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Data Scientific Intuition that defines Good vs. Bad scientists

Data Scientific Intuition that defines Good vs. Bad scientists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Keith Lee
Bio
Professor of AI/Data Science @SIAI
Senior Research Fellow @GIAI Council
Head of GIAI Asia

Modified

Many amateur data scientists have little respect to math/stat behind all computational models
Math/stat contains the modelers' logic and intuition to real world data
Good data scientists are ones with excellent intuition

On SIAI's website, we can see most wannabe students go to MSc AI/Data Science program intro page and almost never visit MBA AI program pages. We have a shorter track for MSc that requires extensive pre-study, and much longer version that covers missing pre-studies. Over 90% of wannabes just take a quick scan on the shorter version and walk away. Less than 10% to the longer version, and almost nobody to the AI MBA.

We get that they are 'wannabe' data scientists with passion, motivation, and dream with self-confidence that they are the top 1%. But the reality is harsh. So far, less than 5% applicants have been able to pass the admission exam to MSc AI/Data Science's longer version. Almost never we have applicants who are ready to do the shorter one. Most, in fact, almost all students should compromise their dream and accept the reality. The fact that the admision exam is the first two courses of the AI MBA, lowest tier program, already bring students to senses that over a half of applicants usually disappear before and after the exam. Some students choose to retake the exam in the following year, but mostly end up with the same score. Then, they either criticize the school in very creative ways or walk away with frustrated faces. I am sorry for keeping such high integrity of the school.

Sourece: ChatGPT

Data Scientific Intuition that matters the most

The school focuses on two things in its education. First, we want students to understand the thought processes of data science modelers. Support Vector Machine (SVM), for example, reflects the idea that fitting can be more generalized if a separating hyperplane is bounded with inequalities, instead of fixed conditions. If one can understand that the hyperplane itself is already a generalization, it can be much easier to see through why SVM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linear form fitting and what are the applicable cases in real life data science exercises. The very nature of this process is embedded in the school's motto, 'Rerum Cognoscere Causas' ((Felix, qui potuit rerum cognoscere causas - Wikipedia)), meaning a person pursuing the fundamental causes.

The second focus of the school is to help students where and how to apply data science tools to solve real life puzzles. We call this process as the building data scientific instuition. Often, math equations in the textbooks and code lines in one's program console screens do not have any meaning, unless it is combined in a way to solve a particular problem in a peculiar context with a specific object. Unlike many amateur data scientists' belief, coding libraries have not democratized data science to untrained students. In fact, the codes copied by the amateurs are evident examples of rookie failures that data science tools need must deeper background knowledge in statistics than simple code libraries.

Our admission exam is designed to weed out the dreamers or amateurs. After years of trials and errors, we have decided to give a full lecture of elementary math/stat course to all applicants so that we can not only offer them a fair chance but also give them a warning as realistic as our coursework. Previous schooling from other schools may help them, but the exam help us to see if one has potential to develop 'Rerum Cognoscere Causas' and data scientific intuition.

Intution does not come from hard study alone

When I first raised my voice for the importance of data scientific intution, I had had severe conflicts with amateur engineers. They thought copying one's code lines from a class (or a github page) and applying it to other places will make them as good as high paid data scientists. They thought these are nothing more than programming for websites, apps, and/or any other basic programming exercises. These amateurs never understand why you need to do 2nd-stage-least-square (2SLS) regression to remove measurement error effects for a particular data set in a specific time range, just as an example. They just load data from SQL server, add it to code library, and change input variables, time ranges, and computer resources, hoping that one combination out of many can help them to find what their bosses want (or what they can claim they did something cool). Witho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data process, which we call 'data generating process' (DGP), their trials and errors are nothing more than higher correlation hunting like untrained sociologists do in their junk researches.

Instead of blaming one code library worse performing than other ones, true data scientists look for embedded DGP and try to build a model following intuitive logic. Every step of the model requires concreate arguments reflecting how the data was constructed and sometimes require data cleaning by variable re-structuring, carving out endogeneity with 2SLS, and/or countless model revisions.

It has been witnessed by years of education that we can help students to memorize all the necessary steps for each textbook case, but not that many students were able to extend the understanding to ones own research. In fact, the potential is well visible in the admission exam or in the early stage of the coursework. Promising students always ask why and what if. Why SVM's functional shape has $1/C$ which may limit the range of $C$ in his/her model, and what if his/her data sets with zero truncation ends up with close to 0 separating hyperplane? Once the student can see how to match equations with real cases, they can upgrade imaginative thought processes to model building logic. For other students, I am sorry but I cannot recall successful students without that ability. High grades in simple memory tests can convince us that they study hard, but lack of intuition make them no better than a textbook. With the experience, we design all our exams to measure how intuitive students are.

Source= Reddit

Intuition that frees a data scientist

In my Machine Learning class for tree models, I always emphasize that a variable with multiple disconnected effective ranges in trees has a different spanned space from linear/non-linear regressions. One variable that is important in a tree space, for example, may not display strong tendency in linear vector spaces. A drug that is only effective to certain age/gender groups (say 5~15, 60~ for male, 20~45 female) can be a good example. Linear regression hardly will capture the same efffective range. After the class, most students understand that relying on Variable Importances of tree models may conflict with p-value type variable selections in regression-based models. But only students with intuition find a way to combine both models that they find the effective range of variables from the tree and redesign the regression model with 0/1 signal variables to separate the effective range.

The extend of these types of thought process is hardly visible from ordinary and disqualified students. Ordinary ones may have capacity to discern what is good, but they often have hard time to apply new findings to one's own. Disqualified students do not even see why that was a neat trick to the better exploitation of DGP.

What's surprising is that previous math/stat education mattered the least. It was more about how logical they are, how hard-working they are, and how intuitive they are. Many students come with the first two, but hardly the third. We help them to build the third muscle, while strenghtening the first. (No one but you can help the second.)

The re-trying students ending up with the same grades in the admission exam are largely because they fail to embody the intuition. It may take years to develop the third muscle. Some students are smart enough to see the value of intuition almost right away. Others may never find that. For failing students, as much as we feel sorry for them, we think that their undergraduate education did not help them to build the muscle, and they were unable to build it by themselves.

The less chanllenging tier programs are designed in a way to help the unlucky ones, if they want to make up the missing pieces from their undergraduate coursework. Blue pills only make you live in fake reality. We just hope our red pill to help you find the bitter but rewarding reality.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Keith Lee
Bio
Professor of AI/Data Science @SIAI
Senior Research Fellow @GIAI Council
Head of GIAI Asia

[딥테크] ‘워킹맘용 시간제 근무’ 도입한 독일, 결과 어땠나

[딥테크] ‘워킹맘용 시간제 근무’ 도입한 독일, 결과 어땠나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Vicky Jung
Position
Analyst
Bio
[email protected]
현장에서 나오는 정보의 힘을 믿습니다.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시간제 근무, 워킹맘 경력 단절 방지에 실제 효과 입증
기업 입장에선 숙련 노동자 유출 방지 기능도
“노동 시장 전체 생산성 끌어올리는 방책”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최근 유럽에서 유연근무제(flexible working)가 빠르게 활성화되고 있다. 유연근무제는 고정적인 출퇴근 시스템에서 벗어나 근로자가 스스로 근무 시간대와 총 근무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재택근무도 가능하게 하는 제도로, 아이를 둔 근로자들이 가정과 일 사이 균형을 맞추는 데도 도움이 된다. ‘파트타임’으로 불리는 시간제 근무도 유연근무제의 한 형태다.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고도 온라인에서 업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일반화되면서 시간제 근무 정책 관련 논의들도 급물살을 탔다.

