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신입은 안 뽑는다" 20대 후반 취업자, 12년 만에 최대 감소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20대 후반 취업자, 전년 대비 9만8,000명 급감
경력직 선호 풍조에 청년층 설 자리 좁아져
"생산성은 낮은데 돈은 많이 줘야" 고용 시장의 불균형

올해 초 20대 후반 취업자가 약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력직 선호 현상, 노동 생산성과 임금 수준의 미스매치 등으로 인해 청년들의 고용 시장 내 입지가 좁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청년층, 고용 시장서 밀려나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 후반(25~29세) 취업자 수는 242만 명으로 1년 전보다 9만8,000명 줄었다. 이는 2013년 3분기(-10만3,000명)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20대 후반 취업자 수는 2023년 1분기 이후 9분기 연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있다. 감소 폭도 지난해 3분기 4만4,000명, 지난해 4분기 6만2,000명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3분기 연속 확대됐다.

20대 후반 취업자의 감소세는 인구 감소 추세를 고려해도 상당히 가파르다. 1분기 20대 후반 인구는 6만9,000명 줄었고, 전체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괄하는 경제활동인구는 8만5,000명 줄었다. 같은 기간 20대 후반 실업자는 1만3,000명, 실업률은 0.6%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인구가 줄어든 것 이상으로 취업자와 경제활동인구가 줄고, 실업자와 실업률은 늘어난 셈이다.

일할 곳을 찾지 못한 청년들이 고용 시장에서 밀려나는 경향도 뚜렷해지고 있다. 취업자도, 구직자도 아닌 20대 후반 비경제활동인구는 1분기 1만6,000명 늘었다. 이 연령대의 비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난 것은 2021년 1분기 이후 4년 만이다. 이 중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1만8,000명가량 늘었다.

치솟는 경력직 채용 비중

청년층 취업 문턱이 높아진 원인으로는 경력직 채용 선호 현상이 꼽힌다. 한국은행이 지난 2월 발표한 ‘경력직 채용 증가와 청년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들어 신입보다 업무 경험을 갖춘 경력직을 채용하려는 기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채용 방식도 정기 공채에 비해 경력직 채용에 적합한 수시 채용 위주로 바뀌는 추세다. 실제 기업들의 경력직 채용 비중은 2009년 17.3%에서 2021년 37.6%로 크게 늘어났고, 기업들의 정기공채 비중은 2019년 39.9%에서 2023년 35.8%로 줄었다.

경력의 유무는 상용직 취업 여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경력자의 상용직 취업 확률은 1.4%로 경력자(2.7%)의 절반에 그친다. 지난 2010년까지만 해도 0.9%p(비경력자 1.8%, 경력자 2.7%)에 불과했던 비경력자와 경력자의 취업 확률 격차가 점차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취업 확률은 실업자와 임시·일용직 근로자 중 한 달 이내에 상용직에 취업한 비율을 일컫는다.

생산성과 급여 수준 '미스매치'

일각에서는 한국 특유의 낮은 노동 생산성이 청년층 고용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는 진단도 나온다. 낮은 생산성과 높은 급여 수준으로 인해 청년층의 고용 시장 내 입지가 자연히 좁아졌다는 것이다. 일본생산성본부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2023년 한국의 시간당 노동 생산성은 53.3달러(약 7만5,000원)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33위였다.

낮은 노동 생산성은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갉아먹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의 ‘2023년 국가 경쟁력 평가’에 따르면, 한국의 기업 효율성 부문 생산성 순위는 전체 평가 대상 64개국 중 41위에 그쳤다. 저출생·고령화 등으로 생산 가능 인구가 꾸준히 줄어드는 가운데, 노동 생산성마저 나아지지 않는다면 잠재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저성장 흐름이 고착화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라도 노동 생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장 전문가는 "글로벌 경제·기술 패권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구조 개혁을 통해 경제 체질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며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고, 정규직·비정규직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 등에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