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동아시아포럼] 트럼프 집권이 가리키는 새로운 미일 관계

[동아시아포럼] 트럼프 집권이 가리키는 새로운 미일 관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트럼프 집권으로 미일 양자 간 대화 축소 예상
관세와 주일 미군 분담금 증액 요구, 일본에 부담
중국 견제 수단으로서의 전략적 가치는 인정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면서 미국과 일본의 경제 및 안보 관계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특히 조 바이든(Joe Biden) 대통령 집권 기간 구축된 강력한 경제 안보 협력은 제도적 협력보다 개별 사안에 대한 협상을 선호하는 트럼프의 성향으로 변화가 불가피하다. 물론 미일 동맹은 깨지지 않고 지속되겠지만 트럼프의 무역 정책과 주일 미군에 대한 분담금 증액 요구는 양국 관계를 시험대에 오르게 할 전망이다.

사진=동아시아포럼

트럼프, 대화보다 협상 우선시

미국과 일본은 바이든 대통령 집권기에 폭넓은 양자 간 대화와 다자간 협력을 통해 경제 안보 협력을 강화해 왔다. 그러나 제도적 합의보다 직접 협상을 선호하는 트럼프의 성향은 많은 것을 바꿀 것으로 관측된다. 양자 간 대화를 모두 없애지는 않겠으나 다양한 파트너십 관계를 정리할 것이고 협력 양상과 초점의 변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자간 협력의 측면에서 보면 트럼프의 재집권은 바이든 행정부가 지역 간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해 출범시킨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의 와해를 의미한다. 하지만 트럼프 본인이 1기 행정부 시절 재결성에 역할을 한 4자 간 안보 대화(Quadrilateral Security Dialogue, 미국, 일본, 인도, 호주로 구성된 안보 협의체)에 대한 지원은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관세 및 주일 미군 분담금 협상이 최대 우려 사항

트럼프 경제 전략에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익히 알려진 관세 우선 정책이다. 특히 일본 업체들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멕시코 공장 일본 자동차에 대한 신규 관세는 양국 관계를 악화시킬 공산이 있다. 또한 주일 미군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늘리라는 트럼프의 요구도 2026년까지 예정된 주둔국 지원 협정(host-nation support agreement) 개정을 앞두고 협상이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이전처럼 일본의 무역 흑자와 안보 분담금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지는 않고 있다. 이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는 일본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행정부 내 대중국 매파와 관세 지지자들 포진

향후 미일 관계는 트럼프 행정부 내 핵심 인물들의 역할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과 마이클 왈츠(Michael Waltz) 국가 안보 고문,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부 장관은 중국 영향력 견제를 우선시하는 매파 인물들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일본의 전략적 우선순위와 일치해 양국 간 경제 안보 협력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무역 대표와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상무부 장관, 피터 나바로(Peter Navarro) 백악관 무역 및 제조업 고문 등은 관세 골수 지지자로, 이들의 영향력 여하에 따라 일본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정책이 도출될 수 있다.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도 일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크리스 라이트(Chris Wright) 에너지부 장관과 션 더피(Sean Duffy) 교통부 장관 모두 전기차 및 재생 에너지에 부정적이라 친환경 기술 투자 비중이 높은 일본 기업들은 미국과의 협력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대신 액화천연가스, 지열 에너지, 원자력발전 등이 새로운 협력 분야로 떠오를 전망이다.

미 정부 반도체 및 전기차 지원 정책도 일본에 영향

칩스법(CHIPS and Science Act, 미국 반도체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법안)을 통해 강화된 미일 간 반도체 공급망 협력은 트럼프 집권하에서 불확실성에 처할 수 있다. 마이크로칩 제조 관련 정부 보조금 지원에 대한 트럼프의 부정적 입장 탓에 협력 규모 자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을 의식한 반도체 수출 규제와 공급망 다변화, 연구개발 영역에서의 협력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비슷한 맥락으로 인플레이션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하에서 진행되는 양국 간 협력도 전기차 세제 지원에 대한 트럼프의 의사결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본 기업들의 세제 지원을 가능하게 한 미-일 핵심 광물 협정(U.S.–Japan Critical Minerals Agreement)이 미국 내 노동 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어서다. 하지만 이 역시 양국이 핵심 광물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일에 이해를 같이하고 있어 제3국 광업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 투자 형식으로 협력을 이어갈 공산이 크다.

미국의 ‘중국 디커플링’ 강요도 부담

반면 트럼프 1기를 특징지은 개인 외교는 미일 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파트너십을 유지, 강화하려면 양국이 서로의 관심사를 파악해 실질적인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협력 분야를 개발하는 일에 힘써야 한다.

그중에서도 에너지 생산과 핵심 광물 자급, 반도체 산업 진흥, 공급망 다변화 등이 핵심 영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이들 분야에서의 협력이야말로 일본의 미국 내 투자와 공동 연구개발 노력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국 정부는 상호 투자를 촉진하고 기술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보다 유연한 법적 규제 장치를 도입하는 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가능한 조치 가운데 하나는 해외 직접 투자 관련 일본을 우호 국가 명단에 올려 미국 해외 투자 위원회(Committee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CFIUS)의 규제 부담을 완화해 주는 일이다. 아울러 양국은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 축소 노력에 따르는 비용 부담을 인정하고 경제 차질을 최소화하며 공급망 다변화에 나서야 할 것이다.

원문의 저자는 장 마크 F. 블랜처드(Jean-Marc F Blanchard) ‘S.H. 웡 다국적 기업 연구 센터’(Mr. & Mrs. S.H. Wong Center for the Stud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전무이사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Securing and economising the US–Japan partnership under Trump 2.0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폴리시] ‘유럽 기후 채권’ 발행하고 ‘배출권 거래제’ 확대해야

[딥폴리시] ‘유럽 기후 채권’ 발행하고 ‘배출권 거래제’ 확대해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유럽 ‘기후 투자금’ 규모 턱없이 모자라
‘기후채권’ 발행과 ‘배출권 거래제’ 확대 통해 해결 가능
유럽 ‘환경 리더십’ 유지에도 도움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유럽의 연간 기후 투자금 수요는 5,500억~9,120억 유로(약 827조~1,371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이 수치도 온실가스 감축 위주의 ‘기후 완화’(climate mitigation) 비용을 감당할 뿐 ‘적응 비용’(adaptation costs, 기후 피해에 대처하기 위한 비용)에는 턱없이 모자란다. 그린딜(Green Deal, 2050년까지 EU를 세계 최초 기후 중립 지역으로 만들려는 계획)이나 차세대 EU(NextGenerationEU, 팬데믹 이후 피해 복구 목적으로 만들어진 임시 EU 금융 상품)로는 필요 자금을 확보하기에 역부족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기후 자금 조달과 금융 안정을 위한 대안으로 ‘유럽기후채권’(European climate bond)을 제안하고 있다.

사진=CEPR

유럽 기후 투자금 부족, ‘기후채권’ 발행이 답

유럽기후채권이 발행되면 배출권 거래제(Emissions Trading System, ETS)를 전 산업 분야로 확대해 얻어지는 수입을 통해 이자 및 원금을 상환하게 된다. 또한 자금이 기후 관련 프로젝트에만 배분됨으로써 배출권 거래와 지속 가능(sustainable) 투자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만 실행된다면 유럽의 친환경 자금 조달 수요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경제 회복과 투자자 신뢰, 통화정책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통상 기후 변화 대처를 위해서는 즉각적인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온실가스 배출 감소 조치가 지체되면 긴 시간 동안 훨씬 더 많은 ‘적응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수에만 의존해서는 필요한 자금 규모를 확보하기 어렵다. 여기서 기후채권 발행을 통한 차입은 즉각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면서 재무적 부담은 장기에 걸쳐 분산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EU의 야심 찬 계획에도 불구하고 기후 적응 조치 실행을 위한 자금 조달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또한 ‘기후 적응 투자’는 공공재 성격 때문에 외면받기도 쉽다. 국가별 정책 및 정치 상황에 구애받지 않는 기후채권이 새로운 기후 자금 조달 방식으로 떠오르는 배경이다.

‘ETS’ 유럽 전역 확대 통해 상환 자금 마련해야

기후채권 상환을 위한 주요 자금원으로는 유럽 전역 시행이 논의되고 있는 ETS를 활용할 수 있다. 개별 국가의 정치적 결정에 달린 탄소세 제도와 달리 ETS를 전 유럽으로 확대하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ETS 체제하에서의 탄소 배출권 거래는 현재 가치 기준으로 2100년까지 최소 2조2,000억 유로(약 3,300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공격적인 기후 행동 조치를 가정한다면 11조5,000억 유로(약 1경7,287조원)까지 늘어나 장기적인 기후 자금 수요를 맞추기에 충분하다.

