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K 계열사들, '비싼 임대료' 그랑서울서 철수

SK 계열사들, '비싼 임대료' 그랑서울서 철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마이써니 이어 머티리얼즈도 이전 검토
한때 ‘제2의 본사’, 새로운 업무 방식 모델
높은 임대료에 고정비용 부담 가중
그랑서울 내부에 조성된 SK그룹 계열사의 공유 오피스/사진=SK이노베이션

SK그룹 계열사들이 수년 간 입주해 있던 서울 종로구의 고급 오피스 빌딩인 그랑서울에서 속속 철수할 준비를 하고 있다. 최근 그룹 차원에서 진행 중인 비용 절감 방침에 따라 비싼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SK 계열사, 그랑서울에서 수송스퀘어로 이전

20일 SK그룹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그룹 내 교육을 총괄하는 조직인 마이써니(mySUNI) 소속 직원들은 올 상반기 중 그랑서울을 떠나 SK플랜트 본사가 위치한 종로구의 수송스퀘어 빌딩으로 옮길 채비를 하고 있다. 마이써니는 SK그룹의 여러 계열사에서 파견된 직원들이 모인 조직으로 총 150여 명이 근무 중이다. 산하에 SK경영경제연구소와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만드는 SK아카데미, SK칼리지 등을 두고 있다. SK㈜ 머티리얼즈도 올해 안에 그랑서울에서 옮기기로 하고 새로운 본사 후보지를 물색 중이다. 지난해 말 매각 결정이 내려진 자회사 SK스페셜티의 서울 사무소도 곧 그랑서울을 떠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랑서울은 지난 2018년 SK그룹이 본사인 종로구 서린동 사옥을 리모델링하면서 여러 계열사가 입주했던 곳이다. 서린사옥과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어 가깝고, 2014년 준공된 최신식 건물이라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당시 SK E&S와 SK종합화학(현 SK지오센트릭), SK루브리컨츠(현 SK엔무브), SK머티리얼즈, SK스페셜티 등이 그랑서울로 옮겨 그랑서울은 한 때 ‘제2의 SK 본사’로 불리기도 했다.

그랑서울 내 SK 사무 공간은 미국 공유 사무실 위워크를 떠올리게 한다. SK그룹은 서린 사옥 전면 리모델링 전에 그랑서울 사무 공간을 먼저 공유 사무실로 개조했다. 본사 리모델링에 앞서 직원들이 새로운 공간 개념에 적응하도록 하고, 리모델링 기간에 개선점도 찾기 위해서였다. 이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주창하는 ‘일하는 방식의 혁신’에 따른 것이었다. 2018년 입주 당시 최 회장은 “근무시간의 80% 이상을 칸막이에서 혼자 일하고 만나는 사람도 20명이 안 될 것인데 이렇게 일하면 새로운 시도, 비즈니스 모델 변화는 가능할 수 없다”며 변화를 주문했다.

그랑서울 전경/사진=GS건설

'구조조정' SK, 운영 효율화 속도

SK 계열사와 조직들이 그랑서울을 떠나기로 한 것은 그룹 전체가 진행 중인 운영 개선(OI·Operation Improvement)과 비용 절감 기조 영향이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 등 일부 계열사를 제외하고 전체적인 실적이 악화되면서 현재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랑서울은 서울 시내에서 임대료가 높은 ‘프라임 오피스’ 중 하나다. 부동산 관리업체인 리맥스와이드파트너스에 따르면 2016년 그랑서울의 3.3제곱미터(㎡)당 임대료는 14만2,100원으로 국내 1위를 기록했다. 현재도 도심업무지구와 여의도업무지구, 강남업무지구를 통틀어 임대료가 가장 비싼 건물 중 하나로 꼽힌다.

SK그룹 관계자는 “서린 본사 외에도 서울 종로타워와 경기 판교의 SK디스커버리 사옥, 송도 SK바이오사이언스 사옥 등 여러 입주 후보지가 있다”며 “임대료 절감으로 상당한 운영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싼 임대료에 밀려 짐싸는 기업들

경영 효율화를 위해 군살 줄이기에 나선 기업은 SK 만이 아니다. 최근 갈수록 치솟는 오피스 임대료에 본사를 이전하는 기업이 잇따르고 있다. 중구 청계천로 시그니처 빌딩에 있던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은 미니스톱 인수 이후 본사를 서울 강동구 이스트센트럴타워로 이전했다. CBD(도심업무지구) 보다 임대료가 저렴하고 롯데그룹 본사가 위치한 송파구와 가깝다는 점에서 코리아세븐의 새 둥지로 낙점됐다. 스타벅스코리아를 운영하는 SCK컴퍼니는 CBD를 벗어나 센터필드로 본사를 옮길 계획이다. SCK컴퍼니는 지난 2020년 5월부터 명동역 인근 스테이트타워남산에 자리 잡고 있었지만 5년 만에 다른 곳으로 본사를 이전하게 됐다.

신세계그룹의 유통 계열사들도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SSG닷컴은 서울 강남 센터필드 입주 2년만에 본사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전 후보지로는 서울 영등포 등이 거론된다. 종로 센트로폴리스에 있던 SSG닷컴은 2022년 7월 센터필드로 본사를 옮겼다. SSG닷컴의 자회사인 온라인 패션 플랫폼 W컨셉과 G마켓 등 신세계의 온라인 플랫폼 3사가 시너지를 내기 위한 의도였다. 그러나 영업 손실이 누적되면서 비용 절감을 위해 다시 본사 이전을 고려하게 됐다. 롯데그룹 유통 계열사인 롯데하이마트도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본사에서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후보지로 서울 서남부권 일대가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에서는 하나금융그룹이 대표적이다. 을지로입구역 인근에 위치한 하나금융그룹 본사는 금융사가 모여 있는 을지로 일대를 상징하는 건물 중 하나였다. 내년이 되면 하나금융그룹은 인천 청라국제도시로 본사 사옥을 옮긴다. ‘청라 헤드쿼터’라고 불리는 하나금융 청라 본사는 지하 7층, 지상 15층, 연면적 12만8,474.80㎡(약 3만9,000평) 규모로 2020년 2월부터 공사가 진행 중이다. 완공 후에는 하나금융지주와 함께 하나은행, 하나카드, 하나증권, 하나생명 등 6개 계열사가 한곳에 모인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딥폴리시] 미국이 관세 부과하면 EU도 보복 관세로 맞설까?

[딥폴리시] 미국이 관세 부과하면 EU도 보복 관세로 맞설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트럼프 일괄 관세 가능성, ‘글로벌 리스크’로 떠올라
전 세계 수입품에 10%, 중국 수입품에 60% ‘공약’
유럽 영향 “치명적이지는 않아”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의 보호주의 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불러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것은 미국을 향하는 전체 수입품에 대한 최소 10%의 기본 관세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60%의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다. 트럼프 관세가 EU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유럽 경제학자들의 의견을 지난 1월 실시된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개한다.

