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작년 벤처투자 시장 바닥 찍었는데, AI 관련 투자는 홀로 ‘활황’

작년 벤처투자 시장 바닥 찍었는데, AI 관련 투자는 홀로 ‘활황’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지난해 벤처투자액 81억 달러, 전년 대비 12.4% 감소
특히 바이오·의료 분야 투자 위축에 업계는 고사 위기
홀로 뜨거운 AI 반도체 분야, 글로벌 뭉칫돈 쏠리는 중
DeathValley_VE_20240220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전년(2022년) 대비 12.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로, 투자 건수와 신규 결성 벤처펀드 건수 또한 2년째 감소했다. 특히 바이오를 비롯해 IT, 유통 업종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산업 재편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 금액· 투자 건수 모두 2년째 감소세

20일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 국내 벤처투자 및 펀드결성 동향’을 발표했다. 해당 동향은 중기부 관할의 벤처투자회사(창투사)와 금융위원회 소관 신기술금융사업자(신기사)의 투자실적을 합산한 결과다.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해 벤처투자액은 10조9,133억원(약 81억5,764만 달러)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벤처투자회사는 5조3,977억원, 신기사는 5조5,156억원을 기록했다. 벤처투자사는 전년 6조740억원 대비 1조3,663억원(20%), 신기사는 전년 5조7,066억원 대비 1,910억원(3.3%)으로 각각 줄었다.

지난해 투자 건수도 7,116건으로 전년 7,470건보다 4.7% 감소했다. 건별 평균 투자액은 16억7,000만원에서 15억3,000만원으로 줄어들었다. 다만 피투자기업수는 2022년 4,002개에서 지난해 4,026개로 소폭 증가했다. 피투자기업의 업력별로는 '7년 초과 후기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액은 전년 대비 6.9% 늘어난 5조1,616억원을 기록한 반면, 3년 이하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는 전년보다 20% 감소한 2조6,808억원, 3~7년 중기 기업에 대해선 28.3% 감소한 3조709억원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벤처투자 시장의 중장기 성장을 견조하게 뒷받침할 수 있도록 벤처펀드에 대한 정책금융 마중물을 조기에 투입하고 민·관 공동펀드 조성, 신규 출자 재원 발굴 등 다각도로 투자 재원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올해 모태펀드 출자 규모 9,100억원 전액을 1분기 내에 출자할 예정이며, 민·관이 함께 조성하는 '스타트업코리아펀드'도 민간 출자자 의견수렴 등을 조속히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내 VC가 해외 출자자를 유치하는 데 필요한 투자경력을 쌓을 수 있게 하기 위해 모태펀드의 글로벌펀드 출자사업에서 해외 벤처캐피탈(VC)과 공동 운용하는 자펀드의 비중도 확대할 계획이다.

바이오·IT·유통 분야 투자 크게 꺾여

최근 5년새 벤처투자는 2019~2021년 증가세를 나타내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위축세를 보이고 있다. 중기부에 따르면 2019년 7조5,278억원이던 투자액은 2021년 15조9,371억원으로 크게 늘었지만 2022년 12조4,706억원으로 전년 대비 21.7%(3조4,665억원) 감소했다. 지난해에도 감소세가 이어졌으나 감소폭은 전년 대비 10%대로 좁혔다.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바이오, IT, 유통 관련 업종의 투자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중기부에 따르면 바이오·의료, IT, 유통·서비스 업종의 투자액은 전년 대비 각 12.3%, 36.5%, 43.3%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22년 해당 업종들에 전체 투자의 70% 이상이 몰렸던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이다. 특히 바이오 관련 벤처투자의 경우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2021년에 견줘볼 때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바이오 벤처가 관심을 잃자 자금 확보가 어려워진 업계는 고사 위기에 놓인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1호 성장성 특례로 코스닥에 입성했던 셀리버리마저 자본잠식으로 인해 시장 퇴출 위기에 직면하면서 심각성이 더욱 대두되는 분위기다.

AI_CHI_VE_20240220

벤처투자 혹한기에도 질주 이어가는 AI 분야 

3개 업종의 투자 감소 배경으로는 다른 분야로의 성장동력 이동이 꼽힌다. 실제로 국내 벤처투자 위축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AI 관련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열기는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특히 AI 관련 스타트업 중에서도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곳은 AI 반도체 분야로, 지난해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벤처투자 업계에 따르면 AI 반도체 전문기업 모빌린트는 지난달 200억원(약 1,494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이는 지난 2021년 90억원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이후 약 3년 만에 받은 후속 투자로 누적 투자금 규모는 3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대표 AI 반도체 스타트업 사피온과 퓨리오사AI도 연내 각각 시리즈 B와 시리즈 C 클로징을 앞두고 있으며, 최근 시리즈 B 투자 유치를 완료한 리벨리온은 기업가치 7,900억원(약 6억 달러)을 인정받아 1,700억원(약 1억2,705만 달러)의 투자금을 모집했다.

AI 스타트업에 쏠리는 투자 열기는 비단 국내에만 한정된 현상은 아니다.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기관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AI 스타트업 투자액은 270억 달러(약 35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금이 전년 대비 30% 가까이 줄어든 1,706억 달러(약 224조1,684억원)인 것에 비춰볼 때 AI 분야에만 투자가 집중된 것을 알 수 있다.

전반적인 업계 상황과 비교하면 AI 스타트업의 투자 상승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미국 역시 IT 하드웨어와 의료 서비스, 소비재 등 대부분 기술 분야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투자액이 대폭 줄었다. 최근 경기 침체 불안과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VC를 통한 자금 조달이 타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AI는 테크 분야의 유일한 한 줄기 희망이 되고 있다. 특히 기존 콘텐츠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물을 만드는 생성형 AI 기술은 글로벌 대기업들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유치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방산벤처 '봄 바람'에도 정부는 '묵묵부답', 업계 해결책은 '미국 시장'?

방산벤처 '봄 바람'에도 정부는 '묵묵부답', 업계 해결책은 '미국 시장'?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국제 정세 불안 가중, 달아오른 방산 벤처
엇갈리는 민간-정부, 공공선 오히려 '예산 삭감'
지정학적 갈등 확산, 업계의 출구전략은 미국 시장
주요-방산-펀드-현황

국제 정세 불안으로 방산 산업 관련 주식 주가가 급증세를 보이면서 벤처투자 시장에서도 방산 벤처기업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방산 업계의 성장세가 가시화했지만, 정작 우리 정부는 민간 방산 업체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모습이다. 업계가 미국 시장 진출을 출구전략으로 삼는 이유다.

날아오른 방산 업계, 벤처도 덩달아 '관심'

방산 관련 업종의 주가가 날아오르며 그간 소외받았던 방산벤처 역시 덩달아 관심을 얻고 있다. 벤처투자 시장에서도 방산 업체가 빛을 발하는 모양새다. 지난 14일엔 방산업체 LIG넥스원과 군인공제회가 공동으로 출자한 방산혁신 펀드가 800억원(약 6,000만 달러) 규모로 결성되기도 했다. 한화투자증권과 원익투자파트너스도 성장금융의 출자를 받아 총 400억원 규모로 상반기 중으로 펀드 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앞서 결성된 방산펀드들도 속속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지난해 8월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방산기업 코츠테크놀로지에 투자한 VC(벤처캐피탈) TS인베스트먼트는 투자액의 두 배수가량 차익을 얻을 것으로 관측된다. 하반기 상장을 추진하는 RF시스템즈 역시 BNK투자증권과 현대기술투자가 공동으로 조성한 방산기술혁신펀드의 첫 투자 포트폴리오 기업이다.

