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트럼프, 푸틴과 논의 이후 '낙관론' 펼쳐 푸틴 "위기의 근본 원인 제거해야 한다" 기존 입장 반복 우크라이나 측은 '고위급 회담' 필요성 주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휴전 관련 논의가 재차 공회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대화한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협상이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자신한 반면, 외신 등은 사실상 이번 논의에 실질적인 성과는 없었다는 비판을 쏟아내는 양상이다.
트럼프 "푸틴과 통화, 매우 잘됐다"
19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2시간가량 통화를 진행했다. 그는 통화를 마친 이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푸틴 대통령과의 논의가) 매우 잘됐다고 믿는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더 중요한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적었다. 이어 “협상을 위한 조건들은 두 나라 사이에서 합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휴전 협상 진전을 위해서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직접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이 재앙적 대학살이 끝나면 미국과 대규모 무역을 하고 싶어 하고, 나도 그에 동의한다”며 “러시아에는 막대한 일자리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가 있고,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해서도 “국가 재건 과정에서 무역의 큰 수혜자가 될 것”이라며 전후 사업에 대한 청사진까지 제시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종전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관련 사안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사도 표명했다. 워싱턴포스트(WP)와 CNN 등에 따르면 그는 기자들과 만나 “(종전 협상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협상이 이뤄질 것 같지 않으면 물러날 것(back away)”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그(푸틴 대통령)가 멈추고 싶어 한다고 믿는다”며 “푸틴 대통령이 이 일을 끝내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면 이 문제에 대해 언급조차 안 했을 것이고, 그냥 손을 뗐을 것”이라고 짚었다.

외신, 신랄한 혹평 쏟아내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통화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은 반면, 푸틴 대통령은 통화 이후 전쟁의 책임이 우크라이나와 서방에 있다는 기존 입장만을 반복했다. 그는 19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크라이나 측에 향후 가능한 평화 협정에 대한 각서를 제안하고 협력할 준비가 됐으며 적절한 합의에 도달하면 휴전할 수 있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추진 등으로 서방이 자국의 세력권을 위협한 것이 전쟁의 근본적 원인이라고 주장해 왔다.
푸틴 대통령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양국 정상의 논의가 사실상 공회전한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매체들은 이날 통화에 대해 일제히 혹평을 쏟아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휴전 요구에서 멀어졌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직접 대화를 강조한 것은 즉각적 휴전을 거부해 온 푸틴 대통령을 사실상 지지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워싱턴포스트 역시 “이날 통화로 오히려 러시아가 무조건 휴전을 거부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있을 만큼의 진전을 이루는 데 성공했다”고 꼬집었고, CNN은 “푸틴 대통령은 자신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분석했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평화 계획을 포기했다”며 “왜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났는지 이해하기보다는 러시아와의 무역 기회에 더 집중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지적했다.
젤렌스키, 러시아에 압박 가해
양국의 입장을 접한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와 휴전 협정을 포함한 양자 간 각서에 서명할 준비가 돼 있다는 뜻을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9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러시아로부터 각서나 제안을 받으면, 우리가 살펴보고 우리의 비전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쟁 종식을 위해 모든 팀이 참석하는 고위급 회담을 검토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전쟁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물론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등이 참여하는 고위급 회담을 가능한 한 빨리 열자는 제안이다. 이는 다자간 대화를 통해 러시아를 압박하기 위한 일종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그는 미국의 중재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만이 미국의 (중재) 이탈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라며 “미국이 평화를 위한 논의에서 거리를 두지 않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부분 점령한 우크라이나 4개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을 철수할 의사가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통제하는 영토에서 우크라이나 군대를 철수해야 하는 조건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러시아는 우리가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 같은 요구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그들이 평화를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