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운임 인상 요구하는 시외·고속버스 업계, KTX 요금 정상화가 '선행조건'

운임 인상 요구하는 시외·고속버스 업계, KTX 요금 정상화가 '선행조건'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국토부, 시외·고속버스 경영 개선 위해 연구용역 발주
관련 업계 "KTX 요금 안 올리면 소용없다"
한국철도공사, KTX·일반 철도 운임 인상 고려 중 

정부가 시외버스 경영 개선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하면서 시외·고속버스 요금 인상 검토에 나섰다. 다만 관련 업계에서는 오랜 기간 요금 인상이 없었던 고속철도(KTX) 요금의 현실화가 선행돼야 시외·고속버스 요금 인상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정부, 시외·고속버스 업계 상황 검토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시외버스 경영 개선 방안에 대한 검증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앞서 버스연합회가 시외·고속버스 운임 인상을 신청한 것에 따른 조치다. 국토부는 버스연합회의 운임 조정안이 타당한지 검증하기 위해 시외버스 운송 원가, 수입 등 경영 상태를 조사·분석할 계획이다.

버스업계가 요금 인상을 요구한 이유는 코로나19 시기에 줄어들었던 매출액을 지금도 회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전이었던 2019년 1조3,896억원 수준이었던 시외버스 매출액은 2023년 9,875억원으로 28.9% 감소했다. 같은 기간 고속버스 매출액도 7,062억원에서 5,569억원으로 21.1% 급감했다.

시외·고속버스 요금이 마지막으로 오른 건 2023년 7월(5% 인상)이다. 2022년 11월 버스 요금을 평균 5% 인상한 이후 8개월 만의 추가 인상이었다. 당시 정부는 업계의 요청을 받아들여 10% 인상을 결정했지만, 물가 부담을 고려해 두 차례로 나눠 인상을 단행했다.

KTX 대비 가격 경쟁력 낮아

다만 관련 업계에서는 장기간 동결돼 있던 KTX 요금이 오르지 않는 이상 시외·고속버스 운임 인상 효과는 사실상 미미할 것이라는 평이 나온다. KTX 요금은 2011년 12월 이후 14년 동안 한 번도 오르지 않았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24.2%, 수도권 전철 요금은 56%, 서울 시내버스 요금은 67%, 택시 기본요금은 100% 올랐다.

실제 운임을 확인해 보면 서울~부산 일반실 기준 KTX 운임은 14년째 5만9,800원에 머물러 있다. 반면 서울~부산 고속버스 운임은 우등 기준 2012년 3만2,600원에서 2023년 기준 4만9,700원까지 뛰었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KTX와 시외·고속버스 요금의 차이가 줄어들다 보니, 소비자들이 조금 더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KTX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었다"며 "근본적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시외·고속버스 업계도 경영난으로 요금 인상을 원하고 있는데, KTX 요금이 함께 인상돼야 명분이 생긴다"고 덧붙였다.

사진=한국철도공사

코레일 "운임 인상 불가피하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도 KTX 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내부 검토를 진행 중이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지난 25일 기자간담회에서 “2011년 12월 이후 14년째 동결된 철도 운임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여러 자구 노력에도 전기 요금과 임금 등 원가가 크게 오른 데다, 부채 증가에 따른 이자 비용의 영향으로 재무 건전성에 한계가 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코레일이 납부하는 전기 요금은 2021년 3,687억원에서 지난해 5,796억원으로 57.2% 급증했다. 코레일의 누적 부채는 지난해 말 약 21조원(부채비율 265%)에 달하며, 1년에 지출하는 이자 비용은 4,130억원(하루 11억3,000만원) 수준이다. 코레일이 지난해 KTX-청룡을 도입하고 9개 노선을 개통하면서 역대 최대의 여객 매출을 올렸음에도 불구, 1,114억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기록한 이유다.

코레일은 KTX 운임을 17%, ITX-새마을 등 일반 철도 운임을 10%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같은 방안이 현실화할 경우 서울-부산 일반실 기준 운임은 1만170원 인상된다. 다만 기획재정부가 KTX를 비롯한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만큼, 실제 인상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동아시아포럼] 미중 교류의 장으로 변모한 ‘중국 플랫폼’

[동아시아포럼] 미중 교류의 장으로 변모한 ‘중국 플랫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미국인들, 틱톡 대체재로 ‘레드노트’ 선택
미중 ‘문화 교류의 장’으로 변모
플랫폼 분리 없이 ‘AI 활용 검열’ 검토해야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미국에서 틱톡(TikTok) 사용이 금지되며 중국 본토의 라이프스타일 앱인 레드노트(RedNote)가 수백만 미국인들의 대체재가 됐다. 지난 1월 단 이틀 만에 백만 명의 신규 가입자가 레드노트로 몰리며 국경을 넘은 돌풍을 일으킨 것이다. 중국 밖에서는 거의 아는 사람이 없던 레드노트는 미국인과 중국인 간 문화 교류의 장으로 빠르게 변했다. 하지만 지금부터 문제는 중국 당국의 전통적인 검열 방식이다. 그간의 방식처럼 레드노트도 국내용과 해외용으로 분리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 것인지 초미의 관심사다.

사진=동아시아포럼

미국인들, 틱톡 금지 후 ‘레드노트’로 몰려

레드노트는 틱톡 금지 조치 이후 갑작스럽게 전 세계적 주목의 대상이 됐다. 소셜 네트워킹과 이커머스 기능으로 일간 활성 사용자가 340만 명에 이르렀는데 대다수가 미국인들이다. ‘틱톡 피난민’ 등의 해시태그를 달고 밈(meme)이나 패션 관련 조언을 주고받으며 미중 교류의 장이 된 것이다. 양국 간 정치적 갈등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일이다.

심지어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취임하며 틱톡 금지 조치가 풀렸는데도 다수의 이용자가 그대로 머물고 있다. 전문가들이 개인정보 보호 및 국가 안보 위험을 경고하고 있지만, 일부 이용자들은 실리콘 밸리도 개인정보 침해와 무관하지 않다며 ‘디지털 냉전’(digital Cold War)이니 하는 말로 위기감을 부추기지 말라고 비판하고 있다. 레드노트가 새로운 문화 교류의 장으로 떠오르며 보다 개방적인 플랫폼을 찾는 이용자들의 방문도 잇따르고 있다.