사진=CEPR
사진=CEPR

시간제 근무, 출산 후 일자리 복귀 촉진

이런 가운데 유럽의 비영리 연구기관 CEPR(Centre for Economic Policy Research)은 독일에서 시간제 근무가 이른바 ‘워킹맘’들의 노동력 공급 및 근로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CEPR에 따르면 이들에게 시간제 근무 자격을 부여하자 실제로 파트타임 고용률이 올라갔고, 시간제 근무 대상자인 워킹맘들은 시간제 근무 기회가 없던 워킹맘들과 달리 근로소득도 챙길 수 있었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워킹맘들은 아이를 낳기 전 일했던 업계로 돌아가 업무 노하우를 유지하며 커리어를 이어 나갈 수 있다. 이는 곧 여성들이 돈을 벌기 위해 ‘저스펙 일자리’로 몰릴 필요가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독일뿐 아니라 최근 들어선 많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이 시간제 근무를 법제화하고 있다. 근로자들에게 시간제로 일할 권리를 줌으로써 이들이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가 하면 어린아이를 둔 엄마들이 일터로 돌아오게끔 한다는 취지다. 전문가들도 최근 낮은 혼인율과 출생률 등으로 부쩍 달라진 인구 구성을 감안할 때 이 같은 근로 방식이 반드시 필요한 변화라고 역설한다.

더욱이 많은 연구 결과들은 출산이 남성들보다 여성들의 근로 소득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이미 입증했다. 일종의 ‘출산 페널티’다. 출산휴가를 늘리거나 현금으로 보너스를 주는 등의 가정 부양 정책들이 때때로 효과를 내긴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또 이 같은 정책들은 워킹맘들의 고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거나 되레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워킹맘들의 소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없었다. 성 불평등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최근의 연구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나 폴-팔루드키에비치(Hannah Paule-Paludkiewicz) 독일연방은행(Deutsche Bundesbank) 연구원은 법적으로 보장되는 시간제 근무 권리가 출산한 여성들의 노동시장 내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앞서 독일에선 지난 2001년 1월 풀타임 근로자들이 한층 쉽게 파트타임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법이 발효됐다. 15명 이상을 고용한 회사에만 적용되는 이 법엔 부모들이 육아휴직 기간 동안 시간제 근무를 할 수 있게 하는 조항도 포함됐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폴-팔루드키에비치 연구원은 출산 전 일을 하고 있었던 여성 170만 명의 사회보장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 데이터는 개개인의 근무 이력과 노동 소득 정보 등을 담고 있다. 더불어 관련법 도입 전후 법 적용을 받는 대규모 사업장과 법 적용 대상이 아닌 소규모 사업장 내 변화도 각각 분석했다. 이는 경기 흐름이나 사회 규범 등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배제한 채 시간제 근무 정책이 여성들의 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독립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다.

Lobour market outcomes TE 202408
시간제 근무법 도입에 따른 여성들의 출산 이후 파트타임 근무율 변화(좌)와 일일 소득 변화 추세(우) 그래프/출처=CEPR

워킹맘들, 기존 직장 유지하며 커리어 이어 나갈 수 있어

분석 결과 법 도입 후 시간제 근무 적용 대상인 워킹맘들이 출산 2년 뒤 실제 시간제 근무로 일을 하게 될 확률은 시간제 근무 대상이 아닌 여성들에 비해 2%포인트 높았다. 대규모 사업장 기준 워킹맘들의 시간제 근무 고용 비율은 법 발효 전보다 15.7% 늘었다. 법 도입은 또 워킹맘들의 일일 소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들이 장기적으로 근무할 가능성도 더 높아졌다.

전통적으로 풀타임 근로자들이 파트타임으로 전환할 때는 아예 직장 자체가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 쉽게 말해 여성들의 경우엔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기 위해 이전 직업보다 더 낮은 전문성을 요하는 일자리들로 밀려나는 경향이 컸다. 이와 관련해 폴-팔루드키에비치 연구원은 “워킹맘들이 시간제 근무를 허가받을 경우 출산 후 직장을 바꾸는 경우가 줄었고, 결과적으로 각 기업에 특화된 능력과 노하우들이 유지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업체들 입장에서도 숙련된 여성 근로자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셈이다. 실제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간제 근무를 하게 된 워킹맘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지식과 능력을 요구하는 직종에서 근무를 이어 나갈 수 있었다. 

이번 분석 결과는 시간제 근무 도입이 워킹맘들의 경력 단절을 막을 뿐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곧 노동시장 전체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낸다. 출산으로 인한 노동시장 내 성 불평등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상황에서 시간제 근무는 워킹맘들의 소득을 늘려주는 방책인 것이다. 이와 같은 가족 정책을 채택한 나라가 아직은 많지 않지만, 주목할 여지는 충분하다.

원문의 저자는 한나 폴-팔루드키에비치(Hannah Paule-Paludkiewicz) 독일연방은행(Deutsche Bundesbank) 연구원입니다. 영어 원문은 Right to work part-time increases mothers’ labour income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Vicky Jung
Position
Analyst
Bio
[email protected]
현장에서 나오는 정보의 힘을 믿습니다.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겠습니다.

[해외 DS]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박차 가해

[해외 DS]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박차 가해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웅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흥미로운 데이터 사이언스 이야기를 정확한 분석과 함께 전하겠습니다.

수정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지원하는 AI 도구 공개
로봇 개발 기간 수개월에서 1주일로 단축할 수 있다며 자신감 보여
보스턴 다이내믹스, 엔비디아와 협력해 로봇의 한계 극복하고자
엔비디아
사진=엔비디아

엔비디아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속도를 높이는 AI 모델을 공개했다. 미국 콜로라도에서 개최된 시그래프(SIGGRAPH)에서 제조업체와 개발자가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발표했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AI의 다음 물결은 로봇 공학이며 가장 흥미로운 로봇으로는 휴머노이드를 꼽았다. 엔비디아는 로봇 발전에 힘쓰는 가운데 플랫폼과 AI 모델을 개방했다. 따라서 전 세계 휴머노이드 개발자와 기업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AI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로봇 개발에 속도 붙인 엔비디아

이번에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서비스 제품군인 엔비디아 NIM의 최신 버전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사전에 완성된 컨테이너를 제공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믹젠(MimicGen) NIM 마이크로서비스는 애플 비전프로(Apple Vision Pro)와 같이 공간 컴퓨팅 장치에서 원격 제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성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로봇 개발자에게 도움을 준다. 로보카사(Robocasa) NIM 마이크로서비스는 OpenUSD에서 시뮬레이션 지원 환경을 생성하여 개발자가 3D 테스트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엔비디아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리형 서비스인 오스모(Osmo)를 선보였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란 전통적인 구축형 환경 대신 클라우드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클라우드에서 복잡한 로봇 개발 워크플로를 쉽게 확장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휴머노이드에 강화 학습과 같이 컴퓨팅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업에서도 시각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엔비디아는 오스모를 사용하면 배포와 개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수개월에서 1주일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며 성능에 자신감을 보였다.

엔비디아, 로봇 개발 비용과 시간 단축해

새로운 제품들은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구동하도록 설계된 GR00T와 로봇 시뮬레이션용 애플리케이션인 아이작 심을 사용할 수 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 CTO인 아론 샌더스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와 엔비디아가 오랜 기간 협력하여 로봇 공학에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와 협력을 통해 로봇 업계의 발전을 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쁜 마음을 표출했다.

