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광물·소재 수출 통제 강화하는 中, 韓 산업계도 '영향권'

광물·소재 수출 통제 강화하는 中, 韓 산업계도 '영향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中, 음·양극재 등 핵심소재 기술까지 수출 통제 범위 확대
갈륨·게르마늄부터 통제 광물 점점 늘어나
미·중 갈등에 '새우등' 터진 韓 제조업계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하면서 중국의 수출 통제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갈륨, 게르마늄 등 핵심 광물에서 시작해 소재 기술까지 통제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시장에서는 강력한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산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국내 제조업계가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中, 배터리·반도체 소재 기술 수출 막는다

19일 닛케이아시아는 중국 정부가 핵심 소재 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 미국과의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향후 중국 정부는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갈륨과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재 생산 기술에 대한 무역 규제를 강화할 예정이다. 관련 기술을 해외로 이전할 때 중국 상무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는 데 쓰이는 고성능 양극재 기술에 대한 통제도 강화된다. 산업 데이터 포털 마이스틸(Mysteel)에 따르면 해당 기술은 2025년 말부터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널리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더해 중국 정부는 알루미늄 가공의 부산물인 갈륨 생산 기술도 적극적으로 통제하겠다는 방침이다.

중국의 수출 통제 전례

이 같은 중국의 수출 통제 움직임은 지난 2023년 8월부터 본격화했다. 당시 중국은 국가 안보와 국익을 명분으로 갈륨·게르마늄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선언했다. 관련 품목 수출 시 중국 국무원과 상무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수출업자들에 수입업자의 정보, 최종 사용자 등을 담은 자료를 제출하도록 명령한 것이다. 이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에 대한 대응 조치였다.

수출 통제를 본격화한 이후 중국의 게르마늄과 갈륨의 수출량은 급격하게 감소했다. 중국 세관 자료를 살펴보면 수출 통제 전 평균 2만kg을 소폭 밑돌던 중국의 반기별 게르마늄 수출량은 2023년 하반기 1만3,514kg, 올해 상반기 1만2,410kg으로 급감했다. 평균 4만kg을 상회했던 갈륨 수출량은 2023년 하반기 1만6,000kg, 지난해 상반기 2만kg까지 쪼그라들었다.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혼란이 발생할 만한 변화다.

이후로도 중국은 꾸준히 수출 통제 수위를 높여 왔다. 2023년 말부터 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를 만드는 데 쓰이는 흑연의 수출을 통제하기 시작했으며, 자국이 사실상 독점 중인 희토류 가공 기술 관련 수출도 막았다. 지난해 9월에는 배터리·방염제·야간투시경·핵무기 등의 원료로 쓰이는 금속 안티몬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가 본격화했고, 지난 2월에는 텅스텐, 몰리브덴,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 등 핵심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가 시작됐다.

韓 산업계도 타격 전망

시장에서는 강력한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산 원자재를 대량 수입해 사용하는 국내 산업계가 휘청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37개 희소 광물의 대(對)중국 수입액은 70억3,200만 달러(약 10조3,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2018년 21억2,500만 달러 대비 3.3배 늘어난 수준이다. 같은 기간 한국의 전체 희소 광물 수입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23%에서 36%로 커졌다.

개별 광물의 수입 의존도를 살펴보면 상황의 심각성은 한층 더 두드러진다.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광해광업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마그네슘의 91%, 니오븀의 87%가 중국에서 수입됐다. 리튬(57%), 희토류(62%), 바나듐(51%), 텅스텐(77%), 갈륨(73%), 크롬(42%) 등도 최대 수입 의존국이 중국인 것으로 확인됐다.