중국 플랫폼 관리 방식, ‘하나의 앱, 두 개의 시스템’

중국에서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 등이 모두 사용 금지다. 위챗이나 더우인(Douyin, 틱톡의 중국 버전), 웨이신(Weixin, 위챗의 중국 버전) 등 중국 소셜 미디어도 모두 중국인과 외국인 간 대규모 접촉을 금지하는 검열하에서 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인기 플랫폼마저 국내용과 해외용을 구분해 운영하는 ‘디지털 분리’ 정책은 국내 검열을 유지하면서 해외 영향력은 확대하려는 목표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레드노트의 갑작스러운 부상은 중국 당국에 고민거리다. 하루아침에 미국과 중국 사용자가 함께 모여 콘텐츠를 공유하는 플랫폼이 생겨 버린 것이다. 문화 교류의 장이라고 하지만 중국 본토와 홍콩과의 관계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들이 불거질 가능성은 언제든지 있다.

지금까지 중국 정부의 소셜 미디어 규제는 플랫폼을 두 가지 버전으로 나누는 것이었다. 이를 중국 정부의 검열을 준수하는 국내용과 해외 이용자들을 위한 해외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앱, 두 개의 시스템’(one app, two systems)이라고 명명한다. 대표적인 앱이 틱톡-더우인, 위챗-웨이신인데 각자의 고객 필요에 맞춰 잘 적응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중국 정부 ‘세계화 수호자’ 슬로건 “부담”

그렇다면 레드노트도 해외용을 하나 더 만드는 것이 맞지만 상황이 달라졌다. 중국 정부가 세계화의 수호자를 자처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궈자쿤(Guo Jiakun)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중국은 글로벌에서의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해 문화적 교류 활성화를 지원한다’고 선포한 마당에 레드노트를 함부로 분리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앱, 두 개의 시스템’ 정책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선별적 규제다. 사용자의 언어와 IP 주소 등을 기준으로 AI가 검열 기능을 담당한다면 플랫폼을 쪼개지 않고도 중국 내부와 글로벌 이용자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다. 중국 정치권에서도 이미 해당 논의가 진행 중이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AI의 콘텐츠 검열 기능을 확대하는 방안이 지난 1월 정치 회의에서 제안된 바 있다.

‘AI 활용한 검열’, 대안으로 검토해야

여기에 필요하다면 해외 이용자들의 ‘복사 및 붙여넣기’(copy-and-paste)나 번역 기능 사용을 제한해 민감한 콘텐츠가 확산하는 일을 방지할 수도 있다. 플랫폼을 분리하지 않고 정보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길은 분명히 있다.

AI를 활용한 검열은 콘텐츠에 대한 통제를 유지하며 소프트 파워(soft power, 강압에 의하지 않은 영향력)를 키운다는 중국 정부의 목표와도 일치한다. 이를 위해 중국은 알고리즘 관리(algorithmic governance) 역량에 투자해 모든 콘텐츠가 ‘핵심적 사회주의 가치’(core socialist values)와 일치하도록 관리하는 AI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레드노트는 해당 시스템을 시험하고 개선할 절호의 기회며 성공할 경우 다른 플랫폼에도 적용해 중국의 디지털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AI가 티 나지 않게 콘텐츠를 관리한다면 중국 정부는 체제 안정을 유지하면서 세계화의 수호자 이미지를 키워나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레드노트의 급격한 부상은 정치적 갈등과 무관하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에 이용자가 몰린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아무리 지정학적 긴장이 심화한다 해도 국가 간 정보 흐름과 디지털 플랫폼의 대화 기능을 막을 수는 없다. 레드노트 역시 세계인을 연결하는 장으로 만드는 것이 지속 가능하며 바람직한 정책이다.

원문의 저자는 마샹유(Xiangyu Ma) 호주 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박사과정생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RedNote walks China’s digital tightrope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글로벌 신약 기지로 거듭난 中, 라이선스 계약 및 FDA 승인 잇따라

글로벌 신약 기지로 거듭난 中, 라이선스 계약 및 FDA 승인 잇따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MSD, 中 심혈관 치료제 후보물질 독점 계약
노보 노디스크, 차세대 비만약 후보물질 인수
中, 바이오 핵심 기술 분야 연구도 美에 앞서

최근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글로벌 제약사에 신약 기술을 수출하고, 미국에서 신약 허가를 받는 등 잇따라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바이오 연구 분야에서는 핵심 기술의 절반 이상에서 미국을 앞서며 글로벌 바이오산업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중국 바이오산업이 연구개발(R&D)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서 약진하자, 미국은 중국 기업의 미국 현지 사업을 규제하는 ‘바이오보안법(Bio secure Act)’ 발의하며 견제에 나섰다.

글로벌 제약회사와 中 기업 간 거래 이어져

25일(현지시각) 미국 머크(MSD)는 중국 항서제약의 심혈관질환 치료 후보물질인 'HRS-5346'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규모는 선급금 2억 달러(약 2,900억원)를 포함해 총 19억7,000만 달러(약 2조9,000억원)에 달한다. 이번 계약으로 MSD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국가에서 HRS-5346을 개발·제조·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권을 확보했다. MSD 측은 "HRS-5346은 회사의 심장·대사 질환 파이프라인(신약 후보물질군)을 확장하고 보완해 줄 중요한 후보물질"이라고 전했다.

전날 덴마크의 제약업체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도 중국 유나이티드 래버러토리스의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UBT251'을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비만치료제 위고비로 돌풍을 일으킨 노보 노디스크는 이번 계약으로 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을 제외한 국가에서 UBT251의 개발·제조·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권을 확보했다. 계약 규모는 선급금 2억 달러(약 3,000억원)를 포함해 최대 18억 달러(약 2조6,000억원)다. 노보 노디스크는 "UBT251가 기존 비만 치료제를 뛰어넘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제약사와 중국 기업 간 거래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10월 다국적 바이오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중국 CSPC제약그룹과 심혈관질환 치료제 개발과 관련해 19억2,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MSD가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해 중국 한소제약과 2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최근에는 미국에서 신약 허가를 받는 사례도 나왔다. 올해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중국 제약사 베이진의 면역항암제 '테빔브라(티슬리주맙)'를 HER2 양성 위암 1차 치료제로 승인한 것이 대표적이다.

中·美, 바이오 기술 패권 두고 치열한 경쟁

중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세는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금융회사 스티펠(Stifel)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의 라이선스 계약 중 중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2%, 2023년 29%, 2024년 31%로 3년 연속 증가했다. 또한 중국 기업들은 특히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특이항체, CAR-T 세포 치료제 등 첨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지난해 기준으로 글로벌 신약 후보물질의 23%를 개발해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중국이 글로벌 기업의 주요 시장에서 신약 개발 기지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다.

