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KDB생명 인수 목적 PEF 청산 목전에
펀드 지분율 85.7% 산업은행 최대주주로
경영 정상화 필요 자금 1조원 상당 추산
10년 넘게 새 주인을 찾아 시장을 배회하던 KDB생명이 끝내 인수처를 찾지 못한 채 산업은행에 자회사로 편입될 전망이다. KDB생명 인수를 위해 조성된 사모펀드(PEF)가 올해 청산을 앞둔 만큼 새로운 인수 대상자를 물색하기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게 시장 전반의 평가다.
KDB생명 지분 85.7% 보유 산은 자회사 편입 유력
7일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까지 KDB생명 인수 의사를 타진한 회사는 전무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 생명보험사 관계자는 “연말인 데다,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까지 겹쳐 인수 분위기가 전혀 조성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보험업계 안팎에선 지난 10여 년간 여섯 차례에 걸친 매각 시도가 모두 무산된 만큼 재매각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2010년 KDB생명 인수를 위해 조성된 PEF KDB칸서스밸류사모투자전문회사도 청산을 앞둔 상태다. 산은이 칸서스자산운용과 함께 KDB생명 전신인 금호생명을 인수하며 조성된 해당 PEF는 존속기간이 최대 15년으로 올해 청산이 불가피하다. 청산 후 KDB생명의 지분은 펀드 지분율에 따라 산은 85.7%, 국민연금 7.7%, 코리안리 1.8%, 칸서스자산운용 0.5% 등으로 분배된다. 산은은 최대 주주로서 KDB생명을 자회사로 품고 향후 2~3년에 걸쳐 자본을 투입해 경영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공공기관의 자회사로 운영하며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향후 제값을 받을 수 있을 때 재매각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시장에선 KDB생명 정상화를 위해선 산은이 1조원에 달하는 자본을 추가 투입해야 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산은이 KDB생명을 자회사로 편입하기까지 오랜 고민이 필요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책은행이 부실 금융사의 생명 연장에 혈세를 쏟아붓는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산은 관계자는 “현재 사모펀드 청산과 관련해 입장을 정리하고 있다”면서도 향후 KDB생명의 거취와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2,000억원 유상증자에도 건전성 지표 개선엔 역부족
문제는 KDB생명이 지금껏 산은으로부터 KDB생명에 1조5,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했음에도 여전히 재무건전성 개선이 요원하다는 점이다. 공시에 의하면 지난해 1분기 기준 KDB생명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경과조치 전 44.5%, 경과조치 후 129.2%다. 경과조치 적용 전 기준으로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은 6,552억원, 요구자본(지급여력기준금액)은 1조4,711억원이다.
지난해 6월 발생한 유상증자 효과를 고려하면 이와 같은 K-ICS 비율은 소폭 올라간다. KDB생명은 당시 산은의 지원으로 3,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이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2,000억원은 운영자금으로, 990억원은 채무상환(기발행 후순위채 차환)에 활용했다. 실질적 자본 확충 금액인 2,000억원을 적용하면 KDB생명의 경과조치 전 K-ICS 비율은 58.1%까지 확대된다.
시장에서 바라보는 보험사의 실질적 가치는 경과조치 적용 전 K-ICS 비율에 있는 만큼 KDB생명으로선 추가적인 자본 확충이 절실한 상황이다. 안태영 한국기업평가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한 차례의 유상증자를 감안하더라도 KDB생명의 K-ICS 비율은 경과조치 후 기준으로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간신히 넘는다”면서 “경과조치 효과의 점진적 소멸이나 할인율 산출기준 제도 강화 등을 감안하면 자본 적정성 관리 부담이 여전히 큰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시장 정체에 경영 환경 개선도 요원
저출생·고령화에 따라 생명보험 산업 전반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점도 KDB생명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요소다. 생보사 수익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보장성보험의 성장세가 정체된 탓이다. 지난해 11월까지 보장성보험의 누적 신계약 금액은 152조8,752억원으로 4년 전인 2020년(203조5,547억원)과 비교해 25%가량 급감했다.
보험업계는 이 같은 위기가 다양한 복합적 요인의 결과로 풀이했다. 가장 먼저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고 기대수명까지 늘면서 종신보험 가입자가 크게 줄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피보험자의 사망 시 고액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종신보험은 납입기간이 길고, 그 금액 또한 상대적으로 높아 오랜 시간 생명보험사의 효자 상품으로 불려 왔다. 하지만 새로운 잠재 고객인 2·30대 소비자는 장기 보험 가입을 꺼리는 추세다. 고금리·고물가로 가계의 보험 가입 여력이 떨어지고 있어서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에게 지급되는 보험금은 갈수록 늘고 있다. 지난해 피보험자의 사망이나 질병, 만기 등으로 생보사가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은 85조9,215억원에 달했다. 이는 3년 전과 비교해 약 13조원(17.8%) 늘어난 수치다. 일부 생보사는 5년납, 7년납 단기 종신보험을 선보이며 고객 확보에 나섰지만, 과당 경쟁을 우려한 금융당국의 제재로 이마저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생보 업계에 제2, 제3의 KDB생명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배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