사진=CEPR

트럼프, 전 세계 수입품에 대한 10% 일괄 관세 ‘예고’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은 감세와 재정 적자 관리, 규제 완화, 관세 등 네 가지 요소에 기반하고 있다. 2017년 감세 조치 연장을 제안했지만 이로 인해 재정 적자가 향후 10년간 4조 5천억 달러(약 6,598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관세 수입과 정부 지출 축소를 통해 상쇄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아직 관세의 규모와 시행 여부가 불투명해 트럼프식 협상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의견도 많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의 추산에 따르면 미국 수입 물량의 48%가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지 않은 유럽연합(EU), 영국, 일본 등에서 들어온다. EU는 현재 수입품에 대해 비교적 낮은 최혜국 관세(Most-Favored Nation rates, WTO 회원국인 무역 상대국 수입품에 적용하는 관세 수준)를 적용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미국산 비농산품 수입품에 대한 최혜국 관세는 3.9% 수준이었다. 또한 2023년까지 미국산 수입품의 73%가 관세 적용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EU가 미국이 부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관세율에 준하는 보복 관세로 대응할 경우 오히려 미국 수출이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유럽 전문가들 다수, 미국 관세 효과 “크지 않을 것”

또한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조치가 유럽 수출 실적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EU 경제 성장에 막대한 차질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설문 응답자의 70%가 미국이 유럽산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물릴 경우 향후 4년간 연간 1% 이하의 EU 경제 성장률 축소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25%의 응답자들은 조금 더 높은 1~2% 정도의 차질을 예상했다.

EU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10% 일괄 관세 부과가 향후 4년간 EU 연간 경제 성장률에 미칠 영향은?
주: 2%P 이상 축소, 1~2%P 축소, 1%P 이하 축소, 영향 없음, 경제 성장률 증가, 무응답(좌측부터)/출처=CEPR
EU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10% 일괄 관세 부과가 향후 4년간 EU 연간 경제 성장률에 미칠 영향은? (응답자들의 확신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
주: 2%P 이상 축소, 1~2%P 축소, 1%P 이하 축소, 영향 없음, 경제 성장률 증가, 무응답(좌측부터)/출처=CEPR

설문 응답자들은 EU의 대미 수출 규모가 GDP의 2~3% 수준일 정도로 대미 무역 의존도가 낮다고 강조한다. 독일 경제학자 위르겐 폰 하겐(Jürgen von Hagen) 교수는 관세 조치 초기에는 수출이 영향을 받겠지만 경제 성장률에 장기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영국의 패트릭 민포드(Patrick Minford) 교수 역시 관세 조치가 EU보다는 미국 경제를 왜곡할 것이라며 이에 동의한다. 로버트 콜만(Robert Kollmann) 교수는 거시경제 모델을 인용해 EU GDP에 끼치는 영향이 1% 미만일 것이라고 단언한다.

협상 우선하지만 여의치 않으면 ‘선별적 보복 관세’로 대응

하지만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포르투갈의 호르헤 브라가 데 마세도(Jorge Braga de Macedo) 교수는 관세 조치가 시행되면 무역 흐름에 상당한 변화를 초래해 독일과 이탈리아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봤다. EU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현행 2.5%에서 25%로 오르면 관련 산업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미국 관세 대응 방안에 대한 의견은 몇 가지로 갈리는데 우선 40%를 넘는 응답자가 미국에 대한 선별적 보복 관세 부과를 지지했다. 다른 40%는 다른 국가들과 무역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35%는 미국 기술 대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대응 방안으로 제안했다.

미국의 관세가 유럽 경제에 미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EU 차원의 대응은?
주: 전면적 보복 관세, 선별적 보복 관세, 미국 외 국가들과의 무역 협력 강화, 미국 기술 대기업들에 대한 규제, 산업정책, 수요 진작, 국제 통화로서 유로의 위상 강화, 무응답 및 기타/출처=CEPR

하지만 다수의 전문가가 보복 조치에 앞서 외교적 접근을 선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패트릭 민포드 교수는 미국과의 무역 전쟁을 막기 위해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했고 위르겐 폰 하겐은 유리한 무역 조건을 얻기 위해 안보 협력 등 비무역 분야에서 양보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로버트 콜만 같이 협상이 실패하면 트럼프의 정치적 기반이 되는 지역과 산업을 겨냥한 보복 관세로 압박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유럽, 관세 문제 해결하고 ‘장기적 성장 방안’ 마련해야

미국 이외 국가들과 무역 관계를 강화하자는 의견도 많았다. 독일의 니콜라 푹스-쉰델른(Nicola Fuchs-Schündeln) 교수가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조했고 호르헤 브라가 데 마세도 교수도 EU-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 간 경제 협력을 포함해 남미,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무역 강화를 제안했다.

결국 트럼프 관세는 단기적 차질에 그칠 뿐 EU 경제에 대한 전면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다수의 의견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국이 10% 관세를 부과할 경우 EU 성장률이 향후 2년간 1%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 수치에도 못 미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다수다. 러시아 가스 사태처럼 대부분의 경제 위기가 우려했던 것보다 경미한 수준에 그쳤던 것을 참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 유럽은 외교적 협상, 제3국과의 무역 협력 강화, 역내 산업의 조정 등 미국의 관세 부과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복수의 선택지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물론 EU로서는 당장의 역풍을 피해야겠지만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통해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경제적 자생력을 회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사안으로 판단된다.

원문의 저자는 마르타 그르자나(Marta Grzana) 런던 정경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학생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The impact of Trump’s economic policy on the EU economy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협력 강화하자" 韓에 손 내미는 中

"협력 강화하자" 韓에 손 내미는 中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한국과의 협력 관계 강화하는 中 산업계
中 싱크탱크 "한중 FTA 2단계 협상 속도 내자"
관영 매체들도 호의적인 논조 유지

중국이 한중 관계 개선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중국 산업계는 물론 정부 산하 싱크탱크, 관영 매체 등까지 적극적으로 한국에 '러브콜'을 보내는 양상이다.