바이오 연구 분야에서 성과도 두드러진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가 최근 5년간 64개 핵심 기술 분야에서 연구 우위를 점한 국가를 분석한 결과, 바이오 분야 7개 핵심 기술(합성생물학, 바이오제조, 신규 항생제·항바이러스제, 유전공학, 유전체시퀀싱·분석, 핵산·방사선의약품, 백신·의료대응기술) 중 중국이 4개 기술에서 1위를 차지해, 3개 기술에서 1위를 기록한 미국을 제쳤다. 특히 합성생물학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기관 10곳을 모두를 보유하고, 영향력 있는 논문 중 57.7%의 비중을 차지하며 2위 미국(13.1%)을 크게 앞섰다.

또 바이오 제조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기관 10곳 중 9곳, 영향력 있는 논문 점유율 28.5%로 2위 인도와 3위 미국을 3배 가까이 앞섰다. 신규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기관 6곳, 영향력 있는 논문 점유율 29.7%를 기록했고, 유전체시퀀싱 및 분석 분야에서도 세계 최고 기관 9곳, 영향력 있는 논문 점유율 35.6%로 미국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반면 미국은 유전공학, 핵산 및 방사선 의약품, 백신 및 의료대응기술 분야에서 1위에 올랐고, 해당 3개 분야 모두 중국이 2위를 기록하며 미국을 추격하고 있다.

美, 中 기업 견제 위해 '바이오보안법' 추진

이 같은 중국 기업의 가파른 성장세에 미국도 견제에 나섰다. 지난해 9월 미국 연방 하원은 중국의 간판 바이오 기업을 안보 위협으로 규정해 제재하는 바이오보안법을 가결했다. 지난해 초 발의된 이 법안은 중국의 대표 바이오 기업을 안보에 우려되는 기업으로 규정하고, 해당 기업과 미국 연방 기관 간의 거래 금지를 골자로 한다. 제재 목록에는 중국 최대 유전자 분석업체인 BGI그룹,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우시바이오로직스, 임상시험수탁기관인 우시앱텍, BGI 자회사인 MGI와 컴플리트지노믹스 등이 포함됐다.

바이오보안법에 따르면 제재 대상에 오른 중국 기업뿐 아니라 해당 기업의 장비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체도 연방 기관과의 거래를 금지하기로 했다. 이들이 미국인의 민감한 바이오·유전자 정보를 중국 공산당에 넘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 법안의 주요 지지자인 공화당 브래드 웬스트럽(오하이오) 하원의원은 "규제 대상에 이름을 올린 중국 기업들은 공산당과 연계돼 미국을 비롯해 글로벌 바이오 기술 산업을 지배하려 한다"며 "이들로 인해 미국인 수백만 명의 데이터가 잠재적인 위험에 빠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규제 대상에 포함된 중국 기업과 이들의 협력 업체들은 해당 법안이 거짓 주장에 근거해 만들어졌으며 공정한 경쟁을 저해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현재 바이오보안법은 상원에 계류 중으로, 상원과 하원 모두로부터 강한 초당적 지지를 받는 만큼 상원 심사를 통과해 법으로 제정될 가능성이 70% 수준이라고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는 내다봤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LG생활건강, 美 에이본 매각 저울질, M&A 실패 사례 되나?

LG생활건강, 美 에이본 매각 저울질, M&A 실패 사례 되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2010년대 공격적인 M&A 전략, 외형 성장 이끌어
2019년 美 진출 위해 1,450억원에 에이본 인수
'방문 판매' 한계 직면, 실적 부진으로 적자 누적
에이본 레이디/사진=에이본

LG생활건강이 미국 손자회사 에이본(The Avon Company)의 매각을 검토 중이다. 과거 차석용 대표이사 부회장 재임 시절, LG생활건강은 적극적인 인수·합병(M&A) 전략을 전개했고 중국 시장 중심의 사업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 미국 진출의 교두보로 에이본을 인수했다. 당시 차 부회장은 28건의 M&A를 성사시키며 회사의 외형 성장을 이끌었지만, 잦은 M&A로 인한 후유증 또한 적지 않았다. 이에 LG생활건강은 지난 2023년부터 부실 계열사를 매각하며 내실화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이본, 130년 역사의 美 방문 판매 기업

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최근 LG생활건강은 에이본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매각 규모는 1,5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당초 LG생활건강은 북미 인프라 확보를 위해 에이본을 사들였으나 실적이 악화되면서 매각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4월 LG생활건강은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서버러스(Cerberus)로부터 에이본(옛 뉴에이본) 지분 100%를 1억2,500만 달러(약 1,450억원)에 인수했다. 이듬해 자회사인 LG H&H USA에 에이본 주식을 100% 현물 출자해 에이본은 LG생활건강의 자회사에서 손자회사가 됐다.

1886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된 에이본은 100년 넘게 '에이본 레이디'라 불리는 판매원들이 가정 방문을 통해 미용 제품을 판매해 왔다. LG생활건강이 인수한 후에도 방문판매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했다. 하지만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 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했던 에이본은 방문 판매 방식이 트렌드와 맞지 않아 실적에 큰 보탬이 되지 못했다. 인수 다음 해인 2020년에는 2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지만, 이후 실적이 악화돼 △2021년 -55억원 △2022년 -470원 △2023년-404억원 △2024년 -280억원으로 적자를 이어갔다.

공격적 M&A로 외형 성장, 부작용도 속출

에이본 인수 당시 LG생활건강을 이끌던 차석용 전 부회장은 2005년 취임해 18년간 회사를 이끈 최장수 최고경영자(CEO)로 'M&A의 귀재'로 불렸다. 특히 그는 중국에서의 성공 신화를 이어가겠다는 구상하에 2010년대 후반부터 미국 시장 진출의 교두보 마련을 위해 대규모 M&A를 진행했다. 2019년 에이본 인수에 이어 2021년에는 염모제 생산업체 보인카를 1,164억원에 인수했고 2022년에는 1,500억원을 들여 색조화장품 제조·유통사 더크렘샵의 지분 65%를 사들였다. 더크렘샵의 경우 5년 후 잔여 지분 35% 매수 옵션이 포함됐다. 이 밖에도 차 부회장은 2022년 실적 악화로 자리에서 물러날 때까지 코카콜라음료, 더페이스샵, 해태음료, 에버라이프 등을 28건의 M&A를 성사시키며 LG생활건강의 사세를 키웠다.

