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 시장 도전장 中 BYD, 연착륙 가능한 이유

한국 시장 도전장 中 BYD, 연착륙 가능한 이유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중국 BYD, 의구심 깨고 순조로운 출발
'전기차 불모지' 일본서도 도요타 제쳐
"고객경험으로 구매 늘린다", 렌터카도 공략
아토3(ATTO3)/사진=BYD

현대차·기아와 테슬라가 양분해 왔던 한국 전기차 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중국 1위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의 전기 승용차가 한국 시장에서 순조로운 출발을 알리면서다. BYD가 한국 진출을 저울질한다는 소식이 처음 들릴 때만 해도 ‘누가 중국 차를 사겠어’라는 시각이 지배적었지만, 중국 자동차 기업들은 성공한다는 확신을 품고 한국 시장에 들어오고 있다. 그 배경에는 상당한 인구수를 가진 화교와 중국계 자본이 장악한 렌터카 시장이 있다.

아토3, 일주일간 사전 계약 1,000대

25일 BYD코리아는 23일 기준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토3(ATTO3)의 사전 예약 건수가 1,000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BYD 승용 브랜드를 국내에 론칭하며 사전계약을 받기 시작한 지 일주일 만이다.

한국 상륙에 대해 소문만 무성했던 BYD는 지난 16일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인천 중구에 위치한 상상플랫폼에서 브랜드 출범식을 열고 한국 사업 전략 및 신차 출시 계획을 알렸다. 상용차가 아닌 중국 승용차 브랜드가 한국 시장에서 기자간담회까지 열고 진출을 선언한 것은 BYD가 사실상 처음이다.

첫 타자로 내세운 모델은 아토3다. BYD가 개발한 리튬·인산·철(LFP) 기반 블레이드 배터리가 적용됐다. 1회 충전 시 321km(복합 기준)를 달릴 수 있다. 아토3의 상품성은 이미 세계 시장에서 검증받았다. 유로 NCAP 안전성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은 아토3는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 지난해 100만 대 이상이 팔리기도 했다.

사전 계약의 99%는 상위 트림인 BYD 아토3 플러스를 선택했다. 아토3는 기본과 플러스 등 2가지 트림이 있는데, 가격은 각각 3,150만원, 3,330만원이다. 플러스 트림에는 통풍 시트, 공기 정화 시스템, 전동 테일게이트, 스웨덴 오디오 기술 브랜드 ‘디락’ 사운드 시스템 등의 편의 사양이 적용돼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 29%, 경기 34% 기타 지역이 37%로 각각 집계됐다.

중국 자본의 韓 렌터카 시장 장악과 화교의 존재

그간 한국에서는 중국의 한국 자동차 시장 진출을 우려스럽게 보면서도 성공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시각이 팽배했다. 한국인들의 반중 정서가 어느 때보다 강한 데다, '하차감'을 중시하는 한국인들이 중국 차량을 구매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전기차 화재 등으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이 심각한 상황에서 화재의 주범으로 지목받는 중국산 배터리를 채용한 중국산 전기차가 한국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을 것이란 견해도 있었다. 

그럼에도 BYD 등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성공을 확신하고 들어오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화교의 존재다. 법무부에 따르면 2023년 화교 인구는 65만6,142명으로, 이 중 70% 가까이가 조선족이라고 불리는 한국계 중국인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한국으로 귀화한 중국인 인구까지 합칠 경우 현재 한국에 살고 있는 중국인과 귀화 중국인은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작년 기준 연간 국내 수입차 시장이 26만 대 수준임을 고려하면 이 같은 인구 수는 시장성이 충분하다.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수입차 브랜드는 BMW로 7만3,754대의 판매고를 올렸다.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차지한 비중은 28.2%였다. 100만 명의 화교 중 10%만 BYD 차량을 구매해도 10만 대로, 한국 수입차 1위에 오를 수 있다는 의미다. 

두 번째는 렌터카 시장이다. 국내 렌터카 시장 비중은 전체 완성차 대비 6% 수준에 불과하나 렌터카 공급으로 소비자 경험을 확대하며 고객 접점을 늘리는 동시에 중국산 브랜드 저항감을 낮추겠다는 전략이다. 이 같은 중국 기업의 한국 렌터카 시장 진출은 예견된 일이었다. 현재 국내 렌터카 시장은 이미 중국 자본이 장악하고 있다. 중국계 자본인 사모펀드 운용사 어피너티에쿼티스파트너스는 지난해 8월 국내 렌터카 2위 SK렌터카 지분 100%를 8,200억원에 인수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국내 렌터카 1위 롯데렌탈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파격적인 경영권 프리미엄을 인정한 어피너티는 시세의 160%에 달하는 웃돈을 얹어 인수를 추진 중이다. 기업가치는 지분 100% 기준 2조8,000억원으로, 어피너티는 1조6,000억원을 들여 롯데렌탈의 지분 56.2%를 사들일 계획이다. 인수가 완료되면 한국의 렌터카 1, 2위 업체가 모두 중국계 자본에 넘어간다.

업계는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함께 렌터카 업계도 전기차 중심으로 포트폴리오가 재편되고 있어 중국산 전기차를 들이는 일은 시간문제라 보고 있다. 롯데렌탈의 경우 현재 정확한 대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전기차 숫자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지난 2022년 말엔 1만8,664대를 운영했는데 이는 2018년에 비해 363%나 증가한 수치다. 롯데렌탈이 오는 2030년까지 보유·임차 차량을 100% 전기·수소차로 전환하는 목표를 밝힌 만큼 그 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왼쪽부터) 퍼포먼스 중형 전기세단 BYD 씰(SEAL), 소형 전기SUV BYD 아토3(ATTO3), 중형 전기SUV BYD 씨라이언7(SEALION7)/사진=BYD코리아

일본 전기차 시장서 토요타 제쳐

게다가 BYD는 ‘수입차의 무덤’이라는 일본에서 이미 전기차만으로 토요타를 추월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지난해 일본에서 판매된 전기 승용차는 5만9,736대로, 전년 대비 33% 감소했다. 전체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못 미쳐 주요 선진국 중 최저 수준이다. 이 가운데 닛산이 3만749대로 가장 많은 차량을 판매했고, 2위는 5,600대를 판매한 테슬라, 3위는 2,504대를 판매한 미쓰비시다. BYD는 전년보다 64% 늘어난 2,223대를 판매하면서 토요타(2,038대)를 제치고 4위에 올랐다.

2022년 처음 일본에 진출한 BYD는 초반에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으나 이후 세단 씰, 소형 전기차 돌핀 한정판 등을 출시하며 판매량을 확대했다. 닛산 등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 일본 수입 전기차 1위인 미국 테슬라의 40% 수준까지 성장했다. BYD는 일본 시장 진출 초반 개인 고객보다 렌터카와 기업 등 법인 고객(B2B)을 중심으로 영업을 전개하며 장기전에 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내 업계도 BYD의 한국 상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양진수 현대차그룹 HMG경영연구원 모빌리티산업연구실 실장은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세미나에서 “로보락이 들어오면서 LG전자가 시장점유율을 많이 빼앗겼다는데, 자동차업계에서도 얼마든지 똑같은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며 “BYD가 보여주는 경쟁력을 생각하면 분명히 위기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한파에 맥 못추는 전기차, '히트펌프'로 더 멀리 간다 "주행거리 보존 핵심기술"

한파에 맥 못추는 전기차, '히트펌프'로 더 멀리 간다 "주행거리 보존 핵심기술"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전기차 주행거리 겨울엔 20% 줄어
美 한파 때 배터리 바닥, 폐차장 방불키도
히트펌프 기술 도입으로 배터리 성능 개선
독일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라인메탈이 개발한 전기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사진=라인메탈

히트펌프 기술의 도입으로 전기차의 성능이 큰 폭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히트펌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율주행 등을 제쳐놓고 전동화 시기 가장 중요한 기술로 손꼽은 기술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히트펌프 적용 유무와 품질이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 결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 판단 기준으로 올라섰다는 분석도 나온다.