배출권 거래제 확대를 통한 수입 예상(2024~2100년)
주: 금융 시스템 친환경화를 위한 네트워크(Network for Greening the Financial System, NGFS)의 기후 시나리오(X축 / 기후 변화 2도 이하, 현재 정책 유지, 환경 정책 지연, 정책 미통합(좌측부터), 현재 가치(조 유로, Y축), 2023년 수립 6년간 예산(적색)/출처=CEPR

게다가 탄소 국경 조정 메커니즘(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탄소 발생 수입품에 매겨지는 관세 및 부담금, 이하 CBAM)까지 실행되면 해외 생산자들도 유럽의 배출권 거래 기준을 따르게 돼 수입 규모를 더 늘릴 수 있다. 단순히 기후 프로젝트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유럽 전체의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고 탄소 누출(carbon leakage, 기후 정책이 느슨한 국가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까지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유럽 금융, 거시경제·통화정책에 ‘선순환’ 제공

다만 기후채권이 성공적으로 운용되려면 부채 발행과 상환에 전문적 역량을 갖춘 공신력 있는 초국가적 기구가 필요하다. 현재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조직으로는 EU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와 유럽 안정 메커니즘(European Stability Mechanism, 경제적 위기에 처한 유로존 국가에 재정 지원을 제공, 이하 ESM)이 있다. 문제는 EU 집행위는 정책 감독 권한이 있지만 채무 관리 역량이 부족하고 ESM은 재무적 역량이 있지만 기후 금융 관련 강제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인데, 이는 양 조직을 혼합하거나 재무 및 규제 측면의 권한을 모두 갖춘 신규 조직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유럽기후채권은 기후 투자금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나아가 유럽 금융 시장에 안전하고 유동성이 풍부한 친환경 자산을 공급해 금융시장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지속 가능 투자 수요가 급증하는 현재 상황에서 유럽 금융 체제의 초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적으로도 기후 투자가 경제 회복을 돕고 재정 상황을 개선해 국채 수익률을 낮추는 선순환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상 기후로 인한 경제적 피해 감소 등 기후 적응을 통한 재무적 이익까지 감안한다면 선순환 효과는 더 커진다.

또한 통화정책 면에서도 기후채권은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 ECB)이 더 많은 친환경 자산을 보유해 자산 구매 프로그램(asset purchase programs, 유동성 확대를 위한 양적 완화 정책)상의 불균형을 바로잡을 수 있다. 이는 유로존의 금융 시스템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EU 통화정책을 전반적 기후 목표와 일치시키는 결과로 나타날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기후채권의 선순환 효과
주: 기후 적응력 향상, GDP 성장, 재정 상황 개선, 투자자 신뢰, 국채 수익률, 기후 행동 투자(상단 중앙부터 시계 방향)/출처=CEPR

미국·중국 제치고 기후 정책 주도권 확보 가능

한편 유럽기후채권 발행은 글로벌 기후 정책에서 유럽의 주도권 강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친환경 자금 조달 방식을 선도해 지속 가능 기술과 혁신에서의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기후 정책이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 있음을 감안할 때 유럽의 우위는 예정된 일이다.

이와 함께 CBAM의 실행은 유럽 기후 행동을 전 세계로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높은 환경 기준을 설정하고 거래 메커니즘을 통한다면 유럽의 친환경 정책은 국경을 넘는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원문의 저자는 아이린 모나스테올로(Irene Monasterolo) 위트레흐트대학교(Utrecht University) 교수 외 3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A European climate bond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테크] 미국·중국이 독점하는 친환경 투자, 어떻게 해결할까?

[딥테크] 미국·중국이 독점하는 친환경 투자, 어떻게 해결할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글로벌 친환경 투자, 신흥국에 인색
‘주가지수’ 포함 여부와 ‘시장 구조’ 
투자 유치에 결정적 영향 미쳐
시장 개방하고 친환경 산업 육성해야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친환경 산업 투자 증가는 환경 보호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을 입증한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펀드의 신흥시장에 대한 친환경 투자가 강대국에 비해 지나치게 작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 현상은 투자 펀드의 의사 결정에 작용하는 기회 요소와 위험 요소를 이해해야 해결할 수 있다. 실제로 펀드 자체의 특성, 기업들의 주가지수 포함 여부 및 각국 시장 구조 등은 친환경 투자 흐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사진=CEPR

친환경 투자, 정작 필요한 신흥시장 배정 ‘미흡’

최근 들어 늘어나는 관심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는 환경 목표를 달성하기에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제29차 유엔 기후 변화 회의(COP29, UN Climate Conference)도 필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기후 금융에 대해 지적한 바 있다. 특히 공적 자금의 제약으로 민간 부문의 기여가 절실하지만 지정학적 갈등과 각국 정부의 기후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S&P 글로벌 청정에너지 지수’(S&P Global Clean Energy Index, 청정에너지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성과를 집계)를 포함한 친환경 주가지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신흥시장은 친환경 투자 유치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투자가 가장 절실한 시장임에도 미국이 여전히 친환경 전용 투자 펀드의 70%를 점유하는 최대 수혜국으로 군림하고 있어서다. 다음 순서인 중국도 신흥시장에 배정된 친환경 자본의 대부분을 끌어가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다른 나라들이 추진력을 얻는 데 애를 먹고 있는 현실이다.

신흥 시장 전용 펀드, 친환경 투자 비중도 높아

전 세계 3만7,000여 개의 투자 펀드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친환경 산업 투자 유치에 몇 가지 결정 변수들이 작용함을 발견했다. 가장 먼저 신흥시장 내에 주소지를 두고 있거나 투자 대상이 특정 국가로 제한된 펀드가 친환경 자산에 투자할 확률이 높다. 이 펀드들은 특정 시장에 집중하기 때문에 정보 불균형을 잘 파헤쳐 적합한 투자 대상 친환경 기업을 찾아내는 데 효율성을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특정 시장에 집중하는 펀드는 글로벌 대상 해외 펀드보다 친환경 투자 비중이 2% 높다.

펀드 자체 특성으로 인한 친환경 및 화석 연료 투자 비율 비교
주: 투자 비율(Y축), 친환경 투자(청색), 화석 연료 투자(적색), 펀드 연령, 주가지수 연동 투자 펀드, 기관 투자 펀드, 신흥시장 전용 펀드(좌측부터 순서대로)/출처=CEPR

신규 및 개인 투자 펀드도 비중 높아

또한 신규 투자 펀드일수록 ‘지속 가능’(sustainability) 트렌드의 변화와 기후 관련 투자 수요에 기민하게 반응해 친환경 산업에 더 많은 몫을 할애했다. 반면 오래될수록 화석 연료 중심 기존 투자 포트폴리오를 고수하는 경향이 강했다.

한편 개인 투자 펀드가 각자의 선호도를 자유롭게 반영한 친환경 투자 비율이 높은 데 반해 기관 투자 펀드는 안정 추구 성향으로 리스크가 높은 친환경 투자를 꺼렸다. 또한 패시브 펀드(passive fund, 지수 투자 등 방어적 투자로 시장 수준의 수익률 달성을 목표로 하는 펀드)가 다양한 에너지 관련 시장 지수와의 연동 경향으로 친환경 자산 비율이 높았지만 화석 연료 투자 비율도 낮지는 않았다.

글로벌 주가지수 포함 여부가 결정적

펀드 자체의 특성 외에 국가별 특징들도 친환경 투자 흐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일례로 중국과 브라질은 신흥시장 중에서도 두드러진 친환경 투자 유치 능력을 보였는데, 이는 두 나라가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모건 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의 신흥 시장 주가지수(Emerging Markets Equity Index)와 같은 주요 시장지수에 포함돼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벤치마크 효과(benchmark effect, 투자 유치에 대한 시장 지수의 영향)는 결정적인 변수로, 주요 시장 지수에 포함된 국가들이 글로벌 펀드 투자를 더 많이 받았다.