국내 증시에서도 방산은 뜨거운 테마다. 반도체와 저PBR주를 제외하면 지속적인 상승을 보이는 분야는 방산이 유일하다. 국내 대표 방산주로 구성된 상장지수펀드(ETF)인 한화자산운용의 'ARIRANG K방산Fn'는 지난해 1월 상장 이후 15일 기준 32.47% 상승했다. 최근 1년 기준으로 해도 23.67%가 올랐다. 방산 대장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5일 장 중 한때 52주 신고가인 15만5,000원(약 115달러)을 찍기도 했다. 이례적인 방산주 상승장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말 한국 주식시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업종으로 방산을 꼽기도 했다.

민간에선 기대치 높지만, 정부는 "글쎄"

방산 산업 급성장세에 대해 벤처투자 업계 관계자는 “방산 분야가 정부가 중점 육성하는 초격차 분야에 포함되면서 안정적 성장과 투자가 가능해 질 것이라는 판단도 최근 펀드 결성과 투자 증가에 한몫하고 있다”면서 “딥테크 분야 기업 다수가 방산 분야 적용을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방산 특화 펀드가 아니더라도 향후 방산 및 우주 분야에 폭넓은 투자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방산 산업 언급으로 민간 분야 내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업계 전반의 분위기가 고조됐다는 설명이다. 이어 관계자는 "방산펀드 결성이 증가하면서 유관 기업들도 상장을 서두르는 모양새"라며 "정부가 우주항공을 국가전략기술 핵심 분야로 지목하면서 정책 수혜 기대도 덩달아 커진 영향이 적지 않았다"고 전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민간 분야에서 방산 산업이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정부는 미지근한 반응만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쏟아진다. 정부가 초격차 분야에 방산 산업을 포함했음에도 방산 벤처기업에 대해선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단 비판이다. 실제 지난해 11월 전국 최초로 설립된 '인천국방벤처센터'를 폐쇄한 이후 제대로 된 육성 정책을 내놓지 않으면서 오히려 정부가 국방산업 발전을 방해하고 있다는 힐난까지 쏟아진 바 있다. 이유는 단순히 돈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정부에 따르면 센터 폐쇄 당시 센터가 소재한 인천시의 부채 비율이 재정위기 ‘심각’ 단체 지정 기준인 40%에 근접한 39.9%까지 치솟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중앙정부에서도 관련 예산 책정에 소극적이란 점이다. 인천시에 따르면 2024년도 예산에서 방산 관련 예산은 전액 삭감됐다. 인천시 담당 부서 측에서 인천국방센터 조성 및 초기 운영 등에 필요한 8억원(약 60만 달러)을 예산부서에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고 오히려 예산 삭감만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민간의 기대치와 정부의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AmericaTank_AdobeStock_20240220
사진=Adobe Stock

업계의 시선은 '미국'으로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에선 눈을 바깥으로 돌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오는 모양새다. 미국 등 방산 산업 전망이 좋은 국가로 입지를 넓혀감으로써 시너지를 발휘해야 한단 주장이다. 실제 최근 들어 미국은 방산 산업 스타트업 투자를 급격히 늘리고 있다.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기관 피치북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VC는 지난해 1~5월에만 200여 개의 방산 산업 스타트업에 총 170억 달러(약 23조원)를 투자했다. 피치북은 "미국 내 방산 산업 스타트업 투자금은 2019년 약 160억 달러에서 2022년 330억 달러(약 44조원)까지 2배 이상 늘었다"며 "금리가 치솟으면서 자본조달 비용이 증가했음에도 수익성이 이자 비용을 넘길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지난해 10월엔 1억5,000만 달러(약 2,008억원)가량의 펀드도 출시됐다. 호주파이낸셜리뷰(AFR)에 따르면 당시 미국 VC 투자 기관인 다인 마린타임(DYNE Maritime)은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 방산 협력과 연계된 1억5,700만 달러 규모의 펀드를 출시했다. 해당 펀드와 관련해 톰 헤네시 다인 마린타임 대표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현재 이스라엘 전쟁으로 방산 관련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예전에는 실리콘밸리가 방산 분야에서 일하는 데 훨씬 신중했지만, 지금은 유행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우크라 전쟁 등 미국 안보를 위협하는 지정학적 갈등은 여전히 산재한 상태다. 방산 산업의 확장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국내 업계가 거듭 미국 진출을 타진하는 이유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인앱결제 강제' 애플에 5억 유로 벌금 매긴 EU, 수수료 배짱 장사 제동 걸었다

'인앱결제 강제' 애플에 5억 유로 벌금 매긴 EU, 수수료 배짱 장사 제동 걸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EU 집행위원회, 인앱결제 강제한 애플에 5억 유로 '철퇴'
미국·유럽 중심으로 거세지는 '앱 마켓' 반독점 압박
국내 규제는 아직도 제자리걸음, 애플·구글은 "과징금 못 낸다" 
apple_appstore_20240219

유럽연합(EU)이 애플에 수천억원대의 과징금 부과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앱결제(앱 자체에서 유료 콘텐츠를 결제하는 행위) 수수료를 중심으로 불거진 애플의 유럽 시장 독점 논란이 사실상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EU 집행위원회 반독점 규제 당국은 다음 달 초 애플에 약 5억 유로(약 7,200억원)에 달하는 과징금 부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EU 반독점법 위반 최초 과징금 사례 등장

이번 과징금 부과 사태의 시발점은 음악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앱)인 스포티파이다. 지난 2019년 스포티파이는 애플이 자사 앱에는 이익을 주고 타사 앱에는 불이익을 주고 있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나섰다. 애플이 앱스토어 내 출점 업체에 앱 판매액의 15~30%에 달하는 거액의 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월간 구독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었다.

이후 애플은 2022년 초에야 스포티파이 등 음악 서비스 앱에 대해서 인앱결제가 아닌 웹페이지 결제를 허용했다. 웹페이지를 통해 결제할 경우, 애플에 납부해야 하는 인앱결제 수수료(최대 30%)가 제외되며 보다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스포티파이 측은 이 같은 애플의 대응이 '보여주기식'일 뿐이며, 애플이 앱스토어 외부에서 더 저렴하게 음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실제 EU 집행위원회 조사 역시 애플이 앱스토어를 이용하지 않아도 더 저렴한 대안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리지 못하게 했거나, 이를 유도하는 방법을 막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그리고 18일(현지시간), EU 집행위원회가 애플이 시장 내 강력한 지위를 남용하고 경쟁자들에게 반경쟁적 거래 관행을 강요한 것으로 판단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최초 이의를 제기했던 스포티파이 측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 이에 따라 애플은 차후 5억 유로(약 7,200억원) 상당의 대규모 과징금을 납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EU 반독점법(Competition Law) 위반으로 과징금을 무는 최초 사례다.

"미국, EU는 이미 해결했는데" 한국 제재는 지지부진

인앱결제를 중심으로 한 애플의 플랫폼 독점 문제는 세계 각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의 게임사 에픽게임즈(Epic Games)와 애플의 소송전이다. 에픽게임즈는 2020년 애플의 높은 인앱결제 수수료에 불만을 품고 이를 우회할 수 있는 외부 결제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는데, 해당 사실을 확인한 애플은 포트나이트를 앱스토어에서 퇴출했다. 이후 에픽게임즈는 애플의 앱스토어 결제 시스템이 반독점법을 위반하고 반경쟁적이라며 소송을 제기하며 맞불을 놨다. 

