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ADC에 베팅했다" 녹십자가 눈독 들인 바이오벤처 '카나프테라퓨틱스'

"ADC에 베팅했다" 녹십자가 눈독 들인 바이오벤처 '카나프테라퓨틱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차세대 항암제' 개발사 카나프테라퓨틱스, 시리즈 C 투자 유치 성공
녹십자가 손실 감수하며 끌어안았다? 미래 수익 전망 낙관적
시장 휩쓴 'ADC 약물' 개발 역량 갖춘 기업, 제2의 엔허투 나올까
카나프테라퓨틱스_카나프_20231228
사진=카나프테라퓨틱스

약물융합기술 기반 신약 개발기업 카나프테라퓨틱스(이하 카나프)가 230억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전략적 투자자(SI)인 GC녹십자 외에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신규 SI로 참여했다. 기관투자자(FI)로는 인터베스트, 프리미어파트너스,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NH벤처투자, 아주IB투자, 우신벤처투자가 참여했다. 투자자 대다수는 ADC(Antibody Drug Conjugate, 항체-약물 접합체) 등 카나프의 '미래 먹거리' 창출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탄탄한 신약 파이프라인, 투자 이후 임상 박차

카나프는 제넨텍 출신 이병철 대표가 ADC, 이중항체 신약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설립한 기업으로, 약물 간 융합 기술을 통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면역항암제 및 표적항암제 분야 6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며, 이 중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은 이중융합 단백질 플랫폼인 'TMEkine'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카나프는 지난해 TMEkineTM 플랫폼 기반 차세대 면역항암제를 동아ST에 기술을 이전, 공동 개발에 착수한 바 있다. 같은 해 합성 신약 면역항암제 역시 오스코텍에 기술을 이전했다. 올해는 롯데바이오로직스와 기존 ADC 약물의 단점을 개선한 신규 링커-페이로드 플랫폼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카나프 관계자는 "설립된 지 5년도 안 된 짧은 기간에 2건의 기술 이전과 1건의 차세대 ADC 플랫폼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며 "높은 기술력과 함께 조기 사업화에 대한 강점이 투자자들에게 높게 평가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병철 카나프 대표는 "회사 설립 때부터 지속적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수 있는 기술 개발과 함께 신약 개발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사업 모델에 대한 고민을 해왔다"며 "투자금은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들의 임상 진입은 물론, 기술 이전에 필요한 연구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나프_녹십자_벤처_20231227

제약·바이오 투자 강자 '녹십자'의 선택

지난 8월 카나프는 녹십자의 관계회사로 편입된 바 있다. 녹십자는 지난 2020년 50억원을 투자해 카나프의의 시리즈 B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 상환전환우선주로 지분 6.7%를 확보했다. 지난 2분기에는 중 20억원가량을 추가 투자하며 보통주 지분 6.1%를 매입했다. 이후 녹십자는 관계사 편입 기준치(20%)에 달하는 지분량을 확보하지 못했음에도 불구, 카나프를 관계사에 포함했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카나프가 지난해 136억원의 손실을 기록한 적자 기업이라는 점이다. 지분법에 따르면 카나프를 관계사에 편입함에 따라 녹십자는 약 8억원의 손실을 떠안게 된다. 차후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이 시작되면 손실 규모가 한층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녹십자가 실적 악영향을 감수하면서까지 카나프를 끌어안은 이유는 뭘까.

녹십자가 과감한 '모험'에 나선 것은 카나프가 ADC 플랫폼 역량을 보유한 기업이기 때문이다. 차후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카나프의 임상이 성공할 경우, ADC 신약으로 창출되는 이익이 적십자의 손익에 고스란히 반영될 것이라는 계산이다. 실제 카나프는 녹십자와 기초 단계에서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떠오르는 제약·바이오 미래 먹거리 'ADC'

주목할 만한 점은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한 롯데바이오로직스도, 관계회사 편입을 단행한 녹십자도 카나프의 'ADC 기술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ADC는 암세포 표면의 특정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와 세포 사멸 기능을 갖는 약물을 링커로 연결해 만들어진 약물로, 최근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해 치료 효과를 높이고 항암치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ADC는 정상세포에 대한 공격 가능성이 있는 세포 독성 항암제, 부작용 우려가 있는 표적항암제, 환자 반응률이 낮은 면역항암제의 한계를 모두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시장의 대표적인 ADC 약물은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 개발한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다. 엔허투는 무진행 생존 기간, 전체 생존 기간 등 지표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종근당에 따르면 글로벌 ADC 시장은 2022년 약 8조원에서 2026년 약 17조9,000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ADC의 주요 링커와 페이로드의 특허가 속속 만료되고 있는 만큼, 차후 자체 항체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에 힘이 실린다. 실제 대표적인 ADC 치료제 엔허투(Enhertu)에 사용되는 페이로드인 엑사테칸(Exatecan)과 GGFG 펩타이드 링커는 이미 특허가 만료된 상태다.

카나프는 2개의 단백질 신약 및 4개의 합성 신약을 동시에 개발하며 ADC 개발을 위한 내부 역량을 다졌다. 이병철 대표는 과거 제넨텍 재직 시절 'NLD New Linker Drug' 프로젝트에 소속되었던 연구원 출신으로, 다양한 링커-페이로드 및 ADC 접합 연구를 담당하며 관련 노하우와 우수한 지식을 쌓아왔다. 투자자들의 기대가 누적되는 가운데, 카나프는 급성장이 예상되는 ADC 시장에서 당당히 입지를 다질 수 있을까.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국가안보 위협하는 중국發 해킹, 안전망 구축 필요성 대두

국가안보 위협하는 중국發 해킹, 안전망 구축 필요성 대두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AI 역량 강화하는 中, 해킹정보 해석능력 제고
中 해킹에 감도는 긴장감, 美도 韓도 국가안보 '빨간불'
외교부도 해킹 피해, "대중국 사이버 위협 대응 전선 구축해야"
중국발 해킹_벤처경제_20231227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전 직원의 노트북을 포렌식 조사한 결과 한 직원이 회사 기밀을 중국으로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직원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으나, AI 업체들과 미국 정보 당국의 중국발 기밀 유출 우려는 점차 짙어지는 모양새다. 우리나라 또한 중국의 해킹망에서 안전하지 못한 만큼 사이버 보안 역량을 갖추고 안전 전선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WSJ "中 롱테일 스파이 활동 현실화"

2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정보 분석가들이 우려했던 중국의 롱테일 스파이 활동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짚었다. 사이버 보안상에서 롱테일 분석이란 기술적으로 충분히 숙련돼 탐지되지 않는 공격자의 매우 약한 신호를 찾아내는 접근 방식이다. 중국이 해킹을 통해 미국 공무원과 기업 경영진의 막대한 개인 정보를 수집해 거둬들이고 AI 역량을 통해 이 방대한 데이터 세트를 결합해 표적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 당국은 중국 정보 요원들이 수년 동안 훔친 데이터베이스에서 지문, 해외 연락처, 금융 부채, 개인 의료기록 등 민감한 정보를 상호 연관시켜 미국 내 위장 스파이를 찾아 추적하고 보안 허가를 받은 관리들을 찾아내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메리어트 해킹으로 도난당한 여권 정보는 스파이가 정부 관리의 여행을 감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은 WSJ에 "과거엔 중국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기계학습과 AI를 사용해 해킹해서 모은 데이터를 모아 다음 표적화에 사용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었다면 지난 2년 동안 우린 실제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증거를 봤다"며 "(중국이) 타깃팅을 지속적으로 세분화하고 개선하는 데 AI를 사용할 것이라고 가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FBI 등 기관들도 중국이 단순히 기업의 영업기밀을 훔치는 데 그치지 않고 AI를 이용해 전례 없는 규모로 미국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축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크리스토퍼 레이 FBI 국장은 올해 초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수년 동안 여러 건의 개인데이터 도난 사건에 연루돼 왔고 AI가 해킹 작전을 지원하는 '증폭기'로 사용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중국의 AI 활용 해킹 행위가 늘어감에 따라 미 정보당국의 긴장도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당초 중국의 스파이 행동은 반도체 기술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최근엔 AI 기술 역량을 채집하려는 경향이 늘었다. 특히 중국의 AI 기술 역량이 늘어날수록 해킹으로 획득한 막대한 데이터를 AI로 분석하는 기술 역시 함께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위험도는 더 높다. AI의 발달이 과거 불가능했던 수준의 정보 분석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보안 위협이 더욱 커졌다는 경고음이 지속적으로 들려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해 미국 국가안보국의 전 법률고문 글렌 거스텔은 "중국은 AI를 활용해 거의 모든 미국인의 건강기록부터 신용카드, 여권번호, 부모와 자녀의 이름과 주소까지 다양한 세부 정보를 담은 서류를 만들 수 있다"며 "이 서류에 중국 정부를 위해 일하는 수십만 명의 해커를 더하면 미국의 국가안보에 잠재적 위협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샤오치잉_한국사회과수업학회_20231227
중국 해킹그룹 ‘샤오치잉’의 사이버 공격을 받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홈페이지의 모습/사진=한국사회과수업학회 홈페이지 캡처