핵심 광물의 국내 비축 물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는 요인이다. 한국광해광업공단에 의하면 지난해 11월 기준 정부의 비축 확대 광종 13종 중 비축 목표치를 세운 광물은 갈륨과 희토류 등 2개에 불과했다. 비축 확대 희소금속 13종에는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을 만드는 데 필요한 광물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실업급여 인상할수록 비정규직 늘어, 쉬운 돈벌이의 역풍

실업급여 인상할수록 비정규직 늘어, 쉬운 돈벌이의 역풍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실업급여 올리자 ‘쉬운 돈벌이’ 껑충
비정규직 24만 명 폭증, 지급액 80%↑
"구직자의 도덕적 해이가 원인"

2019년 바뀐 실업급여 제도 때문에 비정규직이 폭증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급액과 지급기간을 모두 대폭 늘려주자 수급에 필요한 기간만 일하면서 반복수급을 누리려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저임금을 받고 일한 근로자보다 실업급여 수급자가 받는 지급액이 더 많은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도 설계가 잘못됐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실업급여 비중 1%p 인상 때 비정규직 0.12%p 증가

18일 재단법인 파이터치연구원은 2019년 변경된 실업급여 제도로 인해 지난해까지 비정규직이 24만1,000명 증가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실업급여 비중과 비정규직 근로자수의 인과관계 분석에는 2005~2022년 한국과 유럽 20개국 자료를 바탕으로 '하우스만-테일러 추정법'을 적용했다.

분석 결과 실직 전 받은 평균 임금 대비 실업급여 비중이 1%포인트 올랐을 때 비정규직 비중(전체 임금 근로자 대비)은 0.12%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을 최근 변경된 실업급여 제도에 적용하면 실업급여가 인상되면서 그로 인해 비정규직이 늘었다는 결론이다.

2018년 대비 지난해 실업급여 비중은 50%에서 60%포인트로 인상됐고, 동 기간 비정규직 비중은 1.2%포인트 늘었다. 수급요건 역시 한국(실직 전 18개월 중 180일 근무)이 독일(30개월 중 12개월 이상 근무)이나 스위스(24개월 중 12개월 근무), 스페인(6년 중 360일 이상 근무)보다 느슨했다. 연구원은 "실업급여가 증가하면 구직자는 도덕적 해이에 빠지기 쉬워진다"며 "자발적 퇴직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지만 계약기간이 정해진 비정규직은 수급이 용이해 도덕적 해이가 비정규직에서 발생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작년 실업급여 지급액 12조 돌파

실제로 실업급여 지원 확대는 사회 안전망을 강화한다는 선의의 취지를 갖고 시작한 것이지만 결론은 다소 달랐다. 한국재정학회가 국회예산정책처의 의뢰로 수행한 ‘실업급여제도의 고용 성과에 관한 효과성 분석’ 연구를 보면 실업급여 혜택 확대의 부작용이 여실히 드러난다.

연구진이 입수한 2015~2023년 고용보험행정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실업급여 수급자가 급여를 받은 일수는 2015~2019년 사이 평균 125.5일이었다. 하지만 실업급여제도가 바뀐 직후인 2020~2023년에는 157.9일로 30일 이상 증가했다. 연구진은 제도 변화로 인해 실업급여 수급자가 실업 상태에 놓이는 기간이 32.644일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어 연구진은 “2019년 실업급여제도 변화가 실업급여 수급 기간, 실업급여 수급 종료 후 취업 소요 기간, 실업 기간 등을 모두 늘려 구직급여 지급액 증가와 노동시장에의 재진입 지연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 실업급여 지급액은 2018년 6조7,000억원에서 2024년 12조3,000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실업급여 하한액 인상에 부정수급도 증가

실업급여 혜택 강화로 재취업자들의 노동시장 재진입이 미뤄지고 있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재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취직 활동을 돕는 구직급여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재취업을 유인하는 대책은 별도로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급여 지원 규모와 기간만 확대하다 보니 일자리를 다시 구하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셈이다.

