무력 충돌이 이어졌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태국 군 리차 쑤코와논 부대변인인은 “캄보디아 군이 일요일 아침 태국 수린주에 대포를 발사했으며 민간 주택도 공격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국방부 말리 소체아타 대변인도 “태국 군이 일요일 아침 캄보디아 영토에 포격을 가했고. 여러 지역에 탱크와 지상군을 투입시켰다”고 밝혔다.

양국 교전 격화, 국경 지역에 군함 배치까지

국경을 맞닿은 이웃 국가인 태국과 캄보디아는 지난 5월 말 태국 북동부 우본라차타니주 남위안 지역 국경지대에서 발생한 소규모 교전으로 캄보디아 군인 1명이 숨진 뒤 지속해서 갈등을 빚었다. 특히 지난 24일부터 사흘 동안 전투기까지 동원한 무력 충돌이 빚어지면서 교전 확대가 우려됐다. 태국 군과 보건당국 등에 따르면 민간인 최소 13명과 군인 6명이 사망했으며, 이재민 약 16만 명이 피난길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웨차야차이 총리 권한대행은 “현재는 중화기를 동원한 충돌만 벌어지고 있다”면서도 전면전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번 교전은 지난 23일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 분쟁 지역에 설치된 지뢰가 폭발해 태국 군 5명이 부상을 입으면서 점화했다. 태국 군은 조사 결과 캄보디아가 새로 지뢰를 매설한 증거가 발견됐다며 캄보디아 대사를 추방하고, 자국 대사를 귀국시키는 등 외교 관계를 격하했다. 말리 소체아타 캄보디아 국방부 대변인은 “해당 지역에는 과거 전쟁 당시 매설된 지뢰가 많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태국 측에 상기시켜 왔다”고 밝혔다.

양국은 교전 확대의 책임을 서로에 돌리고 있다. 태국 군은 “캄보디아 군이 정찰용 드론을 투입하고 중화기 장착 병력을 보내 발포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캄보디아 국방부는 태국 군이 분쟁 지역의 사원에 철조망을 설치하고, 자국에 대한 선제 공격을 감행했다고 반박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쁘레아비히어르 사원, 분쟁 ‘화약고’

양국 분쟁 기원은 190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4년 당시 캄보디아를 지배하던 프랑스는 태국(당시 시암 왕국)과 국경 조약을 맺으면서 태국 동부와 캄보디아 북부 국경 지대에 10세기 무렵 지어진 쁘레아비히어르 사원(Temple de Preah Vihear)을 태국 영토에 넣었다. 문제는 1907년 프랑스가 작성한 국경 지도에서 측량 실수로 사원을 캄보디아 영토로 표시했다는 점이다. 태국 측은 당시에는 이 같은 오류를 발견하지 못하고 지도를 승인했다가 수십 년 뒤 오류를 발견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문제를 제기하지 않다가 1954년 캄보디아에서 프랑스군이 철수하고 나서야 병력을 보내 사원을 점령했다. 이에 캄보디아는 태국 군 철수를 요구했고 태국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1959년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다. ICJ는 1962년 태국 측이 문제의 지도를 승인했고 이후 수십 년간 사원 영유권과 관련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사원이 캄보디아 영토라고 판결했다.

이 같은 판결에 대한 태국 불만은 2008년 캄보디아가 쁘레아비히어르 사원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분노한 태국 시위대가 사원 주변에 진입했다가 국경 침입으로 캄보디아 측에 붙잡히자 태국 군 병력이 이 지역에 진입, 양국 군이 대치한 끝에 총격전 등 소규모 교전이 이어졌다.

또 두 나라 충돌 여파로 국경 지대에 있는 따 모안 톰 사원 등 다른 유적들도 영유권 분쟁에 휘말렸다. 2011년에는 양국 분쟁이 본격적인 전투로 다시 폭발, 2월에는 교전으로 10명이 희생됐다. 4월에는 약 20명이 사망하고 이 지역 주민 수만 명이 피란했다. 캄보디아는 쁘레아비히어르 사원 주변 지역의 영유권 문제를 다시 ICJ에 가져갔고, ICJ는 2013년 다시 캄보디아의 손을 들어주는 판결을 내렸다. 이후 국경 분쟁은 10여년간 소강상태를 지속하다가 지난 5월 하순 쁘레아비히어르 사원 근처 국경 지대에서 벌어진 소규모 교전으로 되살아났다. 교전 직후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와 마넷 캄보디아 총리가 분쟁 해결에 합의했지만, 충돌 지역의 병력 철수 문제로 갈등이 점차 증폭됐다.

이번 충돌을 두고 CNN은 “태국은 미국의 동맹국, 캄보디아는 중국과 긴밀한 군사 협력 관계를 가진 국가인 만큼, 사실상 미국과 중국의 대리 충돌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에 따르면 태국의 현역 군인은 약 36만 명으로 캄보디아의 3배에 달하고, 스웨덴산 그리펜 전투기와 미국산 F-16 전투기를 보유하는 등 동남아 최고 수준의 공군력을 자랑한다. 태국은 1954년부터 미국의 조약 동맹국이자 ‘주요 비(非)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으로 매년 다국적 연합 군사훈련인 ‘코브라 골드’를 미국과 공동 주최한다. 반면 캄보디아는 중국의 지원을 받는 해군기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중국과 ‘골든 드래곤’이라는 대규모 합동 군사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지상군 장비에서도 구소련과 중국제 구형 모델을 운용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