中 산업계의 교류 시도

20일 재계에 따르면 최근 대한상공회의소 베이징 사무소가 운영하는 중국한국상회에 5곳의 중국 기업이 회원 가입 의사를 밝혔다. 중국한국상회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을 위해 활동하는 경제 단체로, 삼성, 현대차, LG, SK, 포스코, 대한항공 등 총 3,500개 기업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 회원 가입 의사를 밝힌 중국 기업은 대부분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주력의 유통·소매 기업으로, 네트워크 확대 및 추후 한국 진출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고 회원 가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업계에서도 비슷한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중국 내몽골 자치구 싱안맹은 한국관광공사와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희망하고 있다. 싱안맹의 고위 관계자는 “관련 기업과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관광과 문화 등의 여러 분야에서 상생 발전을 이루고, 깊이 있는 교류를 맺기를 원하고 있다”며 “조만간 한국 정부 부처 측에 정식 공문을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업계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중국의 한 비영리 재단은 이달 말께 한국을 방문해 한국의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을 만날 예정이다. 현재 출범 준비 중인 AI 응용 국제화 연구센터에 한국 전문가들이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있어서다. 이 연구센터는 AI 모델을 의료, 미용, 교육, 물류 창고, 행정 사무 등 다양한 산업에 접목해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CAITEC도 '러브콜'

중국 측이 이처럼 한국에 '관계 개선' 신호를 보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2월 중국 상무부 산하 싱크탱크인 국제무역경제합작연구원(CAITEC)의 취 웨이시 부원장은 한국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2단계 협상을 가속화해 서비스 분야 협력을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앞서 지난해 5월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는 회담을 통해 상품 교역 분야 개방에서 나아가 문화 등 분야에서도 개방을 확대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당시 취 부원장은 “중국은 서비스 무역 고품질 발전 정책 등을 통해 (외국인을) 내국인 대우하고, 시장에 전권을 주는 등 서비스 시장에 대한 접근성 관련 제한을 많이 완화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헬스케어, 실버산업 등 지식 밀집형 서비스 분야에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고, 중국은 이 분야에서 강한 수요가 있다”며 “14억 인구 중 상당수가 고령화됐고 이들은 소비력이 높은 만큼 기회가 많다”고 설명했다.

우호적 태도 드러내는 관영 매체들

중국 관영 매체들도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지난달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북동부 지역은 첨단 제조업의 중심지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며 “이는 한국과 중국의 협력에 새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 한반도와 인접한 랴오닝성과 헤이룽장성의 첨단 제조 산업 출하량은 눈에 띄게 증가하는 추세다. 랴오닝성은 자동차와 조선, 철강 관련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고, 헤이룽장성은 석유화학 및 자원 산업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지역이다.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와 바이오 등 첨단 산업단지가 들어서며 신산업 중심의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글로벌타임스는 첨단 제조업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며 중국 북동부 지역과 한국이 교역을 확대할 좋은 기회가 마련됐다고 진단했다. 기술 협력이나 자원 공유, 시장 협력 등으로 양국이 큰 경제적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글로벌타임스는 한국의 경제 성장 둔화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 강화가 모두 한국과 중국 경제 협력 필요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도 강조했다. 한국이 서방국 의존도를 낮추고 중국과의 산업 협력·교역 확대에 더 힘을 실어야 한다는 시각이다.

중국 광명일보도 한국에 대한 호의적 논조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국사회과학원의 둥샹룽(董向榮) 시진핑신시대중국특색사회주의사상연구센터 특약연구원은 광명일보 기고문에서 같은 달 페루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 대해 “이번 정상회담은 한중이 계속 양자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지도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둥 연구원은 “한중 수교 이래 중국은 늘 대(對)한국 관계를 중시하고 발전시켜 왔으며, 한국은 중국의 이웃 국가일 뿐 아니라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자 외자 원천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자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더 노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美연준 기준금리 4.5% 동결, 세계 경제 불확실성 불 붙인 관세 폭탄

美연준 기준금리 4.5% 동결, 세계 경제 불확실성 불 붙인 관세 폭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미국, 물가-경기 역방향으로 전개
주요 경제국 통화 정책에도 영향
독일·중국 재정 부양책도 ‘역부족’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지난 1월에 이어 다시 한 번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는 조치로, 최근 경제 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에도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은행 또한 같은 날 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미국의 관세 압박이 전 세계 경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그 이유를 밝혔다.

빛바랜 ‘미국 경제 건재’ 메시지

19일(이하 현지시각) 연준은 이틀 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연준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의 경제 활동은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하고 있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이 다소 상승하고,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연준의 인식은 같은 날 공개된 경제전망예측에도 반영됐다. 연준은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이하 중간값)를 지난해 12월 제시한 2.1%에서 1.7%로 낮춰 잡고,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의 연말 예상치는 2.7%로 종전 2.5%보다 0.2%p 상향 조정했다.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Dot plot)에서 올해 금리 수준을 어떻게 예측하느냐로 쏠렸다. 연준은 올해 0.5%p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작년 말 전망과 같은 수준이지만, 19명의 입장은 미세하게 변했다. 작년 12월 최소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한 위원은 15명이었으나, 이번엔 11명으로 줄었다. 기준금리에 대한 견해가 다소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회의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최근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기 시작했다”면서도 “다만 인플레이션이 별도의 조치 없이 빠르게 사라지는 일시적 현상이라면, 이를 배제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도 마찬가지”라고 부연했다. 경기 침체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물음에는 “(장기화할 가능성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우려해야 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신중한 태토를 보였다.

일본은행 금리 인상 기조에도 영향

같은 날 일본도 기준금리를 기존 연 0.5% 수준으로 동결했다. 일본은행은 이날 금융정책결정회의 직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각국 통화정책 움직임과 그 영향을 받은 경제 및 물가 동향 등 일본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금리 동결 이유를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일 국가별 상호 관세를 예고하는 등 관세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수출 중심 국가인 일본 입장에선 상황을 더 예의주시하겠단 설명이다.

다만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입장은 그대로라고 덧붙였다. 일본의 지난 1월 신선제품 제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2% 뛰며 34개월 연속 2% 이상 상승률을 기록했다.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은 ‘임금 상승을 수반한 2% 이상 물가 상승률’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봄철 임금 노사협상(춘투) 1차 설문에 따르면 일본의 기본급 인상률은 평균 3.84%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남은 일본은행의 금융정책결정회의는 5월 초, 6월 중순 2회다. 물가 추이만 보면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지만, 미국발 관세 폭탄이 전 세계 경제를 겨냥하는 탓에 일본은행의 차기 금리 인상 시기와 속도는 가늠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지적이다. 고노 류타로 BNP파리바증권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6월 인상”이라면서도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라 세계 경제가 불황으로 향하게 되면, 금리 인상은 중단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 곳곳 관세 부작용에 시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은 물론 전 세계 경제에 역풍을 몰고 왔다는 진단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앞서 18일에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7%로 하향 조정했다. 나아가 내년 전망치도 종전 1.7%에서 1.5%로 낮췄다. 피치는 해당 내용을 담은 보고서에서 “새 행정부가 시작한 글로벌 무역전쟁이 미국과 세계의 성장세를 둔화시키고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승, 연준의 금리인하 지연을 가져올 전망”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관세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약 1%p 상승시킬 것이라는 게 피치의 분석이다.