실업급여 반복 수급과 같은 도덕적 해이 문제도 끊이지 않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실업급여를 3회 이상 수급한 반복 수급자는 2019년 8만6,000여 명에서 지난해 11만여 명으로 27.9% 늘었다. 이 중 같은 사업장에서 3회 이상 받은 사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0.9%에서 2023년 18.8%로 크게 높아졌다. 사업자와 근로자 모두 합의하에 관련 제도를 악용하고 있는 형세다.

이 같은 부정 수급을 부추긴 건 실업급여 하한액 인상이다. 실업급여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로 연동돼 있다.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2021년 5만5,808원에 그쳤던 ‘실업급여 일액(8시간 근로 기준 하루 지급액)’은 지난해 6만3,104원으로 치솟았다. 올해 최저임금이 1만30원으로 사상 첫 1만원을 돌파하면서 하한액은 더 오를 판이다. 주 40시간 근로를 기준으로 계산한 월 하한액은 189만3,120원으로, 최저임금을 받는 사람이 4대 보험료와 세금을 빼고 손에 쥐는 실수령액(월 185만6,276원)보다 많았다. 높은 하한액은 근로자들의 일할 ‘동기’를 약화하는 요인이 된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자회사들 매각 나서는 ‘호텔신라’, 재무구조 개선 기대

자회사들 매각 나서는 ‘호텔신라’, 재무구조 개선 기대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면세점 업황 부진 장기화에 시름
지분 100% 보유 SBTM도 매각 대상
신라스테이 동탄 매각 입찰 '흥행'
신라호텔 서울 전경/사진=호텔신라

호텔신라가 자회사들 매각을 추진한다. 면세점 업황의 부진이 계속되자 본업과의 관련성이 떨어지는 자회사부터 팔아 재무구조를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호텔신라, 잠재적 원매자 접촉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호텔신라는 자회사들을 매각하기 위해 최근 잠재적 원매자들과 접촉했다. 검토 중인 매물 중에는 호텔신라가 지분 100%를 보유 중인 자회사 SBTM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SBTM은 호텔신라의 여행 사업부가 분사해 설립된 회사다. 항공 및 철도 발권, 호텔 및 식사 예약, 비자 업무 등 삼성그룹 임직원의 출장에 필요한 업무를 대행한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호텔신라가 SBTM이 본업과 연관성 및 시너지가 떨어진다고 판단해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실제로 이익을 내고 있는 기업이 매각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BTM의 2023년 기준 연 매출액은 348억원, 영업이익은 17억원, 당기순이익은 20억원 수준이었다.

작년 말 기준 호텔신라가 경영권 지분을 보유한 국내외 자회사는 총 10개였다. SBTM을 비롯해 신라에이치엠(옛 신라스테이), HDC신라면세점, 에스에이치코퍼레이션, 로시안, 미국 면세품 도매 판매 업체 쓰리식스티 등이 포함됐다.

신라스테이 동탄도 매각 진행

호텔신라는 비즈니스호텔 브랜드 신라스테이의 제1호점인 신라스테이 동탄에 대한 매각도 진행하고 있다. IB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미래에셋자산운용과 국민연금이 매각하는 신라스테이 동탄 입찰에 JR투자운용, 블루코브자산운용 등 4곳이 참여했다. 원매자들이 제안한 인수가격은 1,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신라스테이 동탄은 2013년 준공 이후 안정적인 운영실적을 보여주고 있는 동탄 내 핵심 호텔 자산으로, 지하 2층~지상 29층, 연면적 2만4408㎡ 규모로 286실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호텔신라가 매각 카드를 꺼내 든 이유는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해서다. 지난해 4분기 호텔신라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9,478억원, 영업손실은 279억원이었다. 영업손실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가 142억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예상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적을 낸 것이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내국인의 해외여행 수요 정상화에 따라 공항 객수는 2019년 수준을 넘어섰으나, 고환율과 소비 여력 둔화 등으로 소비자의 지출(객단가)은 회복하지 못했다”며 “이런 현상이 홍콩과 싱가포르 공항에서도 나타나면서 호텔신라의 공항 면세점 실적이 부진한 상황인데, 회사가 국내외 공항 면세점 고정비(임차료)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실제로 낮출 수 있을지 불확실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파르나스 호텔 제주의 인피니티 야외풀/사진=파르나스 호텔 제주