韓도 못 피하는 해킹, 정부기관도 당했다

중국 해킹 위협은 우리나라도 피해 가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해킹그룹 ‘샤오치잉(晓骑营)’에 의한 피해가 대표적이다. 샤오치잉은 지난 1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해킹을 하겠단 선전포고를 한 후 국내 연구소나 학회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디페이스 공격 및 정보 탈취를 감행했다. 해킹한 자료를 다크웹 등에 공개하거나 2만 명 이상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4월엔 국내 인프라 구축 전문 업체 '한국인프라'를 해킹하기도 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침해사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샤오치잉은 취약점을 악용하고 웹페이지 변조 등 다양한 공격을 이어갔다. 한국인프라 웹페이지를 공격해 화면을 변조하는 디페이스 공격을 하고 일부 자료를 탈취 및 삭제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기관 해킹도 적잖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1월 외교부는 중국 당국의 해킹 공격에 의해 4.5GB에 이르는 이메일을 유출 당한 바 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해킹 공격의 진원지는 우리나라의 국정원 격인 중국 국가안전부(MSS)였다. 중국 스파이 활동의 본산인 국무원 산하 국가안전부가 우리나라 정부와 청와대를 상대로 해킹을 시도한 구체적 단서를 우리 정보 당국이 포착했다는 의미다. 외교부는 4.5GB 규모의 해킹 피해를 인정하면서도 "유출 자료에 비밀은 포함되지 않았다”며 "해커가 다수의 중간 경유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특정 국가에서 해킹을 시도했다고 판단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스팸 차단 장비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 피해가 발생했지만 해킹 주체를 중국으로 단정할 수도 없고 실질적 피해는 일어나지 않았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다만 일각에선 "중요 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을 완전히 닫기 어렵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사이버 위협 고도화에 따라 대중국 사이버 위협 대응 전선을 국가 차원에서 구축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개월 만에 몸값 16% 뛴 오픈AI, 수익성 난제에도 기업가치 '130조원'

2개월 만에 몸값 16% 뛴 오픈AI, 수익성 난제에도 기업가치 '130조원'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오픈AI 자금조달 협상 진행 중, 구체적인 조건과 시기는 미정
‘스페이스X’ 이어 미국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가치 2위 오를 전망
올해 매출도 전년보다 4,500% 이상 늘어난 13억 달러로 급상승
사진오픈AI
사진=오픈AI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신규 투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인 가운데 1,000억 달러(약 130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았다. 이는 최근의 기업가치인 860억 달러(약 112조4,000억원)에서 불과 2개월 만에 16% 이상 급등한 수치다. 이로써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이어 미국 비상장기업 가운데 두 번째로 기업가치가 높은 기업이 됐다.

지난해 11월 챗GPT를 내놓으며 생성 AI 붐을 주도한 오픈AI는 현재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올 초 마이크로소프트로(MS)부터 누적 130억 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하는가 하면, 경쟁사인 앤스로픽보다도 무려 50배 이상 높은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다양한 루트로 자금 조달 나선 ‘오픈AI’

23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오픈AI는 신규 자금 조달을 위한 예비 협상을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아직 협상은 초기 단계며, 자금조달 조건과 시기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번 자금조달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오픈AI가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이어 미국에서 두 번째로 기업 가치가 높은 스타트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비상장 스타트업 중 가장 몸값이 높은 기업인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는 1,500억 달러(약 193조원)로 평가된다.

오픈AI는 이와 별개로 현재 기업가치를 기준으로 직원들의 보유 주식을 제3자에게 매각할 수 있도록 하는 협상도 진행 중이다. 미국의 벤처캐피탈(VC) 기업인 트라이브 캐피탈(Thrive Capital)이 주도하는 이번 거래는 내년 1월 초 완료될 예정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선 매각 매물보다 투자자들의 수요가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AI 전문업체 'G42'와 새로운 반도체 칩 프로젝트(티그리스)도 추진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G42는 티그리스 프로젝트를 위해 약 80억~100억 달러(약 13조원)의 자금 조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생성-AI-달리DALL-E-3사진오픈AI-
이미지 생성 AI '달리(DALL-E) 3'/사진=오픈AI 

1년 만에 45배 성장, 올해 매출 1.7조

오픈AI의 기업가치가 급등한 이유는 단순히 실리콘밸리 내 생성형 AI가 유행하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전년 대비 올해 수직 상승한 오픈AI의 '실적'이 상승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10월 12일 현지 CNBC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샘 알트만 CEO는 당시 직원들에게 “올해 매출이 13억 달러(약 1조7,500억원)를 넘어섰다”고 공지했다. 지난해 실적이 2,800만 달러(약 389억원)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무려 4,542.86% 증가한 것이다. 이는 오픈AI의 경쟁사로 꼽히는 또 다른 인공지능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연매출(1억 달러)과 비교해도 13배를 상회하는 규모다. 또한 오픈AI의 올해 매출은 알트만이 주주들에게 제시했던 목표치(2억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며, 전문 분석매체들이 내놨던 예상치(10억 달러)마저 웃돈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오픈AI의 매출은 챗GPT 유료 구독 서비스와 'GPT-3.5' 및 'GPT-4' 등 대형언어모델(LLM)의 API 서비스를 통해 발생했다. 특히 챗GPT 유료 버전을 출시한 이후 매출이 급격하게 늘었다. 오픈AI는 지난 2월 MS와의 충돌을 감수하며 ‘기업용 챗GPT’를 출시했고, 스트라이프, 볼보, 이케아 등 주요 기업들을 GPT-4 유저로 만들었다. 또한 실시간 웹 검색 및 ‘달리3’와 같은 최신 기능을 유료 버전으로 출시하면서 매출 확대에 전력을 기울였다.

다만 LLM 개발 및 실행에 여전히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만큼 흑자 전환 및 수익성 개선 등에 대한 전망은 아직 불투명하다. 실제로 지난 8월에는 운영에 필요한 과도한 비용 때문에 재정 위기에 처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장기 성장에 경고등이 켜졌다. 당시 대만 IT홈 보도에 따르면 챗GPT의 하루 운영 비용만 70만 달러(약 9억원)에 이르며, GPT-4나 달리3 등의 AI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도 하루에 수십만 달러를 지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개안뽑] ⑳결제 모듈 하나 제대로 못 연결시키는 경력직 개발자들

[개안뽑] ⑳결제 모듈 하나 제대로 못 연결시키는 경력직 개발자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
정기 결제 모듈 연동은 커녕 소셜 로그인 연동 하나 제대로 못하는 경력직 개발자들
해외 무료 플러그인 개발자들보다 수준 낮은데 고액 연봉 받을 자격 있나?
차라리 10만원짜리 국내 플러그인 사서 쓰는게 낫다

지난 주말에 무사히 정기 결제 모듈을 서비스에 붙일 수 있게 됐다. 이미 파비클래스 운영 시절부터 결제를 붙이는 것에 대한 경험치는 충분히 쌓인 상황이었지만, 정기 결제를 붙이는 부분은 난관이 많았는데, 12월 하순이나 되어서 돌아가게 된 정기 결제 시스템을 내가 처음 시도했던 것은 지난 1월 하순이었다.