국가별 ‘MSCI 신흥 시장 주가지수’ 비중과 ‘글로벌 신흥시장 주식형 펀드’의 친환경 투자 비중
주: 글로벌 신흥시장 주식형 펀드의 친환경 투자 비중(Y축), MSCI 신흥 시장 주가지수 비중(Y축), 루마니아, 러시아, 필리핀, 태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브라질, 인도, 대만(좌측부터 순서대로), *중국은 분석 편의를 위해 제외(X축 31%, Y축 65%로 압도적)/출처=CEPR

시장 개방성, 자유 경제 체제·친환경 산업 육성

해외 투자에 대한 개방성이 높고 자유 경제 체제를 갖춘 국가들도 투자 유치에 유리했다. 아울러 재생 에너지 생산 비율과 친환경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도 많은 투자를 받았다. 반면 대주주에게 소유권이 집중된 상장사들이 많은 나라들은 거래 가능한 주식 수 부족으로 구조적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글로벌 신흥시장 펀드 투자에 대한 국가별 영향 요소
주: 자본 시장 - MSCI 신흥 시장 주가지수 비중, 기업 소유권 집중 / 거시경제 변수 - 해외 투자 규제, 경제 자유 지수 / 친환경 변수 - 기후 변화 대응, 국가별 ESG 점수, 재생에너지 비중, GDP 대비 친환경 수출 비중(좌측, 상→하), 국가별 친환경 투자 비중(좌측, Country share of green assets), *녹색은 양의 상관관계, 갈색은 음의 상관관계/출처=CEPR

하지만 글로벌 친환경 금융 논의에서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각국의 기후 정책은 국가별 친환경 투자 유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 구조 및 주가지수 포함 여부가 투자의사 결정에 더 크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신흥시장 국가들은 주가지수의 친환경 투자에 대한 압도적 영향력을 감안해 주요 주가지수에 포함될 수 있도록 친환경 산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 재생 에너지 생산량 및 수출 증대와 함께 우호적인 투자 환경 조성은 개발도상국들을 매력적인 지속 가능 자본의 투자 대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정책 입안자들과 연구자들은 글로벌 투자 펀드의 움직임에 대한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을 통해 환경 정책과 정치적 변화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면밀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강력한 탄소 배출 규제나 재생에너지 장려 정책이 투자에 작용하는 방식을 관찰하면 정책 변화와 투자 흐름 간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나친 친환경 정책 때문에 규제가 느슨한 국가들로 투자가 흘러가는 역효과를 분석하는 것도 친환경 자본 유치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원문의 저자는 안나마리아 데 크레스첸시오(Annamaria de Crescenzi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이코노미스트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The drivers of investment funds’ allocation to green companies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시크(DeepSeek)가 되살린 계산 비용 절감 패러다임

딥시크(DeepSeek)가 되살린 계산 비용 절감 패러다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

수정

중국에서 만들었다는 LLM 모델이 전세계 시장을 강타하고 있다. 서비스 이름은 '딥시크(DeepSeek)'다.

그간 LLM 분야에서 가장 선두주자였던 오픈AI가 이름만 '오픈'이지 실제로는 소스 코드도 공개 안 하고, 누적 투자금 178억 달러 (2024년 12월 기준)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투자금만 들어간 상태에서 수익성을 못 낸다고 각종 비난을 받았는데, 딥시크는 오픈AI의 GPT4 대비 1/18의 비용만으로 만들었다고 말들이 많다.

그간 LLM 모델 학습의 필수라고 알려진 그래픽 카드 기업 엔비디아의 주가는 하루 아침에 17%나 빠졌고, 장기적으로는 더 추락할 것이라는 이야기들이 나온다. 그간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한다는 이유로 덩달아 주가 부양이 됐었던 한국의 SK하이닉스 및 협력사들도 동반 주가 폭락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그럼 이제 그래픽 카드로 LLM 훈련 시키는 시대는 끝났을까?

'계산 비용' 최적화 시대로의 회귀

우리 SIAI의 AI MBA 과정 4번째 수업 이름은 '과학적 프로그래밍(Scientific Programming, SP)'이다.

기초적인 수학, 통계학을 이용해서 '데이터로 문제를 풀어내는 법'을 3과목에 압축해 반쯤 주입식 교육을 하고 난 다음에 바로 던져주는 과목이다.

밖에서는 '코딩'을 잘해야 '데이터 과학자'라고 하면서 개발자들 방식으로 '코딩'을 가르치던데, 우리는 SP 수업에서 여러 계산법들이 어떤 역사적인 배경, 데이터 활용을 고려해서 만들어졌는지를 가르쳐주고, 거기에 따라 '계산 효율성(Computational Efficiency)'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간단 과제들로 직접 경험하게 해 준다. 데이터 과학자들에게 필요한 코딩은 개발자들 방식의 상용 프로그램 설계가 아니라, 효율적인 계산에 있기 때문이다.

이 수업은 겉으로 보기에는 많은 코딩 과제를 제출해야 하는 수업이지만, 사실은 20가지 계산법들을 배우고, 그 계산법들 각각이

$\text{Computational Efficiency} = \frac{1}{\text{Computational Cost}} \times \frac{1}{\text{Computational Error}}$

라는 기준에 따라 비교, 평가될 수 있다는 논리를 가르치는 수업이다.

참고로 계산 비용(Computational Cost)필요한 전력, 하드웨어, 시간 등을 말하고, 계산 오차(Computational Error)는 흔히 보는 Mean-Squared-Error (MSE), 혹은 계산 상황에 맞게 적절히 가중치를 변경한 오차 모델을 쓰면 된다.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는 주어진 하드웨어를 놓고 시간과 MSE를 이용해서 계산 효율성 비교 그래프를 그리라고 시키고, 데이터의 형태가 바뀌고 계산 모델이 바뀌면서 순위가 역전되는 걸 경험하도록 수업을 만들어 놨다. 기말고사 문제들 뒷 부분에는 MSE 대신 다른 오차 모델을 썼을 때 계산 효율성 순서가 어떻게 뒤집어질지 추론해라는 사고 실험을 덧붙여주기도 한다.

저 수업을 제대로 들은 한 학생이 국내 모 대기업에 데이터 사업 관련 프로젝트 발주를 들어간 경험을 이야기해 준 적이 있는데,

계산비용(Computational Cost)이라는 개념 자체가 아예 없으시더라구요

무슨 말인지는 이해 못해도, 이렇게 하면 정확도 0.1%만 손해보고 클라우드 비용을 1/5로 줄일 수 있다고 하니까 눈이 번쩍 뜨이는 표정을 지으시더라구요

라는 말도 들었고, 그 컨설팅 업체가 국내 모 유명 통계학 교수가 자기네 대학원 학생들 데리고 운영하는 조직인데,

도대체 이런건 어디에서 배웠냐? 이런게 해외에서 배운다는 그런거냐?

라는 질문을 들었다는 이야기도 전해들었다.

그간 한국 IT업계가 IT개발자들을 데리고 'AI프로젝트'를 하다보니 그저 비싼 그래픽 카드를 사서 붙여서 정확도만 높이면 된다는 안이한 생각을 했었기 때문에, 저런 기초적인 학문적 지식, '과학적 프로그래밍'이라는 지식이 없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딥시크(DeepSeek)와 과학적 프로그래밍

딥시크가 외부에 공개한 내용과 내부적으로 돌아가는 상황이 얼마나 다를지는 알 수 없지만, 앞으로 이용자 경험이 쌓이면서 이것저것 몰랐던 내용들이 등장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이것 하나만은 확실히 이야기 할 수 있다.

오픈AI가 들였던 비용의 1/10도 안 들이고 유사하게 작동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냈다.

그간 줄곧 H100/200 같은 고가의 그래픽 카드를 쓰는 것이 저 도전의 열쇠를 풀어내는 것이 아니라, 계산 알고리즘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짜느냐에 달려 있다는 이야기를 여러번 했었다. 우리학교 AI MBA 과정의 초반부에 SP를 가르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쪽 학문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기초적이고 상식적인 지식이라는 뜻이다. 내 입장에서는 지극히 상식적인 지식, 필수적인 지식이기 때문에 초반부에 이 과목을 가르쳤다.

그 과목 후반부에 기말 시험을 치를 시점이 되면 학생들이 드디어 '딥러닝 매니악'을 왜 내가 그렇게 싫어하고 무시하는지를 뼈저리게 공감한다. 무조건, 어떤 문제건, 그냥 모르겠으면 별 생각없이, '딥러닝'으로 해결하면 된다는 이야기가 얼마나 조잡한 수준인지를 본인들 스스로 깨달았기 때문일 것이다.

딥시크도 그런 철학을 바탕으로 만들어 진 서비스다.

미국의 수출 제한 때문에 H100/200을 많이 못 구했을 수도 있고, 몰래 수출 우회로를 통해서 물량을 확보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외부 투자금과 계산 모델을 봤을 때, 오픈AI나 미국 주요 경쟁사들처럼 막대한 물량을 갖고 있지는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자기들의 하드웨어 제한에 맞춰 계산 방법들을 효율화 했다.

SP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계산 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이면서 최적화 작업을 했다는 뜻이다.

더 빠른 계산 vs. 효율적인 계산

저 과목을 가르치고 난 직후, 국내 모 초명문대학에서 컴퓨터 공학 학·석·박을 하고 모 대기업에서 부장을 하시다가, 계산 속도를 엄청나게 끌어올리는 사업 모델을 갖춘 어느 스타트업에 CTO로 이직하신 분과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그 대기업이 투자한 스타트업이고, 그 분은 우리 SIAI의 AI MBA에 와 계신 분이었다.

SP를 잘 들으셨으면 나 같은 사람들이 '계산 속도를 끌어올리는'데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는 프로젝트에 큰 관심이 없다는 것을 깨달으셨을텐데, 계산 속도를 끌어올리는데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시더라.