엔비디아는 고가의 휴머노이드를 개발하는 데 드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다음 과정을 통해 로봇 개발자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개발자는 애플 비전프로와 같은 공간 컴퓨팅 장치를 착용하여 화면을 캡처한 다음, 미믹젠 NIM에서 이 데이터를 합성 데이터로 만들어 입력하고 GR00T에서는 미믹젠 NIM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또한 로보카사 NIM을 사용하면 로봇 재학습을 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연구원이 모델링하고 개선하는 동안 오스모는 다양한 컴퓨팅 자원에 작업을 할당하여 기존에 개발자의 부담을 가중했던 관리 작업을 자동화한다.

푸리에인텔리전스(Fourier Intelligence)의 CEO 알렉스 구(Alex Gu)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은 매우 복잡하며 실제로는 지루할 정도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캡처해야 한다”며 로봇 개발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새로운 기술과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하면, 모델 개발 워크플로를 구축하는 데 획기적으로 시간을 줄일 수 있다며 앞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웅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흥미로운 데이터 사이언스 이야기를 정확한 분석과 함께 전하겠습니다.

무책임한 경영진 태도에 사기 떨어진 큐텐, 티메프 사태 이후 임직원 '퇴사 러시' 본격화 수순

무책임한 경영진 태도에 사기 떨어진 큐텐, 티메프 사태 이후 임직원 '퇴사 러시' 본격화 수순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경영진 중심 운영 이어 온 큐텐, 직원 사이 볼멘소리 확산
걷잡을 수 없이 커진 티메프 사태, 큐텐 임직원 이탈에도 속도
일각선 임금체불 우려 목소리도, '퇴사 러시' 심화 가능성 ↑
qoo10 resign rush TE 20240802

티몬·위메프(티메프) 대규모 정산 지연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면서 모기업 큐텐그룹 직원들의 이탈이 가속하기 시작했다. 직원들은 무책임한 경영진의 태도에 불만을 쏟아내는 모습이다.

티메프 사태에 큐텐 직원 이탈 가속

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구영배 큐텐 대표의 소집에 따라 티몬 임직원 줌(Zoom) 화상회의가 열렸다. 회의 내용은 단순했다. 20명 정도가 참석한 회의에서 구 대표는 "나를 믿고 따라 달라"며 "셀러(판매자)들도 채권자들도 우리 회사가 망하면 돈을 못 받기 때문에 망하는 걸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직원의 '퇴사 러시'를 막기 위해 구 대표 자신의 리더십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셀러 미지급 사태 파장이 커지면서 티몬 내에선 "이러다가 월급도 못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 대표에 대한 불만 섞인 목소리도 쏟아졌다. 지난달 30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모르쇠'로 일관하는 경영진들의 모습에 실망감을 드러낸 것이다.

큐텐 전현직 직원들의 전언에 따르면 큐텐의 모든 의사 결정은 경영진을 중심으로, 독단적으로 이뤄졌다. 구 대표를 비롯한 소수 임원을 중심으로 탑다운(Top-down·하향) 방식으로 관리됐기에 대부분의 직원이 티메프 사태를 당일에서야 인지할 수 있었단 설명이다. 이에 대해 한 큐텐 관계사 직원은 "구 대표는 처음 보는 직원들에게도 반말을 할 정도로 권위적이고 자기중심적이었다. 지시한 내용에 대한 말 바꿈도 잦아 직원들의 혼란을 가중시켰다"며 "젊은 나이에 성공을 맛봐서 그런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없었다. 대표의 무리한 경영 방식이 이번 사태의 원인"이라고 구 대표를 강하게 질타했다.

티몬 등 계열사 대표에 대한 비난도 나왔다.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책임한 모습만 보여주고 있단 이유에서다. 특히 티몬은 현재까지도 직원들에게 관련 공지를 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오는 10일 급여일에 임금체불이 이뤄질 수 있단 우려도 쏟아진다. 티메프 직원들의 줄퇴사가 이어지고 있는 이유다.

임금체불 시 '퇴사 러시' 심화할 듯

만일 임금체불이 현실화하면 퇴사 양상은 그룹 전체로 번져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노동력을 제공하고 월급을 받는 기본적인 원칙이 무너지면 기업에 대한 신뢰도 덩달아 무너질 수밖에 없어서다. 임금체불 자체가 직장인의 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심각한 사태기도 하다. 보통 직장인들은 집세를 비롯해 적금, 보험, 카드 대금 등 지출 대부분을 급여일 기준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설문조사를 봐도 직장인 중 상당수가 임금체불이 발생할 시 퇴사를 결정하겠다고 응답했다. 미디어윌이 운영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이 직장인 1,0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8.6%가 임금체불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64.5%가량이 임금체불 이후 퇴사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67.7%는 임금체불 경험 시 퇴사를 준비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SKhynix union TE 20240802

SK하이닉스에서도 성과급 문제로 퇴사자 급증한 바 있어

굴지의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에서 성과급 지급 문제로 직원들의 퇴사 러시가 이어진 사례가 있단 점도 티메프를 옥죈다. 결국 '퇴사'의 무게감 자체가 과거 대비 상당히 줄었단 의미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2021년 SK하이닉스는 성과급 문제로 노사 갈등을 빚었다. 전년 5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성과급이 연봉의 20% 수준으로 적게 책정된 점이 원인이었다.

이에 SK하이닉스의 퇴사자 수는 급격히 늘었다. SK하이닉스 노동조합에 따르면 퇴사자 수는 2019년 4월 22명, 5월 18명, 2020년 4월 13명, 5월 10명가량이었으나 2021년엔 4월 38명, 5월 94명까지 급증했다. 특히 성과급 문제가 확산한 5월 25일엔 하루에만 34명의 퇴사자가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노조 측 관계자는 "노사가 성과급 논란과 관련해 합의안을 들고 왔으나 이미 많은 직원들의 마음은 떠난 후였다"며 "그 사건 이후 일부 조직에서는 퇴사 혹은 이직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일라이릴리의 새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 국내 상륙 카운트다운

일라이릴리의 새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 국내 상륙 카운트다운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체중 평균 26% 감량" 위고비보다 세다, 약값 '미국 기준 월 130만원' 
'기적의 비만약' 마운자로 국내 허가, 공급부족에 출시 일정은 불투명
세마글루타이드 성분, 심장·신장 보호 이어 치매 예방 효과도 확인
Mounjaro TE 001 20240802 new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사진=일라이 릴리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Mounjaro, 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비만약으로 국내 판매 허가를 받았다. 지난해 제2형 당뇨병 치료제에 이어 이번에 비만 적응증으로도 식약처의 승인을 받은 것이다. 다만 이번 허가에도 국내 출시 일정은 불투명하다.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해 공급 부족 사태를 빚고 있어서다.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국내 품목 허가 획득

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국일라이릴리는 마운자로가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전날 발표했다. 지난해 6월 당뇨약으로 허가받은 이후 비만약으로 치료 분야를 확대한 것이다. 마운자로 약효는 기존 비만약 시장의 최강자인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Wegovy, 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임상 3상 시험에서 평균 체중이 105㎏인 성인에게 마운자로 15㎎을 72주간 투여한 결과 체중이 최대 22.5% 빠졌고, 84주 투여 임상시험에서는 평균 26.6%가 줄었다. 반면 위고비는 68주 투여 결과 15% 정도 감량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마운자로는 몸속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포만감을 높이는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 계열 치료제로 식전·식후 혈당을 낮추고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운자로는 GLP-1과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 촉진 폴리펩타이드(GIP) 등 두 가지 표적에서 모두 약효를 내는 유일한 의약품이다.