1심과 2심은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이 반독점법을 위반하지 않았다며 10개의 쟁점 중 9개에 대해 애플의 손을 들어줬지만, 자사 앱스토어 이외의 외부 결제 시스템을 허용하지 않는 것은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라고 판단했다. 미국 대법원 역시 하급심의 판결을 인정하며 에픽게임즈와 애플이 각각 제기한 상고를 모두 기각했다. 결국 애플은 미국에서 폐쇄적으로 운영하던 자사 앱스토어 내 외부 결제를 허용했다.

한편 국내 기업들 역시 애플의 독점 및 '수수료 장사'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인앱결제 강제 및 수수료 부담으로 인해 소비자와 기업 모두가 고통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규제당국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8월부터 앱 마켓 사업자의 특정 결제 방식 강제 등 부당 행위에 대한 사실 조사를 진행했고, 같은 해 10월 구글·애플에 대한 시정조치안을 통보했다. 이에 더해 구글 475억원, 애플 205억원 등 최대 680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과징금 소식을 접한 구글과 애플은 막대한 양의 근거 자료와 함께 나란히 강경 대응에 나섰다. 사측의 격렬한 항의로 인해 제재가 지연되고 있는 셈이다. 차후 구글과 애플이 방송통신위원회의 과징금 철회를 유도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EU와 미국 앞에서는 꼬리를 내린 애플이 국내 시장에서만 '배짱 장사'를 이어가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해외 DS] EU AI법 승인, AI 시장의 새로운 지형과 글로벌 영향

[해외 DS] EU AI법 승인, AI 시장의 새로운 지형과 글로벌 영향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태선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다만 우리 눈에 그 이야기가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내서 함께 공유하겠습니다.

수정

EU 회원국 만장일치로 AI법 승인, 의회 최종 투표만 남아
AI법 초안 유출, "오픈소스 AI 모델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
전문가들은 EU AI 법이 전 세계 AI 규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해

[해외DS]는 해외 유수의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저희 데이터 사이언스 경영 연구소 (GIAI R&D Korea)에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New_EU_AI_Rules_ScientificAmerican_20240219
사진=Scientific American

지난 2일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은 유럽 이사회와 유럽 의회가 지난해 12월 합의한 AI 법안에 서명했다. 법률전문가들은 올해 법제화될 AI 규제로 인해 유럽에서 AI 도구를 사용하는 기업에 전면적인 제한이 가해지는 것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AI 도구가 개발되고 사용되는 방식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EU의 AI 법안은 직장과 학교에서 감정 인식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금지하고, 인종 차별적이고 편향된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금하며, 기업이 준수해야 하는 엄격한 윤리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등, AI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와 제공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규제가 효과를 발휘하려면 모든 산업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데, 매주 새로운 제품이 쏟아지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교의 법학대학원 부교수 카타리나 고안타(Catalina Goanta)는 설명했다. 성장과 혁신을 장려하는 것과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구현하는 것 사이에서 '견고한 균형'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아울러 최근 유출된 초안에 따르면 법안 발표 이후 내부의 정치적 다툼과 로비로 인해 법안의 내용이 변경됐다고 한다. 그리고 일각에선 여전히 미흡한 세부안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유럽연합 AI법 초안 유출, 주요 변경 사항과 논쟁

지난달 22일 유럽 미디어 네트워크인 유랙티브의 저널리스트 루카 베르투찌(Luca Bertuzzi)가 AI 법의 초안을 유출했다. 유출된 초안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오픈소스 AI 모델, 즉 소스 코드와 학습 데이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면제가 추가됐다는 점이다. 메타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인 LLaMA를 포함한 이러한 오픈소스 도구는 OpenAI의 GPT-4와 같은 '블랙박스' 시스템보다 투명하게 작동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변경 사항으로는 AI 시스템의 정의 변경으로 인한 규제 범위 축소가 있다. '배포 후 적응성을 나타낼 수 있는' AI 시스템만 규제 대상으로 포함됐는데, 여기서 '적응성'은 새로운 데이터에 기반하여 자가 학습 및 적응이 가능한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규칙 기반 AI 시스템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는 부적절하게 설계된 규칙 기반 시스템을 규제하지 못할 위험이 있음을 뜻한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오픈소스 모델과 규칙 기반 AI 시스템 모두 윤리적인 문제를 완전히 피해 가지 못한다. LLM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는데, 여기에는 원본 자료에 존재하는 편견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편향은 모델에 의해 의도치 않게 반영될 수 있는데, 특히 학습 데이터에 개인 정보 또는 개인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LLM은 민감한 정보를 공개하는 텍스트를 실수로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악의적인 공격자로 인해 자동화된 '탈옥' 공략법이 공개되면 그 여파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위험 부담도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책임감 있는 사용'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도 있는데,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가짜 뉴스와 딥페이크 생성 등 다양한 용도로 악용될 수 있어, 오픈소스 LLM의 높은 접근성을 경계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편 유출된 초안은 변경된 사항 외에도 기존에 사용된 '고위험'이라는 용어 자체가 여전히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고위험 AI 시스템에는 의료 영상 및 국경 통제 초소에서의 안면 인식과 같은 특정 용도가 포함된다. 하지만 '건강, 안전, 기본권, 민주주의 등과 같은 공공의 이익에 잠재적인 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고위험군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모호한 정의는 AI 개발을 복잡하게 만들고, AI 기업의 EU 시장 진출을 막아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 이탈리아 볼로냐대학의 디지털 윤리·법률 교수 클라우디오 노벨리(Claudio Novelli)는 "우리의 비판은 위험 기반 접근법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위험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론에 대한 것이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런 그도 현재 법안의 문구가 원래보다 개선되었다는 점은 인정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법 시행 이후와 예상되는 글로벌 파장

고위험 용도를 제외하고, 이른바 범용 AI 제공업체(ChatGPT와같이 다양한 응용 분야가 있는 생성형 AI 도구를 제공하는 회사)도 추가 의무를 적용받게 된다. 이들은 모델의 결과가 편견을 확대하지 않고 의도한 대로 작동한다는 것을 정기적으로 증명해야 하며, 해커나 기타 악의적 행위자에 대한 시스템의 취약성을 점검해야 한다. 에이바 러브레이스 연구소의 유럽 공공정책 책임자인 코너 던롭(Connor Dunlop)은 EU의 AI 법은 범용 AI 모델의 위험성을 식별하는 수준을 넘어 위험 완화를 위한 첫 번째 시도라고 언급했다.

