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은행들 작년에도 이자로만 60조원 쓸어 담았다, 당기순이익 21조원 ‘역대 최대’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2023년 국내 은행 당기순익 전년 대비 15%↑
유가증권평가·매매이익·수수료이익 등 증가 영향
자본 여력 확보한 은행들, IPO 추진 움직임도
bank_FE_20240315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5%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시장 불안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등에 대비해 대규모 대손충당금을 적립했음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상황에 뒷심을 받았던 이자수익뿐만 아니라 주가연계증권(ELS) 판매 수수료를 비롯한 비이자수익 모두 전년보다 수조원대 불어났다. 특히 시중은행의 순이익이 소폭 증가하는 데 그친 데 반해 인터넷전문은행은 전년의 4.4배로 늘었다. 이런 가운데 인터넷은행을 중심으로 IPO를 추진하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은행들 또 이자로만 역대급 수익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은 21조3,000억원이다. 역대 최대 실적을 냈던 2022년(18조5,000억원)보다 15%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은행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대손충당금을 전년 대비 3조6,000억원을 늘린 총10조원을 적립했는데도 역대급 순이익이 발생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의 작년 순이익은 11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7% 늘었다. 이에 비해 인터넷은행의 경우 3,500억의 순이익을 올렸는데 이는 전년(800억원)의 4.4배에 달한다. 기존 은행과 차별화된 상품 및 서비스 출시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유입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 토스뱅크)의 합산 이용자 수는 2021년 말 기준 2,640만 명에서 작년 말 4,127만 명(중복집계 포함)까지 늘었다.

국내은행들은 지난해 이자이익으로만 59조2,000억원을 벌었다. 전년 이자이익(55조9,000억원)보다 3조2,000억원(5.8%) 증가했다. 대출채권 등 이자수익자산 확대로 은행의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도 상승했다. NIM은 2022년 1.62%에서 지난해 1.65%로 늘었다.

다만 이자이익 증가율은 2022년 21.6%였던 것에 비해 지난해(5.8%) 크게 둔화됐다. 순이자마진도 2022년 1.71%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감소세다. 지난해 4분기 NIM은 1.63%이다. 비이자이익도 상당히 늘었는데, 전년(3조5,000억원) 대비 68% 증가한 5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채권금리 하락으로 유가증권 관련 이익(5조원)이 전년(1,000억원) 대비 50배나 증가한 영향이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2022년 4분기 평균 3.91%였는데, 지난해 4분기에는 평균 3.71%였다. 또 ELS 판매 등에 따른 수수료 이익도 5조1,000억원으로 전년(5조원)보다 다소 늘었다.

이같은 성적표는 PF 부실 위험성이 커지면서 금융당국에서 각 은행들에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하라고 요구한 가운데서 거둔 점이라는 것도 주목된다. 작년 국내은행의 대손비용은 10조원으로 전년(6조4,000억원) 대비 55.6% 증가했다. 특수은행(산업은행 등)을 제외한 일반은행만 보면 대손충당금은 2022년 3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6조1,000억원으로 두배 가까이 늘었다.

2022년도 금리 상승기 및 예대금리차로 '최대 이익'

은행들은 지난해에도 '이자 장사'를 통해 역대급 수익을 벌어들인 바 있다. 지난 2022년 초 금리 상승기를 맞아 높은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로 손쉽게 역대급 이익을 누린 은행들은 성과급·퇴직금 등 ‘돈 잔치’를 벌인다는 비판과 함께 사회적 책임, 고통분담 요구가 거세지자 올해 상반기 은행별 상생 대책까지 내놓은 바 있다.

지난해 말 은행연합회가 발표한 '2022년 국내 은행권 경영현황 공개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과 특수은행(IBK기업·NH농협·sh수협은행), 지방은행(경남·광주·대구·부산·전북·제주은행), 외국계은행(씨티·SC제일은행), 인터넷은행(카카오·케이·토스) 등 18곳이 거둔 별도기준 순이익은 17조7천36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확장 국면에서 인재 확보 등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순손실을 낸 토스뱅크를 제외하면 대부분 은행들이 안정적인 이자수익에 기대 '최대이익'을 올렸었다. 18개 은행이 이자이익으로만 거둔 수익은 무려 53조원에 달했다. 특히 시중은행 4곳이 거둔 순이익은 11조원에 이르렀다. 특수은행 3곳(4조4천568억원)까지 더하면 15조원을 넘어선다. 아울러 지방은행 6곳의 합산 순익은 1조5천666억원이었고, 외국계은행 2곳은 5천373억원의 순이익을 거둔 바 있다.

인포_20240315

케이뱅크·토스, IPO 추진

은행들이 안정적인 자본 여력을 확보한 가운데, 최근 IPO(기업공개)를 추진하는 움직임도 나온다. 케이뱅크의 새로운 수장 최우형 행장은 최근 전체 직원들과의 미팅에서 1천만 계좌 돌파 성과를 축하하고, IPO 관련 계획을 밝혔다. 최 행장의 목표는 상반기 내 상장예비심사 청구, 올해 안에 코스피 상장이다.

현재 케이뱅크가 기대하는 시가총액은 약 7조원 수준인데, 문제는 상장 철회 당시 책정된 수준은 4조원 정도고 이후 오히려 실적은 안 좋아졌다는 점이다. 지난해 중저신용대출이 늘면서 충당금도 늘어난 영향이 컸다. 수익성을 증명하려면 수신, 대출 잔액을 늘려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자본조달이 필요한 터라 IPO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앞서 한차례 고배를 마셨던 만큼 단단히 준비를 했을 것으로 증권가는 보고 있다.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도 IPO 추진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IPO의 가장 첫 단계인 상장주관사 선정 경쟁에 케이뱅크보다 더 많은 증권사들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토스의 매출은 지난해 3분기까지 1조원을 돌파했고, 토스뱅크와 토스증권이 3년간의 적자를 끊고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 중 토스뱅크는 인터넷뱅크 중 출범이 가장 늦었지만, 올해 초 고객 900만 명을 돌파하면서 케이뱅크 뒤를 바짝 따라붙었다.

여기에 더해 토스는 페이와 증권, 대출·보험·카드 중개 서비스를 갖고 있으며, 1,500만 명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를 기반으로 선보이는 광고 서비스로도 큰 수익을 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비바리퍼블리카는 IPO 주관사 선정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최소 15조~20조원까지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을 웃도는 규모다. 일각에선 과도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으나, 시장에서는 비바리퍼블리카가 최초로 데카콘(기업가치 10조원 이상의 스타트업) 증시 입성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