이에 비해 기존 비만 치료제의 강자로 분류되던 노보 노디스크의 ‘삭센다(Saxenda, 성분명 리라글루티드)’와 위고비는 GLP-1 수용체만 활성화한다. 마운자로가 글로벌 비만 트렌드의 중심에 서게 된 배경이다. 원래 당뇨약으로 허가받은 마운자로는 지난해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비만으로 적응증을 확대해 허가받았다. 현재 ‘젭바운드(Zepbound)’라는 이름으로 미국에서 판매 중이며 국내에서는 이전 이름인 마운자로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마운자로 국내 출시 시점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난해 4월 국내에서 허가받은 위고비도 고질적인 의약품 공급 부족으로 1년 넘게 출시하지 못하고 있다. 데이브 릭스(Dave Ricks) 일라이릴리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열린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행사 ‘2024 JP모간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지난해 12월 젭바운드가 주당 2만5,000건의 신규 처방을 기록했다”며 “예상치를 초과하는 시장 수요 덕분에 올해 공급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일라이릴리는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유럽 등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연달아 공장을 증설 중이다. 한편 출시에 있어 가장 큰 변수는 약값이다. 주 1회 주사를 맞아야 하는 마운자로는 미국 기준 한 달 약값은 약 130만원이다.

만병통치약 꿈꾸나, GLP-1 작용제의 끝없는 약효 확장

마운자로의 핵심 성분인 GLP-1은 현재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통한다. 항당뇨병제로 개발돼 심혈관 혜택과 체중 감량 효과를 입증한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신장 질환 치료부터 치매 예방까지 영역을 확장하면서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mperial College London) 연구진의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학술대회(AAIC)에서의 발표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 삭센다를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투여한 결과 인지 기능 저하 속도가 18% 느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연구진은 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 204명을 모집해 소규모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참가자 절반에게는 삭센다의 주요 성분인 리라글루타이드(Lilaglutide)를 투여했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가짜약(위약)을 투여한 후 1년 뒤 뇌 기능의 변화를 평가했다. 연구진은 당초 리라글루타이드가 뇌의 포도당 대사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한 환자와 위약을 투여한 환자 사이에서 뇌의 포도당 대사율은 차이가 없었다. 대신 뇌 조직의 수축을 막는 효과가 확인됐고 이같은 뇌 수축 차단은 인지 기능 저하 방어 효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GLP-1 제제는 주요 가이드라인에 비스테로이드성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RA), SGLT-2 억제제 등과 함께 신장 예후를 개선할 수 있는 약제로도 이름을 올렸다. 국제신장학회(KDIGO) 가이드라인에서는 만성 콩팥병 동반 당뇨병 환자의 혈당 강하를 위한 2차 치료제로 GLP-1 제제를 제시했다. 미국당뇨병학회(ADA) 가이드라인에서는 GLP-1 제제가 신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위약 대비 신장 예후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됐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및 암 예방 효과도 입증됐다. 세계 최대 암학회인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 학술대회에서 GLP-1을 이용한 암 예방 효과가 공유됐다. 해당 약물을 복용한 환자는 난소암, 간암, 대장암, 췌장암, 유방암 등 13가지 비만 관련 암에 걸릴 확률이 19% 감소한 것으로 보고됐다. 더불어 알코올의존증 환자에서도 과도한 음주를 줄이는 효과가 나타났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GLP-1을 사용한 비만 환자에서 1년 후 알코올 사용장애의 재발 위험이 절반을 넘겨 56% 줄어들었다.

HKinno 002 20240802
HK이노엔 곽달원 대표(왼쪽)와 중국 사이윈드 하이 판 대표가 에크노글루타이드 라이선스 계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HK이노엔

'GLP-1유사체' 확보 나선 국내 제약사들

이에 국내 제약사들도 GLP-1유사체 도입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의약품 제조업체 HK이노엔이 대표적이다. 지난 5월 HK이노엔은 중국 바이오기업 사이윈드 바이오사이언스와 GLP-1유사체 ‘에크노글루타이드(XW003)’의 국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라이선스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HK이노엔은 사이윈드 바이오사이언스에 계약금과 단계별 기술료 외에 출시 후 매출에 따른 경상기술료를 지급하고, 에크노글루타이드의 국내 독점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갖게 됐다.

에크노글루타이드는 주 1회 투여하는 주사제로, 현재 중국에서 제2형 당뇨 및 비만 3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에크노글루타이드는 앞서 중국과 호주에서 진행된 2상에서 혈당 강하 및 체중 감량 효과와 함께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다. 앞으로 HK이노엔은 국내에서 에크노글루타이드의 제2형 당뇨 및 비만 3상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같은 달 한독도 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를 국내에 도입했다. 인도 소재의 바이오 제약사 바이오콘(Biocon)과 리라글루티드 성분 비만 치료제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 및 유통 계약을 체결하면서다. 해당 계약으로 한독은 해당 비만 치료제의 국내 허가 및 판매‧유통을 담당하게 됐다. 이외에도 △한미약품 △광동제약 △대원제약 △동아에스티 △유한양행 △일동제약 △인벤티지랩 △디앤디파마텍 △펩트론 △고바이오랩 등 10여 곳의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중 한미약품의 비만 치료제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르다. 한미약품의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지난 1월 국내 3상 임상시험을 개시했다. 목표 임상 종료 시점은 오는 2026년 상반기로, 한미약품은 에페글레나타이드를 향후 3년 내 국내에서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밖에 △디앤디파마텍 △고바이오랩 △일동제약 등은 경구용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대원제약 △광동제약 △동아에스티 등은 패치형 마이크로니들 제형의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큐익스프레스 CB·EB 보통주 전환 논의 본격화, '구영배 색깔 지우기' 나선 PEF 연합

큐익스프레스 CB·EB 보통주 전환 논의 본격화, '구영배 색깔 지우기' 나선 PEF 연합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티메프 사태에 리스크 확산, 큐익스프레스 PEF 연합 보통주 전환 논의 시작
큐텐 사례에 힘 입어 RCPS·CB 등 보호 장치 마련된 투자 방식 선호도 높아지나
CB 발행 이후 회사 매각 실패한 왓챠, "CB 상환에 투입할 자금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
qoo10 yungbae timon 20240802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사진=큐텐

티몬·위메프(티메프) 대규모 정산 지연 사태가 확산하는 가운데 큐텐그룹 핵심 계열사 큐익스프레스의 사모펀드(PEF) 연합이 '구영배 대표 지우기'에 나섰다. 티메프 리스크가 큐익스프레스까지 뻗치기 전 전환사채(CB)와 교환사채(EB)를 보통주로 전환해 최대 주주로 올라서겠다는 게 PEF 연합의 계획이다. 이 같은 추세에 시장에선 당분간 투자자 사이에서 안전장치가 마련된 투자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일련의 사태를 거치며 투자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어서다.

큐익스프레스 FI, 전환권 행사 여부 논의

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최근 큐익스프레스의 일부 재무적 투자자(FI)들은 전환권 행사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현재 큐익스프레스의 주주 및 채권단 구성은 상당히 복잡하다. 우선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이하 크레센도)가 2019년 큐익스프레스의 한국 자회사 우선주 600억원어치를 샀고, 2021년엔 크레센도와 캑터스PE-산은PE가 각각 500억원을 투자해 큐익스프레스 CB를 인수했다. 당시 큐익스프레스는 CB를 판 돈으로 코차이나로지스틱스 인수 대금을 치렀다.