문제는 트럼프발 관세 폭탄이 세계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피치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종전 2.6%에서 2.3%로 0.3%p 내렸다. 중국과 독일의 재정 부양책이 미국 관세의 부작용을 일부 상쇄하겠지만, 유로존(유로화 사용 지대)의 성장세는 더욱 약화할 것이란 진단이다. 또 미국과의 무역 의존도가 높은 캐나다. 멕시코는 관세 여파로 기술적 침체(2분기 이상 GDP 감소)에 빠질 것으로 관측했다.

미국 내 경제 전문가들도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 경기 침체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데 전망이 일치했다. CNBC가 펀드 매니저, 애널리스트 등 32명의 경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미국의 경기 침체 확률은 36%로 두 달 전인 1월(23%) 집계치보다 13%p 뛰었다. 배리 냅 매크로이코노믹스 연구원은 “많은 투자자가 관세 등 무역 정책으로 트럼프 정부의 의제가 무너지고, 단순한 경기 둔화를 넘어 경제적 위험에 돌입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의 자유무역 질서를 크게 어지럽히고 있다는 비판에 힘이 실리는 배경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투자 못받고 인재도 못구한다" 국적 바꾸는 K-스타트업들, ‘BYE 코리아’ 기업 10년새 6배

"투자 못받고 인재도 못구한다" 국적 바꾸는 K-스타트업들, ‘BYE 코리아’ 기업 10년새 6배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해외 증시 상장·투자 유치·인재 확보 목적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투자 조건으로 내걸기도
센드버드·스윗 등 플립 이후 큰 성장세 기록

국내 벤처투자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플립(Flip·해외로 본사 이전)을 선택하는 스타트업이 늘고 있다. 단순히 해외로 사업 영역을 넓히는 차원을 넘어 본사 자체를 이전해 회사의 국적을 바꾸는 방식이다. 해외 진출이 화두로 부상한 영향도 있지만 국내 시장의 고질적 규제, 투자 부진, 인재 부재가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된다. 국내 창업 생태계가 해외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해외 본사 스타트업, 2024년 186곳으로 급증

20일 벤처투자플랫폼 더브이씨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등 해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스타트업은 186곳으로 10년 전인 2014년 32곳과 비교해 6배 가까이 증가했다. 플립은 한국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이 해외에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고 이를 모회사로 삼아 한국 법인을 자회사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특히 미국, 싱가포르, 브리티쉬버진아일랜드(BVI) 등 스타트업 투자 환경이 우호적이거나 시장의 규모가 큰 국가 또는 상장을 하기에 용이한 국가를 선택해 본사를 이전하는 경우가 많다.

플립을 통해 성공한 대표 기업으로는 글로벌 AI(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센드버드(SendBird)가 꼽힌다. 2013년 한국에서 설립된 센드버드는 2016년 미국 실리콘밸리로 본사를 이전했다. 이후 미국에서 글로벌 액셀러레이터의 지원을 받으며 서비스 수준을 훌쩍 높였고, 미국 이전 7년 만인 2021년 상반기에 기업가치 1조2,000억원을 인정받으며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에 등극했다. 미국에서 이룬 성장을 바탕으로 국내 자회사도 2023년 기준 241억원 매출을 달성하는 등 낙수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K-뷰티 기업 미미박스(Memebox)도 플립을 통해 성공을 거뒀다. 2012년 한국에서 창업한 미미박스는 2014년 미국으로 본사를 이전했고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를 선도하고 있다. 글로벌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 스윗테크놀로지스(Swit Technologies) 역시 대표적인 플립의 사례로 꼽을 수 있다. 2018년 한국에서 창업한 스윗테크놀로지스는 2020년 미국으로 본사를 옮겼다. 이후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2021년 시리즈 A 투자 라운드에서 1,200만 달러(약 175억원)를 유치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Webtoon Entertainment)도 플립 전략을 활용한 기업이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원래 네이버웹툰의 미국 자회사였으나,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미국 법인을 본사로 변경했고, 지난해 6월 미국 나스닥 상장에 성공했다.

더 큰 시장서 인재·투자 유치

한국 스타트업들이 해외로 본사를 옮기는 결정적 이유는 해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다. 투자 규모가 큰 글로벌 벤처캐피털의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해외에 본사가 있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실제 스타트업의 '성공 보증수표'로 불리는 와이콤비네이터, 테크스타즈 등 글로벌 유명 액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에 투자할 때 본사 이전 등을 투자 조건으로 내거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은 플립을 한 회사들이 더 많은 해외 자본 유치와 빠른 사업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립을 하면 IPO(기업공개), 인수합병(M&A) 등에서도 유리해진다. 해외 법인은 국내 법인에 비해 글로벌 시장에서 M&A를 통해 회사를 매각할 수 있고 나스닥, 뉴욕증권거래소(NYSE) 등에 상장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진다. 특히 재무건전성과 영업이익을 요구하는 국내와 달리 미국 시장은 스타트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많은 가치를 부여한다. 일반적인 국내 IPO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시장이 큰 곳인 만큼 인재 유치도 수월하다. 해외 유명 개발자나 연구원을 확보하기 위해선 자금 여력이 크지 않은 스타트업의 특성상 급여 외에 스톡옵션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한데, 한국 기업보다는 미국과 같은 글로벌 기업의 스톡옵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美 스타트업 투자받을 때 韓 기업은 규제 피하기 바빠

무엇보다 플립을 하게 되면 각종 불합리한 규제에서도 자유롭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최근 창업 7년 미만 스타트업 30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인 63.4%가 ‘한국에서 규제로 인해 사업상 애로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응답 기업 중 37.7%는 한국의 스타트업 규제 수준이 ‘미국·중국·일본을 비롯한 경쟁국보다 높다’고 답했다.

특히 AI 관련 규제 입법이 과도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 21대 국회 4년 동안 AI 관련 규제 법안이 191건 발의됐는데, 개원한 지 8개월밖에 되지 않은 22대 국회에서는 벌써 64건이 발의됐다. 이 같은 규제 완화와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규제샌드박스 제도가 실시되고 있긴 하지만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많다. 규제샌드박스 승인을 받으면 임시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지만 전면적인 사업을 위해서는 법령 정비까지 완료돼야 한다. 그러나 산업통상자원부 집계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규제샌드박스 승인을 받은 총 709건 중 법령 정비까지 완료된 것은 106건으로, 법령 정비율이 15%에 불과했다.