히트펌프, 배터리 난방 전력 소모 최소화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전기차에도 히트펌프가 적용되면서 추운 날씨에서도 배터리 소모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전기차 배터리 성능 추적업체 리커런트(Recurrent)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전기차는 온도가 섭씨 0도로 떨어질 때 주행거리가 약 20% 감소했다. 차량 내부 난방을 위해 배터리를 추가로 소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커런트는 히트펌프를 장착한 전기차의 경우 이 같은 주행거리 손실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앤디 가버슨 리커런트 연구책임자는 “히트펌프 덕분에 전기차 운전자들이 겨울철 날씨에 대해 갖고 있는 우려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리커런트는 미국 전역에서 1만8,000대의 전기차를 대상으로 온도와 배터리 성능 간 상관관계를 조사해 20개 주요 전기차 모델의 주행거리 손실 정도를 순위로 발표했는데, 지난 2021년 이후 히트펌프를 도입한 테슬라 모델S의 경우 히트펌프가 없는 이전 모델에 비해 추운 날씨에서 주행거리 손실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리커런트는 “히트펌프를 장착한 전기차가 대체로 추운 날씨에 더 나은 성능을 보였지만 배터리 설계와 같은 다른 요인도 모델별 성능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주행 가능거리 개선 '열쇠'

추운 날씨에서 전기차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배터리 내부의 리튬이온이 낮은 온도에서 느리게 움직여 효율이 떨어지고 둘째, 추운 공기가 밀도가 높아져 차량의 공기저항이 증가한다. 이는 내연기관 차량에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친다. 세 번째 원인은 차량 내부 난방이다. 내연기관 차량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난방에 사용할 수 있지만 전기차는 배터리 전력을 난방에 직접 사용해야 한다. 지난 2019년 AAA가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의 추운 날씨 주행거리 감소의 약 75%가 난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히트펌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기존 전기 저항식 히터와 달리 히트펌프는 주변의 열을 이동시켜 난방을 제공하는 기술로, 에너지 소모가 적어 주행거리를 더 늘릴 수 있게 한다. 이는 에어컨의 원리와 비슷하다. 다만 에어컨이 실외기를 통해 열을 배출했다면 히트펌프는 그 열을 히터로 활용한다. 즉 히트펌프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증발하며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과 저온을 각각 활용해 히터와 에어컨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자동차에 흔히 사용되지 않았지만 엔진이 없어 별도의 난방 장치를 필요로 하는 전기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점차 널리 채택되는 부품이 되고 있다.

지난해 9월 23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 사이언스파크에서 진행된 글로벌 히트펌브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환영사를 하고 있다/사진=LG전자

현대차부터 삼성·LG까지, 히트펌프 기술 확보 총력

국내 자동차 기업 중 히트펌프 기술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곳은 현대차·기아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히트펌프는 2014년 4월에 출시된 기아 쏘울 EV부터, 승온 히터에 기반한 배터리 히팅 시스템은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이 출시된 2018년 4월부터 적용됐다. 현대차·기아는 2019년 남양연구소에 열에너지통합개발실을 꾸린 데 이어 2021년 열에너지시스템 리서치랩을 만들어 원천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다. 2023년에는 서울대, 중앙대, 홍익대와 함꼐 ‘전기차 에너지 관리 공동 연구실’을 설립했다.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 연구와 관련 모델 및 부품 개발을 위해서다.

테슬라의 모델 Y도 히트펌프 기술로 저온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 CEO는 “히트펌프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중요한 기술로, 자동차에서 시작해 가정, 기업 부문에까지 히트펌프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자동차 기업뿐 아니라 가전 기업들도 히트펌프 기술에 뛰어들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초부터 히트펌프 기술을 활용한 공조(空調) 시스템(HVAC)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5월 미국 냉난방 공조 전문기업 레녹스와 합작법인을 설립했고 같은 해 9월에는 아예 미국의 공조 전문기업 존슨컨트롤스 인수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지난해 북미, 유럽, 아시아에 구축한 차세대 히트펌프 기술 개발 핵심 연구진을 한국으로 초청해 HVAC 사업 기술협력을 강화하는 ‘글로벌 히트펌프 컨소시엄’을 출범시켰다. LG전자는 컨소시엄을 통해 히트펌프 연구에 글로벌 톱티어 대학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HVAC 연구개발(R&D)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또 각 컨소시엄에서 진행하고 있는 히트펌프 기술 실증 결과를 적용해 개발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으로 LG전자 히트펌프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딥폴리시] 직장 내 성 격차는 왜 사라지지 않는가?

[딥폴리시] 직장 내 성 격차는 왜 사라지지 않는가?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직장 내 남녀 차이, “아직도 굳건”
태생적 차이와 사회적 제약의 상호작용 결과
성역할 고착화시키는 사회 제도와 규범부터 “들여다봐야”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수 세기 동안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남녀 간 소득 및 시장 참여율 차이는 상당 부분 좁혀져 왔다. 그러나 아직도 일하는 여성 수는 남성보다 적고, 일하더라도 더 적게 받고 더 적은 시간 일하는 등 차이는 엄연히 존재한다. 끈질긴 차이는 남녀 간 태생적인 차이와 사회적 제약이 복잡하게 상호 작용한 결과다. 문제를 해결하고 양성평등과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답은 성역할에 대한 사회문화적 연구 성과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직장의 변화 속에 있다.

사진=CEPR

노동 시장 남녀 격차 ‘여전히 존재’

남성 대비 여성 소득 차이가 좁혀졌다고 해도 노동 시장에는 여전히 양성간 격차가 존재한다. 더 적은 수의 여성이 임금 노동에 종사하고, 하더라도 더 적은 시간만 일한다. 정규직 노동자 간에도 임금 격차는 남아 있다. 불평등은 여성이 무보수의 가사 노동을 훨씬 더 많이 떠맡는 관행으로 인해 가중한다. 이러한 노동 시장의 불균형은 양성평등은 물론 전체적인 경제 효율까지 떨어뜨리는 비효율적 노동 분배 현상을 분명히 보여준다.

학문적 연구는 성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두 가지를 제시한다. 먼저 남성과 여성이 보유한 각기 다른 선호와 기술, 심리적 특성이 직업 및 교육 등에서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있다. 이와 정반대로 성 격차는 사회 규범 및 고정관념, 차별 등으로 만들어지는 기회와 제약의 차이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문제는 특성이나 선호도에서 보여지는 다름 자체가 문화적 제약의 산물일 가능성이 높아 두 주장의 근본적인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타고난 차이로 인해 임금 및 노동 참여율 격차가 발생한다는 이론이 힘을 잃어가는 추세다. 남녀 간 인지 및 의사소통, 사회적 특성상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연구도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초점은 어떻게 사회 규범과 시스템적 제약이 불평등을 영속화하는가로 맞춰진다.