또 2021년 스톤아시아와 메티스톤PE도 500억원 규모의 큐텐 EB를 샀고, 이 과정에서 EB를 큐익스프레스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조건이 붙었다. 상환 순위는 크레센도와 캑터스PE-산은PE가 보유한 CB가 가장 앞서고 그다음이 크레센도의 우선주며, 코스톤아시아와 메티스톤PE가 보유하게 될 보통주가 가장 후순위다.

현재로서 큐익스프레스의 최대 주주는 큐텐(65.8%)과 구 대표(29.3%)다. 여기서 FI들이 모두 전환권을 행사하면, 대주주는 이들 연합으로 바뀔 전망이다. 먼저 크레센도의 경우 우선주를 보통주로 바꾸면 지분율이 34.2%에 육박하게 된다. 크레센도의 CB, 캑터스PE-산은PE의 CB를 전환하면 지분을 각각 7%씩 보유하게 되고, 코스톤아시아·메티스톤이 보유한 큐텐 EB를 큐익스프레스 보통주로 바꾸면 약 20%의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FI의 지분율이 60%를 넘게 되는 셈이다.

티메프 사태로 리스크 부각, '보호 장치' 선호도 높아질 듯

이처럼 큐익스프레스 FI들이 구 대표 영향력 지우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건, 구 대표의 큐텐그룹과 큐익스프레스의 기업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여기에 티몬과 위메프 등 e커머스업체와 달리 물류회사인 큐익스프레스는 독자적인 물류사로 생존할 수 있을 것이란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큐텐그룹 일감에서 비롯된 매출이 전체의 30% 수준인 만큼 사실상 독립해 빠져나가도 회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다.

이런 가운데 시장에선 큐익스프레스 사례를 두고 '구 대표와 FI가 체결한 투자 계약상 트리거가 발동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통상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 계열사 회생이나 대표이사의 중대한 과실, 긴급한 경영상 위기 상황 시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다"며 "티메프 사태가 발생하면서 계약 조건이 발동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결국 벤처캐피탈(VC) 등이 보통주보다 상환전환우선주(RCPS)나 CB 등 보호 장치가 마련된 투자 방식을 더 선호하는 이유가 이번 사태를 통해 가시화했단 의견도 있다. 티메프 사태로 투자에 대한 리스크가 더욱 부각됐기 때문이다. 이에 앞으로도 투자자 차원의 안전장치 요청이 이어질 여지가 커졌다는 업계의 평가가 나온다.

WATCHA FI TE 20240802

왓챠에 큐익스프레스 사례까지, 고민 깊어진 투자자·기업들

통상 VC의 투자 방식은 크게 보통주와 우선주로 나뉜다. 보통주는 주식시장에서 거래되고 주식 1주당 1표의 의결권을 갖는, 말 그대로의 일반적인 보통 주식이다. 반면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우선순위를 갖는 주식이다. 이익 배당이나 잔여재산을 분배할 때 보통주보다 먼저 가져갈 수 있단 것이다.

우선주에 상환권과 전환권 옵션을 추가한 것이 바로 RCPS다. 전환권은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VC가 스타트업에 주식을 되팔 수 있는 권리며, 전환권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다. 상환권이 있으면 투자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보고 주식 보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전환권이 있으면 보통주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CB는 사채권자에게 전환 기간 내 약속한 전환 조건에 따라 사채 발행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다. 전환권 행사 이전엔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는 사채로 존재하고 행사 이후엔 사채 소멸시킨 뒤 회사의 영업실적에 따른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식으로 전환하는 식이다. CB의 경우 이자수익을 보장받으면서도 큰 배당이익과 주식 매각차익까지 노릴 수 있어 VC들이 선호한다.

스타트업 입장에선 보통주 투자를 받는 게 더 유리하지만, 상대적으로 갑의 관계에 있는 VC는 투자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RCPS와 CB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실례로 국내 OTT 플랫폼 왓챠의 경우 지난 2021년 CB를 발행해 약 490억원을 조달한 바 있다. 당시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와 VC 인라이트벤처스 등이 자금을 댄 것으로 확인됐으며, CB 발행 과정에서 몸값 3,380억원을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왓챠는 전략의 일환이던 CB 발행으로 인해 향후 기업 전략에 한계를 맞았다. 지난 2022년 왓챠는 LG유플러스에 회사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400억원 규모의 왓챠 신주를 인수해 최대 주주에 오르는 방안이 주로 논의됐다. 그러나 여기서 CB가 걸림돌이 됐다. 일반적으로 CB 보유사들은 대주주가 바뀌면 상환 요청에 나서게 마련이다. 왓챠가 LG유플러스의 투자를 받는다고 해도 CB 상환에 상당한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 만들어진 셈인데, 이는 LG유플러스 입장에서 직접적인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왓챠와 큐익스프레스 사례가 연달아 이어진 만큼, 투자 유형에 대한 투자자와 기업의 고민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세계 최초 AI 규제법 발효한 EU, 주요국 AI 장벽 수립 '신호탄'

세계 최초 AI 규제법 발효한 EU, 주요국 AI 장벽 수립 '신호탄'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EU 'AI 법' 본격 발효, 전면 시행은 2년 뒤부터
각 주요국, AI 규제 제정에 속속 힘 실어
여론 선동 경계하는 中, 美는 中 AI 기술 접근 견제
ai act eu 20240802

유럽연합(EU)이 세계 최초로 제정한 포괄적 인공지능(AI) 규제법이 본격 발효됐다. 전 세계 주요국들이 AI 관련 규제 제정에 속도를 내기 시작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EU가 본격적인 'AI 장벽' 수립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는 평이 흘러나온다.

EU, 포괄적 인공지능 규제법 발효

1일(현지시간) EU의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AI 법(AI Act)은 인간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포함해 EU에서 개발·사용되는 AI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됐다”며 법안 도입 취지를 설명했다. AI 법에 따르면 특정 제품이나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정도에 따라 네 단계로 나눠 차등 규제가 이뤄진다. 부정적 영향을 줄 위험이 높을수록 더 엄격한 규제가 적용된다.

의료, 교육, 선거, 핵심 인프라 등에 활용되는 AI 기술은 고위험 등급으로 분류돼 사람이 AI 사용을 반드시 감독해야 하고 위험관리 시스템을 갖춰야 하고,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AI 기술 활용은 원천 금지된다. AI 및 개인의 특성·행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해 개별 점수를 매기는 관행인 사회적 점수 평가(social scoring·소셜 스코어링), 인터넷이나 폐쇄회로(CC)TV에서 얼굴 이미지를 무작위로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행위 등이 금지 대상에 해당한다.

법 집행기관에서 실시간 원격 생체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한된다. 챗GPT를 비롯한 범용 AI(AGI·사람과 유사한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지능을 갖춘 AI)에는 AI 학습 과정에 사용된 콘텐츠를 명시해야 하는 등 투명성 의무도 부여된다.

이날 발효를 기점으로 원천 기술 금지 규정은 6개월 뒤부터, 범용 AI에 대한 의무 규정은 12개월 뒤부터 적용된다. 전면 시행은 2년 뒤인 2026년 8월부터다. 집행위에 따르면 AI 기술과 관련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전 세계 연 매출의 1.5% 규모, 의무 규정 위반 시 3% 규모의 과징금이 각각 부과된다. 금지된 AI 애플리케이션 사용으로 법을 위반하는 경우에는 과징금이 최대 7%까지 올라갈 수 있다.