그 분께 웃으면서

수업 들으신대로 DGP*에 맞춰서 데이터랑 모델 형태만 살짝 변경하면 계산 비용을 1/10, 1/100로 줄일 수 있는데, 제가 굳이 돈 내고 그런 서비스를 쓸려고 하겠습니까? Brain cost를 못 내는 사람들이나 그 비용을 지불하지 않겠습니까

라고 농담하고 대화를 끝냈었는데, 그 날은 아직 SP 수업의 의도가 온전히 전달이 되지 않았을지 몰라도, 딥시크를 보면서는 내 말의 의도를 공감하실 것이다.

(DGP*: Data Generating Process, 해당 데이터가 만들어지는 배경 상황)

내 의도를 잘 이해한 어느 AI MBA 학생 하나는 자기 논문의 핵심을 이렇게 이야기한다.

Brain cost를 약간 쓰면, Time cost, Financial cost를 모두 다 줄일 수 있습니다

두 분 중 한 분은 컴퓨터 공학으로 우리나라 최고 명문대에서 받을 수 있는 학위를 다 받은 분이고, 다른 한 분은 평범한 인서율 대학 문과 출신이다.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분과, 한국식 교육으로 학위를 받은 분과 어떤 차이가 나는지 공감이 될 것이다.

이제 중국은 따라잡지도 못하는 나라가 됐다

박정희-전두환 대통령을 거치면서, 미국과 일본의 막대한 지원을 받으면서, 우리 국민들이 근면성실했던 덕분에, 우리나라는 불과 몇 십년 만에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 사이 사회주의 시스템 속에서 잘못된 정책만 반복하던 중국보다 1인당 국민 소득이 10배, 20배까지 뛰면서 압도적인 경제적 우위를 누렸는데, 1인당 평균 국민 소득이야 여전히 높을지 몰라도 이제 기술적인 우위는 끝났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에서 SP를 가르치면서 난 온갖 종류의 음해 공격, 조롱, 멸시를 당했다. 저 과목은 미 명문 스탠포드 대학의 산업공학과 학부 고학년 수업 일부내가 시뮬레이션으로 박사 과정하며 배운 지식에 녹여넣어서 만든 과목이다. 그런데 저 과목 시험 문제를 외부에 공개했더니 내 학부 전공이었던 경제학을 가르친다고 조롱하는 국내 커뮤니티 글들을 여럿 봤었다. 딥러닝만 잘 하면 되지, 뭐 이상한 거 가르친다는 이야기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들었다.

아마 우리나라가 상식적으로 데이터 과학을 가르치는 나라였다면 내가 SP를 가르치기 전부터 이미 대학 교수들이 SP에 해당하는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어놨을 것이고, SIAI에서 SP를 배운 학생들이 기업 현장에서 '계산 효율화'를 위한 계산법 변형, 데이터 구조 변형 이야기를 했을 때 무슨 말인지 말 귀를 못 알아 듣는 대기업 고객사 직원도 없었을 것이고, 국내 유명 통계학과 교수가 이끄는 데이터 컨설팅 팀이 "도대체 이런건 어디서 배웠냐?"라는 질문을 할 이유도 없었을 것이다. 저게 경제학인지, 계산과학인지 구분도 못하고 조롱이나 일삼는 커뮤니티 글들을 볼 일도 없었겠지.

얼마 전, L모 대기업이 회사 내에서 자체적으로 LLM 모델을 만들었다고 하더라. 다른 경쟁사들이 오픈 소스 LLM 모델을 살짝 고쳐서 쓰는 것과 달리, 자기들은 직접 만들었다고 자랑스럽게 발표했는데, 그 회사에서 자체 LLM을 직접 써 본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질문 4~5번 정도 지나가면 똑같은 답을 반복해서 큰 쓸모는 없지만...

이라는 표현이 따라 나온다. 내가 연습삼아 반나절 써서 만들어 봤던 toy model 보다 조금 더 나은 수준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그 예산의 1/10만 있었어도 난 훨씬 더 잘할 자신이 있지만, 나는 그런 사회적 인프라를 가진 사람도 아니고, 그냥 멀리서 한국 최상위권 대기업과 IT기업이 중국 스타트업들에 무시당하는 수준의 기술력으로 상품을 내놓는걸 바라보기만 할 뿐이다. 지적해서 고쳐주고 싶은 열정은 이미 오래 전에 잃어버렸고, 이젠 조롱하고 싶은 에너지도 없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SP라는 학문적인 지식을 이용해서 세계 각국의 견제를 극복하는데 막대한 투자금을 붓는 나라와, 대학과 기업이 껍데기 포장에만 바쁜 나라, 정부는 그저 그런 대학과 기업에 끌려다니기만 하는 나라, 혼자서라도 극복해보려는 도전자를 돈 키호테로 만들어버리는 나라 사이에 격차가 좁혀질 일이 있을까?

부럽고, 두렵다.

더 이상 안타깝지는 않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

[딥테크] 재택근무 안 해도 ‘나를 알아주는 회사’가 “더 좋아”

[딥테크] 재택근무 안 해도 ‘나를 알아주는 회사’가 “더 좋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원격근무, 직장 생활 ‘필수 조건’ 중 하나로
‘인정받는 느낌’보다 중요하지는 않아
직원 만족과 인재 모두 잡고 싶다면 ‘조직 문화 개선’이 먼저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원격근무의 장점과 적합한 형태에 대한 논란이 뜨겁지만, 직원들이 정작 중요시하는 것은 원격근무 여부 자체가 아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원격근무가 직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인정받고 있다는 느낌’을 포함한 기업 문화가 직원들의 직업 만족도와 고용 유지에 훨씬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CEPR

코로나 계기로 확산한 원격근무, 업종에 따라 ‘비율 재조정’

코로나19 팬데믹은 원격근무에 새 장을 열었다. 2020년 초반 10%를 넘지 않았던 전격 원격근무자 비율은 2021년 초반이 되며 18%로 늘어났고 하이브리드 형태의 근무도 45%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후 2023년 말에는 전격 원격근무 비율 20%, 하이브리드 50% 선에서 업무 패턴이 안정화됐다.

이중 금융 및 보험을 비롯한 전문 서비스 업종이 원격근무 도입을 앞에서 이끌었는데, 60%를 넘는 직원들이 전격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원격근무를 하고 있다. 반면 교육 및 건설업은 대면 근무의 중요성이 다시 자리 잡으며 원격근무에서 멀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산업별 원격근무 비율
주: 재택근무 직원 비율(X축), 전격 원격근무(적색), 하이브리드(청색) / 농·업·어업, 광업, 전기 및 수도, 건설, 제조, 도소매, 운송 및 창고, 정보, 금융·보험, 부동산, 전문 서비스, 기업 경영, 행정·지원·폐기물, 교육, 보건·사회복지, 예술·엔터테인먼트·레크리에이션, 음식·숙박, 기타 서비스, 공공 행정(위에서 순서대로)/출처=CEPR

원격근무 여부는 같은 산업 내에서도 직원들이 담당하는 업무에 따라 크게 갈린다. 컴퓨터나 수학과 관련된 직종이 점점 더 많이 채택하고 있는 반면 영업, 교육, 건설 등의 영역은 직접 출근의 필요성에 따라 줄어들고 있는 양상이다.

직종별 원격근무 비율
주: 재택근무 직원 비율(X축), 전격 원격근무(적색), 하이브리드(청색) / 관리, 사업·금융, 컴퓨터·수학, 건축·공학, 생명·사회과학, 사회복지, 법률, 교육·훈련, 디자인·엔터테인먼트, 의료, 의료 지원, 보안·경비, 조리, 건물 관리, 미용 및 위생, 영업, 사무 지원, 농·업·어업, 건설, 설치·유지보수, 생산/출처=CEPR

미국 내 주에 따라서도 차이가 큰데 특정 산업 밀집도나 경제 상황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 텍사스, 뉴욕 등이 높은 원격 근무율을 유지하는 데 반해 다른 주들은 변동이 심한 편이다.

원격근무, 직업 만족도와 직접 상관관계 없어

이번 연구는 재작년 5월부터 작년 12월까지 페이스케일(Payscale, 직무에 대한 시장 기반 급여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올라온 15만여 개의 댓글을 통해 원격근무와 직원 만족도 간 관계를 분석했다. 페이스케일은 급여 정보 외에도 직장에서의 인정, 의사소통, 직업훈련 기회, 보상 투명성(pay transparency, 직원 보상에 대한 정보 공유), 경영진 자질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연구 결과는 원격근무가 코로나19 초기에는 직업 만족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팬데믹 종식 후 영향력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통계적으로도 보상 투명성과 경영진 자질 등의 특성을 제외하면 원격근무와 직업 만족도 간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통계적 의미를 잃는다. 간헐적인 원격근무를 동반하는 하이브리드 근무 방식이 직업 만족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오지만 전격 원격근무와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다.