줄줄이 매물로 나온 국내 호텔들

한편 최근 들어 국내 다른 유수 호텔들도 줄줄이 매물로 나오고 있다. DL그룹은 글래드 여의도, 글래드 강남 코엑스센터, 메종 글래드 제주 등 세 호텔에 대한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싱가포르투자청(GIC)을 선정했다. DL그룹은 지난해부터 외국계 투자자 및 글로벌 자산운용사들과 글래드 호텔 매각 협상을 벌여왔다. 작년 12월 실시한 입찰에는 그래비티자산운용과 손을 잡은 GIC를 비롯해 블랙스톤, 콜버그그래비스로버츠(KKR), SC캐피탈파트너스그룹 등이 도전장을 냈는데, DL그룹은 고심 끝에 최근 GIC를 우선협상 대상자로 낙점했다. 인수 대금은 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강남구 안다즈 호텔,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구 노보텔앰배서더 서울, 중구 명동에 있는 르메르디앙&목시 명동 등 5성급 호텔도 매물로 나왔다. 호텔업계 큰손 KT가 부동산 유동화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 호텔들은 자산 가치만 2조원에 달한다.

제주 중문관광단지 내 5성급 호텔인 파르나스 호텔 제주도 매각 대상이다. 블루코브자산운영은 최근 파르나스 호텔 제주 매각자문사로 CBRE코리아-삼정KPMG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파르나스 호텔 제주는 블루코브자산운용이 아주그룹의 아주호텔로부터 2019년 더쇼어호텔제주(옛 하얏트 호텔 리젠시 제주) 용지를 부동산펀드를 통해 인수해 개발한 곳으로, 현재 GS리테일의 자회사인 파르나스가 호텔 운영을 맡고 있다. 이밖에 롯데그룹은 L7 홍대 매각을, 한화그룹 건설부문은 4성급 호텔인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수원 매각을 추진 중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자산 효율화' 나선 롯데건설, 1조원 규모 부동산 자산 매각 추진

'자산 효율화' 나선 롯데건설, 1조원 규모 부동산 자산 매각 추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롯데그룹, 유동성 위기설에 계열사 자산 매각
롯데건설 본사 매각 등 자산 처분해 자금 확보
자산 유동화 완료 시 부채 비율 150%로 줄어

롯데건설이 서초구 잠원동 본사 사옥을 포함한 부동산 자산 매각을 본격화하며 유동성 확보와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지난해 말부터 롯데그룹 차원에서 진행 중인 비효율 사업과 자산 정리 전략의 일환으로, 롯데건설은 현재 자산 유동화 방안에 대한 수익성 분석을 수행할 매각 자문사 선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자산 매각이 성사될 경우 롯데건설이 최대 1조원 규모의 현금을 확보할 것으로 추산한다.

롯데건설, 자산 유동화 컨설팅 제안서 접수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전날 오후 부동산 컨설팅 회사, 회계법인 등 복수의 업체들로부터 잠원동 본사 사옥과 용지, 지방 물류창고 등의 처분을 위한 자산 유동화 컨설팅 제안서를 접수했다. 롯데건설은 제안서를 제출한 업체를 대상으로 개별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 후 최종 매각 자문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된 매각 자문사는 서울 잠원동 본사 부지와 사옥을 비롯해 주요 자산에 대해 매각·자체 개발·자산 매각 후 재임대(세일즈앤리스백) 등 다양한 옵션의 수익성을 분석해 제공할 예정이다.