中, AI 특유 위험성 주시

시장에서는 EU가 세계 각국 'AI 장벽' 수립의 출발선에 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일부 주요국들은 EU의 뒤를 이어 AI에 대한 규제를 속속들이 강화하고 있다. 일례로 중국은 지난해 7월 13일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관리에 관한 임시조치'(生成式人工智能服务管理暂行办法)을 발표하고, 한 달 후인 8월 15일 바로 이행에 들어갔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법률 제정 속도가 비교적 느린 중국이지만, 최근 디지털 분야에서만큼은 신속하게 법률 제정에 나서고 있다"며 "특히 지난해 임시조치가 이행된 AI의 경우, 특유의 여론 선동 위험성 등이 중국 정부의 눈에 띄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중국의 AI 관련 임시조치는 생성형 AI가 만들어 내는 콘텐츠가 중국의 사회주의 핵심 가치를 견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가 권력, 사회주의 체제의 전복, 국가 안보와 이익을 위태롭게 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임시조치 제4조는 생성형 AI 서비스 제공 시 편향성 방지 조치, 지식재산권 보호, 기업 윤리 존중, 타인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 존중 등의 규정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론 형성의 속성을 가지거나 사회 선동력을 가진 생성형 AI 서비스 제공 시에는 관련 규정(제17조)에 따라 '안전성 평가'와 '알고리즘 등록'(互联网信息服务算法推荐管理规定 제24조)을 실시해야 한다.

해당 임시조치 규정의 적용 범위는 중국 국내로 한정돼 있다. 규정 자체가 외국 서비스 제공자보다는 국내 서비스 제공자의 규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외국에서 중국에 제공된 서비스가 본 규정에 저촉될 경우, 중국 정부는 제20조에 따라 해당 규정에 의거해 관련 기관에 필요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china usa te 20240802

대중국 AI 규제 강화하는 美

미국의 경우 작년 10월 AI 개발 및 사용에서 지켜야 할 규정들을 담은 행정명령을 공개했다. 당국은 당시 행정명령 발표문에서 “미국은 적극적으로 AI 규제 의제를 제시하는 국가”라며 “앞으로 AI의 개발 및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국제적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해외 동맹국 및 파트너와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AI 행정명령은 안보나 경제, 공중보건과 같은 안전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AI의 경우 안전 검사 결과를 정부에 제출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EU와 같이 포괄적인 규제는 아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이 최근에는 행정명령에 그치지 않고 입법적인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정부가 대중국 'AI 장벽'을 세우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지난 5월 로이터가 관련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미국의 AI 기술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막기 위해 AI 모델의 소프트웨어·훈련된 데이터를 비공개 소스화하거나 대중 수출을 제한하는 등의 새로운 규제를 추진 중이다. 소식통은 해당 조치가 중국의 군사 목적을 위한 첨단 기술 개발을 지연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미국의 적성국들이 방대한 양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마이닝하는 AI 모델을 사용해 파괴적인 사이버 공격을 수행하거나 강력한 생물학적 무기를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최근 국토 위협 평가에서 사이버 공격자들이 “AI를 사용해 더 크고, 더 빠르고, 효율적인 사이버 공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를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미국 국가정보국(ODNI)의 브라이언 홈스도 중국의 발전을 특별한 관심사로 거론하며 "(AI의) 사용과 착취의 폭발적 가능성을 따라잡기 어렵다”고 경계심을 드러냈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딥테크] '비만약-환각제 혼합', 당뇨 치료에 효과

[딥테크] '비만약-환각제 혼합', 당뇨 치료에 효과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Vicky Jung
Position
Analyst
Bio
[email protected]
현장에서 나오는 정보의 힘을 믿습니다.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비만 치료제에 환각 성분 하르민(harmine) 결합하자 베타 세포 급증
“베타 세포는 어릴 때 생긴 뒤 평생 쓴다” 학계 통념 거스르는 결과
인간 대상 임상시험 등 갈 길 멀지만 새로운 치료법 가능성에 기대 쏠려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환각 성분이 있는 알칼로이드 약물을 노보 노디스크의 오젬픽(Ozempic) 등 비만약과 혼합해 쓸 경우 당뇨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인간 대상 임상시험이 필요하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획기적인 당뇨 치료법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사진=Scientific American
사진=Scientific American

쥐 대상 실험서 ‘베타 세포’ 촉진 효과 확인

현재 전 세계 수백만 명에 달하는 1형 또는 2형 당뇨 환자들은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 주사 또는 약물에 의존하고 있다. 당뇨는 췌장 내에서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가 파괴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과학자들은 인슐린 생산 세포를 재생시켜 인체가 스스로 호르몬을 만들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비만 치료제로 눈길을 끈 오젬픽과 환각 기능이 있는 특정 성분과 결합할 경우 베타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이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됐다.

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는 지난달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소개됐다. 연구에 따르면 환각 성분 하르민(harmine)을 비만약과 결합시켜 투약한 결과 체내 인슐린 생산 세포가 700%까지 늘어났다. 연구진은 살아있는 사람에게서 채취한 베타 세포를 당뇨를 갖고 있는 쥐와 건강한 쥐의 신장에 각각 이식했다. 이 혼합 약제를 석 달간 투여하자 인슐린 생산이 늘었고, 혈당 수치가 안정화됐으며, 신체 내 베타 세포 총량도 증가했다. 그런가 하면 치료를 중단하고 한 달 뒤에도 새로 생성된 베타 세포가 보존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물론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 장담할 수는 없지만, 이번 결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상당히 고무적이다. 베타 세포 재생을 연구하는 저스틴 아네스(Justin P. Annes) 미국 스탠퍼드대학(Stanford University) 부교수는 “이 연구는 신체 내 베타 세포를 치료하고 총량을 늘릴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이용해 공격적으로 실험했다”며 “당뇨 치료를 위한 재생의학은 혁명적인 치료법으로서 잠재력이 있고, 우리가 계속해서 추구해 나가야 할 매우 중요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베타 세포는 재생산 어렵다”는 통념 깨부순 결과

이번 연구 결과는 “베타세포는 한 번 만들어진 뒤엔 다시 생성되지 않는다”는 학계 통념을 거스르는 것이기도 하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앤드류 스튜어트(Andrew Stewart)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당뇨비만대사연구소 과학 디렉터는 체내 대부분의 인슐린 세포가 아기일 때 발달해 평생 지니고 살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뇨 환자의 경우엔 이렇게 제한적인 ‘인슐린 세포 은행’이 더 불안정하게 돌아간다. 2형 당뇨의 경우엔 베타 세포의 기능이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질 수 있고, 1형 당뇨는 아예 신체가 베타 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이번 동물 실험의 핵심 물질인 하르민은 체내 베타 세포를 보충해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화합물 중 하나다. 식물에서 추출하는 이 성분은 남미 원주민들이 ‘마법의 물약’이라 부르는 천연 향정신성 음료 ‘아야와스카(Ayahuasca)’에 주로 쓰인다. 스튜어트 디렉터 연구진이 베타 세포에 대한 하르민의 효과를 처음 입증한 건 2015년이다. 하르민은 세포 복제를 막는 DYRK1A(dual specificity tyrosine-regulated kinase 1A)라는 효소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본질적으로 하르민은 세포 재생산을 계속 가능하게 해 더 많은 베타 세포의 생성을 돕는다. 그러나 이를 단독으로 쓸 경우엔 베타 세포 생성량이 적어 당뇨 환자에게 의미 있는 치료 효과를 주진 못한다는 게 스튜어트 디렉터의 설명이다.