당시 있던 개발자들에게 정기 결제 모듈을 붙여서 돌리고 싶다고, 당시 운영 중이던 '파비뉴스'에 정기 결제 모듈을 붙여라고 '지시'했다. 그 분들이 약속 시간이었던 2월 중순까지 결제 모듈은 커녕 네이버/카카오 소셜 로그인 하나 조차 제대로 연동을 못 하고 있었는데, 언론사 4개와 학회지 1개를 운영하느라 너무 바쁜 상황이었기 때문에, 또 그 당시만해도 그 운영에 회사의 사활을 걸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은 정기 결제 서비스를 포기했었다.

이렇게 간단한 것까지도 못하는 개발자들을 이런 연봉까지 줘가면서 데리고 있을 이유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는 2월 말, 3월 말을 거치면서 사실상 개발자들을 쫓아내는 계기가 됐던 사건이기도 하다. 지난 11월 중순에 파비리서치로 통폐합을 결정하던 당시, 다시 정기 결제 기능을 붙이겠다고 결정하고 소셜 로그인 연동, 정기 결제 모듈 연동에 내가 쓴 시간은 1주일이 채 되지 않는다. 11월 말 이후로 1달이나 더 결제 연동에 시간이 걸린 이유는 내가 예상치 못했던 각종 시스템 버그 해결, 서비스 웹페이지/결제 웹페이지 분리에 따른 추가 작업, 그리고 카드사 심사 때문이었다. 말을 바꾸면, 비개발자가 다른 회사 업무를 다 하면서 1주일을 채 쓰지 않은 업무를 경력 5+년, 10+년이 넘는 개발자들이 무려 2달을 쓰고도 못 했다는 뜻이다.

개발자-안-뽑음_202312
개발자-안-뽑음_202312

결제를 붙여야 하는 사업 상의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제를 붙이는 이유를 금전적인 이유라고 생각할 것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생산 비용이 한 달에 수천만원이 들어가는 콘텐츠를 광고 하나 안 붙이고 운영하면서 계속 공짜로 베풀 수는 없다. 그렇다고 아무나 대충 뽑아서 생산하는 콘텐츠도 아니고, 한국에서 이런 시야를 담은 전문 분석 콘텐츠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예전에 인제대학교 백병원 재단이 광화문에 있는 서울백병원 문을 닫겠다고 선포했을 때 서울시가 해당 지역 토지 사용 용도를 바꿔버리면서 백병원 재단이 꼼짝달삭 못하게 막는 기사를 쓰라고 던져 준 적이 있었는데, 그 기사를 읽은 외부의 한 관계자 분이 '혹시 내부에서 제보 받으셨냐?'고 질문을 보낸 적이 있다. 자랑한다고 하면 할 말이 없지만, 서울시에서 회의 열렸다는 소리를 듣자마자 우리 회사가 갖고 있는 지방 토지, 국내에서 대학 만든다고 알게됐던 대학 설립/운영 요건들이 번개처럼 머리를 스쳐간 덕분에 미루어 짐작해서 알게 된 내용이지, 누구한테 제보를 받았던 내용은 아니다.

대부분의 기사를 그렇게 사업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쓰도록 'Talking Point'를 던져주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어지간한 전문지 기자가 상당 기간 취재에 시간을 쓴 초고급 기사가 아니면 우리 수준을 따라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

다만, 지난 1월 말에 결제를 붙이기로 결정했던 것은, 단순히 분석 수준에 대한 위의 확신 때문이 아니라, 한국에서 날 '갖고 놀려고 하는' 집단들이 날 외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분들은 그저 남을 놀리고, 괴롭히고, 장난치는 걸로 쾌감을 느끼는 분들인데, 그런 분들이 자기 주머니를 열어서 결제를 하고 남들을 놀린다? 거기다 결제하고 난 다음에 본 글들, 퍼간 글들은 쿠키(Cookie)가 남아서 누가 했는지 다 추적이 되는데? 고소 당할 위험이 아니라 확신이 있으면 함부로 '이지메'를 시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됐기 때문에 결제를 선택했다.

대상 독자는 상위 1%, 0.1%의 인재들이니까

지난 몇 년간 몇몇 국내 커뮤니티의 선동꾼들에게 멍석말이를 당하면서, 사람 숫자를 많이 모아서 권력을 만들어내는 집단들의 행동 양식을 알게 됐다. 이 분들은 누군가의 편을 들어주면서 자기 편을 만들고, 그렇게 자기 편을 늘리고, 그 사람들을 동원해서 반대편을 공격하는 방식으로 적을 없앤다.

아마 내가 그간 해 왔던 여러 표현들에 공격을 받은 대상들을 모아서 날 저런 식으로 괴롭히려 들었을 것이다. 예상 가능한 집단은 코딩만 잘하면 AI전문가 될 수 있다고 우기고 있는 IT학원 관계자들, 한국어 문서들만 읽고 있는 한국형 개발자들, 비트코인을 위시한 코인들이 선동을 통한 사기 판매라는 지적을 이해할 수 있는 지적역량을 갖추고 있지 않은 패거리들 입장에서는 내 개인에게 흠집을 내고 깎아내려야 자신들이 틀리지 않았다는 증명이 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교회 비판하면 그 다음날부터 매일 수백명의 교회 신도들이 집 앞에 몰려들어 시위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집단의 비이성을 지적했을 때, 비이성이 자신의 이익과 직접 연결된 사람들에게 가장 확실한 전략은 그 비이성을 지적한 사람을 온갖 거짓, 협잡, 음해, 사기 전술을 동원해 깎아내리는 것이다.

한 때는 많은 사람이 읽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글을 쓴 적도 있었는데, 그럴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을 깨달은 사건도 선동꾼들의 멍석말이 사건들이었다. 한 번 당하고 나니 남들이 당하고 있는 것들이 눈에 더 잘 들어왔고, 가장 확실한 차단 전략은 그들과 '단교(斷交)'하는 것이라는 것도 알게 됐다. 어차피 그들에게 내가 알려지는 것은 내 이익에 단 1g도 도움되지 않는다.

지금은 세종시의 모 국책 연구소에서 조용히 정부 프로젝트들만 하며 시간을 때우고 사는 한 선배가 박사 시절에 했던 말이다.

내가 지금 하는 연구를 세상에서 알아주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네가 하는 것도 그렇잖아? 50명 될까? 사실 지도 교수도 잘 모르고 방향 지적만 해 주는건 너나 나나 별반 다를 거 없을 거 아냐?

그 형님의 지도 교수는 그 무렵에 산업조직론에 대한 공헌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으셨다. 그 형님은 아무도 도와줄 수 없는 논문을 들고, 기업 행동 문제를 풀어내려는 게임이론 문제가 풀리질 않아 끙끙 앓고 있었던 기억이 난다.

그 형님이 당시 하던 연구는 말할 것도 없고, 파비리서치에 고급 분석으로 올리는 글만해도 기껏해야 대한민국 상위 5% 남짓의 인재들만 그 가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귀국 후 지난 6년간 한국 사회의 인재들을 겪으면서 얻은 경험치에 기반해 냉정하게 말하면 상위 1%만 그 진짜 가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라고 하면 너무 적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5천만 인구 국가의 상위 1%면 50만 명인데, 이 정도면 사실 적은 숫자는 아니다. 중국이 북한을 구원하겠다고 6·25전쟁에 보낸 '항미원조' 군대가 50만 명이었다.

정기 결제 연동 하나 못하는 개발자들을 왜 데리고 있었을까?

저 위의 생각을 지난 1월에 하면서, 학교 운영에 고급 기사 뽑아내라고 인력들 훈련시키고 가르치는게 너무 바쁘니까, 고작 정기 결제 연동 정도는 기존의 결제 모듈 확장하는 정도에 불과하니까, 어렵지 않게 할 수 있겠지라는 생각에 개발 팀에 던져놨는데, 네이버/카카오에서 제공하는 소셜 로그인 조차 제대로 연동을 못했었다.

구글 검색 한 번만 해봐도 돌아다니는 플러그인들이 얼마나 많은데, 플러그인 하나 설치해서 해결이 안 되면 이것저것 손이라도 좀 대면 될텐데, 그것도 못하는데 월급 적다고 징징대는 소리를 매번 들어야 했다.

예를 들어, 국내에는 약 10만원 내외의 로그인 연동 플러그인들이 3개쯤 있는 것으로 안다. (써 본 적은 없다.)