불경기로 인한 벤처 투자 위축도 탈한국을 부추기는 요소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16조원에 육박했던 국내 벤처투자 시장 규모는 2024년 11조9,457억원으로 대폭 떨어진 상태다. 투자 건수도 2021년 4,019건에서 지난해 2,188건으로 반토막이 났다. 한 스타트업 대표는 “창업가들 사이에서는 국내 주식시장이 부진한 탓에 상장해도 이득이 없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해외 투자 유치에 주력하는 한편, 이왕이면 나스닥에 직상장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며 “이 때문에라도 본사를 해외로 옮기는 게 훨씬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No.1 방산기업 노리는 한화, 전략실 강화로 공격적 M&A 기지개

No.1 방산기업 노리는 한화, 전략실 강화로 공격적 M&A 기지개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전략 컨설팅 특화 인물 잇단 영입
3천억원대 프리미엄, 손해 보는 딜도 감내
“잠재 위험보단 성장 가능성에 투자”

한화그룹이 항공우주와 방위산업을 양대 신성장동력으로 점찍고 외연 확장을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그 첫 단계는 전략실 재구성과 인재 영입이다. 특히 최근 외부에서 영입 중인 인물들은 신사업 투자와 전략 컨설팅 등에 특화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수합병(M&A)의 포석을 깔고 있다는 해석이 주를 이룬다.

전략실 자리 채우는 기업 거래 특화 인물들

20일 방위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실은 최근 김선 우주팀장과 송창빈 방산팀 담당임원을 채용했다. 두 사람의 직책은 각각 팀장과 담당임원이지만, 부사장급 인사라는 게 내부 관계자의 전언이다. 한화에어로 측은 “외부 인재 영입 중인 것은 맞다”며 “전문 인력 보강 차원에서 추진 중인 사안”이라고 밝혔다.

손재일 대표가 이끄는 한화에어로는 산하에 지상방산(LS) 사업부, 우주사업부, 정밀타격(PGM) 사업부 등 여러 우주·방산 관련 조직을 두고 있다. 이번에 영입된 김 팀장과 송 담당이 배치된 전략실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전략 부문 대표를 겸하고 있으며, 그 아래로는 안병철 전략 총괄이 있다.

기술개발과 영업을 담당하는 사업부가 하드웨어라면, 전략 부문은 소프트웨어에 가깝다. 한화에어로는 김 부회장이 전략 부문 대표로 등기된 2021년을 기점으로 사업 재편에 속도를 냈다. 대표적 M&A로는 K9 자주포 개발업체인 자회사 한화디펜스 합병을 꼽을 수 있다. 별도의 자회사를 두는 것보다 모회사가 직접 사업을 이끌어 효율화를 앞당긴다는 취지로 2022년 한화디펜스를 합병했고, 이를 통해 방산 사업을 내재화했다.

업계에서는 우주·방산 전문기업으로서 한화에어로의 정체성이 어느 정도 확립된 만큼 전략실의 움직임도 바빠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에 영입된 김 팀장과 송 담당 또한 해당 분야에 특화된 인물이라는 평가다. 김 팀장은 카이스트에서 항공우주 및 우주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와튼스쿨에서 MBA 과정을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을 비롯한 다수의 컨설팅 회사를 거쳤다. 또 서울대를 졸업한 송 담당은 JP모건에서 투자금융본부장을 역임하며 다수의 M&A를 수행한 바 있다.

성장 위해선 위험도 감수

한화에어로는 지난해 한화오션과 싱가포르 부유식 해양설비 전문업체 다이나맥홀딩스를 인수한 데 이어 최근에는 한화시스템과 호주 조선·방위 산업체 오스탈에 전략적 투자했다. 적극적인 M&A를 통해 군함 건조 역량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시장이 꾸준히 성장 중인 우주 발사체, 해양 디지털 솔루션 등 신사업 관련 투자 또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외연 확장을 위한 한화의 움직임은 잠재적인 부채의 위험까지 떠안을 만큼 적극적이다. 지난해 한화가 1억 달러(약 1,469억원)에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Philly Shipyard)가 대표적 사례다. 작년 말 기준 필리조선소의 부채는 4,982억원으로 자산(2,968억원)보다 많다. 자본이 마이너스(-) 2,014억원에 달하는 ‘완전자본잠식’ 상태란 얘기다.

통상 M&A 시장에서는 순자산보다 비싸게 쳐준 프리미엄을 영업권으로 나타낸다. 이를 토대로 필리조선소의 영업권은 3,484억원에 달했다. 해당 사업체가 미래에 수익을 내면 문제가 없지만, 실적 악화의 경우에는 막대한 손실로 남게 된다. 지난해 필리조선소의 매출은 4,967억원, 영업손실은 1,647억원으로 집계됐다. 당기순손실은 1,923억원에 달했다. 작년 말 M&A가 마무리되면서 한화에 필리조선소 실적은 반영되지 않았지만, 재무구조가 개선되지 않으면 그 부담은 당장 올해부터 한화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한화는 성장 가능성에 중점을 둔 거래였던 만큼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빠른 정상화를 위해서 그룹 내 ‘전략·재무통’으로 불리는 데이비드 김 대표를 수장으로 선임했다. 나아가 필리조선소를 함정 건조와 유지보수(MRO) 사업의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화오션은 선박 건조를, 한화시스템은 자율운항 기술 개발을 맡는 구조다. 한화 관계자는 “현재 (필리조선소) 부채를 털기 위한 작업이 한창인 만큼 빠른 정상화가 기대되는 상황”이라며 “생산 자동화 등 설비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략적 M&A 앞서간 두산

회사 내부에 M&A 전담 조직을 구성해 중장기 전략에 맞게 사업 구조를 재편하는 시도는 두산그룹에서 그 시초를 찾을 수 있다. 1990년대 이전까지 OB맥주를 중심으로 소비재 사업을 영위한 두산은 이후 중공업 분야로 전환을 선언하며 전략기획본부 산하에 M&A 전담 조직 CFP(Corporate Financing Project)팀을 출범했다.

계열사 및 외부에서 영입한 인사 10여 명으로 구성된 CFP팀은 그룹의 핵심 M&A를 담당했으며, 팀원들은 인수 대상 리스트를 엄선하고 분석하는 임무를 맡았다. 2001년 한국중공업을 사들이며 M&A 물꼬를 텄고, 이후 고려산업개발, 미쓰이밥콕, 두산밥캣 등을 연이어 인수했다. 이들 기업은 저마다 두산중공업, 두산건설 등으로 이름을 바꿔 지금까지 그룹의 핵심 사업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CFP팀을 운영하면서 두산은 최고재무책임자(CFO)들에게 의사결정과 경영계획, 기획 등 막강한 권한을 부여했다. 일반적인 기업의 의사결정이 최고경영자(CEO)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CFO는 이를 보좌하는 구조인 것과 대비된다. 재무적인 지식과 전략가의 지식을 겸비한 인재가 필요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것이 M&A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게 당시 경영진의 판단이었다.