원격근무와 직업 만족도 간 상관관계
주: 기간(X축), 만족도 추이(Y축), 전격 원격근무(사무실 없음), 하이브리드 근무(사무실 없음), 전격 원격근무(사무실 있음), 하이브리드 근무(사무실 있음)(좌→우, 상→하 순서)/출처=CEPR

원격근무보다는 ‘인정받는 느낌’이 더 중요

오히려 직장 내 특성 중 ‘인정받는 느낌’이 직원들의 만족도와 퇴사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인이 존중받고 인정받고 있다고 느끼는 종업원들이 원격근무 형태에 상관없이 조직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았고 회사 일에도 열심히 참여했다.

해당 사실은 긍정적인 직장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인재 및 직업 만족도 유지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말해 준다. 원격근무는 업무 유연성에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직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소속감과 인정 욕구를 대체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 결과는 진화하는 업무 환경을 헤쳐 가려는 기업들에 귀중한 시사점을 전달한다. 결론적으로는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가 원격근무의 유연함과 대면 상호작용의 협력적 특성을 조합해 다양한 직종에 걸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원격근무 정책의 효과성은 그 자체를 떠나 산업별 역학 관계와 조직 우선순위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직종을 예로 든다면 컴퓨터 공학 관련 분야가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를 통해 생산성과 직원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어 원격근무에 가장 적합하다. 반면 건설업이나 의료 서비스와 같이 물리적인 업무를 수반하는 영역은 인재 유지를 위해 직장 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일이 더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산업과 조직 특성에 맞게 원격근무를 운영하되 직원들을 격려하고 인정하는 조직 문화를 만드는 일이 기업 성장과 발전에 훨씬 더 유익하다.

원문의 저자는 크리스토스 마크리디스(Christos Makridis) 애리조나 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부교수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Remote work matters, but culture is the elephant in the room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동아시아포럼] 중국, ‘동남아도 못 감싸면서 어떻게 전 세계를?’

[동아시아포럼] 중국, ‘동남아도 못 감싸면서 어떻게 전 세계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동남아시아, 중국 주도 지역 질서 반대 ‘공감대’
‘아세안’에 의한 질서와 민주주의 원해
남중국해 도발 및 경제적 강압이 가장 큰 문제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2023년 5월 실시된 동남아시아 정치 및 관료 엘리트 500명에 대한 설문 조사는 해당 지역에 중국 주도 지역 질서에 대한 반감이 폭넓게 형성돼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크게 확장됐음에도 동남아 엘리트들은 중국의 수직적 통치 구조보다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에 의한 질서와 민주주의 원칙을 지지함을 보여준 것이다. 무엇보다 남중국해에서의 공격적 행동과 강압적 경제 조치가 중국의 매력도와 권위를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다.

사진=동아시아포럼

동남아 엘리트, 중국 중심 지역 질서 ‘원하지 않아’

중국은 동남아시아를 자연스러운 영향권이라고 보고 중국 중심의 질서를 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elt and Road Initiative)나 글로벌 개발 이니셔티브(Global Development Initiative), 글로벌 안보 이니셔티브(Global Security Initiative), 글로벌 문명화 이니셔티브(Global Civilization Initiative)가 모두 지역 내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시도다. 즉 중국의 선호에 맞춰 동남아시아의 정치 및 경제 환경을 수립하겠다는 전략적 목표를 드러낸다.

하지만 설문 조사는 중국의 야심과 지역 엘리트 간 단절을 잘 보여준다. 응답자 대부분이 중국의 정당성과 권위, 의도를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세안’이 지역 이끌어야

또한 설문 결과는 동남아인들이 지역을 이끌어갈 주체로 중국이나 미국이 아닌 아세안을 꼽고 있음도 확인해 준다. 포용성과 다양성, 다자간 협력을 중시하는 아세안이 지역 엘리트들에게 더 큰 공감을 얻고 있다는 얘기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아세안이 두 강대국보다 영향력 있고 효과적이며 지역 사안을 해결하는 중심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단 태국 응답자들만이 중국을 가장 영향력 있는 주체로 선정해 지역 내 중국 중심 질서에 대한 수용이 제한적으로 존재함을 보여준다. 아세안에 대한 지지는 엘리트들이 수십 년 간의 협력과 통치 구조에 대한 공감대를 통해 강력한 ‘집단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음도 입증한다.

한편 응답자의 2/3는 동남아시아가 미국보다는 중국에 문화적으로 연결돼 있다고 답해 동남아와 중국 간 친밀감을 인정하기는 한다. 하지만 친밀감이 정치적 지지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90% 가까운 응답자가 중국의 위계적이고 중앙집권화된 정치 체제보다는 민주적 가치가 그들의 통치 구조에 적합하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마음에 안 들면 거리낌 없이 “힘 사용”

중국이 동남아 국가들의 염원에 부합하는 정치적 가치와 규범을 제시하지 못하는 점은 중국의 지역 주도권 확보에 치명적이다. 동남아인들이 지역 통치 체제의 핵심으로 꼽는 민주적 가치와 포용성, 다원주의는 지금까지 보여 온 중국의 모습과 정반대이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중국의 거리낌 없는 힘의 사용으로 전랑 외교(wolf warrior diplomacy, 중국의 공격적 외교 정책), 강압적 경제 조치, 내정 간섭 등이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그리고 남중국해는 이 모든 것들이 동원되는 충돌의 현장으로 중국의 ‘이론의 여지 없는’ 통치권 주장이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2012년 중국이 스카버러 샬(Scarborough Shoal, 남중국해 섬) 점령을 비판한 필리핀에 대해 바나나를 포함한 농산물 수입 중단 조치를 내린 것이 대표적 사례다. 싱가포르 역시 필리핀 손을 들어준 상설 중재 재판소(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판결을 지지한 것으로 중국의 경제 제재 위협을 받았다.

이웃도 포용 못 하면서 어떻게 전 세계를?

중국이 주장하는 내정 불간섭 원칙도 본인들이 앞장서 해당 지역에서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려는 시도로 볼 때 미사여구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중국공산당 통일전선공작부(United Front Work Department)가 다양한 대리 기관들을 동원해 화교들까지 포섭하려 하는 것은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설문 결과는 중국의 주도권 야심에 엄청난 시사점을 전해 주고 있다. 가장 가까운 이웃들조차 수용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겠는가? 관대함을 보이고 신뢰를 조성하며 지역의 가치를 지지하지 않는다면 동남아는 물론 글로벌을 향한 중국의 야심도 충족되기 어려울 것이다.

원문의 저자는 테렌스 리(Terence Lee) 난양 공과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선임 연구원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Southeast Asian elites resist a China-led regional order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파이낸셜] 중앙은행이 ‘국민 신뢰’ 잃으면 벌어지는 일

[딥파이낸셜] 중앙은행이 ‘국민 신뢰’ 잃으면 벌어지는 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국민 신뢰’, 중앙은행 통화정책 성공 위한 핵심 자산
중앙은행 신뢰도 최대 변수는 ‘금융 지표, 의사소통, 스캔들’
떨어진 신뢰 회복해도 경제적 영향력은 지속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국민의 신뢰는 경제 안정을 도모하고 인플레이션 기대치에 영향을 미치려는 중앙은행의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다.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 이하 연준)에 대한 대중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4백만 개에 달하는 트윗을 분석한 연구도 나왔다. 이들이 만든 신뢰 지수(trust index)는 금융 시장 상황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연준 인사들을 둘러싼 추문이 어떻게 대중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지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떨어진 중앙은행 신뢰도는 금세 회복되지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장기에 걸쳐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CEPR

중앙은행 통화정책 효과성 위해 “신뢰는 필수”

중앙은행은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위해 대중의 신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단순히 중앙은행 발행 통화에 대한 공신력 유지에 그치지 않고 통화정책의 파급효과를 최대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신뢰는 중앙은행 결정의 정당성을 높여 정치권의 개입을 막는 역할도 한다.

중앙은행에 대한 일차적인 신뢰는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저금리를 유지하는 등 중앙은행이 제시한 거시경제 정책들을 온전히 수행할 것이라는 대중의 믿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넓은 의미의 신뢰는 훨씬 더 많은 차원을 포괄하는데 중앙은행 자체의 진정성, 역량, 공공의 이익과의 부합 여부 등에 대한 공중의 인식이 그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비공식적 규범과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 무형의 자산)에 전적으로 의지하기 때문에 쌓기는 어렵지만 무너지기는 쉽다.

‘금리, 인플레이션’ 오르면 중앙은행 신뢰도는 떨어져

지금까지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는 설문 조사가 폭넓게 활용돼 왔다. 하지만 해당 방식에 의한 신뢰도 측정은 낮은 데이터 수집 빈도와 폐쇄형 문항, 피조사자들이 보이는 각종 편향 등으로 한계를 보여 왔다. 트윗 분석을 통한 신뢰 지수는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수백만 개의 트윗을 연준에 대한 지지, 비판, 중립, 무관 등 카테고리로 구분한다.