글로벌 시장에도 각종 유료 플러그인들이 있는데, 역시 가격은 10만원 내외다

그 외에도 지금은 서비스 업데이트가 중단된 무료 플러그인을 수정하는 방법도 있다

위의 방법들을 어느 하나 제대로 쓸 줄 알지도 못했고, 몇몇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것처럼 다른 플러그인을 일부 수정하는 작업도 못했던 것이다. 그런 능력으로 5년, 10년 경력의 개발자고, 연봉이 적다고 불만이 많다?

Profile_Naver_20231223
Profile_Naver_20231223

이미 공지 글에 쓴 이미지 대로, 위와 같이 최초 연동 중에 이메일을 변경해 자칫 개인 정보가 누출되더라도 구독자나 회사가 직접 타격을 받지 않도록 코드를 수정하는데 내가 쓴 시간은 하루는 커녕 2시간이 채 되지 않는다. 기존의 워드프레스 플러그인들 몇 개를 다운 받아서 살펴보고, 페이스북, X(트위터) 등과 연동하는 방식을 이해한 다음, 네이버/카카오의 개발자 문서에서 로그인으로 주는 정보들을 어떤 변수로 보내주는지 살펴보고, 거기에 맞춰서 네이버/카카오 전용으로 모듈을 일부 뜯어고치면 된다.

md5 변환을 이용해 닉네임, 이메일 변경되는 것을 보면서, 당장은 이렇게 주먹구구식으로 하지만, 언젠가 시간이 좀 더 생기면 경쟁하는 플러그인들 중 고급 플러그인을 선별해서, 그 분들한테는 약간의 돈을 주더라도 안정적으로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저런 소셜 연동을 안 하면 직접 이메일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이미 해킹을 여러차례 당했던데서 볼 수 있듯이, 이상한 이메일들로 웹사이트에 침투해 접속 주소를 바꿔버리는 URL Rewrite 해킹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 정보가 유출될 경우에 문제는 더 커진다. 급하다고 아무거나 먹으면 체하고 병 나듯이, 이미 그런 경험들을 해 봤는데 가입을 그대로 열어줄 수는 없었다. 결국 개발들을 내 보내고, 다른 업무를 어느 정도 마무리하고, 무려 10개월이나 지나서 다시 결제 연동을 내가 직접 잡게 된 계기다.

결제 붙이려니 본 어이없는 인간 군상들

결제를 시작하겠다고 선언한 11월 하순과 지난 12월 22일에 2번이나 봤던 현상인데, 유료 구독자에게만 풀어놓겠다는 글들이 1페이지씩 15초 남짓을 두고 계속 새롭게 로딩이 되고 있더라. 글 쓴 저자도 제대로 읽으려면 5분 이상이 걸리는 글들인데, 15초 남짓을 두고 새 페이지가 열리는 것, 다른 카테고리 글들은 전혀 열리지 않는 것, 그것도 무려 100페이지 이상이 그렇게 열리는 것을 해석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을까?

아마 누군가 수작업으로 그 페이지들을 긁어 갔을 것이다.

일부러 그런 분들이 보고 싶을 때 몰아서 읽으라고 주당 3,000원 (부가세 제외)의 가격을 책정해놨는데, 그것도 못내겠다는 거겠지.

구매 행동 패턴이 이런데 위의 소셜 로그인 연동 플러그인을 파는 회사들은 어떻게 매출액을 만들어낼까? 보나마나 누군가 그걸 하나 카피해서 여기저기에 몰래 뿌리고 있을 것 같은데?

더 큰 문제는 그 정도 기본적인 작업도 못 하면서 고액 연봉을 달라며 후안무치한 태도를 보였던 5+년, 10+년 이상의 경력직 개발자들이 한국 사회 개발자 수준이라는 것이다. 저런 개발자들이 만든 서비스들에 10만원을 주고 샀다가 로그인에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될까?

문서들을 찾아가서 읽어보면 로그인 서비스 제공사가 셋팅을 변경해서 로그인이 안 되는건 자기네들 책임이 아니라고 딱 잘라놨다. 그 분들도 대규모 소송을 당하기 싫으니까 그렇게 신경써서 법적 제한을 걸어놨겠지만, 서비스를 쓰는 사람 입장에서는 혹시나 문제가 생길까봐 겁나니까, 나 처럼 직접 하게 되기 전에는 회사 내에 개발자를 뽑고 싶을 것이다. 근데 뽑아놓으면 위의 내가 겪었던 문제를 겪기 십상일 것이다.

위의 모든 문제는, 그냥 '한국 사회가 모든 면에서 수준이 낮다'는 표현으로 정리된다.

  • 개발자들은 개발을 못해서 회사에 부담을 주고
  • 로그인 연동 플러그인들은 법적 부담을 피하기 위해 약관에 자기 책임 부분을 제거했고
  • 읽고 싶을 때 3천원 내고 주간 프리패스 쓰라는 것도 안 하려고 몇 시간에 걸쳐 손으로 직접 긁어가는 작업을 하고

어지간한 크롤러를 다 잡아내도록 보안 셋팅을 했기 때문에 크롤러를 쓰는 대신 직접 수작업을 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어디 알바라도 하면 1시간 시급이 만원인 시대,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12,000원인 시대에 저렇게까지 해야했을까? 그 시간에 어디 알바라도 하지?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

맞춤형 광고 시대는 끝났다? 구글, 광고사업부 대규모 구조조정 착수

맞춤형 광고 시대는 끝났다? 구글, 광고사업부 대규모 구조조정 착수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美 IT 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 구글의 '광고 부문 구조조정' 소식 보도
EU의 '맞춤형 광고' 규제 드라이브, 빅테크 광고 수익성 줄줄이 악화
인력 투자 줄이고 AI 활용 극대화? 구글의 새로운 광고 사업 전략은
구글-해고_v

구글이 수만 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에 착수할 예정이다. 25일(현지시간)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구글이 새로운 AI(인공지능) 도구를 도입해 업무가 자동화된 영업 직원을 재배치하거나 해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의 강력한 '타깃형 광고' 규제로 광고 수입이 급감한 가운데, 수익성 확보를 위해 관련 분야의 대규모 구조조정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돈 안 되는 광고 사업, AI로 자리 채운다?

구글이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가 지목된다. 첫 번째 이유는 AI 기술의 발전에 있다. 구글은 2021년 AI 기반 광고 플랫폼인 ‘퍼포먼스 맥스(PMax)’를 개발했으며, 올해 5월에는 해당 플랫폼에 생성 AI 기능을 탑재했다. AI를 활용해 광고주의 웹사이트를 스캔해 키워드, 헤드라인, 설명, 이미지 등을 자동으로 생성, 광고에 투입되는 시간 및 비용을 눈에 띄게 절감한 것이다. PMax가 광고주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으며 광고 디자인·판매에 필요한 인력 역시 크게 줄었다.

두 번째 이유는 구글의 주요 광고 수입원이었던 '타깃형 광고' 시장의 침체다. 지난 8월 유럽연합(EU)은 디지털 서비스법(DSA, Digital Services Act)의 신규 가이드라인을 시행한 바 있다. DSA는 디지털 서비스 이용자 권리 강화를 위한 법안으로, △구글 △아마존 △애플 △메타 등 빅테크 플랫폼 기업을 주요 규제 대상으로 삼고 있다. 맞춤형 광고로 수익을 올리던 이들 기업은 DSA 시행 이후 광고 수익성 확보에 난항을 겪게 됐다. 구글 입장에서는 이전처럼 많은 인력을 광고 사업에 투입할 이유가 사라진 셈이다.

디 인포메이션은 구글의 이번 조직개편이 광고사업부 인력의 상당 부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차후 구글이 주요 광고주를 관리하는 판매 부서의 직원을 재배치하거나 통합할 예정이며, 여기에는 해고 가능성도 포함돼 있다는 설명이다. 구조조정의 규모와 세부 사항에 관한 공식 발표는 다음 달에 이뤄질 예정이다. 한편 구글은 올해 초에도 전 직원의 6%인 1만2,000명을 해고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인력 개편이 현실화할 경우 1년 만에 또다시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지는 셈이다.