이와 관련해 두산그룹 제9대 회장을 역임한 박용만 벨스트리트 파트너스 대표업무집행자는 시 CFP팀을 가리켜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조직이자, 가장 아끼는 조직”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두산의 기조는 지금까지도 이어져 왔다. 두산 주요 계열사의 CFO 대부분은 현재 사내이사이자 대표이사로 회사의 경영 전반에 참여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한양증권 인수전 완주 의지 다진 KCGI, 시장 분위기는 다르게 흘러

한양증권 인수전 완주 의지 다진 KCGI, 시장 분위기는 다르게 흘러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6월 말까지 매각 절차 그대로 진행
이달 예정 적격성 심사도 무기한 연기
산적한 과제 해결 못 하면 공은 LF로

한양증권 인수를 추진 중인 국내 독립계 사모펀드 운용사 KCGI가 올해 상반기까지 예정된 매각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하기로 했다. 최근 국세청 특별 세무조사 대상에 이름을 올리며 인수전 완주가 힘들 수 있다는 시장의 부정적 전망과 사뭇 다른 행보다.

특별 세무조사로 인수 절차 줄줄이 연기

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CGI와 한양학원은 한양증권 주식매매계약(SPA) 기한인 6월 말까지 매각 절차를 그대로 진행하기로 뜻을 모았다. 한양학원 관계자는 “계약 기간이 충분히 여유 있는 상황”이라며 “기간 종료 후에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크지만, 현시점에서는 당장 계약을 해지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한양학원이 재단 산하 한양산업개발의 높은 부채비율과 의료파업 장기화에 따른 한양대학교병원 지원 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만큼 한양증권의 몸값을 조금이라도 높게 받기 위해 한양증권을 KCGI에 매각하려는 것으로 해석했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차순위로 선정된 LF그룹으로 넘어갈 경우, 가격 하락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한양학원 측은 “KCGI와 우호적 분위기 속에서 매각 절차를 밟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장에서는 KCGI의 한양증권 인수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진단이 나온 바 있다. 지난 11일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KCGI에 대한 특별 세무조사에 착수하면서다. ‘재계 저승사자’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조사4국은 횡령이나 비자금 조성 등 혐의에 대한 특별 세무조사를 전담하는 부서다. 대규모 기획 조사의 타깃이 된 만큼 KCGI의 한양증권 인수가 무산될 공산이 크다는 게 시장의 주된 시각이었다.

KCGI는 국세청의 세무조사에 성실히 응하는 것은 물론, 금융당국과 한양증권 인수를 위한 대주주 적격성 심사 시점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애초 이달 안에 적격성 심사가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이번 세무조사 착수로 심사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한 탓이다. 일반적인 세무조사 기간을 고려하면 상반기 내 조사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 6월께는 돼야 심사를 재개할 수 있을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자금조달 단계부터 ‘삐걱’

심사 재개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양학원의 고민 또한 깊어질 전망이다. KCGI에 한양증권을 매각해 숨통을 트일 것으로 기대했지만, 자금 조달은 물론 인수 가능성마저 확신할 수 없는 탓에 인수 금액은 다소 낮더라도 자금력이 충분한 LF그룹과의 거래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는 지적이다.

KCGI는 2,448억원에 한양증권 보통주 376만9,733주를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는 주당 6만5,000원에 달하는 가격으로 20일 오후 1시 기준 한양증권 주가 1만2,240원의 5배가 넘는 인수 금액이다. 나아가 차순위 협상자 LF가 제시한 인수대금인 주당 4만원대 후반과 대비된다. 이후 KCGI는 차순위 협상자와 가격 차이가 너무 크다는 이유로 인수가를 5만8,500원으로 조정했지만, 여전히 격차는 상당한 수준이다.

이처럼 과감한 베팅의 결과 KCGI는 인수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었다. 다올투자증권과 OK금융을 비롯해 외국계 운용사, 일반 기업 등을 찾아다녔지만 어느 곳에서도 투자확약서(LOC)를 끊어주지 않은 것이다. 여기에 인수금융 활용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통상 인수금융 조달에는 인수하는 주식을 담보로 50% 수준의 담보인정비율(LTV)이 거론되는데, 이번 경우는 인수금액 대비 주가가 너무 낮아 담보가치가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2금융권의 자금집행이 대안으로 떠오르기도 했지만, 저축은행과 캐피탈 등 2금융권의 자금 사정이 어렵다 보니 이들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것도 어려울 것이란 평이 지배적이다. 이 때문에 강성부 KCGI 대표가 일반 기업들을 찾아 직접 투자 의향을 묻기도 했다. 한 IB 관계자는 “강 대표가 기업들을 찾다니고 있지만 긍정적인 분위기는 아니다”라고 전하며 “KCGI는 기업에 투자해 시장 주목도를 높인 후 주가가 오를 때 발을 빼는 행보를 보여왔는데, 이번 거래에선 같은 전략을 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KCGI 우협 지위 흔들리며 차순위 LF 급부상

이렇다 보니 한양증권 내부에서도 KCGI 매각 가능성이 옅어지는 분위기다. 당초 다올투자증권 대표로 자리를 옮길 예정이었던 임재택 한양증권 사장은 회사에 남아 대표이사직을 계속 수행하기로 했다. 업계에선 임 사장의 잔류를 KCGI로의 매각을 포기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임 사장이 떠나기로 한 건 회사의 주인이 바뀌는 게 결정적인 이유였던 만큼 그의 행보가 한양증권 내부 분위기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는 진단이다.

KCGI에 밀려 아쉽게 한양증권을 놓쳤던 LF는 자금조달에 이어 세무조사 논란까지 불거진 KCGI의 낙마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산하에 코람코신탁을 거느리고 있는 LF는 그룹 차원에서 금융업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한양증권이 보유한 부동산 가치도 높게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양증권 대주주인 한양학원 역시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한 만큼 이른 시일 내 매각을 마무리하기 위해 LF와의 물밑 협상에 들어설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신문 100% AI로 제작" 언론계에 불어든 변화의 바람

"신문 100% AI로 제작" 언론계에 불어든 변화의 바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伊 매체 일 포글리오, 신문 전제작 과정에 AI 활용
수년 전부터 구글 등도 언론과 AI 기술 접목 시도
한국 언론계에서도 활용도 높아져
세계 최초로 발행된 인공지능(AI) 신문 '일 포글리오 AI'/사진=일 포글리오 홈페이지

100% 인공지능(AI)으로 제작된 신문이 이탈리아 언론사에서 최초 발행됐다.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가운데, 언론계에서도 본격적인 변화가 시작되는 양상이다.

세계 최초 'AI 신문'의 등장

18일(현지시각)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이날 이탈리아의 일간지 ‘일 포글리오(Il Foglio)’는 AI로 제작한 4장 분량의 신문 '일 포글리오 AI'를 지면과 온라인으로 배포했다. 클라우디오 세사라 일 포글리오 편집장은 “기사 본문과 제목, 인용문, 요약문까지 모두 AI가 담당했다”며 “기자들의 역할은 AI에 질문을 던지고 그 답변을 읽는 것뿐이었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모든 기사를 AI가 작성했다는 것이다.

