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투수마저 강판" 비리 폭로에 김정호 해고한 카카오, '혁신의 아이콘'이 몰락하는 과정
입력
수정
SNS 통해 비리 폭로하던 김정호 총괄, 결국 카카오서 '해고' '김범수의 칼' 노릇했지만, 카카오의 팔은 '안'으로 굽었다 '혁신의 아이콘' 카카오, 김 전 총괄 해고로 스스로 혁신성 내친 꼴
지난해 11월 사내 욕설 논란 이후 "카카오가 망한다면 골프 때문일 거라는 소문이 파다하다"는 등의 공개 폭로로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는 김정호 전 카카오 CA협의체 경영지원총괄이 결국 해고됐다. 이에 시장 일각에선 김 전 총괄의 일갈에도 문제 해결을 뒤로 한 채 감추기에만 급급하던 카카오가 결국 자사의 최대 이점이던 혁신성마저 버렸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정호 총괄, 결국 카카오 떠난다
18일 카카오에 따르면, 최근 카카오 상임윤리위원회는 김 전 총괄을 해고한다는 내용의 내부 공지글을 게시했다. 김 전 총괄이 확인되지 않은 사내 정보를 외부로 무단 유출했단 게 이유로, 정식적인 해고 사유는 '언론 대응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동 가이드 위반'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김 전 총괄은 자산개발실이 추진한 제주 ESG센터, 서울아레나, 안산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등 3개 프로젝트에 관한 비리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카카오 임직원들의 골프장 법인회원권 사용도 도마에 올랐다.
이 과정에서 김 전 총괄이 일부 직원에게 폭언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특정 업체가 제주도 신축 건물 설계를 수의계약 방식으로 맡게 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다 폭언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총괄은 당시 SNS에 "업무 관행을 지적하다 벌어진 일"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이후 "(카카오) 특정 부서는 한 달에 골프는 12번씩 쳤다", "형식만 경쟁이고 사실상 특정 업체에 공사 발주 계약을 몰아주기 위한 장치가 있었다"는 등 폭로를 이어가기도 했다.
그러나 카카오 측은 김 전 총괄이 제기한 의혹은 모두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지난 15일 윤리위는 "그룹준법경영실과 외부 법무법인에서 진행한 ‘자산개발실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감사 결과 및 상임윤리위원회와 외부 법무법인에서 진행한 핫라인 제보 조사 결과를 공유한다”는 내용의 내부 공지를 올렸다. 법무법인 두 곳에 감사를 맡긴 결과 김 당시 총괄이 주장했던 '카카오 내부 비리'의 상당 부분은 사실관계가 틀린 것으로 확인됐단 것이다. 카카오 측은 "(김 총괄이) 조사 과정에서 발언한 진술 내용도 상당수가 사실이 아니거나 사실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도 "내부 승인 프로세스에 따라 시공사를 선정했고 시공사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시공사와 유착관계 등은 확인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회사 내부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조직 쇄신' 어디 갔나, 김 총괄이 보여준 카카오의 현실
다만 업계의 시선은 이와 상반된다. 애초 조직 쇄신을 위해 외부 영입했던 김 전 총괄에 대해 각종 폭로를 일삼았단 이유로 해고를 결정한 건 결국 팔이 안으로 굽은 결과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실제 김 전 총괄이 카카오 CA협의체 경영지원총괄을 맡게 된 배경에는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경영쇄신위원장의 삼고초려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총괄 역시 당시 SNS를 통해 "김 창업자와 저녁을 먹으면서 정말 어려운 부탁을 들었다"고 회고한 바 있다. 김 창업자가 구원투수의 역할을 맡기기 위해 김 전 총괄을 회사에 영입했단 방증이다.
카카오가 본격적으로 문제 삼고 있는 건 김 전 총괄이 SNS를 통해 명확지 않은 내부 비리를 공개 폭로했단 점인데, 이 대목에 대해서도 업계는 다소 의아하다는 의견을 내놓는 모양새다. 김 전 총괄이 SNS라는 '확성기'를 이용해 내부 비리를 쏟아낸 건, 반대로 이야기하면 내부적인 창구로서는 비리 척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단 방증 아니냐는 것이다. 앞서 김 전 총괄이 각종 내용을 폭로하던 때에도 업계엔 비슷한 의견이 쏟아진 바 있다. 중간관리직이 자신의 권한을 넘어 실무담당자와 개발자 위에 군림하면서 동시에 경영진의 눈과 귀를 막고 있어 김 창업자 등 주요 경영진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도 손조차 댈 수 없는 상황 아니냔 내용이다.
실제로 김 전 총괄은 당시 "약 두 달 동안 조사를 해보니 담당 직원이 30명도 안 되는 관리부서장이 경력이 많은 시스템이나 개발부서장의 250% 연봉을 받고 연간 20억원 수준의 골프 회원권까지 보유한 사례가 적발됐다"고 언급하며 "내 권한 아래의 명령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비위를 조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 내부 비리에 대한 반감은 카카오 내부적으로도 팽배하다. 지난해 11월 직장인 커뮤니티에서 카카오 직원 400여 명이 모여 김 당시 총괄의 내부 비위 의혹 공개저격이 옳은 일이었냐는 투표가 진행됐는데, 당시 투표에 참여한 직원 중 약 90%가 '김 총괄이 잘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 노조 역시 제기된 비위 의혹을 낱낱이 조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카카오가 택한 '구원투수 강판'의 끝맛이 깔끔하지 못한 이유다.
무너지는 '혁신', 카카오에 남은 건 '잔해'뿐
통상 기업은 내부 비리를 예방하고 조직 쇄신을 강화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내부 인사와 다소 유리된 이를 통해 기업 내 비합리적 요소를 막아줄 만한 감사 시스템을 확립한다는 취지에서다. 이런 점에서 김 전 총괄은 내부적 몸살을 앓던 카카오에 있어 말 그대로의 '구원투수'였다. 김 전 총괄은 김범수 의장의 삼성SDS 입사 선배이자 30년지기 친구였던 만큼 '김범수의 칼'로서 활약할 여지가 많았고, 김 전 총괄 자신에 대한 비리 리스크도 적었다. 김 전 총괄이 지난해 12월 회사 기밀에 준하는 내부 사정을 SNS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 공개한 데 대해 사측에 '셀프 징계'를 요청한 것 또한 카카오에 있어 김 전 총괄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된 사례였을 것이다.
비즈니스워크에 따르면 내부 고발을 한 임직원 중 82%가 기업으로부터 해고 압박을 받거나 사내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등 불이익을 당한 경험이 있다. 내부 비리를, 고발을 대하는 기업의 일반적인 태도다. 카카오는 김 전 총괄을 조직 쇄신에 앞장설 좌장으로 앉힘으로써 몸소 혁신성을 내보였다. 김 의장과 가까운 인물인 데다 자리도 자리인 만큼 내부 비리 세력에 등을 맞대도 김 전 총괄만큼은 불이익을 벗어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였다. 그러나 김 전 총괄이 최종 해고되면서 카카오는 스스로 타 기업과 크게 차별성 없는, 혁신성 없는 기업임을 자인한 꼴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