하지만 이 시기 M&A에 대해서는 엇갈린 평가가 나온다. 우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에서의 부진을 북미 시장에서 일부 상쇄하고 외형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는 일견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받는다. 실제 LG생활건강의 지난해 북미 지역 매출은 전년 대비 10.9% 늘어난 6,007억원을 기록한 데 반해 중국향 매출은 6.9% 감소한 2조323억원으로 집계됐다. 더크렘샵의 인수도 성공적이라는 평이다. 더크렘샵은 현지 MZ세대를 공략하며 2022년과 2023년 당기순이익이 2년 연속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문제는 야심 차게 인수한 자회사들의 손상차손으로 전사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손상차손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가치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장부가를 조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인수 이후 실적 부진을 이어온 에이본을 비롯해 보인카는 2022년과 2023년, 2년 연속으로 손상차손을 반영했다. 이 두 회사가 반영한 손상차손 총액은 2022년 2,438억원, 2023년 1,330억원에 이른다.

'저속노화' 트렌드 속에 코카콜라도 부진

부진을 겪는 자회사는 비단 에이본만이 아니다. 최근에는 탄산음료 시장이 위축되면서 코카콜라음료의 실적도 악화됐다. 저속노화 열풍으로 당 섭취를 줄이려고 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수요가 위축된 탓이다. 코카콜라음료 매출 가운데 비중이 높은 제품은 코카콜라, 몬스터에너지, 파워에이드 순이며, 전체 매출에서 탄산음료가 72%, 비탄산 음료가 28%의 비중을 차지한다.

코카콜라음료는 2023년 9년 만에 처음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도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실제로 음료 부문 영업이익이 1,68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1.9% 감소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영업·물류직 고연령 직원들을 대상으로 첫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코카콜라음료의 인력 구조조정은 지난 2007년 회사가 LG생활건강에 인수된 이후 17년 만에 처음이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가격 인상도 단행했다. 지난해 9월 코카콜라음료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음료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 코카콜라의 제품 가격 인상은 약 1년 8개월 만이다. 대표적으로 코카콜라 캔 가격은 기존 2,000원에서 2,100원으로 올랐다. 당시 회사 측은 수입 원·부자재 및 인건비, 제조 비용 상승 등 지속적인 원가 상승 압박으로 부득이하게 가격을 인상했다고 설명했지만, 결국 지난해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성장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EU “러시아 제재 완화 없을 것, 각 가정은 3일 치 생필품 비축 권고”

EU “러시아 제재 완화 없을 것, 각 가정은 3일 치 생필품 비축 권고”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재난에 대응할 적절한 도구 필요”
제재 해제 요구 러시아엔 ‘선 긋기’
우크라 평화유지군 파견 의지 강고

유럽연합(EU)이 범유럽 차원에서 위기에 대비한 새 전략을 발표했다. 특히 러시아의 무력 공격을 염두에 두고 회원국 각 가정에 최소 3일치 생필품을 비축하라고 권고했다. 불안을 조장하려는 의도보다는 직면한 위기의 규모와 과제를 명확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게 EU의 설명이다.

평시 대비 체계 강화에 방점

26일(이하 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전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첫 안보 집행위원단 회의를 열고 ‘위기 대비 연합 전략(Preparedness Union Strategy)’을 채택했다. EU 차원에서 처음 수립된 이번 전략은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사이버·하이브리드 공격, 재난재해 등 광범위한 위기에 대한 범유럽 차원의 대비 계획이다.

위기 대응 능력이 부족한 일부 국가들을 위해 핀란드, 스웨덴, 벨기에 등에서 오랫동안 시행해 온 정책을 참고해 만든 이번 계획은 구체적인 조치와 비입법적 제안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필수 물자의 비축 권고’와 ‘긴급 대피소 확충 및 안내에 대한 지침’ 등이 주요 내용이며, 국경을 초월한 대응 조율하기 위한 ‘EU 위기 대응 허브’ 신설, 위험 예측을 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등도 추진된다.

EU는 이번 계획에 따라 전쟁이나 재난 발생 시 의료, 상수도, 통신 등 서비스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핵심 물자 비축을 진행할 방침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현재 유럽은 새로운 수준의 대비 태세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우리 시민들, 회원국들, 그리고 기업들은 위기를 예방하고 재난이 닥쳤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계획은 유럽 정보기관들이 “러시아가 향후 3~5년 이내에 EU 회원국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는 가운데 나왔다. 앞서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유럽이 냉전 종식 이후 안전을 당연시한 결과 현재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였다”며 평시 대비 체계 강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 이상 기후에 따른 자연재해, 금융 위기와 같은 사회적 위험이 고조되는 상황 또한 반영됐다.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 대표는 “우리는 점점 더 많은 외부 안보 문제와 하이브리드 공격에 직면해 있다”며 “유럽이 더 강해져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고, 위기의 결과를 처리하는 것보다 위기를 예방하는 것이 늘 낫다”고 말했다.

러시아 제재 완화 EU 손에

이날 EU는 러시아가 미국과의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와의 흑해 휴전 조건으로 제시한 제재 완화 조처는 없을 것이란 점도 분명히 했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 23∼25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고위급 실무 회담에 참석한 바 있다. 회담 직후 러시아는 자국 금융 기관을 비롯해 식품, 비료 등에 부과되는 제재 해제가 선결돼야 한다는 조건의 흑해 해상 휴전안에 미국이 동의했다는 주장을 내놨다.

러시아는 당시 회담에서 자국 은행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스위프트·SWIFT)에 다시 연결할 것을 미국에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벨기에 본사를 둔 스위프트는 EU의 관할권에 있다. EU는 러시아 은행과 금융서비스, 러시아 국적 선박과 항공기, 농기계, 에너지 등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제재를 가하며 러시아의 세계 시장 진입을 제한할 수 있었다.

러시아의 입장 발표 직후 아니타 히퍼 EU 외교안보담당 수석 대변인은 입장문을 내고 “우크라이나 전 영토에서 모든 러시아 군대가 조건 없이 철수하는 것이 제재 개정 또는 해제의 주요 전제 조건이 될 것”이라며 “러시아는 불법적이고 도발적인 침략 전쟁을 끝내기 위한 진정한 정치적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러시아가 전쟁을 끝낼 때만 제재를 완화할 것이란 의미다.

미국은 러시아의 요구가 갖는 맹점을 인정하면서도 동의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하지 않았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러시아의 요구 조건은 간단하지 않은 문제”라며 “우리는 (러시아의 요구를) 다각도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만 러시아의 요구 조건 일부는 미국과 무관하며, 이는 유럽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부분”이라고 잘라 말했다.