일 포글리오 AI의 1면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진과 함께 ‘이탈리아 트럼프 지지자들의 역설’에 관한 기사가 실렸다. 해당 기사에는 “트럼프 지지자들이 ‘캔슬 컬처’에 대해 격분하면서도, 트럼프가 비슷한 행동을 할 때는 이를 외면하거나 심지어는 찬양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캔슬 컬처는 유명인이나 공적 지위에 있는 사람이 논란이 될 만한 행동을 했을 때 소셜미디어(SNS)상에서 공격의 대상이 되는 온라인 문화를 일컫는다. 아울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20년 동안 깨트린 약속에 관해 기술한 “푸틴, 10가지 배신”이라는 제목의 칼럼도 1면에 실렸다.

이번 'AI 신문' 발행과 관련해 세사라 편집장은 “일 포글리오의 이번 시도는 한 달간 진행되는 저널리즘 실험의 일환”이라며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의 작업 방식과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의 AI 언론 도구 '제네시스'

일 포글리오의 사례와 같이 언론에 AI 기술을 접목하려는 움직임은 수년 전부터 존재해 왔다. 일례로 구글의 경우, 지난 2023년 뉴스 기사를 작성할 수 있는 AI 도구 실험을 진행한 바 있다. 내부적으로 '제네시스'(Genesis)라는 임시 이름이 붙은 이 도구는 구체적인 시사 정보를 수집하고 뉴스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다. 구글은 제네시스가 기자들의 개인 비서 역할을 수행하고, 생성형 AI의 위험으로부터 출판 사업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 보도가 나왔을 당시 젠 크라이더 구글 대변인은 "뉴스 발행인들, 특히 소규모 발행인들과 협력해 기자 업무 보조용 AI 도구들을 제공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도구들은 기사를 보도하고 사실을 확인하는 기자들의 본질적 역할을 대신하려는 것이 아니고, 그렇게 할 수도 없다"며 "(제네시스가) 기사 제목들과 글쓰기 스타일에 대한 선택권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韓 언론인 62% "업무 중 AI 활용했다"

한국 언론계에서도 AI의 존재감이 커지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고려대 미디어학부 박아란·신혜린 교수와 이나연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가 발표한 ‘생성형 AI 시대 언론사와 언론인의 역할 재정립’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업무 중 생성형 AI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언론인은 62.2%에 달했다. 부서별로는 과학/IT부(80.0%)와 디지털뉴스팀(79.4%)의 활용 경험이 많았고, 사회부(44.6%)와 지역/전국부(51.0%)는 상대적으로 활용 경험이 적었다.

뉴스 생산 과정을 ‘자료 수집 및 기획 단계’, ‘기사 작성 단계’, ‘기사 배포 단계’로 구분할 경우, 자료 수집 및 기획 단계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경험이 특히 많았다. 구체적으로 ‘녹음된 자료를 텍스트로 전환(84.0%)’하거나 ‘외국어로 된 기사 및 자료를 번역(74.9%)’할 때 AI를 많이 사용했고, ‘오탈자·문법 오류 체크(68.9%)’ 및 ‘취재 관련 자료·사례 탐색(59.6%)’ 시에도 AI가 자주 활용됐다.

다만 언론인들은 기사 작성과 같은 기자 본연의 업무 영역에선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것을 꺼렸다. ‘생성형 AI가 제공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문장으로 활용’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의 비중은 48.1%에 달했으며, ‘팩트 체크’나 ‘취재 아이템 구상 및 제안’ 시 AI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더 많았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탈미국’ 캐나다, 미국 대신 EU와 방위산업 협력 추진

‘탈미국’ 캐나다, 미국 대신 EU와 방위산업 협력 추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EU, 파트너십 체결국 무기만 구매 허용
加, 군사장비 공동조달 등 유럽 방위협력 체계 합류 논의
美 록히드마틴 전투기 구매도 재검토, 스웨덴산 대안으로
마크 카니(왼쪽) 캐나다 총리가 1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 도착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환영을 받고 있다/사진=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인스타그램

캐나다가 전통 우방국인 미국 대신 유럽연합(EU)과의 방위산업 협력을 추진한다. EU가 5년간 총 8,000억 유로(약 1,270조원) 규모를 투자하는 방산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加, 伊에 "재무장 참여 위해 도움 필요"

19일(이하 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앨리사 골버그 주이탈리아 캐나다대사는 17일 이탈리아 재무·외교·국방·기업부 장관들에게 이탈리아 및 EU와 국방산업 협력을 강화하고자 한다는 메시지를 긴급 사안으로 전달했다. 캐나다가 EU의 재무장 계획에 협력하기 위해 이탈리아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골자다.

같은 날 EU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장기 방위전략 '대비태세2030'에는 1,500억 유로(약 238조원)의 대출금 지원을 제3국 무기 구매에 제한적으로 허용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EU는 EU 가입 신청국 또는 후보국, 혹은 EU와 안보·방위 파트너십을 체결한 국가의 무기만을 구매할 수 있다. 한국·일본·노르웨이·알바니아·북마케도니아·몰도바·우크라이나·튀르키예 8개국이 이 조건에 해당한다. 이 중 튀르키예는 무기구매 대출 허용국에서 제외됐다.

이에 캐나다는 EU와 안보·방위 파트너십을 체결해 시장에 진입하겠다는 의사를 EU 회원국인 이탈리아에 드러낸 것이다. 골버그 대사는 "드론, 위성통신, 로봇공학, 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 등 첨단 방위 기술과 니켈, 코발트, 리튬 등 재생에너지 시스템에 필요한 캐나다의 대규모 중요 광물 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 대가로 캐나다는 EU산 무기 구매를 늘릴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골버그 대사는 "유럽 공급업체로부터 조달할 가능성이 있는 잠수함 12척, 추가 전투기, 전차 등을 포함해 단기 조달을 통해 여러 핵심 역량을 구매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7일 영국을 방문한 마크 카니 캐나다 신임 총리도 유럽의 방위비 증액에 대해 "캐나다에 잠재적인 대체 공급업체가 생길 수 있다"며 관심을 드러냈다.

"F-35 구매 재검토, 대안 찾아라"

캐나다가 유럽과의 국방산업 협력에 나서는 건 미국에 대한 방위 의존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최근 캐나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미국과의 관계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악화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병합하겠다고 밝혀 캐나다 국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이 때문에 양국 간 방산 협력에도 차질을 빚어지고 있다. 이에 캐나다는 2023년 미국 록히드마틴사와 체결한 190억 캐나다달러(약 19조3,000억원) 규모의 F-35 전투기 88대 도입 계약을 재검토하고 있다. F-35 전투기의 대안으로는 2023년 전투기 입찰에서 2위에 오른 스웨덴 사브의 그리펜 전투기 등이 거론된다. 사브는 판매 제안서를 통해 그리펜 전투기의 조립과 정비를 캐나다 안에서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캐나다·EU, 경제협력 강화도

캐나다와 EU는 방산 협력에 앞서 경제 협력 강화도 약속한 상태다. 지난달 EU의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과 안토니우 코스타 정상회의 상임의장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한 쥐스탱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와 회동했다. 트뤼도 전 총리는 회동 전 기자들과 만나 “친구는 서로의 등을 지켜준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가 논의 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예측할 수 없는 세상에서 신뢰가 더욱 필요하다”면서 EU와 캐나다를 “좋은 동맹이자 신뢰할 수 있는 친구”라고 화답했다.

