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공급을 늘린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18일 인터넷은행 3사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1.20%를 기록했다. 인터넷은행 신용대출 연체율은 3사 신용대출 연체액을 신용대출 잔액으로 나눈 수치다. 특히 케이뱅크는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이 사상 처음으로 4%를 넘어섰다.
외형 확장에만 신경 쓰다 연체율 관리 실패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1년 0.3% 수준에서 유지되다가 지난해부터 점차 올라 지난해 6월 말 0.42%, 12월 말 0.77%, 올해 6월 말 1.04%, 8월 말 1.20%까지 상승했다. 지난해 6월 말 대비 3배 가까이 뛴 것이다. 인터넷은행들은 지난해보다 대손충당금을 2배로 쌓는 등 건전성 관리에 나섰지만, 당분간 높은 금리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부실이 더 터져 나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은행별로 연체율을 보면 토스뱅크가 1.58%로 가장 높았고, 케이뱅크가 1.57%, 카카오뱅크가 0.77%로 집계됐다.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대출만 떼어 보면 연체율 증가세는 더 가파르다. 지난달 말 기준 3사의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은 2.79%로 집계됐다. 2021년 말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0.8%대를 유지했지만, 지난해부터 상승해 올해 6월 말 기준 2.46%를 기록했다. 1년 전(0.84%)과 비교하면 연체율이 2.9배로 뛰었다. 은행별로는 케이뱅크가 4.13%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토스뱅크 3.40%, 카카오뱅크 1.68% 순이었다.
같은 기간 국내 저축은행 상위 5개 사(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3.96%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6% 대비 약 3배 증가했다. 시장 전반적으로 부실 대출에 대한 여신 관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시중은행들의 경우는 지난 6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이 여전히 0.62%에 불과하다. 인터넷 은행들이 그간 중·저신용자 대출 취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압박을 많이 받은 만큼, 연체율이 올라가는 것이 예상 밖의 일은 아니지만, 최근 들어 상승세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것이 관건이다.
외형 확장에는 성공
은행권이 역대급 성과급을 지급하는 등 금리 상승기 동반 상승세를 겪는 중에 인터넷 은행들도 외형 확장에는 성공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발표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2분기 당기순이익이 8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118억원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순이익은 지난해 전년 동기(1,238억원) 대비 48.5% 증가한 1,838억원, 영업이익은 2,482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2.5% 증가했다.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 모두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케이뱅크는 2분기 14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213억원)에 비해 감소했지만 전 분기(104억원) 대비 41.4%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2021년 2분기 이후 9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상반기 기준 순이익은 250억원으로 전년 동기(457억원) 대비 45% 감소했다.
토스뱅크도 7월부터 10억원의 흑자를 달성하며 2021년 10월 출범 이후 첫 흑자를 기록했다. 이어 하반기 전월세 자금 대출을 선보일 예정이며, 인터넷뱅킹-지방은행 상생 모델인 '공동대출'도 금융당국 승인 이후 빠르게 출시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건전성 관리와 중·저신용대출 확대, 두 마리 토끼 잡기
외형 확장과 수익성에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지만, 연체율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은 더딘 상황이다. 올해 들어 인터넷 은행들이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을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이자, 금융권 관계자들의 따가운 지적을 받기도 했다. 지난 3월 열린 ‘인터넷뱅크 5주년: 뉴뱅킹, 메이크 머니-내 손안의 은행에서 모두의 은행으로 점프업‘ 토론회에서 신성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인터넷뱅크의 당초 출범 취지였던 '기존 시중은행 대비 차별성 및 혁신'을 향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연체율 관리가 난관이 되며 인터넷 은행들은 설립 허가 요건인 상 중·저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터넷은행의 올해 8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8.4%, 케이뱅크 25.4%, 토스뱅크 35.6%로 집계됐다. 3사 모두 연말 목표치(30%, 32%, 44%)에 미달해 하반기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더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양경숙 의원은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터넷은행은 신용대출 연체율이 오르는 추세, 고금리 상황에서 향후 연체율이 더 상승할 수 있다”면서 “국내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해 인터넷은행들의 건전성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