자체 방어 및 군 구축 추진

유럽은 우크라이나의 휴전을 위한 군사 작전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평화 협정과 우크라이나의 미래 안보 보장을 위한 강력하고 강건한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유럽 내 주요 국가들이 자체 방어와 군을 구축하고, 평화유지군을 파견해 우크라이나 보호를 도울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스타머 총리의 발언은 지난 15일 유럽 등 서방 정상들의 화상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나왔다. 당시 회의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을 비롯해 유럽 국가들과 EU 집행위원회, 캐나다, 뉴질랜드, 튀르키예 등 30여 곳 세계 정상들이 참석했다.

스타머 총리는 프랑스와 주도해 우크라이나 종전 후 평화유지군을 보내기 위한 ‘의지의 연합’을 주창했다. 그는 “우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행동할 때까지 앉아서 기다리지 않을 예정”이라며 “계속 전진할 것”이라고 의지를 다졌다. 아울러 이번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일본을 언급하며 많은 국가가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같은 청사진의 실현 가능성은 다소 불투명하다. 푸틴 대통령은 유럽의 평화유지군 배치에 반대한다는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 또 종전 이후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에 부정적인 미국의 뒷받침이 얼마나 보장될지도 정해진 바 없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미국의 실제 지원 여부와 관련해 질문이 나왔지만, 스타머 총리는 “미국과 매일 논의를 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울고 싶은 회사 뺨 때려준 노조, 현대제철 “전사적 희망퇴직 단행”

울고 싶은 회사 뺨 때려준 노조, 현대제철 “전사적 희망퇴직 단행”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한국 시장 내 ‘몸집 줄이기’ 돌입
노조 갈등 장기화에 생산 일정 차질
중국산 저가 공습에 전기료 인상까지

중국산 철강 과잉공급과 노조의 게릴라 파업으로 이중고를 앓고 있는 현대제철이 전사적 희망퇴직을 단행한다. 과거 일부 공장을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은 있었지만 일반직과 연구직, 기술직 등 모든 직무를 대상으로 한 전사적 희망퇴직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이달 14일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 현대제철은 생산 차질 문제 등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한 타개책으로 미국 생산거점 확보를 선언했다.

“강도 높은 자구책 불가피”

27일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전날 오후 사내 공고문을 내고 이날부터 내달 18일까지 만 50세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사측은 희망자를 중심으로 퇴직 신청을 받고, 이를 개별 검토할 방침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최근 국내외 경영환경이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강도 높은 자구책 없이는 경영 개선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 나온 특단의 조치”라고 이번 희망퇴직 배경을 전했다.

현대제철이 이처럼 경영환경 악화를 토로하는 데는 노조와의 갈등이 한몫을 했다.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노조와의 임금협상이 여전히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측은 1인당 2,650만원(기본급 450%+1,000만원)에 달하는 성과급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현대차·기아와 같은 수준인 1인당 4,000만원(기본급 500%+1,800만원)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이 제시한 방안만 실행해도 현대제철의 지난해 손익은 473억원 흑자에서 650억원 적자로 돌아선다.

양측의 의견 대립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노조는 지난 1월 20일부터 두 달 가까운 기간 총파업과 게릴라(부분·일시) 파업을 지속 중이다. 가장 최근에는 26일 오전 7시부터 당진제철소에서 24시간 총파업을 진행했으며, 이후 임금 협상에서도 성과가 없을 경우 다음 달 8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거듭된 파업으로 회사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노조의 파업에 맞서 당진제철소 일부 직장폐쇄를 결정하면서 냉연 부문에서 파업으로 인해 약 27만 톤(t)의 생산 손실이 발생했으며, 손실액이 254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당진제철소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하면 작년에 생산해 놓은 재고로 올해 상반기 물량을 버텨야 한다”며 “현대제철은 물론, 해당 생산품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계열사와 국내 경제 전반에 타격이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로 생산 방식, 원가 부담↑

현대제철은 이번 희망퇴직에 앞선 지난 14일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한 바 있다. 여기에는 전체 임원 70여 명의 급여 20%를 삭감하고, 해외 출장을 최소화하는 등 비용 절감 방안들이 대거 포함됐다. 중국산 저가 철강재가 국내 시장을 잠식하면서 자사의 경쟁력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실제로 지난해 국내에서 소비된 열연강판 약 611만 톤(t) 중 외국산 비중은 무려 60.9%(약 372만t)에 달했다.

지난해 12월 현대제철이 정부에 열연강판 반덤핑 조사를 촉구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중국 업체들이 내수에서 소화하지 못한 강판을 매우 낮은 가격으로 밀어내면서 국내 철강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이 같은 요청을 받아들여 최근 조사에 착수했다. 무역위는 조사 개시 이후 5개월 이내에 해외 기업의 덤핑을 막기 위해 국내 산업 보호가 필요하다고 예비판정을 내려 잠정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이후 최종 판정을 내리면, 관세 부과가 확정된다.

현대제철이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산 제품에 밀리는 배경에는 비싼 전기 요금으로 인한 원가 부담이 자리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전기로에서 초고장력 강판을 생산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업 중 한 곳으로 꼽힌다. 한국전력에 의하면 지난 2022년 한국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메가와트시(㎿h)당 95.3달러였다. 여기에 지난해 10월에는 산업용 전기 요금이 10.2%(대기업 기준) 넘게 뛰면서 부담을 키웠다.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기업으로선 국내 생산시설 유지에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미국 첫 전기로 일관제철소 건설 계획

현대제철은 위기를 극복할 타개책으로 미국 시장을 주목했다. 미국에 생산거점을 확보하면, 비싼 전기료 등 비용 부담을 줄이는 것은 물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25일 현대제철은 공식 발표를 통해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백악관에서 발표한 총 31조원 규모 미국 현지 공급망 구축 전략에서 한 걸음 더 구체화한 계획이다.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주 어센션패리시에 들어서는 현대제철의 새로운 생산거점은 원료부터 제품까지 모든 공정을 갖춘 일관(一貫) 제철소로 건설된다. 2029년 상업생산이 목표며, 완공 시 연간 생산 능력은 270만 t에 이른다. 현대제철은 자동차 강판을 주력 생산하는 만큼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 그리고 신규 가동되는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와도 인접해 물류비 절감 및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현대제철은 계열사는 물론 미국 완성차 메이커들의 전략 차종에 들어가는 강판도 주력 공급할 방침이다. 미국 철강 시장은 견고한 수요와 높은 가격, 미래 성장성 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나아가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과 유럽 현지 글로벌 완성차 업체까지 공략하는 전초 기지로도 활용될 수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투자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현대차그룹과 공동 투자를 협의 중”이라며 “전략적 파트너사와도 지분 투자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경쟁, '4파전' 구도 확정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경쟁, '4파전' 구도 확정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
더존뱅크·유뱅크 등은 실익 고려해 참여 철회
"케이뱅크도 쩔쩔매는데" 인뱅 사업 관련 의구심 커져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주주 구성/사진=한국신용데이터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소소뱅크 △AMZ뱅크 △포도뱅크 △한국소호은행의 '4파전' 구도가 확정된 것이다. 앞서 제4인터넷은행 경쟁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됐던 더존뱅크, 유뱅크 등 컨소시엄은 뒤숭숭한 시장 상황을 고려해 일찍이 발을 뺀 것으로 확인됐다.