롯데건설의 자산 처분 결정은 계열사의 비효율 자산을 정리하는 롯데그룹 차원의 전략과 맞물려 있다. 지난해 하반기 롯데그룹은 케미칼 등 주력 사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졌고, 이후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사업 재편 및 비핵심 자산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롯데렌터카를 운영하는 롯데렌탈의 매각을 진행했다. 롯데렌탈은 사모펀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를 우선협상자로 선정하고 호텔롯데와 부산롯데호텔이 보유한 롯데렌탈 지분 56.2%를 약 1조6,000억원에 매각하기로 했다.

롯데웰푸드도 지난 7일 제빵사업부 증평공장을 신라명과에 매각했다. 해당 매각 대금은 글로벌 확장에 활용하기로 했다. 다만 구체적인 매각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위기설의 진앙지였던 롯데케미칼은 파키스탄 자회사 LCPL의 보유지분 전량(75.01%)을 파키스탄계 사모펀드 투자회사 등에 매각했다. 올해 상반기 내 거래를 마무리하고 1,275억원을 확보해 파키스탄의 구제금융과 환율 변동성 리스크에서 벗어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롯데그룹의 유통 사업군은 지난해 4분기 15년 만에 자산재평가를 실시하며 재무 건전성 확보에 나섰다.

본사 사옥 매각시 5,000억원 확보 가능성

이번 매각에서 투자자의 관심을 가장 끈 매물은 단연 롯데건설 본사 사옥이다. 서초구 잠원로14길 29에 소재한 이 건물은 잠원 롯데캐슬2차, 한신 휴플러스12차,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 등 대형 아파트 단지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인근 지하철 3호선과 신분당선이 교차하는 신사역이 있어 접근성도 뛰어나다. 이에 부동산 업계는 본사 사옥이 향후 주거시설로 재개발될 경우 평가 가치를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매각 가능성이 가장 높은 핵심 매물 중 하나로 꼽았다.

1978년 준공된 본사 사옥은 롯데건설이 최초로 시공한 아파트인 설악아파트의 단지 내 상가로 지어졌다. 롯데건설은 1980년부터 45년째 본사 사옥으로 사용됐으며 지난 2004년 리모델링을 거쳐 내부는 현대적인 사무공간으로 개선했다. 초기에는 롯데햄, 롯데칠성 등 다른 계열사와 함께 사용했지만, 리모델링 이후 롯데건설이 단독으로 입주해 있다. 업계에서는 해당 용지의 개발 원가, 사업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사 사옥과 용지의 가치가 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외에도 롯데건설은 경기 용인시와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물류창고, 서울 용산구 원효로 용지 등의 매각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임대주택 리츠,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위치한 CP3-2 오피스 일부 지분 매각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논의 중인 자산을 모두 매각하면 롯데건설은 총 1조원의 현금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2022년 이후 롯데건설은 재무 안정성 강화와 현금흐름 중심 경영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해 왔다”며 “이번 컨설팅을 통해 자산 효율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설업계 불황 속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

이 같은 자산 매각 움직임과 함께 롯데건설은 2022년 발생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부담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며 점차 정상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업계 상위 건설사 중 하나인 롯데건설은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0년 적극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수주 경쟁력을 높였다. 당시 롯데건설은 다수의 사업장에 신용보강을 제공하며 자금 조달을 지원했지만, 2022년 우발채무 규모가 6조8,000억원에 달하며 유동성 위기가 불거졌다.

이에 롯데건설은 계열사의 대여·출자 지원과 함께 시중은행과 협력해 2조3,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PF 펀드를 조성하는 등 유동성 확보에 나섰고 이를 통해 2023년 우발채무를 3조9,000억원까지 줄였다. 총차입금도 2022년 정점을 찍은 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연도별 차입금을 보면 2021년 1조647억원에서 2022년 3조9,892억원으로 급증했으나, 2023년 2조9,088억원으로 줄었고 2024년 3분기 2조4,716억원까지 감소했다.