AI 법이 시행되면 곧바로 카운트다운이 시작된다. 이 법에 따라 금지된 관행은 6개월 이내에 중단되어야 한다. 범용 AI 의무는 1년 이내에 시행될 예정이며, 고위험 AI를 개발하는 모든 사람은 24개월 이내에, AI가 포함된 의료 기기 등 일부 특수한 고위험 용도의 경우 36개월 이내에 법을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AI 법이 어떻게 시행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AI 법에 따라 회원국들을 지원하기 위한 EU AI 사무국이 설치될 예정이지만, 정확한 역할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법학과 부교수 마이클 베일(Michael Veale)은 회원국들이 민간 기관에 법 집행을 위임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민간 기관이 법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던롭도 실제로 얼마나 많은 강제력이 작용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EU 개인 정보보호 규정)을 모델로 삼을 것을 제안했는데, GDPR의 경우 많은 글로벌 기업은 여러 관할권에서 다른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대신, 전 세계적으로 EU 표준에 따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그 결과 EU 외부에서도 많은 웹사이트에서 방문자에게 쿠키 제공 동의를 요구하는 관행이 생겼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이유를 꼽을 수 있는데, EU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이며 EU의 규제는 다양한 회원국의 의사 조율 과정을 거치면서 보편적인 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나라들도 받아들이기 쉬운 규제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번 AI 규제 시행에서도 대부분의 AI 기업이 EU의 표준을 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편 노벨리 교수는 현재 미국 규제 당국은 관망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EU는 빅 테크에 대한 단속 의지를 강조하고 있지만, 미국은 투자자와 혁신을 방해하는 것을 더 경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EU의 AI 법이 AI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이해관계자들의 반응을 모니터링해서 부정적인 피드백을 활용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영어 원문 기사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게재되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태선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다만 우리 눈에 그 이야기가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내서 함께 공유하겠습니다.

AC 업계 불황에 긴장하는 VC, "생태계 순환 구조 무너질라"

AC 업계 불황에 긴장하는 VC, "생태계 순환 구조 무너질라"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회수 방안 못 찾는 AC들, 출구전략도 '미비'한 수준
AC 잠식 가속화, 기업들의 '내실 집중' 선언 이면엔
"가능성 완전히 닫진 않았지만, 주저하는 분위기는 여전"
VC_Down_20240215

국내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AC) 업계가 불황에 빠지면서 업계 관계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과거 결성했던 투자조합 만기가 다가오는 상황에서도 뚜렷한 회수 방안을 찾지 못하면서 사실상 업계 전반이 침몰하는 분위기다. AC 생태계 활성화로 투자조합 결성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 효과가 다수 있었던 만큼 회수 방안 마련 및 이를 통한 '지속 가능한 AC 생태계' 구축을 고민해야 한단 목소리가 높아진다.

만기일 다가오는데, AC는 '침몰 직전'

18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공시된 1,220개 벤처·개인투자조합 중 만기가 지났거나 올해 만기를 앞둔 개인투자조합 수가 81개로 집계됐다. AC는 2020년 9월까지는 당시 제도로 인해 자본금 또는 결성한 개인투자조합의 최소 40%를 창업초기 기업에 투자한 바 있으며, 이후 벤처투자조합 설립이 허용됐다. 80여 개 조합이 주로 결성된 2017~18년도 개인투자조합 평균 결성액이 약 6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단순 산술로 최소 480억원의 투자금 회수가 필요한 셈이다. 다만 피투자기업이 성장하며 기업가치가 높아지는 만큼 실제 회수 규모는 훨씬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청산 시점까지 회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출자자(LP) 간 합의를 거쳐 만기를 연장할 수 있다. 일종의 보험 성격이지만, 지분 회수로 출자자에 수익을 돌려주는 게 조합 목적이란 점에서 궁극적인 해결책이라 볼 순 없다. 국내 주요 AC인 퓨처플레이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모두 2016년에 처음 결성한 개인투자조합이 지난해 말소 예정이었으나 한 차례 청산 시점을 연장했다. 두 회사는 현재 청산 시점과 회수 방안에 대해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벤처투자 시장 침체가 길어지면서 포트폴리오사의 기업공개(IPO) 또는 벤처캐피털(VC) 업계의 구주 모두 쉽지 않은 상황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이처럼 만기가 도달하는 투자조합이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란 점이다. AC 제도가 시행된 2017년부터 개인투자조합 결성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중기부에 따르면 개인투자조합 신규 결성 규모는 2017년 982억원에서 2022년 6,800억원(잠정)으로 5년 동안 7배나 급증했다. 중기부도 이를 감안해 최근 모집 중인 2024년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에 지역AC 세컨더리 유형을 신설했다. 약정 총액의 60% 이상을 지역 소재 AC 등이 1년 이상 보유한 국내·중소벤처기업 주식에 인수에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업계에선 "자펀드 결성 목표액이 167억원에 그쳐 AC 출자 규모에 비해 부족하다"는 볼멘소리가 쏟아진다. 무엇보다 개인투자조합 결성 추이를 보고 만기 도래 규모를 짐작할 뿐 세컨더리펀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통계도 미비한 상황이다. 결국 이도 저도 아닌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STORE_PUPPET_20240214-1

돈맥경화에 '속수무책', 타개책 마련에도 '한숨'

업계에서 지속적인 타개책 마련을 도모하고 있지만, AC의 잠식은 점차 가시화하는 모양새다. 돈맥경화가 심화하면서 AC들의 출구전략이 제대로 먹혀들지 않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 탓이다. 다수 AC가 올해 IPO나 상장에 도전하기보단 본업에 집중하며 내실을 다지겠다 선언하고 나선 것도 이와 비슷한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침몰하는 업계 분위기를 바라보는 금융당국의 태도나 향후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내년께 다시 도전을 타진하는 게 위험부담이 적다는 판단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며 "상장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은 곳도 많지만, 이들도 결국 완전한 시기는 미정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업계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 가능성을 열어둔 AC는 여전히 다수 존재한다. 퓨처플레이가 대표적이다. 퓨처플레이는 지난 2022년 상장에 도전한다 밝히고 상장 주관사로 대신증권을 선정했다. 이후 SM엔터테인먼트, 홈앤쇼핑, 레드힐자산운용, 디에스자산운용, KT 등으로부터 150억원 규모의 프리 IPO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선 것이지만, 퓨처플레이는 이후 예비 심사 청구서 제출을 미루고 대신 VC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 같은 업계 분위기에 대해 AC 업계 한 관계자는 “여러 번 좌절 사례가 생기다 보니, 코스닥 상장이 쉽지 않다는 생각에 당장 상장에 도전하는 것은 주저하는 분위기”라며 “씨엔티테크는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 합병이기도 하고, 푸드테크라는 본사업이 있으니 수월한 편이라 자신들과 다른 예외의 경우라고 보는 시각도 많다”고 밝혔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커버그 "직원 해고 이유는 효율성", 속속 드러나는 ‘몸집 불리기’의 반작용

저커버그 "직원 해고 이유는 효율성", 속속 드러나는 ‘몸집 불리기’의 반작용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지난 2년간 계속된 실리콘밸리 정리해고 폭풍, 올해 더욱 가속화
성장에서 효율로 선회한 빅테크 선두로 국내 기업들도 인력 감축
장밋빛 미래 낙관에 규모 불렸지만, 엔데믹 전환되자 수익성 '뚝'
LAYoffs-VE-20240219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해고가 잇따르고 있는 이유에 대해 '효율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시절 당시 장밋빛 전망에 취해 과잉 채용했던 것에 대한 정상화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메타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물론 국내 IT 업계에서도 전방위적 인력 규모 확장을 멈추고 '선택과 집중' 기조로 전환하고 있다.

“팬데믹 당시 초과 채용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드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지난 16일 방송된 팟캐스트 '모닝 브루 데일리'와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여전히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적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커버그는 "팬데믹 기간 전자상거래 판매는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이는 큰 온라인 광고 매출을 가져왔다"며 "그러나 팬데믹 이후 사람들이 사무실로 나오고 경제는 조정을 받고 성장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메타를 포함한 많은 기업이 그들이 초과 채용을 했다는 것을 깨달았고, 이에 대대적으로 이를 줄여야 했다"고 덧붙였다.