가족 위해 직업 희생하는 여성들 “아직도 많아”

직장 내 성평등의 가장 높은 장벽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것이 직업-가족 간 상충관계(career-family trade-offs)다. 여성의 일차적 양육자로서의 역할과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고임금 일자리가 서로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에 부모가 되면 어머니와 아버지로서의 직업 경로가 확연하게 갈리며 차이가 더욱 벌어지게 된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노골적인 임금 차별은 줄어들었지만 이러한 상충관계가 성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있다.

유연 근무제, 짧은 통근 거리, 원격 근무와 같은 업무 편의성(job amenities)에 대한 선호도 상충관계가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가족 친화적인 업무 환경을 우선시하는 여성들의 성향이 수요자 위주의 노동 시장에서 직업 선택의 기회와 협상력을 낮춰 임금에서도 불리한 대우를 받는다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직업-가족 간 관계는 여성들에게만 해당하지 않는다. 자녀가 태어남과 동시에 남성은 더욱 직장에 매진하고 여성은 가사 노동에 집중해 남성의 임금은 오히려 상승 곡선을 긋는 패턴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부부가 이러한 상관관계를 놓고 내리는 판단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해야 성별로 갈리는 상충관계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강화되는 업무 유연성이 ‘가정 내 성역할’ 더욱 고착화할수도

문화와 정체성에 관련된 요소들도 성 격차를 만들어내는 주요인이다. 지난 20년간 경제학자들은 사회 규범과 고정관념이 어떻게 직업-가족 간 관계에 영향을 주는지를 상당 부분 밝혀냈다. 골자는 이러한 규범들이 남성과 여성으로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역할을 규정해 학업 및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불평등의 고리를 영속화한다는 것이다.

즉 사회규범과 고정관념이 직장 선택 이전부터 기술 개발과 직업적 목표를 제한한다. 또한 고용주들의 편견도 강화해 채용과 승진에 차별적 기준을 적용하게 한다. 결국 개인적인 선호와 사회 규범이 복잡하게 맞물려 성 격차를 강화하는 악순환에 빠지는 것이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직장 내 기술적, 문화적 변화도 성평등에 있어서는 기회이면서 위협 요인이다. 원격 근무와 프리랜서 업무(gig work) 형태의 확산이 가져오는 업무 유연성은 전통적 근무 형태로 인한 여성의 불이익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같은 원인으로 여성이 덜 구조화된 업무 형태하에서 더 많은 가사 노동을 떠맡아 성역할이 더욱 고착화할 위험도 있다. 따라서 현재의 직장 내 추세가 가정 내 성역할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면밀히 이해하는 것도 평등한 직장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한편 부모의 역할은 점점 시간이 많이 드는 일이 되고 있는데 특히 선진국에서 대학을 나온 어머니들은 더욱 그렇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급학교 입학 경쟁으로 인해 자녀 교육에 개입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당연히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에 제약 조건으로 작용한다.

결국 노동 시장에서 성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은 문화적, 정치적 환경의 변화를 상대하는 일이 될 수밖에 없다. 균형 잡힌 성역할로의 점진적인 발전이 특정 지역에서는 포퓰리즘 정치와 연관된 보수주의 이데올로기의 부활로 도돌이표가 되는 경우도 자주 생기기 때문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가족, 교육, 매체가 어떻게 고정관념에 영향을 주는지와 함께 성 규범을 형성하고 지속시키는 사회 과정(social process, 문화, 사회, 조직이 변화, 발전해 가는 과정)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원문의 저자는 제시카 판(Jessica Pan)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교수 외 2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The evolution of gender in the labour market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트럼프 “재정 적자 만회 위해 관세는 필수” 주장에도 의회는 ‘물음표’만

트럼프 “재정 적자 만회 위해 관세는 필수” 주장에도 의회는 ‘물음표’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감세 연장, 향후 10년 5,700조원 세수↓
공화당은 관세 관련 무역 전쟁 우려
‘부채 한도 폐지’ 갈등 고착화 불가피

미국 내에서 대규모 감세에 따른 세수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강조해 온 고율 관세를 통해 재정 수입을 보전한다는 뜻을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여당인 공화당 사이에서도 반발 조짐이 포착되며 시행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빚으로 굴러가는 美 정부

23일(이하 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와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로 재정 수입을 확대하는 계획을 강경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이 소득세를, 기업이 법인세를 내는 것처럼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해 그 재원으로 정부를 운영하고, 감세 등으로 축소된 정부 재원을 보충하려 한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인 2017년 감세와 일자리법(TCJA)을 통해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낮추고 소득세 최고세율은 39.6%에서 37%로 내린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 올해 만료되는 감세안을 연장하고 법인세율을 15% 수준으로 인하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만약 해당 공약이 이행될 경우 미국 정부의 세수는 향후 10년간 4조 달러(약 5,751조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은 보편관세를 이용해 세수 감소를 만회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들은 보편관세를 통해 10년간 최소 1조9,000억 달러(약 2,731조원)를 거둬들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선임고문은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감세와 관련한 논의에서는 관세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면 연간 약 3,500억~4,000억 달러의 재정 수입이 늘어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정책은 야당인 민주당은 물론 공화당 일부 의원 사이에서도 반발을 사고 있다. 관세 부과에 따른 무역 전쟁으로 지역구 유권자들에게 미칠 악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공화당 소속 랄프 노먼 하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법안을 통해 관세를 밀어붙일 경우 고전이 예상된다”면서 “대부분 의원이 관세 영향을 받는 지역구와 기업들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레그 머피 하원의원 역시 “관세는 단기적일 수 있다”며 비판적 태도를 내보였다.

지난주 열린 공화당 비공개 모임에서는 데이비드 슈바이커트 하원의원이 “정부 재정이 통제를 벗어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 데 이어 많은 참석자가 이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화당은 전체 하원 435석(1석 공석) 가운데 219석을 확보, 민주당(215석)에 4석 차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부 정책을 뒷받침할 법을 만들기 위해선 내부 단속이 최우선 과제인 셈이다.

경제 석학들 “트럼프 경제 정책, 득보단 실 많아”

미국을 대표하는 경제 석학들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정책에 짙은 우려를 나타냈다. 재정적자 확대와 수입품 가격 인상, 노동력 부족 등 각종 부작용이 미국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카드 UC버클리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달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미국경제학회(AEA)’ 연례총회에 참석해 이 같은 뜻을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정책에 따라) 세금 인하가 있을 텐데, 문제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재정적자 증가를 허용할지 여부”라고 꼬집었다. 재정적자가 늘어나면 국채 발행 물량 증가로 채권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어 “이민자 강제 추방과 멕시코, 캐나다와의 관세 문제도 불확실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대규모 이민자 추방 정책이 노동 공급을 감소시켜 경제 성장과 국내총생산(GDP)을 저하할 것이란 설명이다.

샤팟 야르 칸 시러큐스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이 불러올 인플레이션에 주목했다. 그는 “미국은 대중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입품 가격 인상으로 생산 비용이 올라갈 것”이라며 “이미 유럽과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있으며, 이것이 미국 경제에 지속적인 역풍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주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일단 버티자’는 정부 vs. ‘신중론’ 의회

새로운 행정부의 경제 정책을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면서 재정 적자 한도를 늘리면서 버티려는 행정부와 이를 막으려는 의회의 갈등도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실제로 미 연방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부 운영에 필요한 임시 예산안에 ‘부채 한도 폐지’ 내용을 넣으라고 요구하면서 모든 기능이 마비되는 셧다운(업무정지) 위기를 경험하기도 했다.