이들의 만남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지 이틀 만에 이뤄졌다. 대미 철강·알루미늄 수출 규모로 보면 캐나다와 EU는 각각 1, 3위로 직격탄이 예상되는 처지다. 양측은 이런 상황에 대응해 EU와 캐나다 간 자유무역협정(FTA)에 해당하는 포괄적경제무역협정(CETA)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무역 확대 및 다각화에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캐나다와 EU는 CETA를 맺은 2017년 이후 상품 무역을 60% 늘린 것으로 평가받는다. EU는 현재 미국에 이어 캐나다에서 두 번째로 큰 수출 대상국으로, 2023년 양측의 무역은 1,573억 캐나다달러(약 159조7,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한 EU 고위 관계자는 "EU로선 미국을 상대로 불리한 처지에 놓인 다른 국가들과 관계 강화를 꾀하는 게 상식적이며, 이를 미국과의 협상에서 ‘레버리지’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카카오 노조, 다음 분사 반대 집회 "사측의 일방적 결정으로 800명 직원 피해"

카카오 노조, 다음 분사 반대 집회 "사측의 일방적 결정으로 800명 직원 피해"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사내 독립기업 설립 2년 만에 분사 추진
존재감 없는 '다음'은 매각 가능성 제기
노조 "구체적 계획 없이 즉흥적인 결정"

카카오 노조가 포털 서비스 '다음(Daum)'을 운영하는 콘텐츠 사내 독립기업(CIC)의 분사 계획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다. 카카오 측이 콘텐츠 CIC의 분사가 검색·콘텐츠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지만, 노조 측은 노사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데다 구체적인 계획도 없는 일방적 결정이라고 주장하며 경영진의 실책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노조, 무분별한 분사 반대·임단협 결렬 예고

19일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 크루유니언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 판교아지트 광장에서 카카오 측이 발표한 콘텐츠 CIC의 분사 계획과 관련해 무분별한 분사 반대와 임금·단체협상 결렬을 예고하는 집회를 열었다. 앞서 지난 13일 카카오는 "다음의 본체인 카카오 콘텐츠 CIC를 분사하겠다"며 "별도 법인으로 독립시켜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환경과 빠른 의사결정 구조를 갖춰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카카오는 2014년 다음커뮤니케이션을 흡수 합병한 뒤 2023년 다음을 CIC로 분리했다.

이날 노조는 △일방적 결정 △고용 불안 △구체적 계획 부재 △매각 우려 등의 이유로 분사 계획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사전에 분사에 관한 노사 간 협의가 부재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노조는 "13일 두 차례에 걸쳐 콘텐츠 CIC 직원 대상 간담회가 진행됐지만, 이 자리에서 분사와 관련한 논의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사측이 분사 계획을 일방적으로 통보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분사한 법인의 운영 방안과 직원 처우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분사 시행 시 직원들이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음 분사는 포장된 권고사직이자 구조조정"

분사 후 매각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이날 서승욱 카카오지회장은 사측이 13일 설명회에서 지분 매각 가능성을 열어 둔 만큼 구조조정이나 다름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카카오는 대부분 기업 분사 매각을 사모펀드에 의해 진행했다"며 "어떤 방식으로든 매각이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분사 조치로 콘텐츠 CIC와 업무적으로 직접 연관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검색 CIC, 케이앤웍스, 디케이테크인, 링키지랩 등 800명 노동자의 삶이 위협받고 있다"며 "간접적인 업무 담당자를 포함해 1,000명의 고용불안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박영준 화섬식품노조 수도권지부장은 "포털 다음의 법인 분리는 포장된 권고사직과 사실상의 구조조정"이라며 "지금 카카오 사태의 원인과 책임은 경영진에게 있는데 그들의 직책은 유지하면서 직원들은 구조조정의 부당함에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소속 오치문 크루유니언 조합원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분사 경험을 언급하면서 "사측이 카카오 잔류 여부를 직원들이 선택할 수 있게 하겠다고 했지만, 자신이 일하던 부서에서의 이동, 리더의 설득과 호소는 생각보다 뿌리치기 어려울 것"이라며 결정이 쉽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 측은 "콘텐츠 CIC 분사 계획을 공개한 타운홀 미팅 당시 '분사한 법인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결정이며 콘텐츠 CIC 성장과 발전을 위해 여러 방안을 고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며 "지분 매각을 고려한다고 언급한 적이 없을 뿐 아니라 실제로도 결정된 건 아무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분사의 구체적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조만간 설명회가 진행될 예정"이라며 "이후에도 계속 소통을 해나가며 최선을 방법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 모든 조치가 시작 단계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2023년 CIC 분리 당시에도 매각 가능성 제기

포털 다음의 매각 가능성이 제기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3년 다음 사업부를 CIC로 분리할 당시에도 업계에서는 사실상 매각을 염두에 분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CIC 분리 당시 카카오는 "검색·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서 다음의 서비스 가치에 더욱 집중하고 성과를 내기 위해 다음 사업부를 CIC로 운영하기로 했다"며 "신속하고 독자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조직 체계를 확립해 다음 서비스만의 목표를 수립하고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같은 해 카카오가 비핵심 사업을 정리해 자회사 수를 줄이는 등 경영 효율화에 속도를 내면서 콘텐츠 CIC 매각설이 꾸준히 제기됐다. 다음의 매각 가능성이 계속해서 거론되는 배경에는 네이버, 구글 등에 밀려 포털 시장에서의 입지가 점점 약해지는 현실이 크게 작용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현실적으로 다음이 네이버, 구글과 더 이상 경쟁하시는 어려운 상황인 만큼 이번 분사 조치가 재활성화보다는 핵심 사업에 더 집중하기 위해 정리 작업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실제로 다음의 검색엔진 점유율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달 다음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98%포인트 급락한 2.73%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모바일 앱 개편 효과도 미미하다. 콘텐츠 CIC는 올해 1월 다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전면 개편했다. 하지만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다음 앱의 월평균활성사용자수(MAU)는 지난 1월 783만8,781명에서 2월 737만7,538명으로 감소했다. 앱 개편 후 오히려 사용자가 46만 명이나 줄어든 것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