빅테크 줄줄이 쓰러진다, '타깃형 광고' 시장의 침체

업계에서는 타깃형 광고의 쇠락이 이번 구조조정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실제 DSA의 사정권 안에 든 다수의 빅테크 기업이 광고 수입 감소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DSA 규제의 '직격탄'을 맞은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메타(Meta)가 있다. 아일랜드와 독일 등 EU 국가들은 메타가 광고를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사전 동의를 제대로 얻지 않았고 판단, 과징금을 부과하고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ECJ(유럽사법재판소)는 메타가 사용자들의 사전 동의를 제대로 받지 않을 경우 맞춤형 광고를 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유럽 시장 내 광고 수익에 큰 타격을 입은 메타는 자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Facebook)과 인스타그램(Instagram)의 '광고 없는 유료 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광고 규제로 인해 감소한 수익을 메꾸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메타가 해당 계획을 발표한 직후, 유럽데이터보호위원회(European Data Protection Board, EDPB)는 광고 목적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조치를 승인했다. 사실상 EU가 메타의 행보를 상시 예의주시하고 있는 셈이다.

거대 빅테크 기업이라고 해도 당국의 규제를 이길 수는 없다. 한때 광고 시장을 휩쓸었던 '타깃형 광고'는 단가가 나오지 않는 애물단지로 전락했고, 수많은 기업이 타깃형 광고 시장에서 발을 뺐다. 구글 역시 마찬가지 상황에 놓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전과 같은 수익성이 나오지 않는 사업에 인력을 투자할 이유는 사실상 없다. 업계에서는 구글이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AI로 인력의 빈자리를 대체, 관련 시장 투자를 서서히 줄여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초음속 자기부상 열차 '하이퍼루프원' 운영 중단 "하이퍼루프 프로젝트 전망도 불투명"

초음속 자기부상 열차 '하이퍼루프원' 운영 중단 "하이퍼루프 프로젝트 전망도 불투명"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이미 로스엔젤레스 사무실 폐쇄, 직원들에게도 고용 종료 통보
사업비 충당 위해 투자 유치 노력했지만 번번히 실패하며 자금난 빠져
보링컴퍼니 포함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하이퍼루프 건설 시도는 계속될 전망
버진하이퍼루프원_하이퍼루프원_20231228
사진=버진 하이퍼루프원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회장이 운영하는 버진 하이퍼루프원이 이달 내에 폐업할 예정이다. 이로써 도로의 지하를 수많은 튜브로 연결해 사람과 화물을 초고속으로 운송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꿈이 무산될 거란 전망이 나온다. 2013년 일론 머스크가 제안한 하이퍼루프는 진공 상태의 지하 튜브를 초음속으로 통과할 수 있는 자기부상 열차로, 차세대 운송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6월 하이퍼튜브를 미래 핵심 기술로 개발하기 위한 로드맵을 수립한 상태다.

리처드 브랜슨의 ‘버진 하이퍼루프원' 운영 중단

21일(현지 시간) 미국 IT 매체 더 버지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버진 하이퍼루프원은 200여 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테스트 트랙과 장비 등 회사 자산을 매각하고 있다. 현재 로스앤젤레스의 본사 사무실도 폐쇄한 상태며, 남은 직원들에게도 오는 31일 고용을 종료한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산이 완료되면 모든 지적 재산은 대주주인 두바이 항만 운영사 DP월드로 이전될 예정이다.

버진 하이퍼루프원은 일론 머스크가 하이퍼루프 기술에 대한 비전을 설명하는 백서 ‘알파 페이퍼’를 공개한 다음해인 2014년 ‘하이퍼루프 테크놀로지’라는 이름으로 설립됐다. 이후 2016년 브랜슨 회장이 인수한 뒤 미국 네바다주에 테스트 시설을 짓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했고, 2020년에는 실제 승객을 태워 운송하는 성과를 냈다.

그러나 2017년 공동 창업자 브로건 밤브로건의 방해 행위로 인한 소송 합의를 비롯해, 또 다른 공동 창업자인 셰르빈 피셰바의 성폭행 및 부정행위 등의 내부적인 부침을 겪으며 몰락의 길을 걸었다. 이후 막대한 사업비를 충당하기 위해 투자 유치 나섰지만 번번히 실패하면서 현금 부족에 시달렸고, 결국 올해 운영을 중단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 더 버지는 "도로의 지하를 수많은 튜브로 연결하며 사람과 화물을 초고속으로 운송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꿈은 종말을 피하기 어려워졌다”고 전했다.

루프터널_보링컴퍼니_20231228
보링컴퍼니가 굴착 및 운영 중인 라스베가스 루프 터널/사진=보링컴퍼니

미국은 물론, 한국서도 하이퍼루프 기술 개발에 한창

하이퍼루프원은 운영 중단을 결정했지만 머스크의 하이퍼루프 프로젝트는 계속되고 있다. 머스크가 설립한 터널굴착기업 보링컴퍼니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지하 고속터널을 만들어 하이퍼루프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보링컴퍼니에 따르면 라스베이거스에 4,860만 달러(약 631억원)의 예산을 들여 컨벤션 센터 아래 2.2마일(약 3.5km)의 루프를 구축할 예정이다.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승객 3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정거장이 클락 카운티와 라스베이거스 시내에 각각 60개, 21개 생겨나게 된다. 이미 라스베이거스 시의회가 해당 프로젝트를 만장일치로 승인한 만큼 진행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하이퍼루프를 건설하려는 시도가 한창이다. 민간기업 주도로 이뤄지는 미국과 달리 국내에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도하에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다르면 2020년 하이퍼루프를 17분의 1로 축소한 모형 시험을 통해 시속 1,019㎞ 주행에 성공했다. 정부는 모형 주행에 성공한 경험을 토대로 하이퍼루프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시장의 선점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 내년 과기정통부의 예비타탕성조사 통과 후 2025년 전북 새만금 등 테스트베드에서 1차로 시험 주행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후 2차 단계에선 12㎞의 본 시험선로를 건설하는 1조원 규모의 사업을 진행해 관련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민간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 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국가는 한국과 중국 두 나라뿐이고, 이미 우리나라가 어느 정도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쟁력을 갖춘 하이퍼루프 기술을 바탕으로 추후 수출 활성화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해외 DS] 검색엔진, 가짜뉴스에 대한 믿음 증폭시켜 (1)

[해외 DS] 검색엔진, 가짜뉴스에 대한 믿음 증폭시켜 (1)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수정

검색엔진 사용으로 거짓 정보 믿을 확률 20% 증가
검색어에 따라 거짓 정보 노출 빈도 달라져
데이터 리터러시가 핵심, 검색 능력 제고 필요

[해외DS]는 해외 유수의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저희 데이터 사이언스 경영 연구소 (GIAI R&D Korea)에서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How_search_engines_boost_misinformation
사진=Scientific American

"직접 조사해 보세요"라는 문구는 이념적 극단주의자들과 비주류 단체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슬로건이다. 저명한 음모론자인 밀턴 윌리엄 쿠퍼는 1990년대에 자신의 라디오 쇼를 통해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일루미나티 조직, 외계 생명체 등의 음모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이 구호를 처음으로 주류로 끌어들였다. 쿠퍼는 2001년에 사망했지만, 그의 유산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라디오 진행자 알렉스 존스의 팬, 백신 반대 운동가, 큐어넌(QAnon)의 복잡한 대체 현실을 믿는 추종자들은 종종 회의론자들에게 직접 조사해 보라고 권유한다.

아이러니하게도 많은 주류 그룹에서도 팩트체크의 방법으로 똑같은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옹호자들과 온라인 허위 정보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은 때때로 이상하거나 현실과 맞지 않는 뉴스를 접할 때 최선의 조치는 직접 조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일례로 2021년에 미국 의무총감은 건강 관련 정보의 타당성이 궁금한 사람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검증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색 엔진에 해당 주장을 입력"하라고 권장하는 가이드를 발표하기도 했다. 게다가 도서관 및 연구 가이드에서는 종종 사람들에게 구글에서 검색하거나 다른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정보를 조사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시간이 흐르고 화제성이 높아도 검색엔진 통해 허위 정보 믿음 증가

하지만 지난 21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뉴스의 사실 여부를 평가하는 데 검색 엔진을 사용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허위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를 더 쉽게 믿었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 확인을 위해 검색엔진을 활용하면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을 것이라는 통념과는 반대되는 분석이다.