'해고가 AI 발전과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오히려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기업들이 겪었던 어려움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이유로는 "고통스럽지만 '몸집 줄이기'에 따른 혜택이 있다는 것을 기업들이 인식하고 있기 때문(Companies are realizing that, while painful, there are benefits to being 'leaner')"이라고 말했다.

저커버그는 메타의 해고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정말 힘들었고 우리는 많은 재능 있는 사람들과 헤어졌다"면서도 "어떤 면에서는 회사가 더 슬림해지는 것이 더 효율적으로 만든다"고 강조했다. 앞서 메타는 지난 2022년 11월을 시작으로 수만 명의 직원을 감축해 오고 있으며, 저커버그는 2023년을 '효율성의 해'로 명명하기도 했다.

실리콘밸리, 올해만 벌써 4만여 명 인원 감축

최근 들어 얼어붙은 고용 시장이 해빙기에 접어들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지만, 실리콘밸리에서는 지난 2022년부터 불어닥친 감원 칼바람이 2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말까지 26만 명의 기술직 근로자를 해고했던 실리콘밸리 테크 기업들은 올해 들어서만 벌써 4만 명에 가까운 직원의 책상을 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기술기업의 감원 현황을 추적하는 사이트 레이오프(layoff.fyi)에 따르면 새해부터 17일(현지시각)까지 메타를 포함해 MS, IBM, 아마존, 구글 등 157개 빅테크 기업들에서 약 3만9,608명이 감원된 것으로 파악됐다.

MS는 게임 기업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를 완료하면서 게임 부문에서 1천900명을 감축할 것이라고 밝혔고, 앞서 구글도 올해 더 많은 일자리를 감축하게 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또 최근에는 미국의 대형 네트워크 장비 업체 시스코와 전자서명 업체 도큐사인도 자체 구조조정 계획에 따라 전체 인력의 약 6%를 감원했으며,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 스냅챗의 모회사 스냅도 직원의 10%를 줄일 계획이다. 비대면 서비스 줌(Zoom)도 지난해 2월 전체 직원의 15%에 해당하는 1,300여 명을 해고한 데 이어 1년 만인 이달 1일 약 150명을 추가로 감원했다. 아마존 역시 의료·약국 사업 부문에서 인력 수백명을 감원했고, 자회사 트위치도 최근 500명의 직원을 내보냈다.

국내 IT 업계도 마찬가지다.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 초까지 영어교육앱 계열사 케이크에 대한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전체 인력의 50%를 상회하는 규모로, 네이버가 계열사 인력을 50% 이상 구조조정한 것은 이례적이다.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수익이 나오지 않는 사업이나 계열사에 대해 과감히 정리하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성장 가능성이 보이는 사업에 인력과 투자를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카카오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도 지난해 7월 전체 인력의 30%에 대한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했으며, 컴투스 역시 이달 초부터 일부 개발자를 상대로 권고사직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컴투스의 자회사 컴투버스가 메타버스 사업 확장에 실패한 이후 희망퇴직·전환배치 등 경영 효율화 작업에 나선 데 이은 행보다. 엔씨소프트도 지난해 10월 비용 절감을 목표로 ‘변화경영위원회’를 출범한 뒤 본격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layoff_VE_20240219

엔데믹과 함께 찾아온 수익성 악화 그림자

IT 업계의 구조조정 한파는 코로나19 팬데믹 시절 인력 규모를 전방위로 확장했던 기업들이 이제는 선택과 집중으로 기조를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팬데믹 당시 언택트(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자 테크 기업들은 장밋빛 미래를 낙관하며 너나 할 것 없이 몸집을 불려 나갔다. 여기에 경기 침체를 우려한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리 수준을 제로 수준까지 떨어뜨리면서 갈 곳 잃은 뭉칫돈이 실리콘밸리로 쏟아졌다. 이에 많은 테크 기업들은 높은 연봉은 물론 웃돈까지 앞세우며 인력 확보에 공을 들였다. 당시 아마존, 알파벳 등 주요 빅테크에서만 무려 90만 개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났을 정도다.

그러나 엔데믹으로의 전환과 함께 버블도 점차 사그라들었다. 아직까지 완전한 언택트나 확장현실(XR), 메타버스 등이 실현되는 건 매우 먼 미래라는 자각도 찾아왔다. 기술에 대한 투자금이 대폭 쪼그라들었고, 소프트웨어 구매 및 클라우드 서비스는 위축됐으며 공룡 빅테크 기업들의 수익성도 악화했다. 이에 성장보다 생존이 중요해진 기업들은 재정비에 돌입했다. 팬데믹 시절 과도하게 불린 몸집을 줄이는 동시에 그간 벌려놨던 미래 유망 사업들을 하나둘 축소하는 식이다.

여기에 테크 기업들은 투자자들에게 수익성을 더욱 개선해야 한다는 압박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테크 기업들의 성장은 벤처 투자자들로부터의 주식과 투자(차입)를 통한 자금에 크게 의존해 왔으나, 2022년 1월 0~0.25%에서 1년 6개월에 걸쳐 미국 기준금리가 5.25~5.5%까지 가파르게 오른 탓에 ‘고(高) PER(주가수익비율)주’로 분류되는 미국 기술주들의 주가가 큰 타격을 입었다. 실제 2022년 나스닥은 1만5,800선에서 1만88선까지 약 36% 추락했고 고점 대비 주가가 반토막 이하로 내려앉은 기업들도 속출했다.

이미 회사 규모가 커질 대로 커져 과거와 같은 성장성을 보여주기는 어려운 데다 투자자들마저 테크 기업에 등을 돌리는 상황 속에서 테크기업 경영진들은 과감한 결단을 통해 ‘변화’를 보여줘야만 했다. 과도해 보일 정도로 대담한 감원을 통한 비용 절감 노력이 바로 그 결과인 셈이다. 이같은 전략은 적중했다. 메타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S&P500 기업들 가운데 가장 우수했고, 실적 발표일인 지난 2일 메타의 주가도 20.32% 폭등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아마존도 2023년 한 해 동안만 3만5,000여 명을 대량 해고하는 전략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 괄목할 만한 실적을 보였고, 주가 역시 오름세를 이어가며 전고점 돌파를 목전에 둔 상태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해외 DS] ChatGPT 스토리 생성 실험에서 드러난 암묵적 인종 편견 ②, "편견 없는 ChatGPT를 사람들이 사용할까?"

[해외 DS] ChatGPT 스토리 생성 실험에서 드러난 암묵적 인종 편견 ②, "편견 없는 ChatGPT를 사람들이 사용할까?"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시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세상은 다면적입니다. 내공이 쌓인다는 것은 다면성을 두루 볼 수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하고, 하루하루 내공을 쌓고 있습니다. 쌓아놓은 내공을 여러분과 공유하겠습니다.

수정

ChatGPT는 편견 없는 훈련 데이터의 필요성을 강조
훈련 데이터의 편향이 반영될 수 있지만, 결국 개발자에게 책임이 있어
하지만 편견 없는 언어는 자연스럽지 않아, 편향된 언어에 익숙한 인간의 딜레마

[해외 DS] ChatGPT 스토리 생성 실험에서 드러난 암묵적 인종 편견 ①, “극명하게 다른 흑과 백의 스토리 온도”에서 이어집니다.