연준에 대한 신뢰 지수 추이
주: 기간(X축), 신뢰 지수(긍정적 트윗과 부정적 트윗의 차이, Y축), 주간 단위 신뢰 지수(회색), 4주 단위 이동 평균(적색)/출처=CEPR

이렇게 만들어진 신뢰 지수를 통해 과거 중앙은행 신뢰도의 변화 패턴을 볼 수 있다. 2010~2023년 기간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 연준 의장 교체, 코로나19 팬데믹, 인플레이션 급등 등에 따라 신뢰 지수는 등락을 거듭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신뢰도 추락은 2020년 초반 팬데믹 상황에서 나타나 저점을 찍었다. 이후 2021년 중반까지 상승을 이어갔으나 인플레이션 급등으로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다. 그러다 2023년 말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진정되면서 2018년 이전 평균 수준에 근접하게 된다.

신뢰 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가장 먼저 금융 시장 지표가 꼽히는데 채권 수익률, 인플레이션 기대치, 금융 시장 변동성 등이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연방 자금 금리(federal funds rate, 연방 자금 대출 적용 금리로 대표적인 단기금리)가 1 표준편차만큼 오르면 신뢰도가 11%P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 지수 영향 요소(1 표준편차 하락에 따른 신뢰 지수 영향)
주: 인플레이션 기대치, 연방 자금 금리,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변동성 지수, 통화정책 보고서 발간, 잭슨홀 연설, 연준 의장 교체, 통화정책 무관 사건(내부 거래 의혹+팝유어칼라 트렌드), 트럼프 트윗, 신뢰 지수 상승 요인(녹색), 신뢰 지수 하락 요인(적색)/출처=CEPR

적극적인 소통과 캠페인, 대중 정서에 긍정적 영향

투명하고 적극적인 소통도 신뢰를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통화정책 보고서(Monetary Policy Report) 발간이나 연준 의장의 연례 잭슨홀(Jackson Hole) 연설 등은 대중의 정서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연중 의장의 교체가 대중의 기대감을 높여 신뢰를 강화하는 경우도 있다.

통화 정책과 상관없는 일로 신뢰도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얼마 전 내부자 거래 의혹과 같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구성원들의 비윤리적 행위와 관련된 추문은 신뢰도를 급격히 추락시킨다. 이러한 추문이 불거지는 경우 신뢰 지수는 최대 20%P까지 하락했다.

이에 반해 퇴임한 자넷 옐런(Janet Yellen) 전 연준 의장을 기념하기 위한 ‘팝유어칼라 트렌드’(#PopYourCollar trend, 셔츠나 재킷의 칼라를 올리는 패션 스타일, 자신감이나 자부심을 가지고 행동하는 사람을 묘사)는 긍정적 정서를 밀어 올린 대표적 사례다. 한편 연준 독립성의 최대 위협으로 간주되는 트럼프(Trump) 대통령의 트윗은 신뢰 지수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앙은행 신뢰 하락, 경제에 ‘장기적 부작용’

이렇게 특정한 사건 및 트렌드가 신뢰 지수에 급격한 영향을 주는 신뢰 쇼크(shocks to trust)는 그만큼 회복도 빠른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경제적 부작용은 오랫동안 지속된다. 금융 시장 불안정성을 높이고 주식 시장 하락 원인을 제공하며 전반적인 사업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인플레이션 기대치와 단기 금리 인상에도 영향을 준다.

통화정책 무관 사건(내부 거래 의혹+팝유어칼라 트렌드)이 경제 지표에 미치는 영향
주: 신뢰도, 현물 스왑 금리, 총수요 충격, 향후 5년 평균 인플레이션 예상, 나스닥 지수, 연방 자금 금리, 연방 자금 선물 금리,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변동성 지수(좌→우, 상→하)/출처=CEPR

이렇게 볼 때 신뢰 쇼크는 공급 차질의 패턴과 유사한 부작용을 가져온다. 정책 당국을 인플레이션 통제와 성장률 유지 사이에서 고민하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신뢰 지수 자체는 금세 회복되지만 경제적 영향력은 잠재적으로 남아 뒤이은 위기 상황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결과적으로 신뢰 지수는 급변하는 초기 대중 정서를 효과적으로 잡아내지만 장기에 걸친 신뢰도의 변화를 모두 측정하지는 못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내부 거래 등 비윤리적 행위는 “치명적”

이번 신뢰도 측정 연구는 각국 중앙은행들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주요 관계자들의 비윤리적 행위가 신뢰를 깎아 먹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은행들은 내부자 거래로 비칠 수 있는 금융 거래를 규제하기 위한 엄격한 행동 수칙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신속한 조치도 필수적이다.

한편 투명하고 선제적인 소통도 신뢰를 강화하는 핵심 요소다. 통화정책 보고서 발간이나 연준 의장의 연설이 신뢰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사례는 명확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팝유어칼라 트렌드’와 같이 창의적이고 공감을 자아내는 캠페인도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신뢰도에 대한 실시간 측정 지표는 중앙은행이 다가오는 위험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신뢰 쇼크가 아직까지는 미국 경제에 파국적 영향을 가져오지 않았지만, 높아지는 정치적 압력과 맞물려 경기 순환을 방해할 가능성은 충분하기 때문이다.

원문의 저자는 데이비드 에이크먼(David Aikman) 킹스 비즈니스 스쿨(King's Business School) 교수 외 2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A new measure of trust in central banking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파이낸셜] 독일은 왜 주택 소유자가 적고 부동산 자산 비율도 낮을까?

[딥파이낸셜] 독일은 왜 주택 소유자가 적고 부동산 자산 비율도 낮을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각국 주택 보유율 및 주택 자산 가치, 시장 전망과 제도가 결정
‘임대 시장 효율성’도 주택 구매에 결정적 영향
주택 소유자 간 자산 가치 차이는 ‘유지보수 비용’ 때문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주택 보유율과 부동산 자산 가치는 주택 가격 전망과 부동산 관련 제도, 가구들의 주택 보유 여부에 대한 선호도 차이 등에 따라 국가마다 크게 갈린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 등 5개국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위의 요소들이 모두 장기적인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되, 시장 전망과 제도적 요소가 선호도 차이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CEPR

독일, 주택 보유율 50% 이하에 주택 자산 가치 비중도 작아

주택 보유율은 국가 간 큰 차이를 보이는 지표 중 하나다. 독일 국민의 50% 이하만이 집을 소유한 반면 스페인의 주택 보유율은 80%에 이른다. 30%의 차이는 모든 연령 집단에 걸쳐 고르게 분포돼 있기도 하다. 국가마다 국민이 소유한 부동산 자산 가치도 다양하게 갈려 각기 다른 경제 및 시장 상황을 보여준다. 2014년에 실시된 가계 금융 및 소비 조사(Household Finance and Consumption Survey) 및 2016년 소비자 금융 조사(Survey of Consumer Finances) 자료에 따르면 독일이 비교적 낮은 ‘소득 대비 부동산 자산 가치’를 보유한 반면 스페인과 미국의 비중은 훨씬 더 높다.

각국 주택 보유율 및 주택 자산 가치 평균
주: 주택 보유율(좌상단), 연령대별 주택 보유율(우상단), 주택 자산 가치 평균(좌하단), 연령대별 주택 자산 가치 평균(우하단),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좌→우)/출처=CEPR

‘주택 가격 전망’과 ‘부동산 제도’가 주택 보유율에 가장 큰 영향

최근 연구는 근로 소득의 불안정성, 주택 가격 변동성, 임대와 소유 중 선택 등의 주요 가정들을 적용해 각 국가 국민들의 전 생애 주기에 걸친 주택 자산 가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세 가지 요인이 자산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먼저 주택 가격 변동에 대한 장기적 전망이 주택 구입 결정과 부동산 자산 축적에 핵심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담보 인정 비율(loan-to-value, LTV), 임대료, 유지보수 비용, 주택 거래 비용 등 국가마다 뚜렷하게 차이 나는 제도적 요소들도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한편 현재 및 미래 소비 성향 차이, 소득 대비 주거비 등 가구마다 다른 선호도도 정도는 낮지만 변수에 포함된다.

주택 보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역시 주택 시장 전망과 ‘렌털 웨지’(rental wedge)가 핵심이다. 렌털 웨지는 임대료가 주택 유지보수 비용보다 얼마나 비싼지 나타내는 지표로, 이 수치가 높고 주택 가격 인상에 대한 기대가 크다면 더 많은 국민이 임대보다는 주택 구입을 선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와 미국의 렌털 웨지는 2% 내외인 반면 이탈리아는 5%에 이르는데 이러한 차이가 주택 보유 비율 차이로 이어진다. 양쪽 차이로 볼 때 2%P의 렌털 웨지 인상은 25~30%P의 주택 보유율 상승으로 연결돼 주택 구입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입증한다.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치도 마찬가지다. 프랑스의 장기 주택 가격 인상 기대치는 2.8%로 기대치가 0%에 가까운 이탈리아보다 높은 주택 보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주택 가격 전망 1%P 변화 역시 15%P의 주택 보유율 차이를 가져온다.