2019년 말부터 2022년 사이에 실시된 다섯 가지 실험에서 연구진은 총 3천6명의 온라인 참가자에게 시의성 있는 뉴스 기사(48시간 이내로 발행된 기사)를 '진실', '거짓', '불분명' 등으로 분류하도록 요청했다. 참가자 중 일부는 기사를 분류하기 전에 검색 엔진을 사용하라는 메시지를 받았지만, 대조군은 그렇지 않았다. 동시에 6명의 팩트체크 전문가가 기사를 평가하여 응답자들의 답변에 최종적인 판단을 내렸다.

실험 결과 여러 테스트에서 비전문가 응답자들은 온라인 검색을 권장받은 후 허위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를 사실로 평가할 확률이 약 20% 더 높았다. 이러한 패턴은 주제의 화제성과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이 주목받고 많이 보도된 뉴스 주제가 그렇지 않은 주제보다 팩트체크 정보를 더 많이 보유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참가자들의 패턴에는 변함이 없었다. 또한 기사가 처음 게시되고 수개월이 지난 시점(더 많은 팩트체크가 유입됐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도 패턴은 유지됐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 가짜뉴스의 키워드는 피해야

검색 자체가 사람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까. 연구진은 참가자들의 특정 검색 행동이 검색 품질을 저해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진은 참가자들의 검색어와 해당 검색어의 구글 검색 결과의 첫 페이지에 제공된 링크를 추적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3분의 1 이상이 거짓된 기사를 자세히 알아보려 할 때 잘못된 정보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는 참가자들의 검색어가 잘못된 정보를 유발하는 경우에 더 두드러졌다. 참가자들이 팩트체크를 위해 시도한 10건 중 1건의 검색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기사의 제목이나 URL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검색 결과의 절반 이상이 잘못된 정보로 이어졌다.

위 실험에서 사용된 가짜뉴스 중 하나는 "코로나 봉쇄와 백신 접종 명령으로 올겨울 기근과 불안이 확산할 수 있다. 미국은 인위적인 기근에 직면했다"라는 제목을 가졌다. 참가자들이 저품질 뉴스에서 주로 사용하는 '인위적인 기근'이라는 고유 용어를 검색할 때, 검색 엔진의 결과 중 63%가 신뢰할 수 없는 정보였다. 그러나 '인위적인'이라는 단어를 제외한 검색에서는 잘못된 정보가 검색되지 않았다.

연구의 주요 저자인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학의 케빈 애슬렛(Kevin Aslett) 교수는 "사람들이 이처럼 순진한 검색 전략을 사용한다는 점이 예상 밖이었다"라며 우려했다. 이번 연구는 검색 엔진이 검색 능력이 낮은 사람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아울러 검색엔진은 가짜뉴스를 검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데이터 공백'(data voids)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 DS] 검색엔진, 가짜뉴스에 대한 믿음 증폭시켜 (2)로 이어집니다.


How Search Engines Boost Misinformation

Data voids in search results can lead down rabbit holes that bolster belief in fake news

“Do your own research” is a popular tagline among fringe groups and ideological extremists. Noted conspiracy theorist Milton William Cooper first ushered this rallying cry into the mainstream in the 1990s through his radio show, where he discussed schemes involving things such as the assassination of President John F. Kennedy, an Illuminati cabal and alien life. Cooper died in 2001, but his legacy lives on. Radio host Alex Jones’s fans, anti-vaccine activists and disciples of QAnon’s convoluted alternate reality often implore skeptics to do their own research.

Yet more mainstream groups have also offered this advice. Digital literacy advocates and those seeking to combat online misinformation sometimes spread the idea that when you are faced with a piece of news that seems odd or out of sync with reality, the best course of action is to investigate it yourself. For instance, in 2021 the Office of the U.S. Surgeon General put out a guide recommending that those wondering about a health claim’s legitimacy should “type the claim into a search engine to see if it has been verified by a credible source.” Library and research guides, often suggest that people “Google it!” or use other search engines to vet information.

Unfortunately, this time science seems to be on the conspiracy theorists’ side. Encouraging Internet users to rely on search engines to verify questionable online articles can make them more prone to believing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udy published today in Nature. The new research quantitatively demonstrates how search results, especially those prompted by queries that contain keywords from misleading articles, can easily lead people down digital rabbit holes and backfire. Guidance to Google a topic is insufficient if people aren’t considering what they search for 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n five different experiments conducted between late 2019 and 2022, the researchers asked a total of thousands of online participants to categorize timely news articles as true, false or unclear. A subset of the participants received prompting to use a search engine before categorizing the articles, whereas a control group didn’t. At the same time, six professional fact-checkers evaluated the articles to provide definitive designations. Across the different tests, the nonprofessional respondents were about 20 percent more likely to rate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as true after they were encouraged to search online. This pattern held even for very salient, heavily reported news topics such as the COVID pandemic and even after months had elapsed between an article’s initial publication and the time of the participants’ search (when presumably more fact-checks would be available online).

For one experiment, the study authors also tracked participants’ search terms and the links provided on the first page of the results of a Google query. They found that more than a third of respondents were exposed to misinformation when they searched for more detail on misleading or false articles. And often respondents’ search terms contributed to those troubling results: Participants used the headline or URL  of a misleading article in about one in 10 verification attempts. In those cases, misinformation beyond the original article showed up in results more than half the time.

For example, one of the misleading articles used in the study was entitled “U.S. faces engineered famine as COVID lockdowns and vax mandates could lead to widespread hunger, unrest this winter.” When participants included “engineered famine”—a unique term specifically used by low-quality news sources—in their fact-check searches, 63 percent of these queries prompted unreliable results. In comparison, none of the search queries that excluded the word “engineered” returned misinformation.

“I was surprised by how many people were using this kind of naive search strategy,” says the study’s lead author Kevin Aslett, an assistant professor of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It’s really concerning to me.”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플랫폼법 앞세워 '네이버·카카오' 숨통 조이는 정부, 누굴 위한 규제인가

플랫폼법 앞세워 '네이버·카카오' 숨통 조이는 정부, 누굴 위한 규제인가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文 정부 '온플법' 승계하나, 되살아난 '플랫폼 사전 규제' 논의
국내 플랫폼 기업 잡는 플랫폼법, 플랫폼·투자업계 "시장 후퇴다"
유럽의 '초강력 플랫폼 견제' 무작정 흡수한 정부, 이대론 안 된다
플랫폼_사전규제_VT

공정거래위원회의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가칭, 이하 플랫폼법)'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플랫폼법이 문재인 정부 당시 추진된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온플법)'보다 한층 강력한 플랫폼 규제안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리면서다. 현 정부 기조인 '자율규제'와는 상반되는 규제 법안이 추진되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정부가 토종 플랫폼 기업의 발을 묶으며 되려 해외 기업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플랫폼 '사전 규제' 골자, 온플법의 부활인가

플랫폼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사실상 카카오, 네이버 등 독점적 플랫폼을 '지배적 사업자'로 사전 지정해 규제하는 것이 플랫폼법의 골자라고 본다. 시장에서 불공정으로 해석될 수 있는 행위들을 정부가 나서 선제적으로 저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사전 규제 대상이 된 플랫폼 기업들이 차후 서비스 혁신에 난항을 겪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플랫폼 업계는 이전 정부에서 추진했던 온플법의 악몽을 떠올리고 있다. 온플법은 플랫폼 사업자의 우월적 지위 남용을 금지하기 위한 '사전 규제'를 강조하는 법안이다. 당초 시장은 온플법이 정권 교체 이후 폐기 수순을 밟을 것이라 전망해 왔다. 하지만 이번 플랫폼법 추진으로 인해 상황이 뒤집혔다. 정부가 플랫폼법을 앞세워 다시 한번 플랫폼 기업 사전 규제 논의에 불을 지핀 것이다.

플랫폼법은 미국 기업 견제에 중점을 둔 유럽식 규제 모델을 벤치마킹했다. △자사 우대 △끼워팔기 △멀티호밍 제한 △최혜대우 요구 등을 적극 규제하는 방식이다. 유관부처 등은 플랫폼법이 온플법보다 한층 강력한 규제안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대다수 국내 대기업이 플랫폼법 규제 영향권에 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플랫폼 업계 '비상', 반대 의견 쏟아져

플랫폼법 시행 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은 국내 플랫폼 기업의 핵심 수입 창출로인 '멤버십 무료 서비스'다. 멤버십 전용 할인·적립 혜택을 제공하는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등 단순 혜택형 구독 서비스는 물론 △무료배송 △무료 반품 △쿠팡플레이 이용권 △쿠팡이츠 할인 등 계열사 혜택을 결집한 쿠팡 와우 멤버십 역시 끼워팔기·자사 우대 규제의 직격탄을 맞게 된다.