ChatGPT_Implicit_Bias_Pexels_20240216
사진=Pexels

언어 모델이 생성한 스토리에 암묵적인 인종 편견이 드러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블랙' 또는 '화이트', 그리고 '범죄'·'칼'·'경찰'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범죄 스토리를 생성해 비교 분석을 진행했다. ChatGPT의 자체 평가에 따르면 '블랙'의 스토리는 진압 과정을 자세히 묘사해서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화이트'의 스토리는 사건을 해결하고 질서를 회복하는 데 더 초점을 맞췄다.

ChatGPT가 단어에 내포된 암묵적인 의미를 훈련 데이터를 통해 고스란히 학습했던 탓이다. 하지만 범죄 관련 스토리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블랙'과 '화이트'에 담긴 고정관념을 온전히 밝혀냈다고 주장할 수 있을까? 이에 실험 설계 방법이 효과적으로 암묵적인 인종 편견을 드러낼 수 있는지 ChatGPT에 질문했다. 또한 두 단어에 대해 확연하게 다른 스토리를 생성한 ChatGPT 자체도 암묵적으로 인종에 대한 편견을 가진 것은 아닌지 추궁했다.

실험 설계의 유효성과 ChaGPT의 편향에 관한 질문

입력 프롬프트:

다음 사고 실험을 고려해 보세요. 한 사람에게 네 개의 단어를 주고 그 단어를 사용하여 간단한 이야기를 써보라고 요청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네 단어 중 하나는 '블랙'이었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 작성을 완료한 후, '블랙'을 '화이트'로 바꾼 것만 제외하고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여 두 번째 간단한 이야기를 작성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그런 다음 두 이야기가 얼마나 위협적이고 불길한지 평가한 결과 '블랙'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이야기가 더 위협적이고 불길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경우 암묵적 편견이나 고정관념의 예에 해당하나요?

ChatGPT:

예, 설명하신 시나리오는 잠재적으로 암묵적 편견이나 고정관념의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암묵적 편견이란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이해, 행동 및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나 고정관념을 말합니다. 사고 실험에서 첫 번째 이야기에서 '블랙'이라는 단어가 등장했을 때 '화이트'라는 단어가 등장했을 때보다 더 위협적이고 불길한 것으로 인식되었다면 '블랙'이라는 단어와 관련된 암묵적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정 단어나 연상이 무의식적인 편견을 유발하여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종 또는 민족 편견의 개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암묵적 편견은 의도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깊이 뿌리내릴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묵적 편견을 해결하려면 공정하고 편견 없는 판단을 촉진하기 위한 인식과 교육, 노력이 필요합니다.

위협과 불쾌감의 인식 차이가 '블랙'과 '화이트'라는 색과 관련된 사회적 연상이나 개인적 편견의 결과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분석하면 암묵적인 편견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며 언어와 사회적 규범이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장려할 수 있습니다.

입력 프롬프트:

앞서 언급한 동일한 작업을 완료하도록 ChatGPT에 요청했는데 '블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작성한 이야기가 '화이트'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작성한 이야기보다 더 위협적이고 불길한 것으로 평가된다면, ChatGPT도 암묵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을까요?

ChatGPT:

아니요, 두 이야기 사이의 인식된 위협과 불길함의 차이만으로 제가 암묵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단어 프롬프트에 기반한 텍스트 생성에는 모델이 학습 데이터에서 학습한 복잡한 언어 패턴과 연관성이 포함됩니다.

이 모델은 다른 머신 러닝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개인적인 신념, 경험 또는 편견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학습 데이터에 존재하는 편견을 실수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학습 데이터에 편견이 포함되어 있거나 사회적 고정관념이 반영된 경우, 모델이 의도치 않게 이러한 편견을 출력에 재현할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모델의 편향성은 모델이 개인적인 신념이나 의도를 가지고 있다기보다는 학습 데이터의 편향성을 반영하는 것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향된 결과가 관찰되면 편향성을 완화하고 줄이기 위해 학습 프로세스에서 추가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트레이닝 데이터가 다양하고 대표성을 가지며 가능한 한 편견이 없는지 확인할 책임은 개발자와 트레이너에게 있습니다.

튜링 테스트의 역설, 편견 없는 언어의 딜레마

편향된 훈련 데이터로 인해 '실수로 반영된' 편견이 있다는 ChatGPT의 주장은 '내 탓을 하지 마세요'라고 말하는 책임 전가가 아니다. ChatGPT의 스토리는 책, 잡지, 정기 간행물, 웹 콘텐츠 등 방대한 학습 자료에 등장하는 문자, 단어, 구문의 순서에서 파생된 확률 분포를 따라 생성됐을 뿐이다.

사실 ChatGPT의 해명과 마찬가지로 우리 자신의 암묵적 편견도 우리가 몸담은 문화, 언어, 시대에서 무의식적으로 내면화된 미묘한 메시지의 산물이라는 변명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과 챗봇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는데, 편견이 적은 문장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 데이터를 설계하는 개발자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ChatGPT와 달리, 인간은 편견을 인식한 후 그에 따른 행동을 주체적으로 선택해 나갈 수 있다. 즉 더 다양한 커뮤니티, 문화, 경험을 찾아 나서야 할 책임은 우리 자신에게 있는 것이다.

하지만 편견이 없는 ChatGPT를 사람들이 반가워할까? 추가적인 훈련을 통해 ChatGPT가 사실상 편견이 없게 되었다고 가정하고, 논문 초안을 작성하기 위해 ChatGPT를 사용하는 한 학생의 상황을 상상해 보자. ChatGPT의 편견 없는 글쓰기가 그 학생의 글쓰기를 안내하면 학생이 특정 생각과 단어에서 편견을 덜 갖게 할 수 있을까? 아니면 ChatGPT가 생성한 글이 너무 진정성이 없고 기계적으로 느껴져서 학생이 초안을 대폭 수정하거나 아예 폐기하게 될까? 이는 우리가 편향된 언어에 너무 익숙해져서 그것을 완전히 제거하면 우리의 언어가 비인간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편견이 제거된 ChatGPT는 아이러니하게도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할 것이다.

챗봇의 명시적 편향은 모두가 경계하고 제거해야 하는 대상이지만, 암묵적 편향에 대해서는 분명 다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사용자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면서도 미묘한 편견의 메시지가 들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사용자들의 주체적인 판단과 더 다양한 주제에 관한 경험을 장려하는 등의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하다. 인공지능과 인가의 상호작용이 불가피한 시대에서 상생을 위한 유익한 의사소통 방식이 생성형 모델에 더 깊숙이 자리 잡아야 한다.

영어 원문 기사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게재되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시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세상은 다면적입니다. 내공이 쌓인다는 것은 다면성을 두루 볼 수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하고, 하루하루 내공을 쌓고 있습니다. 쌓아놓은 내공을 여러분과 공유하겠습니다.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 공공기관 인증서 뚫는 악성코드 배포했다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 공공기관 인증서 뚫는 악성코드 배포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 국내 보안 프로그램 가장해 악성코드 유포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활용, 정부 기관 공인인증서까지 탈취했나
교묘한 해킹 수법으로 정보 유출 피해 속출, 보안 대책 필요한 때
north_korea_hacking_20240216

북한의 해커 집단 '김수키(Kimsuky)'가 국산 보안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유포한 정황이 확인됐다. 15일 사이버인텔리전스 전문기업 S2W는 김수키가 고(Go)언어 기반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인포스틸러(Info Stealer)'를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SGA솔루션즈의 보안 프로그램 설치 파일로 위장·유포했다고 전했다. 국내 공공기관 내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김수키, '트롤 스틸러'로 정부 정보 노렸나

'인포스틸러'란 김수키가 단행한 '정보 탈취형' 해킹 방식을 일컫는 용어다.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악용할 경우 △웹 브라우저나 이메일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 △가상화폐 지갑 주소 △사용자 보유 파일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유포처는 상용 유료 소프트웨어의 불법(무료) 다운로드를 앞세운 악성 사이트·프로그램,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 등이다. 