점진적인 개선 흐름에도 롯데건설이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를 내는 배경에는 최근 건설업계 불황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잇달아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업황 전반이 좋지 못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제 남은 과제는 수익률을 개선해 유동성 대응력을 높이는 것이다. 현재 롯데건설은 수익률은 다소 주춤하지만, 매출액을 늘리며 실적 반등을 꾀하고 있다. 2024년 3분기 기준 롯데건설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1% 증가한 2조275억원으로 누적 매출은 사상 최대를 달성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2030년이면 3대 중 1대는 중국산" 글로벌 자동차 시장 휩쓰는 中

"2030년이면 3대 중 1대는 중국산" 글로벌 자동차 시장 휩쓰는 中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中, 휘발유차 앞세워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점유율 확대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부문에서도 中 영향력 커져
"중국 자동차 기술, 국가 안보 위협" 경계 강화하는 美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휘발유차를 앞세워 개발도상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양상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는 데 성공한 중국 자동차 업계가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로 속속들이 눈을 돌리기 시작한 가운데, 미국은 규제를 강화하며 중국의 '질주'를 경계하고 나섰다.

中 자동차, 개도국 도로 점령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산 저가 차량이 브라질, 남아공, 태국 등 개발도상국 도로를 빠르게 점령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남아공의 전체 자동차 판매량 중 중국산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달했다. 이는 2019년 대비 5배 증가한 수치다. 중국 자동차의 터키 시장 점유율도 2022년 0%대에서 지난해 상반기 8%까지 치솟았다. 칠레에서는 중국산 차량이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업계의 질주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중국 자동차의 해외 시장 점유율이 현재 3%에서 2030년 1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내수 시장을 포함하면 2030년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33%가 중국산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다음 전환점은 자율주행?

중국 자동차 기업들은 단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넘어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력 제고에도 힘을 쏟고 있다. 최근 중국의 전기차 및 UAM(도심항공교통) 제조업체 샤오펑(Xpeng)의 허샤오펑 회장 겸 CEO는 2025년 광둥성 발전 회의에서 향후 5년간 자율주행이 중국 자동차 산업을 혁신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전기차가 지난 5년간 자동차 시장을 변화시킨 것처럼, 자율주행 기술이 새로운 변화를 이끌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중국 기업들은 자율주행 시장 내에서 속속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가이드하우스가 발표한 '2024 자율주행 기술 순위'에 따르면 중국의 바이두(Baidu)는 미국 웨이모(Waymo)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리더 그룹에 속했다. 다음으로 모빌아이(Mobileye), 엔비디아(NVIDIA), 오로라(Aurora), 플러스(Plus), 위라이드(WeRide), 죽스(Zoox), 가틱(Gatik), 크루즈(Cruise) 등이 뒤를 이어 경쟁자 그룹으로 분류됐다. 상위 20개 기업 중 중국 기업은 8개로 미국(10개)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정부 차원의 지원도 탄탄하다. 전기버스, 렌터카, 공유차 등의 자율주행 기능 사용을 승인한 베이징을 필두로 다수의 지방 정부가 각종 자율주행 정책과 표준 마련에 힘을 싣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역시 빠르게 확충되는 추세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에서는 1만6,000건에 달하는 자율주행 시험 면허가 발급됐으며, 3만2,000km의 자율주행 시험 도로가 개통됐다.

美, 中 자동차 규제 강화

중국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다지는 가운데, 미국의 '경계 태세'는 꾸준히 강화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은 자율주행이나 통신 기능에 중국·러시아산 소프트웨어나 부품을 사용하는 자동차의 판매를 단계적으로 금지하는 규정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 소프트웨어 관련 금지 규정은 2027년형 모델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부품 관련 금지 규정은 2030년형 모델부터 적용되며, 연식이 없는 차량의 경우 2029년 1월 1일부터 규제 영향권에 들게 된다.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은 “중국과 러시아의 커넥티드카 기술이 미국 국가 안보에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적대 세력이 커넥티드카의 취약점을 이용해 △운전자의 위치 △속도 △음성 패턴 △배터리 충전 상태 △기타 차량 진단 및 운영 정보 등에 접근하거나, 멀웨어를 사용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커넥티드카는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내비게이션, 자율주행,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을 가리킨다.