부채 한도는 미국 연방 정부가 보유할 수 있는 빚의 법적 상한선을 말한다. 이 상한선을 정하는 주체는 의회로, 현재 상한은 31조4,000억 달러(약 4경6,000조원)다. 문제는 미국 정부가 2023년 초 일찌감치 부채 한도에 다다랐다는 점이다. 의회가 부채 한도를 늘려주지 않으면 채권 발행이 막혀 최악의 경우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의미다.

그간 미국에서는 부채 한도에 다다르면 정부와의 갈등 끝에 의회가 이를 늘려주는 일이 반복됐다. 이렇다 보니 디폴트까지는 가지 않았으나 나랏빚이 꾸준히 증가세다. 미 재무부는 2024 회계연도(2023년 10월~2024년 9월) 재정적자 규모가 1조8,330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1조6,950억 달러) 대비 8%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빚더미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글로벌 신용 평가사 피치는 미국 정부의 신용 등급을 강등하기도 했다.

부채 한도를 둘러싼 대립은 경제 불확실성을 키워 금융 시장에 부담을 주는 동시에 이미 상승 중인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 압력을 더 키울 수 있는 요인이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부채 한도를 둘러싼 정치권의 대치가 가져오는 무형의 대가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부채한도를 두고 정부와 의회가 대립하는 동안 미국 내 은행들은 잇단 파산을 피할 수 없고, 글로벌 탈(脫)달러 기조까지 거세져 ‘경제 대국’ 미국의 위상만 깎아내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한화 3세 김동선 '아워홈 인수' 드라이브, 범LG 3세 구지은도 반격 태세

한화 3세 김동선 '아워홈 인수' 드라이브, 범LG 3세 구지은도 반격 태세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아워홈 인수 '정조준' 한화그룹
장남 지분 일부 남기고 2년 뒤 매입
구지은, 우선매수권 내세워 FI 확보 협의

단체급식 2위 업체 아워홈 인수를 시도하고 있는 한화그룹이 아워홈을 단계적으로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범LG그룹에서 한화그룹으로 사업을 연착륙시킨 후 나머지 지분까지 사들이는 방식이다. 지분 매각을 반대하는 구지은 아워홈 전 부회장 역시 재무적투자자(FI)와 손잡고 반격 채비를 하는 등 양측의 막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모양새다.

한화, 아워홈 지분 단계적 매입 검토에 '자금 부족설' 대두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아워홈 1대 주주이자 창업주 장남인 구본성 전 부회장과 장녀인 구미현 회장 지분 약 50% 만을 우선 매입할 예정이다.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이 보유한 지분은 각각 38.56%, 19.28%로 이를 합치면 57.84%에 이른다. 당초 한화는 장남과 장녀가 보유한 지분을 모두 사들이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이 중 약 8%는 2년 뒤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단계적 인수 방안은 LG그룹이 아워홈과의 기존 단체급식 계약을 즉각 변경할 가능성을 줄이는 동시에, 한화 측이 사업 안정화를 꾀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 급식업계 관계자는 “구본성 전 부회장 지분을 일부 남겨놓을 경우 LG그룹 입장에서 단체급식 공급처를 당장 바꿀 유인이 적어질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에서는 자금 부족설도 제기된다. 한화는 주당 6만5,000원인 8,600억원을 인수가로 제안했고, 다음 달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할 계획이다. 그런데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지난해 3분기 기준 보유 현금과 현금성 자산은 1,294억원에 불과하다. 한화갤러리아도 현금이 부족하긴 마찬가지다. 백화점 사업 부진으로 수익성이 둔화하면서 한화갤러리아의 현금흐름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322억원) 대비 대폭 급감한 수치다.

이에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아워홈 지분 인수를 위해 보안장비 생산업체인 한화비전 자금까지 끌어들이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비용은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이 이끄는 계열사와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부담한다. 구체적으로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2,000억~3,000억원, 한화비전이 2,500억~3,000억원, 그리고 PEF 운용사 IMM크레딧앤솔루션이 2,000억~3,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문제는 한화비전 일반주주들에겐 아워홈 지분 인수가 큰 실익이 없는 데다, 추후 아워홈의 쪼개기 상장으로 이어질 경우 지배주주와 일반주주 간 이해상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화비전은 현금성 자산 2,794억원을 보유하고 있어 실제 아워홈 지분 인수가 이뤄지게 된다면 곳간 대부분을 털어야 한다. 게다가 보안기술업체인 한화비전과 단체 급식업체인 아워홈의 사업 연관성이 낮아 투자한 만큼 이득을 보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주주들인데, 지배주주인 총수 일가만 이득을 보게 되는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구지은 아워홈 전 부회장/사진=아워홈

아워홈 구지은 전 부회장, 매각 반대 입장 고수

아워홈 지분 20.67% 보유한 구지은 전 부회장의 반발도 인수에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작년까지 아워홈 경영을 책임졌던 구지은 전 부회장은 매각에 우호적인 상황이 아니다. 게다가 구지은 전 부회장도 김동선 부사장만큼이나 음식 사업에 대한 열정이 크다. 오빠와의 갈등으로 수차례 경영권을 빼앗겼지만 번번이 권토중래할 정도로 사업에 대한 의지도 강하다. 2020년 구본성 전 부회장이 해임된 이후 대표이사에 복귀했을 때 적자에 시달리던 아워홈을 흑자로 전환하는 등 경영 능력도 이미 입증했다.

이에 시장의 관심은 구지은 전 부회장의 우선매수권 행사 여부에 쏠려 있다. 구자학 선대 회장은 생전 자녀들에게 지분을 나눠주면서 주식 우선매수청구권이라는 장치를 만들어뒀다. 주주 중 한 사람이 주식을 매도할 경우 다른 주주에게 먼저 매수 기회를 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의 지분은 한화 측에 앞서 차녀인 구명진 전 이사와 구지은 전 부회장이 먼저 매수할 기회가 있다.

이 경우 한화의 아워홈 인수는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한화가 구지은 전 부회장과 구명진 전 이사 지분을 제외하고 인수할 경우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의 지분 합이 60%에 달하는 만큼 경영권은 확보할 수는 있지만, 주주총회 특별결의사항 가결이 어려워 경영에 제약이 생긴다. 주총 특별결의가 통과되려면 출석 주주 3분의 2 이상과 발행 주식 총수 3분의 1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배당금 결의 등은 보통결의로 가능하지만, 특별결의는 정관 변경과 이사 해임, 합병과 분할, 영업양수도 등 경영에 큼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캘리스코 대표이사 교체, 구지은 독자노선 걷나

다만 한화 측이 제시한 주당 6만5,000원은 구지은 전 부회장 입장에서도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구지은 전 부회장도 몇 년 전 아워홈 경영권 확보를 위해 구본성 전 부회장 등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실사를 진행한 바 있는데, 이번에 한화가 제시한 가격은 당시 구지은 전 부회장 측이 실사 후 책정한 가격보다 훨씬 더 높다.

이에 구지은 전 부회장은 지분 인수를 위해 PEF 어펄마캐피탈과 손잡고 자금확보에 나선 상태다. 어펄마캐피탈은 지난해 5,00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 펀드를 조성했는데, 이 중 일부와 추가로 프로젝트 펀드를 조성해 구 전 회장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어펄마캐피탈은 성경식품과 매드포갈릭에 투자하는 등 외식·식품업계 투자에 밝다는 평가를 받는다.