이에 연구팀은 시중에 널리 쓰이고 있는 당뇨 및 비만 치료제인 오젬픽을 비롯해 위고비(Wegovy), 몬자로(Mounjaro), 젭바운드(Zepbound) 등의 약물과 섞어 하르민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고안했다. 장내 호르몬인 GLP-1을 모방한 이 약물들은 인슐린 생성을 촉진하고 베타 세포 기능을 개선해 2형 당뇨 치료에 도움을 준다. 앞서 어린 쥐를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에서 GLP-1은 실제로 베타 세포의 재생산을 증가시켰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아돌포 가르시아-오카냐(Adolfo Garcia-Ocaña) 미국 캘리포니아 시티오프호프(City of Hope)연구소 분자 세포 내분비학과장은 “다들 이 약물이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건 물론 세포의 증식과 재생을 촉진할 것이라고 기대하며 기뻐했다”고 말했다. 다만 인간 성인의 베타 세포에선 같은 결과가 도출되진 않았다고 덧붙였다.

혈당 수치 내리고 인슐린 분비량도 늘려

가르시아-오카냐 학과장과 스튜어트 디렉터 등은 지난 2020년 오젬픽과 위고비의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 빅토자(Victoza)와 삭센다(Saxenda)의 성분인 리라글루타이드를 포함해 다양한 GLP-1 관련 약물과 하르민을 함께 쓸 경우 인간 베타 세포를 증식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연구진은 살아있는 인간의 췌장 조직 췌장섬(pancreatic islet)을 당뇨병 쥐와 건강한 쥐의 신장에 각각 이식했고, 이들 쥐에 하르민과 GLP-1 관련 약물인 엑센딘-4를 투여했다. 실험의 막바지엔 쥐의 신장을 떼어낸 뒤 3차원 영상 기술을 이용해 베타 세포의 성장을 측정했다. 그 결과 각 약물을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보다 함께 투여했을 때 베타 세포의 성장량이 더 확대됐다. 특히 당뇨가 있는 쥐에선 물을 투여한 대조군보다 7배 더 효과가 좋았다.

이뿐만 아니라 혈당 수치도 낮아졌고, 인슐린은 4배가량 증가했다. 스튜어트 디렉터는 “베타 세포의 기능에 즉각적인 개선이 있었다는 점, 그리고 베타 세포 수가 느리지만 꾸준히 늘어났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렇게 늘어난 베타 세포들은 치료를 중단한 뒤에도 변화 없이 살아남았다. 아네스 부교수는 이에 대해 “세포 증가의 지속성과 당뇨 치료 가능성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새롭게 생성된 베타 세포나 기존 베타 세포의 기능이 개선된 게 정확히 어떤 역할을 했는지 파악하려면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진은 여전히 이 약물들이 작용하는 기전을 조사 중이다. 가르시아-오카냐 학과장은 GLP-1 약물들이 세포 복제의 활성화와 관련된 신호 전달 물질을 증가시켰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르민이 세포 복제를 막는 요소를 제거하고 GLP-1이 그 과정에 속도를 더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연구진은 또 이 기술이 섬 세포(islet cell) 또는 췌장 전체를 이식하는 기존의 치료법보다 쉬운 당뇨 치료법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간 대상 임상시험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현재 스튜어트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이 여러 용량의 하르민 투약을 견뎌낼 수 있는지에 대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하르민이 환각이나 구역감,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약물인 만큼 원치 않는 세포, 즉 암세포 등을 증가시킬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하르민 같은 DYRK1A 효소 억제제는 특정 세포를 겨냥해 작용하도록 설계하지 않으면 신체 내 다른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최근 또 다른 연구에선 이 치료법이 췌장섬 내 다른 세포인 알파 세포를 증식시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약물이 필요한 곳에만 작용한다는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특정 형태의 하르민의 경우엔 더 적은 용량으로 투여해도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느린 세포 분열 속도가 새로운 의문을 자아낸다. 아네스 부교수는 “빠르게 분열하지도 않는데 어떻게 그렇게 많은 세포를 생성해낼 수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아네스 부교수가 내세운 한 가지 가설은 이 치료법이 베타 세포가 아닌 세포들을 베타 세포로 변화시켰을 가능성이다.

그런가 하면 이 치료법은 2형 당뇨 환자에겐 획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반면 베타 세포 개수가 현저히 적은 1형 당뇨 환자들에겐 한계가 있다. 로라 알론소(Laura Alonso) 미국 뉴욕-프레즈비테리안 웨일코넬메디컬센터(NewYork-Presbyterian/Weill Cornell Medical Center)의 내분비학 및 당뇨 대사 학과장은 인슐린 분비 능력을 상당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엄청난 양의 베타 세포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포가 만들어지는 속도보다 면역체계가 이를 파괴하는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가르시아-오카냐 학과장은 세포 재생 기술에 면역체계 조절 치료법을 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구의 한계를 “베타 세포가 나오는 수도꼭지를 찾았지만 싱크대에 마개가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셈”이라고 비유했다. 현재 연구진은 면역체계가 베타 세포를 공격하지 않게끔 하는 방법과 베타 세포를 면역체계가 아예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위장 약물 등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가르시아-오카냐 학과장은 또 GLP-1 약물이 2형 당뇨 환자들 사이에서도 이미 널리 쓰이고 있다는 점을 내세웠다. 그는 “하르민은 그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원문의 저자는 로렌 영(Lauren J. Young)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 건강 및 의약 부편집장입니다. 영어 원문은 Combining Ayahuasca Compound with Drugs like Ozempic Could Help Treat Diabetes, Mouse Model Suggests | Scientific American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Vicky Jung
Position
Analyst
Bio
[email protected]
현장에서 나오는 정보의 힘을 믿습니다.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겠습니다.

[해외 DS] 로봇의 의사 결정, '체화된 사고 사슬'로 더 똑똑하게!

[해외 DS] 로봇의 의사 결정, '체화된 사고 사슬'로 더 똑똑하게!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수정

'체화된 사고 사슬', 단계별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시각-언어-행동 모델의 한계 극복, 다양한 로봇에서 적용 가능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서의 적응력과 실행 속도 개선 필요
ECoT 20240801
사진=Pixabay

UC 버클리, 스탠퍼드, 바르샤바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로봇의 의사 결정 능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론, '체화된 사고 사슬'(Embodied Chain of Thought, 이하 ECoT)을 개발했다.

ECoT는 로봇이 인간처럼 단계별로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더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고차원적인 사고와 저차원적인 감각 정보를 통합해 로봇의 작업 이해도와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접근법이다.

또한 연구팀은 ECoT를 통해 로봇이 새로운 작업과 환경에 더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인간의 자연어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며 행동을 교정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는 로봇의 자율성과 지능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 획기적인 성과다.

시각-언어-행동 모델의 한계 극복

시각-언어-행동(Vision-Language-Action, VLA) 모델은 로봇이 언어 지시와 시각 정보를 종합적으로 이해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훈련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아울러 로봇이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상황에서도 적절한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VLA 모델은 복잡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신중한 계획과 상황 적응이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한다. 주로 행동 관찰을 통해 학습하기 때문에 중간 추론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이다. 즉 VLA 모델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즉각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데에는 능숙하지만, 복잡한 상황에서 단계별 추론을 통해 최적의 행동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인다.

