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OK저축은행 PF 연체율 9.20%, 건전성 확보 실패에 '종합금융그룹' 목표도 안갯속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PF 대출채권 중 NPL 가장 높은 OK저축은행, 업계서도 우려 쏟아져
"손실흡수 능력 갖췄다"지만, 경기 불황에 금융당국 압박 등 부담 '여전'
대부업 철수에 저축은행 부진까지, OK금융그룹 이대로 괜찮나
PF_BANK_FE_20240412

자산 규모 2위인 OK저축은행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를 피해 가지 못할 전망이다. 부동산 PF 대출채권 중 고정이하여신(NPL)이 상위 5개 저축은행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OK저축은행은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갖춘 상태"라며 불안을 잠재우는 중이지만, 시장의 우려 섞인 시선은 당분간 떨쳐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OK저축은행도 PF 부실 여파, "잠재 부실 여신도 문제"

1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OK저축은행의 지난해 부동산 PF 대출 신용공여액은 1조831억원에 달한다. 이중 NPL은 935억원으로 전체의 약 10%를 차지했다. 연체액은 997억원으로 NPL보다 많았다. OK저축은행의 연체율은 9.20%로 나타났는데, 이는 79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평균 연체율인 6.55%보다 2.65%p 높은 수치다.

더 큰 문제는 잠재 부실 여신들이다. 아직 부실 단계는 아니지만 1개월 이상 연체가 이뤄진 '요주의여신' 증가 추세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OK저축은행에 따르면 전체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1년 사이 191억원이 느는 데 그쳤으나 요주의여신은 4,926억원에서 7,214억원으로 1.46배 늘었다. 반면 정상으로 분류되는 여신 규모는 2,353억원 수준으로 전체의 22.8%에 불과하다. 사실상 부동산 PF 대출을 받은 차주 10명 중 7명 이상이 대출금을 제때 갚기 어렵단 의미다.

OK저축은행은 PF 대출 건전성이 부동산 업황 변화에 따른 결과물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충당금을 보수적으로 유지하는 기조를 유지해 손실흡수 능력이 갖춰졌다고도 했다. OK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업황이 워낙 좋지 않아 채권 회수 과정이 지연돼 연체율이 올랐다"면서도 "자본력이나 기타 사항을 보면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유관 부서들과 부동산 관련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관련 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고 부동산 PF 관련 추가 충당금도 쌓아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했다"며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와 같은 정책적 지원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힘줘 말했다. 충당금과 관련해선 "지난해 충당금이 전년 대비 줄어들긴 했지만 요적립액 대비 120% 넘게 적립하고 있고, NPL 대비로도 100% 넘게 충당금을 쌓았다"며 "이전부터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해왔다"고 했다.

건전성 관리 나섰지만, 올해도 '회복'은 요원하기만

OK저축은행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우선 대규모 대출채권 매각에 나서는 모양새다. 저축은행의 경우 일정 기간 이상 연체된 채권을 부실채권투자전문회사(FNI)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건전성을 확보하는데, OK저축은행은 지난해 9월 말 대출원금 기준 약 6,728억원을 OKF&I대부, 소상공인자영업자대출발기금 등에 매각했다. 2022년 동기간 매각량이 845억원이었음을 고려하면 8배나 늘어난 셈이다.

다만 대출채권 매각이 즉각 건전성 확보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실채권인 만큼 손실을 보고 매각하는 경우가 대다수기 때문이다. OK저축은행의 경우도 매각한 대출채권의 대출원금은 6,728억원에 달하지만 실제 처분금액은 2,890억원에 불과했다. 대출원금의 약 43%에 매각한 셈이다. 부실채권 매각을 통해 추가 손실을 막았다는 데엔 의미가 있을지 모르나 건전성 관리 측면에서 특별히 청신호로 여겨질 지점은 아니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결국 건전성 확보에 사실상 실패한 만큼, 올해도 OK저축은행의 회복은 요원하기만 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업계 자체의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부동산 경기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어 금융당국의 충당금 적립 압박이 여전할 것이란 점도 악재다. 저축은행들은 이미 지난해 4분기 대규모 충당금을 적립한 바 있지만, 금융당국의 압박이 이어지면 당장 올해 1분기에도 저축은행들은 적지 않은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을 쌓아야만 한다.

특히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업계에 부동산 PF뿐만 아니라 토지담보대출에 대해서도 부동산 PF에 준할 정도의 충당금을 쌓도록 압박하고 있다. 토지담보대출은 그동안 '일반 기업대출'로 분류돼 충당금 적립률이 부동산 PF와 비교해 낮았던 만큼 저축은행의 충당금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금융당국이 부실 부동산 PF 사업장 정리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단 점도 부담이다. 저축은행은 2010년 이른바 '저축은행 사태' 이후 부동산 PF 대출 사업에 제한을 받으면서 주로 중소형 사업장에 자금을 대 왔는데, 아무래도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부실 위험이 크다 보니 저축은행들의 대손비용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저축은행업계가 조달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신과 수신 규모를 줄인 점도 올해 수익성 개선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수신잔액은 107조1,491억원으로 2022년 말 대비 10.8% 감소했다. 여신잔액은 동기간 115조283억원에서 104조936억원으로 9.5% 줄었다.

OK_FE_20240412

'생존의 갈림길' 놓인 OK저축은행

이렇다 보니 업계에선 OK저축은행도 생존의 갈림길에 놓였다는 언급이 거듭 나오고 있다. 대부업 철수에 저축은행 업황 부진까지 겹치면서 OK금융그룹에 공전의 위기가 발생했단 설명이다. 앞서 OK금융그룹은 지난해 10월 산하 대부업체였던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의 금전대부업 사업권을 금융감독원에 반납한 바 있다.

당초 금융당국과 약속했던 기간보다 1년 3개월 앞당겨 대부업 철수를 마무리한 것이다. 새로운 금융회사를 인수·합병(M&A)하는 데 있어 현실적인 걸림돌로 작용했던 대부업을 조기 철수함으로써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한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겠단 게 OK금융그룹의 계획이었지만, 부동산 PF 부실 아래 전체적인 계획이 어그러졌단 평가가 나온다.

여기에 지난해 11월 국내 주요 신용평가(NICE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들로부터 신용등급 전망에 BBB+ 평가를 받게 된 점도 리스크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목표로 했던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 새로운 금융회사 인수·합병도 난항을 겪고 있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OK금융그룹 입장에서는 증권사 인수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이 절실한데 특히나 시장에서 값어치가 있는 매물 자체가 부족해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커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동안 OK금융그룹은 2015년 LIG투자증권, 2016년 리딩투자증권 등 증권사 인수를 몇 차례 추진했으나 모두 무산된 경험이 있다. 당분간은 거시적인 '꿈 설계'보단 생존 전략 수립에 더욱 힘써야 한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선이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