제4인터넷은행 경쟁 뛰어든 한국소호은행

26일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을 주도하는 한국신용데이터(KDC)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KCD는 전국 170만 소상공인 사업장에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2022년부터 소상공인을 위한 인터넷은행을 만들겠다는 목표하에 한국소호은행 설립을 추진해 왔다.

은행권에서는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하나은행, BNK부산은행, OK저축은행이 컨소시엄 참여를 공식화했다. 한국소호은행이 자본력과 포용력 측면에서 유의미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의미다. 비은행 금융사 중에서는 유진투자증권, 우리카드가 함께한다. 유진투자증권은 소상공인 자산 관리와 맞춤형 투자 상품 제공에 집중하고, 우리카드는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결제 솔루션을 통해 소상공인 재무 안정성과 금융 편의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보험업계에서는 흥국생명과 흥국화재가 참여를 확정했다. 소상공인 경영 안정성과 위험 대비를 체계화하는 동시에 맞춤형 보장 상품을 제공해 금융 서비스에 깊이를 더한다는 목표다. IT 분야에선 LG CNS, 메가존클라우드, 아이티센, 티시스 등이 컨소시엄에 합류했다. LG CNS는 금융 맞춤형 인공지능(AI) 기술과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역량을 앞세워 안전하고 유연한 디지털 금융 환경을 구현할 예정이다. 메가존클라우드는 클라우드 기반 BaaS(Banking as a Service, 서비스형 은행) 플랫폼과 생성형 AI를 활용해 맞춤형 금융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고, 아이티센은 공공 IT 서비스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금융과 공공 데이터를 연계한 혁신 서비스를 도입한다. 티시스는 보험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통해 보험과 금융의 융합을 촉진한다. 

한국소호은행 '독주' 전망

한국소호은행 외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예고한 곳은 소소뱅크(소상공인연합회 등), AMZ뱅크(한국생명농업경영체연합회, 한국금융투자협동조합 등), 포도뱅크(한국소기업총연합회 등) 등이다. 다만 이들 3개 컨소시엄은 주요 금융 회사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해 자본력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실상 한국소호은행의 '독주 체제'가 형성된 셈이다.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되던 컨소시엄들의 제4인터넷은행 도전 의사 철회 역시 한국소호은행에는 호재다. 앞서 지난 17일 더존비즈온의 더존뱅크는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중소기업 특화 은행을 목표로 하던 더존뱅크 컨소시엄은 신한은행의 참여가 유력해지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지만, 최종적으로 인터넷은행 비즈니스 추진에 따른 실익이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투자연계(P2P) 플랫폼 렌딧이 주축이 된 유뱅크 역시 같은 날 예비인가 신청 여부를 재검토한다고 밝혔다. 시장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5년 하반기 중에 예비인가 신청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유뱅크 컨소시엄에는 네이버클라우드, 렌딧, 삼쩜삼, 트래블월렛 등 AI·ICT 기업과 대교, 현대백화점, MDM플러스 등 라이프스타일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금융 부문에서는 현대해상이 참여를 확정했으며, IBK기업은행이 합류를 검토해 왔다.

케이뱅크의 'IPO 굴욕'

더존뱅크와 유뱅크의 우려에서 알 수 있듯, 현재 인터넷은행에 대한 시장 여론은 전반적으로 침체한 상태다. '선배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의 반복되는 상장 실패는 이 같은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케이뱅크는 앞서 지난 2023년 2월 투자 심리 위축 등을 고려해 한 차례 상장을 연기했으며, 지난해 8월 다시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한 뒤 10월 말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에 재도전했다. 하지만 수요 예측 결과는 부진했고, 결국 올해 1월 또다시 IPO 철회 소식이 전해졌다. 이후 케이뱅크는 지난 12일 이사회를 열고 IPO 추진 안건을 의결하며 증시에 세 번째 도전장을 내밀었다.

케이뱅크가 IPO를 포기하지 못하는 배경에는 투자자들의 자금 회수가 있다. 케이뱅크는 2021년 6월 베인캐피털·MBK파트너스·MG새마을금고·컴투스 등으로부터 7,250억원을 투자받았다. IPO 완료일에 연 8% 이상의 내부수익률(IRR)을 보장하겠다는 조건이었다. 내년 7월까지 이 같은 조건으로 상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FI들은 대주주 BC카드의 지분을 포함해 보유 지분을 매각할 수 있는 권리(동반매도청구권)를 손에 쥐게 된다. FI가 동반매도청구권 행사를 결정할 경우, BC카드는 이들의 지분을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사실상 7,250억원어치 채무를 갚아야 하는 셈이다.

문제는 이들 FI가 높은 초과수익을 위해 공모가 상향을 고집하며 케이뱅크 IPO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2021년 투자에 참여한 FI들의 1주당 투자 단가는 6,500원이다. 지난해 상장 추진 시점 기준 주당 8,500원 안팎에서 공모가가 형성되면 계약 조건을 맞출 수 있었다는 의미다. 하지만 주당 희망 공모가는 FI의 뜻에 따라 9,500∼1만2,000원 수준까지 무리하게 상향 조정됐고, 주가순자산비율(PBR) 역시 비교 대상이었던 카카오뱅크 대비 과하게 높게 책정됐다. 결국 케이뱅크는 고평가 논란 끝에 수요예측 흥행에 실패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美 퀄컴 ‘스냅드래곤’ 차세대 AP 생산, 삼성 파운드리 대신 TSMC 4나노 사용

美 퀄컴 ‘스냅드래곤’ 차세대 AP 생산, 삼성 파운드리 대신 TSMC 4나노 사용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삼성, 퀄컴 파운드리 수주 가능성 커졌지만
퀄컴, 안정적인 TSMC 택하며 전략 수정
삼성 4나노 검증 마쳤음에도 TSMC 선택
퀄컴의 차세대 모바일 AP 스냅드래곤/사진=퀄컴

미국 퀄컴이 차세대 프리미엄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s 4세대를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의 4㎚(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으로 생산할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4㎚ 공정의 검증을 이미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퀄컴은 이번에도 TSMC를 선택한 것이다.