주택 보유 비율 차이 분석(독일 대비 4개국 비교)
주: 연령 집단(X축), 주택 보유율(Y축), 독일 대비 스페인(좌상단), 독일 대비 미국(우상단), 독일 대비 프랑스(좌하단), 독일 대비 이탈리아(우하단) / 독일 주택 보유율, 렌털 웨지, 주택 가격 전망, 담보 여력, 미래 소비 성향, 주택 소비 성향(선호도), 근로 소득, 상속 동기, 기타(보기 좌→우, 상→하) / *청색 부분이 독일 주택 보유율, 전체 막대그래프가 각국 보유율을 의미/출처=CEPR

주택 보유자 간 부동산 가치 차이는 ‘유지보수 비용’이 결정적

한편 각국 주택 소유자들 사이에 보여지는 부동산 자산 가치의 차이는 대부분 유지보수 비용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독일의 경우 유지보수 비용이 자산 가치의 2.6%에 지나지 않지만 스페인, 프랑스, 미국은 5%를 넘는다. 당연히 독일 국민의 소득 대비 부동산 자산 가치가 높을 수밖에 없다.

가구 선호도, 가격 전망, 렌털 웨지도 주택 보유자들 간 부동산 가치 차이에 영향을 준다. 이탈리아의 경우 높은 렌털 웨지로 인해 주택 구입을 선호하지만 경제 사정으로 대형보다는 소형 주택 매입에 치우쳐 부동산 자산 축적이 제한된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주택 가격 인상에 대한 믿음이 강한 스페인과 미국 국민들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부동산 자산 규모를 늘리고 있다.

가구별 ‘소득 대비 주택 가치 비율’ 차이 분석(독일 대비 4개국 비교)
주: 연령 집단(X축), ‘소득 대비 주택 가치 비율(Y축), 독일 대비 스페인(좌상단), 독일 대비 미국(우상단), 독일 대비 프랑스(좌하단), 독일 대비 이탈리아(우하단) / 독일 ‘소득 대비 주택 가치 비율’, 렌털 웨지, 주택 가격 전망, 담보 여력, 미래 소비 성향, 주택 소비 성향(선호도), 근로 소득, 유지보수 비용, 상속 동기, 기타(보기 좌→우, 상→하) / *청색 부분이 독일 ‘소득 대비 주택 가치 비율’, 전체 막대그래프가 각국 비율을 의미/출처=CEPR

주택 자산 형성과 주택 보유율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을 분석한 이번 연구는 주택 정책이 각자의 시장 상황에 맞춰 이뤄져야 함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임대 시장의 비효율성을 바로잡고 현실적인 주택 시장 기대치를 심어주는 정책은 주택 보유율과 부동산으로 인한 부의 분배를 상당 부분 변화시킬 것이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경제 충격과 정책 개입이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하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일반 균형 모델(general equilibrium model, 정책, 기술 등의 요인에 따른 경제 영향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면 정책 변화와 시장 요인들 간 상호 관계 패턴을 더 잘 밝혀낼 수 있다. 한편 중산층 및 청년 세대 등 개별 인구 집단에 초점을 맞춘 연구도 주택 보유 및 자산 축적과 경제 정책의 상호작용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원문의 저자는 줄리아 르 블랑(Julia Le Blanc)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 of the European Commission) 이코노미스트 외 2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Housing wealth across countries: The role of expectations, institutions, and preferences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미국 생산 장려 나선 트럼프 ‘관세는 당근이자 채찍’, EU 향해선 “빅테크에 부당한 처사”

미국 생산 장려 나선 트럼프 ‘관세는 당근이자 채찍’, EU 향해선 “빅테크에 부당한 처사”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다보스포럼에서 약 40분 화상 연설
‘관세→자국 기업 보호→금리’ 언급
EU 불공정 거래 ‘적절한 조치’ 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가진 첫 국제무대 연설에서 ‘미국 우선주의’라는 그간의 입장을 한층 공고히 했다. 글로벌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관세를 언급하며 회유책과 강경책을 동시에 내보였다. 또 자국 빅테크 기업들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유럽연합(EU)에는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다양한 주제로 전개된 연설은 금리 등 다소 민감한 사안으로도 이어졌지만,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미국 내 생산 기업 법인세율 21%→15%

트럼프 대통령은 23일(이하 현지시각)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 화상 연설자로 나서 약 40분간 발언했다. 그는 가장 먼저 관세 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모든 기업에 보내는 나의 메시지는 아주 간단하다”며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경우, 지구상 그 어떤 나라보다 낮은 세율을 적용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현재 21%인 법인세율을 15%로 낮추되,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만 15%의 세율을 적용하겠다는 설명이다.

이어 수입품에 대해 날카로운 태도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지 않겠다는 것도 당신들의 권리”라며 “그렇다면 매우 간단하게 관세를 지불하면 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금액은 미정이지만, 많게는 수조 달러에 달하는 관세는 미국 경제를 강화하고 재무부의 부채 상환에 쓰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자국 경제에 대해서는 장밋빛 전망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인들은 그동안 전혀 보지 못했던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다”며 최근 잇따라 유치한 글로벌 투자 프로젝트를 열거했다. 소프트뱅크가 미국 인공지능(AI) 산업에 1,000억 달러(약 145조원) 투자를 약속한 것과 사우디아라비아의 6,000억 달러(약 869조원) 투자,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합작 법인이 AI 인프라 구축에 5,000억 달러를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등이다.

연설 후 패널들과 가진 좌담에서는 미국의 무역 적자가 화두로 떠올랐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의 교역에서 흑자를 내는 국가들과 불공정 무역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주요 비판 대상은 EU였다. 그는 “EU는 우리를 매우 불공정하고 나쁘게 대우한다”며 “그들은 우리의 농산물과 자동차를 사지 않으면서 수백만 대의 자동차를 내보내기만 한다”고 힘줘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에서는) 누구도 행복하지 않다”며 “적절한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美 빅테크에 막대한 과징금 부과, “일종의 세금” 불만 토로

트럼프 대통령의 불만은 빅테크 기업에 대한 EU의 강도 높은 제재로 이어졌다. EU는 전 세계적으로 빅테크 기업에 대한 가장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일명 ‘아일랜드 체납 과징금’ 불복 소송에서 EU 집행위에 패소해 막대한 과징금을 토해낸 애플의 사례를 언급하며 “특정 기업을 좋아하는 것을 떠나 이들은 미국 기업이고, EU가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EU가 부과하는 과징금은) 일종의 세금”이라면서 “EU의 부당한 처사에 매우 불만”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문제의 사건은 애플이 아일랜드 정부로부터 불공정 조세 혜택을 받았다며 EU 집행위원회가 체납 세금 130억 유로(약 19조원)를 납부하라는 명령에 불복하면서 불거진 사건이다. 애플의 소 제기로 시작된 법정 공방은 8년 가까이 이어졌고, 결국 유럽사법재판소(ECJ)는 EU 집행위의 손을 들어줬다. 애플은 해당 사건 패소로 체납 세금에 이자를 합친 143억 유로(약 21조원)를 토해내야 했다.

이처럼 미국 빅테크를 겨냥한 EU의 무자비한 과징금 결정은 올해 그 수위를 높일 전망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2019년 취임한 이후 기존 반독점법에 더해 온라인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해 제정한 법들이 줄줄이 시행에 나섰기 때문이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더 엄격한 의무가 부여되는 디지털시장법(DMA)과 디지털서비스법(DSA)이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거대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방지하고자 만들어진 DMA는 위반 시 전 세계 매출의 최대 10%에 해당하는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어 '빅테크 때리기'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DMA는 애플, 메타, 알파벳 등 7개 플랫폼 사업자를 ‘게이트 키퍼’로 지정하는 등 특별 규제 대상으로 명시했다. 게이트 키퍼에 지정된 7개 기업 중 5개 기업이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을 계기로 유럽 내 빅테크 사업 영위를 둘러싼 미국과 EU의 갈등이 본격화할 것이란 평가가 나오는 배경이다.