규제_V-1

이렇다 보니 업계에서는 플랫폼법에 대한 반대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국내 IT 협회 연합체인 디지털경제연합은 지난 18일 입장문을 통해 "최근 경제 불황과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는 합리적 소비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근거에 기반하지 않은 섣부른 사전규제는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며 우려를 드러냈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역시 "근거 없는 섣부른 사전규제는 불필요한 물가 상승을 초래하고, 영세 사업자의 판로를 잃게 해 소비자 후생의 후퇴를 유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온라인 플랫폼 스타트업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등극을 이끌었던 국내 벤처투자자들 역시 반대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 지난 21일 이준호 소프트뱅크밴처스 대표는 “공정위의 온라인 플랫폼 법률안이 통과될 경우, 우리는 더 이상 혁신적인 스타트업인 네이버나 배달의민족, 쿠팡 같은 기업을 한국에서 목격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추진되는 플랫폼경쟁촉진법이 그대로 도입되면 토종 기업 생태계의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외국 플랫폼 기업이 반사이익을 보며 국가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EU와 한국은 다르다, '무조건 벤치마킹'의 허점

실제 시장에서는 사전 규제가 국내 플랫폼 기업들의 '족쇄'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과도한 규제는 국내 플랫폼 시장 전반의 침체를 야기하고, 거대 자본을 앞세운 미국 빅테크 기업의 국내 시장 잠식을 가속화할 뿐이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무조건적인 'EU(유럽연합) 따라하기'식 규제안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EU와 국내 플랫폼 시장은 상황 자체가 다르다는 것이다.

유럽 플랫폼 시장의 경우 GAFA(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로 꼽히는 글로벌 기업에 이미 점령당한 상태다. EU의 강력한 선제적 규제는 어디까지나 이들의 횡포를 막기 위한 '견제'의 성격이다. 반면 한국은 이들 글로벌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자국 대형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단순 견제를 넘어 국내 시장을 두고 글로벌 대형 플랫폼과 '경쟁'을 벌여야 하는 입장인 셈이다. 국내 기업의 손발을 묶으면 결국 시장 경쟁에서 국가적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국내 거대 플랫폼 기업이 독과점으로 인해 국내 시장의 혼란을 야기한 것은 사실이다. 업계 역시 일부분 규제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만 시야를 고정해서는 안 된다. 현재 글로벌 시장의 중심축은 '플랫폼'이며, 탄탄한 자국 플랫폼은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열쇠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섣부른 플랫폼 규제는 결국 거대 글로벌 기업과 싸우기 위한 '무기'를 스스로 꺾는 악수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지정학적 긴장에 글로벌 사업화 제동 걸린 中 센스타임, ‘창업자 부재’로 연일 주가 하락

지정학적 긴장에 글로벌 사업화 제동 걸린 中 센스타임, ‘창업자 부재’로 연일 주가 하락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상장 이래 최저가 기록, 더딘 주가 회복
‘중국 내 한정’ 시장 인지도·성장성
글로벌 사업화 도전 문턱에서 제동
231226센스타임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센스타임 본사/사진=센스타임

중국 최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센스타임(商湯科技)의 주가가 연일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창업자인 탕샤오어우 교수의 부고 소식에서 비롯된 이번 주가 하락은 18일 18% 이상 급락을 기록한 후 1홍콩달러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 AI 학계의 권위자이자 센스타임의 상징과도 같았던 탕 교수의 부재 여파가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룬다.

1년 사이 50% 넘게 빠진 주가

지난 22일 홍콩 증권거래소에서 센스타임은 전 거래일 대비 6.09% 하락한 1.08홍콩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센스타임의 주가는 탕 교수의 부고 소식이 알려진 이후 첫 거래일인 18일 급락해 줄곧 1.1홍콩달러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올해 1월과 비교해 50% 넘게 하락한 수준이며, 같은 기간 홍콩 항셍지수(-18.89%) 낙폭의 2배를 훌쩍 웃도는 하락세다. 시장은 투자자들이 탕 교수의 부고 소식과 함께 ‘패닉셀(공황매도)’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했다.

18일 상장 이래 최저가를 기록했던 센스타임의 주가는 일주일이 지난 지금까지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시장은 올해 홍콩 증시의 약세와 센스타임의 적자 행진, 창업자 부재라는 삼박자가 맞물리며 패닉셀의 회복이 늦어진 것으로 풀이했다. 실제로 전 세계적 AI 열풍이 불었던 올해 상반기 센스타임의 주가는 4월 11일 3.7홍콩달러까지 치솟은 바 있지만, 7월을 기점으로 꾸준히 하향세를 그려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내에서는 센스타임의 실적이 개선될 여지가 큰 만큼 주가 또한 반등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천멍주 궈하이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거시 경제의 회복 속도가 다소 느리긴 하지만, 센스타임의 전반적인 실적이 견조한 모습을 보이는 데다 생성형 AI 관련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전망에 반기를 들기도 한다. 센스타임의 최대 장점으로 꼽혔던 꾸준한 실적 향상이 신뢰도를 잃었다는 지적이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11월 미국의 공매도 투자사 그리즐리리서치는 보고서를 통해 센스타임이 매출 왕복거래를 통한 허위 실적을 발표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리즐리리서치는 “센스타임은 성장 가능성 없는 안면 인식 소프트웨어 사업과 미래 수익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부 AI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라며 “센스타임의 AI 기술 관련 각종 발표는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쇼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후 센스타임은 공식 입장을 통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내놨지만, 그리즐리리서치의 보고서 발간 직후 4% 넘는 주가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231226안면인식센스타임
센스타임의 안면 인식 AI 서비스 화면 예시/사진=센스타임

안면 인식 기술 비롯 AI 사업 적극 전개

센스타임에 따르면 탕 교수는 이달 15일 오후 11시 45분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회사 측은 17일 공식 성명을 통해 부고 소식을 알리며 “‘혁신을 통해 AI 기반의 더 나은 미래를 창조한다’는 탕 교수의 비전 아래, 센스타임의 모든 구성원이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하고 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항상 영감을 주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박사 출신의 탕 교수와 동료, 제자들은 2014년 안면 인식 알고리즘 가우시안페이스(GaussianFace)를 개발해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훈련을 마친 가우시안페이스가 약 6,000명의 유명 인사 얼굴 사진 1만3,000여 장이 탑재된 LFW(Labled Faces in the Wild) 데이터 세트에서 98.52%의 정확도를 자랑하면서다. 이는 직전 최고 기록이던 97.53%의 정확도를 뛰어넘는 성적으로, 해당 기술로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탕 교수와 동료들은 같은 해 센스타임을 설립했다. 이후 센스타임은 압도적인 시장 인지도와 성장성을 바탕으로 중국 내에서 ‘네 마리의 작은 용’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가파른 사업 성장세를 그리던 센스타임은 2019년 미국 상무부의 무역 블랙리스트에 오르며 사업에 위기를 맞기도 했다. 미 상무부가 안면 인식 및 영상 분석 기술이 중국 정부의 신장 위구르족 감시를 돕고 있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2021년 12월에는 미 재무부의 투자 제한 블랙리스트에도 오르며 자금 확보에도 일부 제동이 걸리기도 했다.

이후 센스타임은 중국 내 대기업과의 협업에 집중했다. 그 결과 알리바바그룹의 지원으로 생성형 AI 사업을 확대했고, 텐센트그룹의 모바일 게임을 활용해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다만 활발한 기술 개발에도 실적은 적자 행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센스타임의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1% 증가한 14억3,000위안(약 2,535억원), 영업 손실은 전년 동기보다 2% 줄어든 31억4,000만 위안(약 5,684억원)을 기록했다.