3㎚ 공정 불안감 작용했나

26일(현지시각) 대만 매체 리버티타임스에 따르면 퀄컴은 플래그십 모델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의 하위 모델로 출시할 예정인 새로운 칩셋 생산을 위해 TSMC와 손을 잡았다. 매체는 퀄컴의 이번 결정 배경에 삼성전자 3㎚ 공정에 대한 고객 신뢰도 하락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3㎚ 공정에서 TSMC에 주요 고객사를 빼앗기며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4㎚ 공정에서 반전을 노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미 2021년부터 1세대 4㎚ 공정인 SF4E 양산을 시작했다. 이 공정은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2200, 구글의 텐서 G3 등 다양한 칩셋 생산에 활용됐으며, 퀄컴 역시 스냅드래곤 8 Gen1과 일부 5G 모뎀에 SF4E 노드를 적용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퀄컴이 TSMC를 선택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퀄컴, 삼성에 2026년 AP시제품 개발 의뢰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의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TSMC와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4㎚ 공정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2023년에는 삼성전자의 4㎚ 수율이 TSMC와 동일한 수준까지 향상됐다는 보고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는 2.5D 및 3D 패키징 기술을 적용한 4세대 4㎚ 칩 양산을 시작하며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나섰다.

무엇보다 지난해 12월 퀄컴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3세대 시제품 개발을 삼성전자에 의뢰하면서 퀄컴의 차세대 모바일 AP칩 생산을 삼성전자에 맡길 가능성이 커졌었다. 퀄컴은 3세대 칩부터 2㎚ 공정을 본격적으로 활용해 양산할 예정인데 이를 삼성전자에 맡길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였다.

퀄컴은 TSMC의 2㎚ 테스트에서 60%의 수율에도 불구하고 높은 비용과 제한된 생산량을 이유로 삼성 파운드리로의 전환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TSMC의 2㎚ 공정 생산 가격은 기존보다 5~10%가량 인상됐다. 2㎚ 공정을 사용한 TSMC 반도체 웨이퍼 장당 가격은 4㎚ 공정의 두 배 수준인 3만 달러(약 4,400만원)에 달한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임직원이 화성캠퍼스 3㎚ 양산라인에서 3㎚ 웨이퍼를 소개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반도체 단가 부담에도 TSMC 선택

이에 당시 업계는 퀄컴과의 물밑 협의와 수율 문제를 잘 대응할 경우 삼성전자가 다시 퀄컴 파운드리 물량을 가져올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특히 반도체업계에선 삼성전자가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을 TSMC보다 빠르게 시작한 점이 퀄컴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2022년 6월 세계 최초로 차세대 공정 기술인 'GAA' 3㎚ 공정을 개발했다. GAA를 적용하면 칩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트랜지스터 용량을 대폭 늘릴 수 있다. 경쟁사인 TSMC와 인텔은 내년 4월부터 2㎚에 GAA를 적용하는데, 삼성전자는 이보다 3년가량 앞서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경쟁사보다 일찍 GAA 공정 학습을 한 삼성전자가 2㎚ 공정에서는 다소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게 사실"이라며 "안정적 수율만 확보한다면 반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퀄컴의 선택은 삼성전자가 아닌 TSMC였다. 이달 초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최고경영자)는 TSMC가 미국 반도체 공장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는 발표를 내놓자 “TSMC의 미국 1,000억 달러(약 146조원) 투자는 좋은 소식”이라며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몬 CEO는 TSMC의 투자가 반도체 공급망뿐 아니라 미국 경제 전반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며 결국 반도체 수요 증가도 이끌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그는 퀄컴 반도체가 이미 TSMC의 미국 애리조나 제1 반도체 공장에서 제조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물량을 미국 공장에 맡길 것이라고 전했다. TSMC는 1분기 중 애리조나 파운드리 공장의 정식 가동을 시작할 계획을 두고 있다. 이를 앞두고 주요 고객사 반도체를 시험 생산하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임대차 2법 완화하자"는 정부, "전세 10년 보장하자"는 민주당

"임대차 2법 완화하자"는 정부, "전세 10년 보장하자"는 민주당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임대차2법 제도개선 첫 토론회
제도 폐지 등 4개 대안 제시
"전세가 상승 등 부작용 많아"

정부가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제도 손질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임대차 2법은 전세 세입자의 거주 기간을 늘리는 긍정적 효과도 있었지만, 이중 가격 문제와 임대인·임차인 간 분쟁을 발생시켰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국토연구원이 국토교통부의 용역을 받아 제도 폐지를 포함해 계약 때 자율권 부여 등 네 가지 대안을 제시한 이유다. 전문가들은 서울 강남3구(강남·송파·서초)와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제 확대 지정 등으로 혼란스러운 전월세 시장에 이중 가격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전세가 차등화 등 각종 방안 제시

26일 국토부와 국토연은 세종에서 ‘임대차 제도 개선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임대차 2법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면서 도입 이후 발생한 시장 왜곡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됐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임대인과 임차인 간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균형 잡힌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대차 2법은 2년 계약에 2년을 갱신해 임차할 수 있도록 하는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 인상 상한을 5%로 제한하는 전월세상한제로 구성된다. 국토연에 따르면 임대차 2법 도입 후 갱신 계약 증가로 신규 전셋값 상승률이 높아졌다. 도입 직후인 2021년 서울 아파트 평균 신규 전셋값은 ㎡당 765만원이었다. 같은 기간 갱신 전셋값은 662만원으로 100만원가량 차이가 났다.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전셋값 차가 8,652만원에 달했다.