연구팀은 VLA 모델이 탑재된 로봇의 단계별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ECoT에 기반 모델(foundation model)을 접목했다.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로봇의 행동 데이터를 담은 '브리지데이터 V2(BridgeData V2)'에서 기반 모델을 통해 유용한 특징을 추출했으며, 이를 토대로 ECoT 방식의 단계별 사고 과정을 반영한 합성 훈련 데이터를 생성해 냈다.

또한 연구진은 로봇의 환경 이해를 돕기 위해 객체 감지기와 비전-언어 모델과 같은 다양한 기반 모델을 활용해 로봇 주변 환경에 대한 설명을 생성하고, 객체 정보에 주석을 달았다. 이후 구글의 제미나이 모델을 통해 작업 계획, 세부 단계, 이동 경로 등을 레이블 형태로 생성하고, 이전에 수집된 객체 정보와 로봇 그리퍼(집게)의 위치 정보를 결합했다. 마지막으로 전체 프로세스를 하위 모듈로 분할해 로봇이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철저한 분석을 거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Step by Step 20240801
사진=Pixabay

개선점 및 향후 과제

더 나아가 연구팀은 ECoT 추론 방식이 다양한 로봇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학습 과정에서 접하지 못한 로봇에도 추론 능력을 일반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ECoT는 로봇 학습 데이터 없이도 까다로운 일반화 작업에서 오픈 소스 VLA인 'OpenVLA'의 절대 성공률을 28%나 향상시키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참고로 절대 성공률은 로봇 조작 작업에서 다양한 시각-언어-행동(VLA) 모델의 성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성과 지표를 의미한다. 이 지표는 시도된 전체 작업 중에서 성공적으로 완료된 작업의 비율을 나타내며, 모델이 작업을 올바르게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단순하게 측정한다.

아직 개선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모든 추론 단계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로봇의 적응력과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개선하고 ECoT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지만, 대규모 과제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연구팀은 현재 제한적인 실행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제어 주파수 최적화를 통한 빠른 작동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ECoT의 기반이 되는 기반 모델은 로봇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이다. 기반 모델은 로봇의 다양한 작업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로봇 교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ECoT 기술은 아직 발전 단계에 있지만, 꾸준한 연구와 개발을 통해 로봇 제어 분야의 혁신을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반도체 생산량 증가에도 재고 14.6% 감소, AI 수요 폭증에 반도체도 덩달아 '호황 사이클'

반도체 생산량 증가에도 재고 14.6% 감소, AI 수요 폭증에 반도체도 덩달아 '호황 사이클'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반도체 생산지수 163.4,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 기록
생산 증가·가격 상승에도 재고는 14.6% 감소, 호황 사이클 기대감 확산
중국 수출 감소로 적자 쌓았지만, AI 호황에 반도체 기업 실적 개선 수순
chips semiconductor TE 20240801

반도체 업계의 적극적인 공정 가동으로 반도체 생산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도 재고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반도체 업계에 호황 사이클이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6월 반도체 생산량 증가, 출하도 증가 흐름

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사업활동동향에 따르면 6월 반도체 생산지수(계절조정)는 163.4(2020=100)로 집계됐다. 1980년 1월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치다. 생산이 증가한 가운데 출하도 증가 흐름을 보였다. 실제 6월 반도체 출하는 전월 대비 23.7% 증가했다. 내수 출하(지수:110.0)는 전월 대비 7.0% 감소했으나 수출(지수:199.6) 출하가 28.1% 늘었다. 전체 수출 출하 규모도 내수 출하의 약 6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생산 증가에도 출하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반도체 제품 재고는 전월 대비 14.6% 감소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35.5% 감소한 규모로, 반도체 산업의 호황 사이클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반도체 생산·출하는 이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반도체 기업들의 생산 장비 도입이 가속하고 있는 데다 정부도 설비 확대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상태여서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6월 산업활동동향의 설비투자 측면을 보면 반도체 설비 도입이 본격화하면서 기계류 설비 투자가 전월 대비 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에 필요한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구매 자금은 정책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가격 상승세에도 재고는 줄었다

이번 지표에서 눈에 띄는 건 최근 반도체 가격이 상승세를 이루고 있음에도 재고가 줄었단 점이다. 통상 반도체 가격이 오르면 충당금 환입이 이뤄진다. 충당금은 재고자산 가치가 하락할 때 회계상 반영하는 비용으로, 제품 가격이 떨어지면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이 불어나 손익계산서상 비용(매출원가)이 늘어 영업이익이 줄고 가격이 오르면 반대로 환입이 이뤄져 재고자산이 증가한다. 즉 반도체 가격이 오르면 판매가 늘어도 장부상 재고가 더 쌓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단 것이다.

실제 올해 1분기에도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삼성전자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DS 부문 1분기 재고자산은 지난해 말 31조원에서 1분기 32조원으로 늘었다. 반도체 판매 호조로 재고 자체가 줄어도 재고 감소량이 충당금 환입으로 인한 재고자산 증가량을 상회하지 못해 회계상 '착시'가 발생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분기 들어 재고가 줄어든 건 그만큼 재고가 대폭 줄었단 뜻이다.

samsung SKhynix AI TE 20240801

중국 의존도 높던 한국, AI로 '반전'

당초 그간 국내 반도체 업계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반도체 최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이 높아진 인건비,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생산시설 이전으로 내수용 비중을 급격히 늘린 탓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7월 한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액은 23억4,000만 달러(약 3조1,990억원)로 지난해 동기 대비 40.8% 감소했다.

이에 반도체 기업 실적도 큰 타격을 받았다. 지난해 1분기 4조5,8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삼성전자 DS 부문은 2분기에도 4조3,600억원의 적자를 냈고, SK하이닉스도 지난해 2분기 2조8,821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2022년 4조1,926억원의 흑자를 낸 바 있지만, 2022년 4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대규모 적자 기조를 이었다. 이렇다 보니 시장에선 반도체 시장의 큰손인 중국이 살아나는 것만이 한국 반도체 업계가 회복하는 길이란 인식이 확산했다.

그런데 최근 미국 등 국가에서 AI 수요가 폭증하면서 상황이 반전되기 시작했다. AI 산업 호황에 힘 입어 반도체 업계까지 덩달아 호조세를 보인 것이다. 실제 생성형 AI 시장이 날로 커지면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앞다퉈 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에선 HBM·DDR5·SSD 등 서버용 메모리 제품의 수요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파운드리 분야에서도 AI와 고성능 컴퓨팅(HPC) 부문을 중심으로 고객 수가 증가세를 보이는 등 AI 중심의 매출 성장이 가시화하는 모양새다. 올 2분기 삼성전자의 매출 증가를 견인한 것도 AI 칩셋에 이용되는 HBM 칩 및 데이터센터 서버 등 부문이었다.

향후 AI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2024년 하반기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와 기업들이 AI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AI 서버가 (메모리) 시장의 더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증권업계 관계자 역시 "AI 반도체는 가시성 높은 장기 실적 성장에 기반을 두고 있어 1990년대 이름에 '닷컴'만 들어가면 주가가 급등했던 닷컴 버블과는 차원이 다르다"며 "글로벌 산업 전체의 패러다임이 3년 이내에 AI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 AI 반도체 수요는 향후 3년간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에 의존하지 않고 호재를 이어 나갈 만한 역량과 배경이 국내 반도체 업계에 내재되기 시작했단 의미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