적극적 기술 개발에도 시장 확대는 ‘먹구름’

계속되는 적자 행진에도 센스타임은 신기술 개발에 꾸준히 자금과 인력을 투입했다. 지난해 8월 출시된 장기 로봇 위안뤄보와 지난 4월 공개된 생성형 AI 센스챗은 이같은 연구의 결과다. 이 중 센스챗은 중국 최초의 1,000억 매개변수 기반 대형언어모델(LLM)로 텍스트 편집, 스마트 파트너, 종합 지식 데이터베이스, 수학 컴퓨팅, 프로그래밍 비서 등을 제공한다. 센스타임은 센스챗이 출시와 동시에 금융, 의료, 자동차, 부동산, 에너지, 미디어, 산업 제조 등 산업 전 분야에서 500곳 이상의 협력사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들 협력사 대부분이 중국 내 기업인 탓에 투자 수익 대비 매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룬다.

업계에서는 센스타임이 지정학적 긴장의 희생양이 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의 목소리가 줄을 잇고 있다. 적극적인 기술 개발에도 글로벌 사업화의 도전을 넘어서지 못한 센스타임이 회사의 매출 하락은 물론 주가 하락으로 인한 투자자들의 원성까지 모두 감내하고 있다는 것이다. 센스타임 역시 이같은 현실에 유감을 표한 바 있다. 미 재무부의 투자 제한 블랙리스트 등재 소식 직후 센스타임은 “미국이 제시한 혐의는 근거가 없고, 우리 회사에 갖고 있는 근본적 오해를 반영한다”고 지적하며 “우리는 전개 중인 사업에 있어 각국 사법권 내 관련법과 규정을 모두 준수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회사와 주주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AI의 파괴적 혁신, 벤처캐피탈의 종말 부를까?

AI의 파괴적 혁신, 벤처캐피탈의 종말 부를까?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챗GPT, 바드 등의 등장으로 생성형 AI에 대한 투자 확대
펀드레이징, 딜 소싱, 실사 등에 AI 기술 활용사례 늘어나
애널리스트 등 투자회사 기능을 AI가 대체할 가능성 제기

올해 생성형 AI가 모든 것을 혁신할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VC(벤처캐피탈)들은 AI 프로젝트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부었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투자에 특화된 AI 플랫폼들이 등장하면서 VC 업계 자체도 AI 도입에 따른 파급효과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VC랩 '데실 베이스' 등 투자 업계 전반에 AI 기술 도입

이달 초 VC랩은 벤처 캐피탈에 특화된 AI 툴 '데실 베이스(Decile Base)'를 출시했다. '투자자를 위한 챗GPT'를 표방하며 출시한 데실 베이스는 펀드레이징, 수수료 관리, 밸류에이션과 실사에 이르기까지 VC 운용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를 지원하는 지식 베이스의 AI 플랫폼 서비스다. 데실 베이스 이전에도 이미 금융산업은 AI와 뗄 수 없는 가까운 관계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밸류체인의 모든 영역이 디지털화되는 추세인 데다 데이터 의존적인 금융산업의 특성이 반영되면서 로보어드바이저, 챗봇, 상품 추천, 이상거래 탐지, 신용평가와 여신 심사 등에 다양한 방식으로 AI 기술을 도입·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금융업 중에서도 특히 투자 업계는 대량의 디지털 데이터, 비용 효율화에 대한 회사의 니즈, 이미 널리 보급된 자동화·계량화된 매매방식 등으로 인해 로보어드바이저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로 AI 기술을 수용하고 있다.

decile hub
출처=VC랩 데실베이스 플랫폼

VC의 일부 핵심 기능에 AI를 활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분명하다. 거대언어모델(LLM)은 사람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산더미처럼 쌓인 데이터를 선별 및 분류할 수 있다. AI 데이터 분석은 투자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딜 소싱과 실사를 간소화하면 투자자가 포트폴리오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결정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AI의 사용범위가 확대되면 소규모 투자회사나 신생 VC들은 거대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소싱 능력을 확보해 경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이는 VC 산업 전반을 평등하고 공정하게 민주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점만 보면 AI 기술이 VC 업계에 이득이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서 한 가지 간과한 것이 있다. 생성형 AI가 인간의 수많은 업무를 대체하듯이 VC의 기능 자체를 대체하는 데도 그다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더욱이 생성형 AI는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다. VC들은 수년 전부터 딜 소싱과 관련해 특화된 기술을 도입해 왔다. 일례로 EQT 벤처스(EQT Ventures)는 지난 2016년에 이미 AI 플랫폼인 '마더브레인(Motherbrain)'을 출시했고, 시그널파이어(SignalFire)는 알고리즘을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류·분석해 투자 기준에 맞는 스타트업을 선별하고 있다.

AI 기술 활용하면서 스타트업 인력구조·투자수요에도 변화

올해 초에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초기 스타트업 전문 VC인 NFX의 설립자 제임스 커리어(James Currier)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의 VC는 앞으로 10년이면 끝날 것"이라며 "AI가 스타트업 산업을 재편하고 투자 업계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함에 따라 VC 부문의 종사자 수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셜 캐피탈(Social Capital)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차마스 팔리하피티야(Chamath Palihapitiya)도 '올인 팟캐스트'에 출연해 "VC는 자동화시스템으로 대체되면서 VC 업계의 애널리스트나 펀드매니저 같은 직업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AI 기술이 확대되면서 스타트업의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팔리하피티야 CEO는 "앞으로는 AI가 스타트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더 적은 인원으로도 운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소프트웨어 유니콘 기업이 영업, 고객 서비스, 심지어 코딩까지 대체하는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를 사용할 경우 3~5명 규모의 팀만으로도 회사를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최근 VC의 투자를 유치한 풀사이드(Poolside)같은 스타트업들은 AI를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AI를 통해 스타트업 운영에 필요한 인력과 재원이 줄어들면 확보해야 할 투자금의 규모가 지금보다 훨씬 줄어들게 되고, 나아가 VC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게 된다. 즉 투자시장에서 자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현재 운영되는 수천 곳의 VC 중 다수가 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살아남은 VC들의 규모가 더욱 작아질 경우 실사, 딜 소싱, 지원 업무 등을 담당하는 애널리스트의 역할도 사라질 수도 있다. 이미 투자 업계에서는 AI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증명한 연구들이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실험이 대표적이다. 지난 2020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알고리즘을 통한 투자와 엔젤 투자자 255명의 수익률을 비교해 그 차이를 확인한 바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투자 알고리즘 수익률은 7.26%인 데 반해 엔젤 투자자의 수익률은 2.5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투자 알고리즘보다 노련한 엔젤 투자자의 수익률 높아

많은 사람들이 머지 않은 미래에 AI가 인간을 대체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VC 업계도 이를 피해 가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일부 VC만이 생존에 성공하고 살아남는 투자회사들은 AI의 역량으로 활용해 최고의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 10년 후에는 창업자들이 사람 대신 챗GPT나 구글 바드(Bard)를 통해 자본을 유치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AI 기술이 VC 업계를 재편할 수는 있겠지만 완전히 인간 투자자들을 대체할 수는 없을 것이란 목소리도 나온다. 그도 그럴 것이 앞서 언급한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보면 투자 알고리즘의 수익률이 인간 투자자를 능가했지만, 경험이 많은 엔젤 투자자와 투자 알고리즘을 비교했을 때는 엔젤 투자자의 수익률이 22.75%로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단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대부분 데이터에 의존하는데 이 경우에는 AI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분석할 만한 데이터가 없고 때로는 아이디어가 전부인 시드와 초기단계 스타트업에 대해서는 AI가 탐색하는 데 한계가 있다. 숫자를 넘어 파괴적인 아이디어의 잠재력을 찾아내는 능력은 적어도 현재로서는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기술인 셈이다. 현재 겪고 있는 경기 침체와 같이 예상치 못한 사건이나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대해 AI가 얼마나 잘 적응할 수 있을지도 아직은 미지수다.

더욱이 AI에게 투자에 대한 결정을 맡길 경우, 투자자들은 알고리즘의 동일한 신호에 의존하게 되고 지금보다 훨씬 더 강력한 집단심리를 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 업계 전반에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게리 겐슬러(Gary Gensler) 의장은 지난 7월 금융 시스템에 대한 AI의 영향에 대한 연설에서 "대부분의 AI 투자 모형은 유사한 데이터나 비슷한 로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상호 연결성이 강화된 상황에서 AI 알고리즘이 투자자 간의 동조성을 강화해 집단심리를 조장하게 되면 금융위기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