범LG가에 속하는 아워홈이 한화로 넘어가게 되면 그간 LG그룹 계열사에서 수주했던 단체급식 물량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점도 구지은 전 부회장 측에는 유리한 국면이다. 실제로 LG그룹 일각에서 이번 거래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구지은 전 부회장 측은 한화가 나머지 주주에 대한 인수를 강행할 경우 가처분 신청 등을 통해 방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4남매가 맺은 우선매수권 협약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일각에선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구지은 전 부회장이 한화의 제안에 우선 응한 뒤,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가 들고 있는 캘리스코 지분 50%를 되사오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아워홈 지분을 매각한 자금으로 캘리스코를 키울 수 있다는 추측에서다. 구지은 전 부회장이 한화에 아워홈 지분을 매각하면 3,100억원가량의 현금을 확보할 수 있다.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는 투자 전문회사인 만큼 구지은 전 부회장이 적절한 가격을 제시하면 이를 거절할 이유가 없다.

이달 17일 캘리스코 대표이사가 전격 교체된 점도 이 같은 추측을 뒷받침한다. 시장은 이를 두고 한화로부터 아워홈 지분매각 압박을 받는 구지은 전 부회장이 독자노선을 구축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현재 구지은 전 부회장은 지분 방어에 대한 의지가 확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가 가진 우선매수권의 효력 및 자금 조달 방안 등이 불분명해 시장의 의구심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구지은 전 부회장이 장남과 장녀의 지분을 우선 매수할 수 있는 권리가 유효하다 해도, 아워홈 정관상 주주 간에 주식을 양도하려면 이사회 결의를 거쳐야 한다는 점도 변수로 남아 있다. 현재 아워홈 이사회는 장남과 장녀가 장악한 상태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북한군, '후퇴 없는 전술'로 러시아 전선에서 병력 40% 잃어

북한군, '후퇴 없는 전술'로 러시아 전선에서 병력 40% 잃어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북한군 1만1,000명 투입해 1,000명 사망
부상·실종자 더하면 4,000명 육박 추산
BBC "대규모 병력 손실로 큰 비용 발생"

영국 공영 BBC 방송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중 약 1,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상자와 실종자까지 합친 병력 손실 규모는 전체 파병 병력의 40%에 달한다. 러시아의 물량 중심 전략과 북한군의 후퇴 없는 전술이 맞물려 단기간에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BBC "북한군,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병력 손실"

23일(현지시각) BBC는 복수의 서방 당국자를 인용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에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명 중 이달 중순까지 숨진 인원이 약 1,000명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사망자·부상자·실종자 등을 모두 합친 병력 손실 규모는 4,000명으로 북한군 전체 파병 병력의 40%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28일경 쿠르스크 지역에 배치된 것이 확인된 이후 불과 석 달도 되지 않아 집계된 결과다.

BBC는 당국자들이 전한 집계치가 사실이라면 북한군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병력 손실을 본 것이라고 짚었다. 병력 충원 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단기간에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며 북한군의 전투력을 급격히 약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BBC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휴전 협상을 앞두고 러시아 영토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파병을 했지만, 대규모 병력 손실로 인해 그에게 큰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같은 날 뉴욕타임스(NYT)도 우크라이나군 최고 사령관인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장군을 인용해 북한군의 손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배치된 병력의 거의 절반이 사상자가 됐다고 추정했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9일 열린 우크라이나 방위연락그룹(UDCG) 회의에서 북한군 사상자가 4,000명에 이른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군, '후퇴 없는 작전'으로 막대한 사상자 발생

북한군뿐 아니라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병력 손실도 심각한 수준이다. 서방 주요 정보기관의 추정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러시아군의 사상자는 6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사망자는 최대 11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크라이나군 역시 전사자 5만7,000명을 포함해 30만7,000여명의 사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군의 사망자 수가 우크라이나군의 약 2배에 달하는 데는 공격 작전의 불리함, 군 준비 상태의 차이, 서방의 지원, 전략적 실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러시아의 물량 중심 전략과 훈련 부족이 사상자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물량 중심 전략은 대규모 병력과 자원을 집중 투입해 상대를 압도하는 전술로, 병력이나 장비는 풍부하나 고도의 기술이나 정밀 무기의 사용이 제한적일 때 효과적이다. 하지만 러시아군은 이 전략으로 인해 막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정밀 유도 무기와 서방의 첩보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방어했지만, 러시아군은 훈련이 부족한 징집병과 장비로 대규모 공세를 펼치면서 효과적인 전투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이는 결국 대규모 사상자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을 알면서도 북한은 러시아 전선에 군대를 파병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인 쿠르스크 지역에 배치돼 러시아의 물량 중심 전략에서 돌격대 역할을 맡고 있다. 전술이나 전력의 수준을 고려할 때 북한군의 병력 손실이 매우 큰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인 셈이다. NYT는 이들이 장갑차 없이 전진하며 후퇴 없는 작전을 강행하기 때문에 공격 중 막대한 전력 손실을 입어도 후퇴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영국 더 타임스는 북한군 병사들이 사실상 전장에서 '인간 지뢰 탐지기'로 이용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정은 위원장, 탈영·탈북 우려해 추가 파병 꺼려

북한이 막대한 병력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러시아 전선에 군대를 파병한 배경에는 금전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NYT에 따르면 북한군의 파병은 러시아의 요청이 아닌 김 위원장의 주도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의 보고서를 보면, 북한이 러시아에 2만 명의 병력을 투입할 경우 김 위원장은 연간 5억7,200만 달러(약 7,890억원)의 수입을 추가로 축적할 수 있다. 이는 러시아 정부가 그동안 외국 용병에게 약속한 금전적 보상을 고려해 보수적으로 추산한 수치다.

보고서는 "북한군의 전체 병력을 고려할 때 김 위원장은 최대 10만 명의 병력을 우크라이나에 파병할 수 있다"며 "그러나 몇 가지 이유로 그렇게 많은 인원을 파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한 주민을 해외로 내보내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다. 러시아가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음에도 유입되는 북한 노동자 수가 놀랍도록 적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점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실제로 팬데믹 이전에 러시아 체류 북한 노동자는 4만 명에 달했지만, 현재는 6,000여 명에 불과하다.

대규모 병력을 보낼수록 탈영이나 탈북 가능성이 커지는 점도 우려되는 점이다. 또한 10만 명의 병력을 파견하려면 북한 보안요원이 병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도주하지 않도록 감시해야 하므로 투입되는 자원과 인력을 과도하게 늘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북한은 파병 인원 대부분이 사상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귀중한 인적 자원을 고갈시킬 여유가 없다. 한국의 인구가 이미 북한의 두 배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만약 한반도에서 적대 행위가 발생하면 북한의 국경 방어 능력이 약해질 위험을 크기 때문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노조에 몸살 앓는 아마존, 퀘벡서 철수하며 정규직 1,700명 정리해고

노조에 몸살 앓는 아마존, 퀘벡서 철수하며 정규직 1,700명 정리해고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아마존 퀘벡주 사업장 폐쇄 결정, 정리해고 실시
사측 "퀘벡 철수,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화 조치"
노측 "노조 결성 사업장 겨냥한 보복 조치" 반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캐나다 퀘벡주 내 7개 사업장을 단계적으로 철수하기로 했다. 퀘벡은 아마존이 북미 지역의 물류 허브로 활용해 온 지역으로 아마존 측은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화를 사업 중단의 이유로 내세웠다. 이로 인해 퀘벡 사업장 정규직 1,700명을 포함해 2,000여명이 정리해고 위기에 처했다. 퀘벡주 사업장이 아마존의 캐나다 사업장 중 유일하게 노조가 결성된 곳으로 일각에서는 이번 결정이 단순한 비용 절감 이상의 정치적·사회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아마존 "퀘벡주 사업장, 2개월 동안 단계적 폐쇄"

23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퀘벡주에 위치한 7개 사업장의 운영을 향후 2개월 동안 단계적으로 중단할 방침이다. 아마존은 지난 2021년 퀘벡주에 3개의 배송기지를 개설하고, 이후 주문부터 반품까지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풀필먼트센터, 분류센터, 대형 화물 배송 AMXL 시설 등을 추가로 설립하며 퀘벡을 북미 지역의 배송 허브로 활용해 왔다. 아마존에 따르면 사업장 폐쇄 후에는 2020년 이전의 방식대로 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에 배달 업무를 맡길 예정이다.