‘금기’ 깨고 금리 관련 발언, 시장 영향은 미미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 향방에 대해서도 말을 아끼지 않으면서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보장한다는 관례를 깼다. 그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유가 인하를 요청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유가가 내려오면, (중앙은행에) 즉시 금리를 내리라고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전 세계 각국도 우리를 따라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날 집무실에서 개최한 행정명령 서명식에도 금리와 관련한 발언을 이어 갔다. 그는 금리를 낮추기 위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과 대화할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적절한 시기를 검토 중”이라며 긍정했다. 유가가 안정되면 물가 또한 안정되고, 인플레이션이 없으면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논조다. 연준이 대화 및 금리 인하 요구에 응할 것으로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단언하며 “그렇지 않다고 해도 강력한 입장을 낼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다만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도 시장은 별다른 동요를 보이지 않았다. 글로벌 채권의 가늠자인 미 국채(10년물)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을 앞두고 4.65%로 전일 동시간 대비 0.04%p 오르는 데 그쳤다. 금리 선물시장에서도 오는 29일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99.5%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0.6%p 오른 수치다.

월가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데 시장과 의견이 일치했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강도 높은 압박성 발언도 금리를 낮추는 데는 뚜렷한 효과가 없을 전망”이라고 진단하며 “대통령이 연준 인사들을 압박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권한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당시 당선인이 사퇴를 요구할 경우 물러날 것이냐는 기자의 물음에 “아니”라고 짧게 답한 바 있다. 나아가 대통령이 자신을 포함한 연준 이사진을 해임할 법적 권한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며 연준의 독립성을 강조했다. 2018년 2월 재임한 파월 의장의 임기는 오는 2026년 5월까지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기술 강점·실적 탄탄’ 앞세운 HPSP 매각, 스카이레이크PE 참전으로 본격화

‘기술 강점·실적 탄탄’ 앞세운 HPSP 매각, 스카이레이크PE 참전으로 본격화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크레센도 의무보유 기간 14일 종료
HPSP, 어닐링 장비 전 세계 독점 공급
지지부진 주가에도 대규모 딜 예상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스카이레이크PE)가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 HPSP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HPSP의 탄탄한 업계 내 입지와 실적 등을 고려하면 올해 손꼽을 만한 대규모 거래가 될 것이란 게 시장의 중론이다. 다만 최근 유사 매물이 기대 이하의 성적으로 매각을 마무리했다는 점은 변수로 거론된다.

크레센도 지분 40.9% 및 경영권 대상

2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스카이레이크PE는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가 보유한 반도체 장비 기업 HPSP의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이다. 앞서 크레센도는 지난해 11월 글로벌 투자은행 UBS를 매각주관사로 선정하고, 주요 원매자들에게 티저레터(투자 안내서)를 배포하는 등 매각 작업에 나선 바 있다. 매각 대상은 크레센도가 보유한 HPSP 지분 40.9%(3,280만 주)와 경영권이다.

크레센도의 이번 지분 매각은 의무보유 기간 종료와 맞물린다. 크레센도는 지난 2017년 HPSP 지분 51%를 100억원에 인수했다. 이후 HPSP가 2022년 7월 코스닥에 상장하면서 보유 지분에 대한 의무보유 기간을 2년 6개월로 설정했고, 이 같은 의무보유 기간은 이달 14일로 종료됐다.

스카이레이크PE는 지난해 말 크레센도가 매각 의사를 밝힌 직후 곧바로 HPSP 인수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재원은 2023년 조성된 1조2,000억원 규모 12호 블라인드펀드에서 마련할 예정이다. 12호 펀드 자금은 넉넉한 상태다. 지난해 AI반도체 팹리스 기업 딥엑스와 기업용 서비스형소프트웨어 업체 비즈니스온에 각각 600억원, 2,608억원을 투자하고 결성액의 약 80%가 남아 있다.

크레센도는 연내 HPSP 매각 완료를 위해 최대한 이른 시일 내 예비입찰을 진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한 IB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 등 여러 불확실성이 있었던 터라 예비입찰 시기를 정하는 데 애를 먹은 것으로 안다”며 “설날 연휴가 끝나면 본격적인 매각 작업에 나설 전망”이라고 전했다.

연평균 영업이익 증가율 약 76%

시장에서는 이번 딜의 흥행을 예견하고 있다. 이 같은 배경에는 HPSP의 확고한 산업 지위가 존재한다. HPSP는 고압수소 어닐링(열처리) 장비를 제작·공급하는 업체로, 전 세계에서 어닐링 장비를 공급하는 유일한 곳이다. 이처럼 확고한 지위 덕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를 비롯해 여러 글로벌 고객사를 거느리고 있다. 반도체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 중인 만큼 HPSP에 대한 원매자들의 관심도 뜨거울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HPSP의 강점은 실적 등 수치에서도 드러난다. 2019년 99억원 수준이던 영업이익은 지난해 952억원으로 뛰었으며, 연평균 영업이익 증가율은 약 76%에 달한다. 최근 5년간의 영업이익률도 50% 수준에 육박한다. 반도체 산업의 등락을 고려했을 때, 꾸준히 50%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HPSP의 강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이런 가운데 시장 초미의 관심사는 거래 가격이다. 24일 종가(3만3,050원) 기준 HPSP의 시가총액은 2조7,596억원이다. 이를 바탕으로 추산한 크레센도 지분(40.9%) 가치는 약 1조1,286억원이다. 다만 주가를 기준으로 거래가격을 산정하기는 무리라는 평이 우세하다. HPSP의 주가가 최근 1년 사이 급등과 급락을 반복한 탓이다.

2022년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HPSP는 지난해 2월 주가가 6만3,000원대까지 치솟았다. 시장 내 독점적 지위와 탄탄한 실적 등이 부각되면서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다. 하지만 이후 주가는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8월 2만원대까지 빠진 주가는 현재 가까스로 3만원대를 회복했으나, 여전히 지난해 초와 같은 기세는 찾아볼 수 없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HPSP가 상장할 때부터 ‘한국의 ASML’이라고 소개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며 “하지만 뚜렷한 강점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희석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HPSP의 시가총액이 지금과 같이 3조원대에 머문다면, 결국 딜의 성패는 경영권 프리미엄 등 정성적 요인에 의해 좌우될 전망이다. 특히 많은 원매자가 관심을 보이는 만큼 인수전이 과열되며 분위기에 따라 몸값이 치솟을 가능성도 있다. 한 증권가 관계자는 “일단 인수합병(M&A)이 진행되면, 주가는 본업과 무관하게 오를 수 있다”면서 “유력한 인수 후보들이 등장할 때마다 주가가 반응하고, 그럴수록 인수전도 더 치열해지는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HPSP

핵심 기술 보유, 양날의 검으로

변수는 직전 M&A 시장의 가장 뜨거운 화두였던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매각이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뒀다는 점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공정에 쓰이는 NF3(삼불화질소)를 생산하는 효성화학 특수가스는 HPSP와 사업 부문이 유사해 인수 후보군이 겹친다. 두 회사는 지난해 본격적인 매각 작업에 나섰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을 가진다.

애초 효성화학 특수가스 매각 대금도 조 단위로 전망됐다. 효성화학 측은 1조3,000억원의 인수대금을 제시한 IMM프라이빗에쿼티·스틱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매각을 추진했으나, 곧바로 난항에 부딪혔다. IMM·스틱 컨소시엄 측에서 업황 부진과 효성화학 특수가스의 실적 부진을 이유로 이를 하향 조정하면서다.

팽팽한 줄다리기 끝에 양측은 뜻을 모으지 못한 채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결국 효성화학 특수가스는 계열사 효성티앤씨의 품에 안기며 그룹 내부 소화라는 다소 싱거운 결말을 맞았다. 매각대금 역시 당초 기대보다 한참 낮은 9,200억원이었다. 일각에서 HPSP가 기대만큼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없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차이점이 있다면 HPSP의 국가핵심기술 지정 가능성이다. 국가핵심기술은 주력산업 관련 기술 가운데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아 해외로 유출될 경우 국가 안보와 국민경제 발전에 중요한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기술을 말한다. 그간 업계에서는 HPSP가 시장 내 독보적 지위를 가진 만큼 국가핵심기술 지정 가능성을 높이 점쳐 왔다.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면 해외 매각이 제한되는 등 매각 장벽이 높아진다. 원매자로서는 경쟁자가 줄어들어 인수전이 예상보다 평탄하게 흘러갈 가능성과 희소성을 이유로 몸값이 치솟을 가능성 모두를 고려해야 하는 셈이다.

지금까지 HPSP의 기술 중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 기술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정부는 HPSP 매각 진행 상황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명시적으로 개별 기업의 M&A에 대해 언급할 수는 없지만, 주요 산업 내 기업이 적을 옮기는 경우 국제 산업 경쟁력에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사전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반도체 관련 산업 가운데 고사양 기술은 대부분 국가핵심기술 범주에 들어간다고 봐야 한다”며 “국가핵심기술이나 국가전략첨단기술을 해외에 매각할 때는 승인을 받아야 하고, 주요 현안이 있는 기업들과는 상시로 협의·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까지 핵심기술에 해당한다는 이력이 없더라도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처벌 등을 피하고자 매각 전 국가핵심기술 판정 여부를 확인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부연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