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차파트너스 '버스회사 통매각' 실사 착수, 5,000억 조달 여부는 불투명
Picture

Member for

1 month 3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시내버스 통매각 착수한 차파트너스
창립 4년만에 서울·인천 버스시장 장악
이지스운용·그리니치PE 실사 중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이 버스회사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 원매자들의 자금 조달 능력이 거래 성공 여부를 판가름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선 자금 조달 혹한기에 버스회사라는 특수성을 고려하면 매각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차파트너스, 버스회사 매각 작업

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그리니치PE와 이지스자산운용 등은 차파트너스가 매각하는 버스회사를 통째로 인수하기 위한 실사에 돌입했다. IMM인베스트먼트 등도 인수를 검토했으나, 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차파트너스는 ‘퍼블릭모빌리티 1호 PEF’를 통해 한국 BRT·명진교통·동인여객·대전승합을, ‘퍼블릭모빌리티 2호 PEF’를 통해 강화교통·삼환교통·송도버스·성산여객·인천스마트합자회사를, ‘퍼블릭모빌리티 3호 PEF’를 통해 동아운수를, ‘ESG퍼블릭모빌리티 PEF’를 통해 도원교통·선일교통·신길교통·세운교통을 보유하고 있다.

가장 먼저 인수 의사를 밝힌 그리니치PE는 2020년 설립된 신생 운용사로, 2022년 칼리스타캐피탈·차파트너스와 함께 서울 시내버스 300여 대를 보유한 선진운수를 1,000억원에 인수한 이력이 있다. 또 다른 인수 후보인 이지스자산운용은 부동산 전문 운용사로 익히 알려졌지만, 다양한 투자 자산에 투자하고 있다.

지자체 승인 등 난도 높은 매물

현재 차파트너스는 BDA파트너스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해 매각 절차를 진행 중이다. 매각 금액은 5,000억원 내외로 추산된다. 차파트너스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14개 운수사를 인수하는 데 3,6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입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금 조달 혹한기인 만큼 인수 후보들이 5,0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을 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IB업계 한 임원은 “실사를 진행 중인 운용사 모두 자금력이 풍부한 곳은 아니다”라며 “뿐만 아니라 지자체 승인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버스회사는 지역 유지 사업이라 리스크가 커 출자자(LP) 선호도가 높지 않다”고 했다.

실제로 앞서 차파트너스는 자금력이 풍부한 외국계 PEF 운용사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에 소수 지분 매각을 추진했으나, 서울시에 의해 가로막혔다. 앞서 2022년 서울시는 버스회사를 인수하는 자산운용사 자격을 설립 2년 이상 국내 자산운용사로 한정한다는 기준을 마련했다. 서울시가 회사 적자분을 세금으로 메워주는데, 그 혜택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0월 22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시내버스 준공영제 20주년' 혁신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서울시

차파트너스, 공공성 외면한 채 엑시트 계획

자산이 일반 기업이 아닌 준공영제를 적용받는 버스회사라는 점도 거래 난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차파트너스는 2019년 서울 시내버스 회사 한국 BRT 인수를 시작으로 버스 준공영제 사업에 뛰어들었다. 준공영제는 버스회사가 각 지방자치단체와 합의한 운행 실적을 완수한 뒤 적자가 나면 지자체로부터 적자분을 전액 보전받는다. 지자체는 서비스 품질과 무관하게 기본 이윤을 보장하고, 성과 평가를 통해 성과 이윤도 추가로 지급한다. ‘재정지원으로 업체 부도 등 위험요인이 거의 없고 적자로 운영돼도 적정 이윤이 보장돼 손실이 나지 않는 구조’를 지자체가 만들었고, 차파트너스는 이 같은 구조가 지닌 이점을 노렸다.

차파트너스는 이 '황금알 낳는 거위' 사업을 위해 투자자들을 대거 모집, 총 4개의 펀드(1~4호)를 조성했고 펀드에 쌓인 돈으로 2024년 4월 기준 총 17곳(서울 6곳, 인천 9곳, 대전 2곳)의 버스회사를 사들여 최대 버스 준공영제 사업자가 됐다. 그리고 2025년 말 일부 펀드(1~3호)의 만기가 다가오자 “안정적이고 장기간 할 수 있는 종류의 투자를 표방”한다는 기존 입장을 뒤집고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것이다. 차파트너스가 투자자 모집 당시 공언한 ‘신념’과 ‘책임감’은 사라진 지 오래다.

지난 10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내버스 준공영제 20주년 혁신방안’을 발표하며 “일부 사모펀드 등 민간자본이 6개 버스 회사를 인수한 뒤 단기간에 재매각하는 등 공공성을 훼손하는 사례가 발생했다”며 “앞으로는 불건전한 자본의 진입과 과도한 수익을 취할 수 없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혁신안에 따르면 버스사가 매각될 때 사전심사제도가 도입되고, 버스사의 배당 성향도 100% 초과할 수 없게 된다. 또 임의로 차고지를 매각할 경우 차고지 임차료 등의 지원도 받을 수 없다. 주요 연기금과 공제회 등 기존 LP 입장에선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 눈치를 봐야 하는 자산에 출자하기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3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