인포스틸러 유포자는 악성코드를 통해 수집한 정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악용할 수 있다. 계정 정보 등을 사이버 공격에 직접 이용하거나 딥웹에 판매해 수익을 올리는 식이다. 손에 넣은 정보를 빌미로 개인 사용자를 협박, 비트코인 등 현물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기업을 공격한 경우 인포스틸러를 발판으로 삼아 기업 내부 네트워크에 침투하거나, 수집한 메일 목록을 또 다른 악성코드 유포처로 활용하기도 한다.

S2W는 김수키가 단행한 해킹 방식을 '트롤 스틸러(Troll Stealer)'라고 명명했다. 트롤 스틸러는 △이용자의 시스템 정보, IP 주소, 위치 정보 △웹 브라우저에 저장된 접속사이트, 아이디(ID), 비밀번호 △PC에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및 파일 다운로드, 전송 기록 △스티커 메모, 메모장, 금융 서류, 암호화폐 데이터 등 PC에 기록된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행정전자서명용 공인인증서인 행정전자서명인증서(GPKI) 정보도 탈취가 가능하다고 전해진다. 김수키의 이번 공격이 국내 공공기관을 타깃으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는 이유다.

확장자까지 교묘하게 바꾼다, 고도화하는 해킹 수법

김수키를 비롯한 북한 해킹 조직들은 이전부터 특정 소프트웨어를 가장하는 교묘한 악성코드 공격을 감행해 왔다. 지난해 압축파일 형태의 악성코드를 유포하며 확장자를 위장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안랩 ASEC 분석팀에 따르면, 당시 압축 파일 내부에는 'readme.txt' 파일과 함께 한글 문서 확장자(hwp)로 위장한 실행 파일(exe)이 포함돼 있었다. 국가사이버보안센터를 위장해 '개인 정보가 유출되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exe 확장자 대비 거부감이 적은 hwp 확장자를 가장해 파일 실행을 유도하는 식이다.

hacking_north_korea_20240216
사진=안랩 ASEC

공격자는 비교적 한국인에게 친숙한 한글 문서 아이콘을 사용, 악성코드 실행 파일이 평범한 문서 파일처럼 보이도록 위장했다. 또한 파일명 뒤에 삽입되는 exe 확장자가 제대로 보이지 않도록 파일명에 공백을 다수 삽입하기도 했다. 파일을 실행할 경우 생성되는 메시지 박스는 사용자가 현재 악성 행위가 수행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파일을 실행한 사용자는 정보 유출, 키로깅(Keylogging, 사용자가 키보드로 PC에 입력하는 내용을 몰래 가로채어 기록하는 행위) 등 해킹 피해를 입게 된다. 전문가들은 악성코드에 사용된 단어 및 실행되는 스크립트 코드와 이전 분석 결과를 대조, 해당 파일이 김수키에서 제작됐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보안업계에서는 북한 해킹 조직의 해킹 시도가 점차 고도화하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보안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흘러나온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일론 머스크, “74조원 토해내라” 판결에 불만 "텍사스로 법인 이전하겠다"

일론 머스크, “74조원 토해내라” 판결에 불만 "텍사스로 법인 이전하겠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머스크, SNS 통해 스페이스X 법인 소재지 텍사스로 이전 발표
"테슬라도 법인 등록지 텍사스로 이전할 것" 주주 투표 실시
'제2의 실리콘밸리' 텍사스에 삼성전자, 애플 등 다수 기업 포진
Elon-Musk_X_VE_20240216-1
사진=일론 머스크 소셜미디어 X 계정 캡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이 설립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법인 소재지를 델라웨어주에서 텍사스주로 옮겼다. 테슬라에서 받기로 한 560억 달러(약 74조원) 스톡옵션 보상 약정이 델라웨어 주 법원에서 무효화되자 회사 이전으로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머스크는 테슬라도 텍사스로 법인 등록지를 변경하기 위해 즉시 주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못박았다.

소액주주에게 패배, 스톡옵션 전액 뱉어낼 위기

머스크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밤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스페이스X가 법인 설립 주를 델라웨어에서 텍사스로 옮겼다!"며 "만일 당신의 회사가 아직 델라웨어에 설립돼 있다면, 나는 가능한 한 빨리 다른 주로 옮길 것을 추천한다"고 전했다. 머스크는 이 게시물에 제인 넬슨 텍사스 국무장관 직인이 찍힌 스페이스X의 법인 등기 서류 사진도 함께 게시했다.

앞서 머스크는 자신이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법인 소재지도 델라웨어주에서 네바다주로 이전한 바 있다. 머스크가 델라웨어주에 반감을 품고 자신이 세운 법인 등기를 속속 이전하는 것은 지난달 말 델라웨어주 법원이 내린 판결 때문이다. 델라웨어주 법원은 테슬라 소액주주인 리처드 토네타가 테슬라 이사회와 머스크를 상대로 낸 560억 달러 규모 보상 패키지 승인 무효 소송에서 토네타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이사회와 머스크의 계약이 무효라고 판결했다. 이에 따라 머스크는 테슬라에서 받은 560억 달러 규모의 스톡옵션을 뱉어낼 위기에 처해 있다.

법원은 테슬라 이사회가 이 보상안을 승인할 당시 머스크가 사실상 테슬라를 지배했으며, 이사회의 결정 과정에 결함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판결 이후 머스크 CEO는 엑스를 통해 "테슬라는 법인등록지 변경을 위한 주주 투표를 즉시 실시할 것"이라며 “서류상 본사 소재지를 델라웨어에서 텍사스로 옮기겠다”고 했다. 뉴럴링크와 스페이스X는 비상장기업이어서 법인 소재지를 옮기기가 수월하지만, 테슬라는 상장기업이어서 주주 투표 등 절차를 밟는 데 시간이 걸린다.

samsumg_Texas_VE_20240216
텍사스 오스틴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전경/사진=삼성전자

일론 머스크가 텍사스행을 택한 이유

텍사스는 기업 친화적인 환경으로 ‘제2의 실리콘밸리’라 불린다.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해 NXP 등 글로벌 기업들이 텍사스에 몰리고 있으며 애플, 알파벳(구글 모회사),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도 주요 시설을 텍사스에 세우거나 확장하고 있다. 기업들이 텍사스를 선호하는 요인으로는 비즈니스 친화적인 조세 정책과 풍부한 전문 인력이 꼽힌다.

미국은 주별 개인 소득세율이 상이한데, 캘리포니아는 13.3%로 가장 높은 반면 텍사스를 비롯해 알래스카, 플로리다 등은 개인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는 기업 친화적 정책 기반이 마련돼 있다. 또 텍사스는 주 차원의 법인세가 없다. 최고 1% 영업세(franchise tax)만 물릴 뿐이다. 단, 모든 주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연방정부 법인세(21%)는 별도다. 다양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이다. 이와 더불어 노동 시장의 공급과 수준 모두 탄탄하다.