가격 상승과 갱신 계약에 따른 임대인과 임차인 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국토연은 네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제도를 없애는 폐지안은 기존 전세시장의 이중 가격 문제를 해소할 수 있지만, 정책 변화로 인한 국민 피로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상한율과 갱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은 지역별 갈등이 계속될 수 있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전세 계약 때 임대인과 임차인에게 자율권을 주는 방안도 제시됐다. 갱신 때 갈등이 해소될 수 있지만, 서울 같은 공급 부족 지역에선 임대인의 협상력이 강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지적됐다. 상한요율을 기존 5%에서 높이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국토부는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국회와 연구기관, 시민단체 등 현장 목소리를 듣고 개선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야당 "시장 불안 키운다" 반발

전문가들도 국토연이 제시한 개선 방안 중 '임대차법 폐지', 즉 완전한 원상복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미 도입한 지 4년이 넘은 제도를 백지화하면 시장 혼란이 커질 수 있어서다.

폐지를 주장하는 측은 계약갱신청구권 및 전월세상한제에 따라 1회 계약을 하면 4년간 임대료 상승 폭이 제한되기 때문에 임대인들이 4년 치 상승분을 선반영해 신규 계약을 체결하면서 가격이 올랐다고 분석을 제시해 왔다. 한국부동산원 집계에서 법 시행 이전인 2020년 상반기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1.85%였지만 시행 하반기엔 5.47%로 올랐다. 하지만 이 외에도 수급 불균형, 민간 임대 공급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더군다나 법을 개정하려면 야당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야당은 당시 입법을 주도해 왔던 만큼 꾸준히 임대차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개정 움직임에 반발하고 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안착 단계에 들어간 임대차 제도를 흔들어 전세시장의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차 2법은 문재인 정부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이 도입한 법안인데, 이를 다시 되돌리는 것은 주거 안정을 해치게 될 것이란 주장이다.

민주당 '전세 10년 보장법' 제안, 임대차 2법 개편 '안갯속'

야당은 오히려 현행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현재 2+2년인 계약갱신청구권을 10년으로 대폭 확대하고, 신규 계약에도 5% 상한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세입자 보호를 한 층 더 강화하겠다는 의지다. 임대인의 전세 사고율에 따라 대출한도에 차등을 두고, 직장과 가까운 곳에 주택 분양 기회를 제공하는 주택분양 예약제 등도 정책에 담겼다.

하지만 부동산업계에선 10년이라는 장기간 동안 갱신이 보장된다면, 임대인들은 그 기간 동안의 물가상승과 시세 변동을 예상해 초기 계약 시 10년 치 인상분을 한 번에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오히려 전세가격 폭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임대차 2법을 둘러싼 논쟁의 핵심은 결국 '시장 안정화'다. 정부 측은 너무 강한 규제가 오히려 시장을 왜곡시켰다고 보는 반면, 야당은 세입자 보호를 위해 더 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임대차 2법의 개편 방향은 여야 간 힘겨루기와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정부와 여당이 임대차 2법 완화를 추진해도, 과반이 넘는 거대 야당이 계속 강하게 반발하면 국회를 통과하기 힘들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임대인과 임차인 양 측의 이해관계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돼야 시장 안정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어느 한쪽에 지나치게 유리한 정책은 결국 시장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올 게 왔다" 트럼프,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올 게 왔다" 트럼프,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美,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 매긴다
韓·EU 등 주요국 줄줄이 영향권
"자충수다" 美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 고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또 하나의 품목에 추가 관세가 매겨진 것이다. 업계에서는 한국, 유럽연합(EU) 등 대미 자동차 수출 비중이 큰 국가는 물론, 관세 장벽을 세운 미국까지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美 '자동차 관세' 현실화

26일(이하 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미국에서 생산된 차에는 전혀 관세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2.5% 기본 관세에서 시작했는데, 이제 25%로 (관세를) 올리고 있다"면서 "기업들이 관세를 내지 않기 위해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백악관이 행정명령 서명 후 별도로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25% 관세는 세단·미니밴 등 수입산 승용차와 경트럭, 엔진·변속기·파워트레인 부품·전기 부품 등 주요 자동차 부품에 적용된다. 필요한 경우 추가 부품에 대한 관세 확대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것이 백악관 측 설명이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라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차 등의 경우, 제품의 비(非)미국산 요소에 대해서만 25% 관세가 부과된다. USMCA 규정을 준수하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무관세 조치는 미국 상무부 장관이 관세국경보호국(CBP)과 협의해 제품에 들어간 비미국 요소에 관세를 부과할 프로세스를 수립할 때까지 유지된다.

현대차의 미국 내 세 번째 생산 거점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한국GM 타격은?

미국의 무역 장벽이 한층 높아진 가운데, 한국 자동차업계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의 전체 자동차 수출(707억8,900만 달러, 약 103조6,600억원) 중 대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9%(347억4,400만 달러)에 달한다. 미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전기차를 포함한 한국산 승용차에 대해 2016년부터 무관세를 적용해 왔다.

다만 피해 수준은 각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자동차업계의 핵심 플레이어인 현대자동차의 경우, 미국 현지 투자를 늘리며 관세 회피 방안을 마련해 둔 상황이다. 지난 25일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 120만 대 체제 구축을 위해 86억 달러(약 12조6,400억원)를 투입하고, 루이지애나주에 저탄소 자동차 강판에 특화한 270만 톤(t) 규모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정말로 위대한 회사인 현대와 함께하게 돼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자동차를 만드는 현대차는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확언했다.

반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대미 수출 기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GM은 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GM의 지난해 연간 판매량은 49만9,559대였으며, 이 중 47만4,735대(95%)가 수출됐다.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1만8,782대(88.5%)다. 전체 판매량의 83.8%가 미국으로 향한 셈이다. 같은 기간 국내 판매량은 2만4,824대로 수입차인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보다도 적었다.

美·EU 피해 전망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오히려 미국이 '역풍'을 맞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웨드부시증권 애널리스트들은 이번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평균 자동차 가격이 5,000~1만 달러(약 732만~1,465만원)가량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일반적으로 25% 관세율은 미국 소비자가 사실상 견딜 수 없는 터무니 없는 숫자라는 지적이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이코노미스트들도 “장기적으로 볼 때 관세 정책은 미국 국내 투자와 생산을 촉진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싱크탱크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산 전기차 가격이 최대 1만 2,000달러(약 1,758만원), SUV 생산 단가가 4,000달러(약 586만원) 이상 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유럽연합(EU) 역시 막심한 피해를 떠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EU산 자동차의 최대 수출국이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560억 유로(약 88조4,380억원) 상당의 차량 및 부품을 미국에 수출했다. 이는 EU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20% 수준이다. 관세로 인해 대미 자동차 수출이 위축될 경우, 업계 고용 상황이 악화하며 유럽 경제 전반이 흔들릴 위험도 있다. 자동차는 EU에서 직간접적으로 1,38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핵심 산업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