바버라 아그라이트 아마존 대변인은 "최근 퀘벡주의 사업장 운영에 대해 검토한 결과 타사 배송 모델로 복귀하면 고객에게 더 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장기적으로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철수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정규직 근로자 1,700명이 해고되고 250명에 달하는 임시직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마존은 감원 조치 대상자에게 최대 14주 급여와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노조 측은 회사의 조치가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노조가 있는 사업장을 겨냥한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퀘벡주 아마존 물류창고 근로자들은 지난해 5월 임금과 근무 여건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며 노조를 결성했다. 최근까지 회사 측과 첫 단체협약 협상을 진행 중이었다. 캐롤라인 세느빌 퀘벡 사업장 노조 위원장은 프랑스어 성명을 통해 "오늘 발표된 폐쇄 조치가 노조와 아마존 직원들에 대한 반노조 캠페인의 일환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이번 조치는 퀘벡 노동법 조항에 모순된다"고 비판했다.

아마존 팀스터스 노조의 파업 포스터/출처=아마존 노동조합(ALU)의 X

지난해 12월, 뉴욕·조지아 등 7곳에서 파업 돌입

아마존은 퀘벡뿐만 아니라 미국 본토에서도 노조와의 갈등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아마존 노조는 더 나은 복리후생과 임금 인상, 안전한 근무 환경을 요구하며 뉴욕 ·조지아,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등 7개 시설에서 파업에 돌입했다. 팀스터스 노조가 주도한 이번 파업은 연말 쇼핑 성수기를 앞두고 사측의 협상 참여를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션 오브라이언 팀스터스 노조 위원장은 "휴가철에 택배가 지연된다면 그 책임은 아마존의 끝없는 탐욕에 있다"며 "사측이 협상에 나와 조합원의 권리를 보장하라고 명확한 기한을 제시했지만, 그들은 이를 무시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이에 대해 아마존 대변인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팀스터스 노조가 "1년 넘게 의도적으로 대중을 오도하는 캠페인"을 벌여왔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수천 명의 직원과 배송 기사들을 대표한다는 노조 측의 주장과 달리 실제 시위 참가자들은 대부분이 외부인이라고 지적했다. 회사 측은 "우리 직원들과 파트너들로부터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한 노조가 외부인들을 동원해 우리 팀을 괴롭히고 위협하고 있다"며 "이는 부적절하고 위험한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고객들의 연말 주문 배송에 차질이 없도록 계속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노조 측은 이번 파업이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아마존 노동자 파업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아마존 팀스터스 노조에는 약 1만 명의 근로자가 가입했으며 이는 전체 직원 153만 명의 1% 미만에 해당하는 규모다. 팀스터스 노조는 지난해 8월 사측과의 협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아마존 노동조합(ALU)과 제휴하며 영향력을 확장했다. 당시 오브라이언 위원장은 "우리는 함께 사측에 맞서기 위해 멈출 수 없는 움직임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회사가 근로자를 존중하고 공정하게 협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례 없는 단결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무노조 경영' 깨진 후엔 노조 결성 개입 직원 해고

팀스터스 노조와 제휴를 맞은 ALU는 아마존에서 최초로 결성된 노조로 지난 2022년 출범했다. 아마존은 설립 이후 강력한 '무노조 경영'을 고수해 왔지만 스태튼아일랜드에 위치한 JFK8 창고에서 노조 설립 찬반 투표가 통과되면서 아마존 사업장에 노조가 만들어질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당시 JFK8 창고의 노조 결성을 주도한 세력이 마로 ALU였다. ALU가 영향력을 키우면서 이후 ALU의 위원장인 크리스천 스몰스는 '부자들을 잡아먹자(Eat The Rich)'라는 문구가 적힌 옷을 입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만나 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노조 결성 직후인 2022년 5월 아마존은 JFK8 창고에서 노조 조직화에 관여한 직원 2명이 해고했다. 소포 수거 업무를 해오던 더친은 교대 근무를 마친 뒤 해고 통지를 받았다. 아마존은 해고 사유에 대해 "더친은 회사의 생산성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며 "이전에도 업무 그가 성과와 관련해 경고를 받아 추가 직업 훈련을 받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ALU에서 홍보국장을 맡았던 큐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린 가족을 돌보기 위해 쓸 수 있는 코로나19 돌봄 휴가를 다녀온 뒤 해고 소식을 들었다.

이들에 대한 보복성 해고 논란이 제기됐지만 아마존은 이에 대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CNBC는 "이들에 대한 해고 처분이 노조 활동에 대한 보복 차원인지는 분명하지 않다"면서도 "아마존이 이전에도 업무 관행, 노동 조건 등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직원들을 해고한 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스몰스 위원장은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노동 여건에 항의하는 파업을 이끌었다가 사회적 거리 두기 등 회사 규정을 어겼다는 이유로 해고됐다. 이어 JFK8 소속 고위 매니저 6명이 해고됐다. 사측은 창고 운영과 리더십에 대한 평가의 결과라고 해명했지만, 해고된 매니저들은 노조 결성을 저지하지 못한 책임을 추궁한 것으로 보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딥테크] 전기차 산업, 이제 “다 쓴 배터리 관리!”

[딥테크] 전기차 산업, 이제 “다 쓴 배터리 관리!”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중국 전기차, 작년 글로벌 점유율 76%
사용 끝난 배터리 관리 및 재활용, “새로운 도전”
중국 정부 주도 ‘규제 표준 확립 및 통합’ 시급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중국 전기차 산업은 그야말로 혜성같이 등장해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2012년만 해도 13,000대에 불과하던 생산량이 작년 120만 대에 이르며 글로벌 점유율 76%를 기록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놀라운 중국 전기차의 성장은 중대한 도전에 맞닥뜨렸는데, 바로 역할을 다한 배터리 관리 문제다. 중국이 전기차 산업에서 주도권을 유지하려면 반드시 해결해야 할 필수 과제다.

사진=동아시아포럼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산업 핵심 사안’으로 떠올라

중국의 압도적인 전기차 시장 지위는 국가 주도 지원이 있어 가능했는데 광범위한 연구개발 투자, 세제 혜택, 인프라 지원 등에 이에 해당한다. 이는 중국이 글로벌 리더로 올라서는 발판을 마련해주는 동시에 다수의 업체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시장을 조성하는 데도 일조했다. 하지만 모든 것이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체계와 대비를 갖추지 못한 채 이뤄졌다.

중고 배터리의 재활용과 재사용은 점점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중국이 당연히 해당 영역도 주도하려고 하지만 미약한 감독과 규제, 산업 미통합, 표준화 부재 등의 문제가 진전을 가로막고 있다. 잘못하면 전기차 산업의 추진력이 돼 준 환경 보호 명분마저 훼손할 수 있다.