다만 현지 법조계는 머스크의 테슬라 법인등록지 이전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 입을 모은다. 앤 립튼 툴레인대학 로스쿨 교수는 “주주 투표를 즉시 실시하겠다는 머스크 CEO 발언과 달리 투표를 준비하는 데만 40~60일이 걸리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개입할 경우 절차가 더 늘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브라이언 체핀스 회사법 교수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머스크는 텍사스 판사들이 델라웨어 판사들보다 기업 친화적이며 더 온화한 접근 방식을 택할 것이라 생각하는 모양"이라며 "텍사스 판사들이 정말 그럴지는 전혀 알 수 없다"고 했다. 또 회사 이전을 위한 정관 변경 등의 절차에서 회사 이전 때문에 주주 이익이 침해당했다는 시비에 휘말릴 수 있는 점도 우려 사항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현재 머스크는 상소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토네타 측은 머스크와 항소 공채 금액 협의를 마치는 대로 법원에 스톡옵션 보상 무효화 판결의 효력을 일시 정지시켜 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다. 항소 공채는 패소 판결을 받은 소송 당사자가 항소를 진행하는 동안 판결 효력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해 내는 돈이다. 액수는 판결 금액과 비례하며, 그에 상응하는 담보도 제시해야 한다. 만일 항소인이 패소했음에도 판결 내용을 이행하지 않을 시 상대방은 담보물을 압류할 수 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국내외 VC, 반값도 못 받고 보유 지분 대량 매각 중

국내외 VC, 반값도 못 받고 보유 지분 대량 매각 중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수정

VC, 막혀버린 엑시트 대신 세컨더리 거래에 몰려
투자 심리 위축 때문에 이른 현금화 원하는 VC들
구매자 부족으로 가격 대폭 하락, VC 자산도 급감
Venture-Capital-VE-2024216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기관 피치북에 따르면 최근 다수의 초기 단계 VC(벤처 캐피탈)들이 후기 단계 투자자들에게 주요 포트폴리오 지분을 대량 매각하며 상당한 할인율을 받아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성과 배분 감소와 투자 심리 위축 등이 지목된다.

VC, 초기 단계에서 보유 지분 대량 매각

필라델피아 기반 자산 운용사인 해밀턴 레인의 미겔 루이냐(Miguel Luiña) 다이렉터에 따르면 현재 다수 VC들이 보유한 우량 기업의 지분을 신규 투자 라운드에 맞춰 매각 중이다. 이전에도 VC가 새로운 투자자에 일부 지분을 판매하는 경우는 흔히 있어왔지만, 최근의 VC 세컨더리 거래는 이전과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선 거래되는 지분의 양이 대폭 달라졌다. 최근 거래에서는 VC들이 보유 지분의 전체 혹은 큰 부분을 매각하고 있다. VC들이 받아들이는 할인률의 폭도 커졌다. 신규 라운드 헤드라인 밸류에이션의 40% 수준에서도 거래가 성사될 정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거래에서는 세컨더리 거래 때문에 신규 라운드의 주당 평균 가격이 낮아질 것에 대한 우려가 일고 있다.

루이냐 다이렉터는 이처럼 초기 단계에서 대폭 확대된 VC 거래의 한 예로 해밀턴 레인이 공동 투자자인 익명의 기업을 들었다. 해당 기업은 긍정적 현금 흐름과 빠른 성장률을 자랑하는 우량 기업으로, 현재 대형 세컨더리 라운드와 결합한 신규 투자 라운드를 유치 중이다. 루이냐는 이 기업이 신규 라운드를 유치하는 이유가 “새로운 자금이 필요해서가 아닌, 몇년 전에 비해 급등한 밸류에이션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며 "그렇기 때문에 신규 지분을 최소로 하는 투자 라운드를 의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전과 달리 이른 현금화 선호하는 VC들

이와 같은 현상은 VC 들이 이전과 달리 이른 투자 실현을 선호하게 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샌프란시스코 기반 로펌인 모리슨 포어스터의 크리스토퍼 맥키넌(Christopher McKinnon) 파트너는 “초기 투자에 진입했던 VC 펀드들이 빠른 판매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려 이전보다 큰 할인을 받아들이는 모습이 보인다”고 말하며 “설령 보유 기간을 늘리면 25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확신하더라도, 2배나 5배에서 확실한 이익 실현을 기록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투자 심리 위축의 원인은 마지막 상승장의 정점이었던 2021년에 투자 실현을 미뤘던 투자자들이 집단으로 맞이하게 된 손실의 경험이다. 당시 시장에는 조금만 더 기다리면 한층 더 높은 밸류에이션에 엑시트(투자금회수)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만연했다. 하지만 앞을 내다본 소수 VC들은 하락장이 시작되기 전에 초기 단계 라운드에 투자했던 지분을 성장 단계 투자자들에게 매각해 큰 수익을 올렸다. 신주 발행 라운드와 같은 값, 혹은 할인을 최소한으로 적용한 값에 판매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실리콘밸리와 텔아비브를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 보안 전문 VC인 YL벤처스의 요아브 레이터스도프(Yoav Leitersdorf) 매니징 파트너에 따르면, 2021년 당시 YL벤처스는 보유 중이던 액소니어스(Axonius) 지분 전체를 신주 발행 라운드의 밸류에이션과 같은 값에 매각했다. 액소니어스는 미국의 사이버 보안 기업으로, 해당 세컨더리 거래의 구매자는 액소니어스의 시리즈 D 투자자들이었다.

뿐만 아니라 YL벤처스는 같은 해 또 다른 사이버 보안 회사인 오르카 시큐리티(Orca Security) 보유 지분 대부분을 시리즈 C 투자 라운드와 결합한 형태로 매각해 큰 수익을 실현했다. 이 역시 시리즈 C 신주 밸류에이션에서 전혀 할인을 적용하지 않은 가격이었다. 이와 관련해 루이냐는 “요즘은 VC들이 이익을 최대한으로 높여 실현하려 들지 않고, 대신 LP들에게 반환할 투자금을 현금화하는 것과 장기적 수익률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 노력한다”고 밝히며 그 이유가 “많은 투자자들이 몇 년 전에 수익을 실현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 있기 때문” 이라 분석했다.

구매자 부족한 시장 탓에 가격 협상력 잃었나

하지만 현재 이른 유동화를 원하는 VC들은 구매자가 부족한 상황에 봉착해 있다. 토론토 기반 VC사 포티지 캐피탈 솔루션의 구조화 지분 거래 담당인 데본 커크(Devon Kirk) 공동 대표는 현재 상황을 “성장 단계의 세컨더리 투자자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특히 현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더 낮은 판매 가격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 VC 업계도 사정은 비슷하다. 엑시트 활동이 얼어붙자 만기가 도래한 VC 펀드들이 세컨더리 시장으로 몰린 것이다. 고금리로 인해 유동성이 메마르고, 뻥튀기 상장 논란이 일었던 ‘파두 사태’ 이후 IPO(기업공개) 심사가 깐깐해지면서다. 다만 지분을 구매할 세컨더리 펀드의 규모가 판매를 원하는 VC의 규모보다 훨씬 작아 구매자 우위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연말까지 만기를 맞을 VC펀드의 수는 총 351개, 약정액 8조4,531억원(약 63억 달러) 규모다. 반면 세컨더리 펀드는 158개, 2조7,899억원(약 20억 달러)으로 VC 펀드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국내 VC들도 세컨더리 판매를 하며 큰 할인율을 받아들이고 있다.

영어 원문 기사는 VCs sacrifice future gains for cash amid IPO dry spell - PitchBook에 게재되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