중국, 전기차 배터리 ‘무허가 처리’ 만연

생산자 책임과 공급망 투명성을 위한 강력한 법이 존재하는 유럽연합(EU)과 달리 중국의 규제 인프라는 아직 발전하지 못했다.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가 전기차 배터리 처리를 위해 지정한 156개 업체 외에도 4만 개가 넘는 회사들이 재활용 허가를 받은 데다 규제 틀 밖에서 활동하는 업체들도 부지기수다. 이로 인해 공인 업체를 통해 처리된 배터리가 전체의 0.4%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규제상의 결함이 재활용 생태계의 파편화를 가중했다.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평가되는 산업 내 치열한 경쟁이 무허가 업자들 또한 양산한 것이다. 이들 업체는 환경 및 안전 기준을 건너뛰는 경우가 많아 환경 및 공중 보건에도 심각한 위해 요소가 되고 있다.

전 세계 전기차 관련 특허의 44%를 점유할 정도로 뛰어난 중국의 기술력도 전기차 산업 성공의 핵심 요소로 작용했다. 하지만 이러한 혁신이 배터리 재활용에까지 확장되지는 못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남은 유효 수명을 정확히 계산하고 재활용 관련 보고 기준을 설정하는 등의 핵심 업무가 표준화에 이르지 못했다. 게다가 배터리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탄소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종합적 체계도 없어 배터리 생산과 처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아직 미지수다. 이런 미비점 때문에 2030년 탄소 배출량 최고점을 지나 2060년 탄소 중립(carbon neutrality)을 달성하려는 중국의 야심 찬 계획이 흔들린다는 얘기도 나온다.

거대 시장과 정부 주도 규제 통합 가능성은 “긍정적”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거대 시장이 주는 이점은 특별하다. 규모 자체가 막대한 초기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데다 시장 변동에 대한 완충 장치 역할까지 하기 때문이다. 2020~2022년 기간 전기차 배터리 생산의 핵심 광물인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 가격이 10배를 넘게 등락을 거듭했지만 중국 전기차 산업은 건재했다. 이러한 시장 안정성은 배터리 재활용 기업들에 낮은 수익률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장기적인 생존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규제 체계가 통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중국 정부가 주도한다면 생산자 책임제, 기술 표준,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효율적으로 확립되고 구축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재활용 산업 육성에 필수적이다.

전기차 산업은 중국이 글로벌 경제 대국으로 올라서는데 핵심 축을 담당했지만 앞으로의 성장 지속 여부는 소비자 단계 이후의 공급망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분야에도 혁신을 불러올 수 있을지도 규제 및 기술, 물류상의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정부와 기업들의 과감한 결단과 실행력에 달려 있다.

원문의 저자는 이페이 리(Yifei Li) 뉴욕대학교 상하이 캠퍼스(NYU Shanghai) 조교수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China’s EV success faces a battery recycling problem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멈출 줄 모르는 美 국채 금리 오름세, 연준 유동성 보따리 언제 풀리나

멈출 줄 모르는 美 국채 금리 오름세, 연준 유동성 보따리 언제 풀리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주요 금융기관 긴축 종료 예상 시점 수정
국채 금리 인상에 경제 경착륙 우려↑
“긴축 장기화, 시장 변동성 확대” 경고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속도 조절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또 다른 통화 정책인 양적 긴축의 지속 여부가 시장의 새로운 관심사로 떠올랐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목표로 한 부채 감소 여부와 미국 국채 금리의 향방이 그 시점을 좌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과 시차를 두고 긴축에 돌입한 유럽과 일본 등 주요국들도 일제히 긴축 기조의 지속을 시사했다.

종료 예상 시점 2025년 1분기→3분기

23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투자 전문 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현재 미 연준이 유지 중인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QT) 정책은 경제 및 금융 여건 변화에 따라 올해 하반기께 종료될 전망이다. 마크 카바나 뱅크오브아메리카증권 금리전략 책임자는 “최근 자금시장의 제한적 변동성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의 대차대조표 정책 논의 부족, 부채한도 관련 우려 미미 등을 고려할 때 양적 긴축이 2025년 3분기에 종료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2025년 1분기 종료될 것이라는 이전의 예측을 수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의 양적 긴축 정책이 올해 초 종료될 것이라던 뱅크오브아메리카증권의 이전 예측은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관측과도 일치한다. 뉴욕 연은은 지난해 4월 발간한 공개시장운영 보고서에서 연준이 양적 긴축을 종료하는 기준으로 11%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지급준비금 비율을 제시했다. 이는 직전 기준치(9%)보다 2%p 높아진 수치로, 양적긴축의 종료가 더 일찍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제금융센터(KCIF)의 전망 또한 비슷했다. KCIF는 지난해 1월 “최근 FOMC 회의에서 일부 위원이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잔액 감소에 주목하면서 QT 축소 논의 필요성을 언급한 게 확인됐다”며 “금융시장 내 양적 긴축이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2019년 9월 연준의 1차 QT가 마무리될 무렵 유동성 부족으로 자금시장이 큰 혼란을 겪었던 만큼 연준이 이번에는 당초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QT를 종료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면서 올해 초 양적 긴축 정책 종료에 무게를 실었다.

MBS 감소, 월 목표에 한참 못 미쳐

이 같은 시장의 기대와 달리 연준의 양적 긴축 종료 논의가 매우 느리게 전개되는 배경에는 고공행진 중인 미국의 국채 금리가 자리하고 있다. 양적 긴축의 종료는 연준이 보유 채권에 대한 매도세를 끝낸다는 의미도 되는데, 지금과 같은 고금리 상황에서 중앙은행의 수입 축소는 자칫 경제의 경착륙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주식과 기업 신용 등 고위험 자산의 가치급락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3일 기준 미 국채(10년물) 금리는 3개월 전보다 0.5%p 이상 오른 4.62%를 기록했다.

예상보다 더딘 주택담보증권(MBS) 축소세도 연준의 고민을 깊게 만드는 요소다. 양적 긴축 선언 이후 1년간 연준의 MBS는 3,000억 달러(약 429조7,000억원) 감소에 그쳤다. 이는 MBS의 원천인 모기지 대출을 받은 금융소비자 가운데 상당수가 과거 저금리(2~3%)로 대출을 받은 탓에 조기 상환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지난해 말 기준 만기가 10년 이상 남은 MBS 규모 또한 2조4,000억 달러(약 3,435조원)에 달해 단기간 내 MBS의 눈에 띄는 감소세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2022년 6월 양적 긴축에 돌입한 연준은 공개시장 계정(SOMA)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대차대조표 규모를 줄이고 있다. 첫 3개월은 월간 475억 달러(국채 300억 달러, MBS 175억 달러)를 축소했고, 2022년 9월부터는 축소 규모를 월간 950억 달러(국채 600억 달러, MBS 350억 달러)로 늘렸다.

美·EU·英 등 주요국 대차대조표 축소에 日 동참

이런 가운데 유럽과 일본 등 주요국의 중앙은행 또한 양적 긴축 정책을 펼치며 미국과의 보폭을 맞추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2022년 말 긴축 페달을 밟으면서 채권 매입을 대부분 중단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매입해 온 1조7,000억 유로(약 2,422조원) 규모의 ‘팬데믹 긴급 매입 프로그램(PEPP)’에 대한 재투자 역시 점진적 축소로 방향을 잡았다. 필립 레인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8월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해 “통화정책 기조는 인플레이션을 적기에 목표 수준으로 낮출 때까지 충분히 제한적인 영역에 머무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긴축 기조 유지를 시사하기도 했다.

영국 잉글랜드은행(BOE)도 기준금리 4.75% 이상을 유지하며 긴축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영국의 소비자물가는 2022년 11%로 최고치를 찍은 후 현재 2.5%까지 내려왔다. 하지만 여전히 정부 목표치(2%)를 상당 폭 웃도는 수준이다. BOE는 “추가 긴축이 필요할 수 있지만, 지금으로선 경제 상황을 지켜보면서 누적된 긴축 효과를 관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은행(BOJ) 역시 지난해 7월 양적 긴축 정책 기조 대열에 동참했다. 당시 BOJ는 매달 6조 엔(약 55조원) 규모의 국채 매입 규모를 2026년 1분기까지 3조 엔 수준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전 BOJ 이사회 소속인 시라이 사유리 게이오대 교수는 “과거 양적 완화를 시행했던 모든 중앙은행이 QT로 돌아섰다”고 진단하며 “각 중앙은행이 생각하는 대차대조표의 적절한 규모가 명확하지 않은 만큼, 시장은 언제든 긴축이 중단되거나 조정할 것에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사유리 교수의 말처럼 전 세계적 긴축 기조가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경고는 곳곳에서 나온다. 시장에 투자 자금이 고갈되면서 주식시장 등 금융시장 전반에 압박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스티븐 배로우 스탠더드은행 G10 전략 책임자는 “과거에는 중앙은행들이 채권을 매입하면서 시장에 현금이 돌고 그중 일부가 주식과 같은 위험 자산에 투자됐으나, 이제 자산이 줄어들면서 새로운 국면이 펼쳐지고 있다”고 진단했으며, 스위스 리 연구소의 제롬 하겔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QT가 연내 계속된다면 변동성 급등 현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美 투자 늘린 韓 기업들, 로비금액도 역대 최고 "불확실성 선제적 대응"

美 투자 늘린 韓 기업들, 로비금액도 역대 최고 "불확실성 선제적 대응"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삼성 100억·SK 80억·한화 56억·현대차 47억
반도체법·IRA·수출통제·한미관계·조선 등 
현지 투자 및 새 정부 출범 대응 차원

한국 기업들의 대미 로비 금액이 작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도체법(CHIPS Act)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정책에 맞춰 대미 투자를 확대하고 새 행정부 출범에 대비하는 과정에서 미국 정부와 의회를 상대할 일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韓 기업들 美 로비 활동에 큰돈, 삼성만 100억

2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에 접수된 기업별 로비 신고 내용을 보면 삼성그룹은 2024년 총 698만 달러(약 100억3,000만원)를 로비에 지출했다. 이는 삼성전자, 삼성반도체, 삼성SDI, 이매진 4개 기업을 합산한 금액이다. 삼성그룹의 로비액은 2021년 372만 달러, 2022년 579만 달러, 2023년 630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4년이 역대 최대 금액이다. 삼성이 상원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의 로비는 △지식재산권 △한미관계 △국방수권법 △외국기업의 대미 투자 △반도체법 △통신 정책 △공급망 △양자·다자 무역 정책 △사이버 보안 △인공지능(AI) 정책 △세제 △디지털 격차 등 다양한 의제를 아울렀다.

SK그룹은 2024년 559만 달러(약 80억3,000만원)를 써 주요 대기업 집단 중 2위를 기록했다. SK그룹이 로비 자금을 가장 많이 쓴 해는 612만 달러를 쓴 2021년이었다.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과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분쟁을 벌이면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SK이노베이션 제품 수입 금지를 막기 위해 미국 행정부와 정치권을 상대로 사활을 걸고 로비할 때였다. SK그룹의 작년 로비 활동은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통제와 공급망 정책 △반도체 투자 △반도체법 △AI △IRA △전기차 △청정에너지 △제약 등에 집중됐다. 현안이 많은 만큼 로비 대상도 연방 상·하원, 상무부, 산업안보국(BIS), 국제무역청(ITA), 국가안보회의(NSC), 국가경제위원회(NEC), 국방부, 국무부, 에너지부, 교통부, 미국무역대표부(USTR), 재무부 등으로 다양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24년 328만 달러(약 47억1,000만원)를 썼다. 이는 현대차와 자회사인 기아차, 현대제철, 슈퍼넬,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비를 합친 금액이다. 현대차그룹의 로비액은 2021년 291만 달러, 2022년 336만 달러, 2023년 323만 달러로 최근 몇 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로비 현안은 △수소와 연료전지 정책 및 인프라 △전기차 인프라와 세제 혜택 정책 △IRA의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환경보호청(EPA)의 배출가스 규제 △커넥티드 차량 등이다.

한화그룹은 2024년 총 391만 달러(약 56억2,000만원)를 로비에 썼다고 신고했다. 미국 사업을 확장하면서 로비액이 2021년 64만 달러, 2022년 90만 달러, 2023년 158만 달러로 빠르게 늘었다. 특히 한화그룹은 태양광 패널 관세와 관련해 행정부와 의회를 상대로 로비 활동을 했다. 미국에 태양광 공장을 운영하는 한화는 작년 미국 정부에 동남아시아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제품에 관세를 부과해 달라고 요청한 적이 있다. 한화는△ IRA △조선 △국방 예산에도 로비를 집중했다. 지난해 한화는 미국 조선업체 필리조선소를 인수했으며 미국 방산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자동차·반도체 분야 투자 확대 영향

그동안 한국의 대미 투자는 2010년대만 해도 10위권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미국 제조업을 살리겠다”며 2022년부터 IRA를 도입하자 한국 기업들은 미국에 대한 투자를 공격적으로 늘렸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등 각종 요건을 충족한 전기차에만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IRA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미국에 공장을 세우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에 기업들이 미국 투자를 확대한 것이다.

실제 현대자동차는 2023년 LG에너지솔루션과 손잡고 43억 달러(약 5조7,000억원)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미국 조지아주에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삼성SDI도 한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투자한 인디애나주에 공장을 짓고 있다. 이곳에는 1,000명이 넘는 한국 교민과 6개의 한식당이 들어설 예정으로 알려졌다. 투자정보업체 fDI마케츠에 따르면 2023년 발표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계획 중 3분의 1 이상이 자동차나 전자 산업과 관련됐다.

또한 비슷한 시기 바이든 행정부가 도입한 반도체법도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를 늘린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과의 반도체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을 적극 장려하고자 만들어진 이 법에는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들에 520억 달러(약 69조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한국뿐 아니라 대만 등 각국의 반도체 업체들도 잇달아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韓, 2023년 대미 투자국 1위 등극

미중 간 긴장 고조가 이어지는 글로벌 정세 변화도 한국의 대미 투자 증가에 한몫했다. 중장기적인 판단에 따라 중국에 대한 비중을 줄이고, 미국의 비중을 늘리는 한국 기업이 늘어났다는 의미다. 2019년 한국의 대외투자액 가운데 미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18%에 불과했지만, 2023년에는 50% 이상으로 급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에 대한 한국 기업의 투자 규모는 전체 대외투자의 11%에서 1% 미만으로 쪼그라들었다.

이에 한국은 2023년 사상 처음으로 미국의 최대 투자국이 됐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한국은 2023년 215억 달러를 투자해 대미 최대 투자국에 등극했다. 2022년 1위를 차지했던 대만의 투자가 급감하면서 한국이 1위 자리에 올라선 것이다. 여기엔 TSMC 같은 대만 반도체 기업들이 최근 일본과 동남아 지역으로 투자를 다각화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다음으로는 캐나다가 2위에 올랐고 △독일 △영국 △일본이 뒤를 이었다. 중국의 경우 2014년 최대 대미 투자국이었지만, 2023년 투자액이 3분의 1로 감소하면서 8위를 차지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