지나 러몬도 당시 미 상무부장관 역시 성명을 통해 “오늘날의 자동차는 그저 바퀴 달린 쇳덩어리가 아니라 컴퓨터"라며 "자동차들은 카메라, 마이크, GPS 추적 장치,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기술들을 갖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규정을 통해 상무부는 외국 적대 세력이 이러한 기술들을 조작하여 민감한 정보나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관세 불확실성 속 연준 FOMC 시작, 월가 “3월 금리 동결 후 올해 2회 인하할 것”

관세 불확실성 속 연준 FOMC 시작, 월가 “3월 금리 동결 후 올해 2회 인하할 것”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관세 여파로 1분기 美 GDP –2.8% 전망
경기침체 위험 30% → 40%까지 증가
금리 인하 속도 더 빨라질 수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일정을 시작하는 가운데, 기준금리 동결이 기정사실로 여겨지고 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연준이 올해 몇 차례 금리인하를 할지다. 다음 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가 관세를 발표하면 인플레이션이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큰 만큼, 시장에서는 2차례 금리인하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연준 기준금리 동결에 무게

18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언론 매체 더힐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미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나 연준이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도이체방크도 투자 메모에서 “연준이 이번에 금리를 동결하고, 향후 경제 진로와 관련해서도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리 선물 시장도 금리 동결을 확신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8일 오후 기준 금리 동결 가능성은 99%,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1%로 나타났다. 일주일 전에는 동결 확률이 96%, 0.25%p 인하 가능성이 4%로 집계됐으나 FOMC 회의 종료가 임박한 시점에 금리 선물 투자자들은 거의 모두 금리 동결에 베팅했다.

그동안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은 금리 조정에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 속에 인플레이션과 성장률 전망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알리안츠 트레이드 북미 수석 이코노미스트 댄 노스는 "이번 회의에서 연준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5월 6~7일 열리는 FOMC 정례 회의에서도 금리 동결 가능성이 82.5%, 0.25%p 인하 가능성이 17.3%로 나타났다. 금리 선물 시장은 연준이 최소한 오는 5월까지는 현재와 같은 ‘관망 모드’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월가 "올해 2차례 인하 이뤄질 것"

선물 투자자들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연준의 첫 금리 추가 인하 시점을 6월로 점치고 있다. 오는 6월 17~18일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0.25%p 낮아져 4~4.25%가 될 가능성은 55.3%, 0.5%p가 내린 3.75~4% 가능성은 10.2%, 0.75%p가 낮은 3.50~3.75% 가능성은 0.1%로 집계됐다. 또 6월까지도 현재와 같은 금리 동결 상태 유지 가능성은 34.4%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월가에서는 연준이 올해 최소 두 차례 금리 인하에 나서길 기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주식시장에 충격파를 던지면서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실제 최근 주요 경제지표들은 미국의 단기 경제 전망에 대한 경계감을 반영하고 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환산 기준 -2.8%로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일부 시장 분석가들은 이를 금 수입 급증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경제성장 둔화의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이 연초 이후 약 300달러(11%) 상승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투자자와 기관의 포트폴리오 보호 정도를 측정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도 최근 15포인트에서 24포인트로 급등한 후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 데이비드 메리클은 연준이 시장 변동성을 키우지 않기 위해 올해 두 차례 인하 전망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도이체방크와 JP모건체이스 역시 연준이 이번에도 두 차례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두 은행은 모두 올해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조금 더 올라갈 것이고, 경제 성장률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관세전쟁' 전선 확대, 금리 조기 인하 전망도

일각에서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맹도 가리지 않고 '관세전쟁' 전선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더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증가하고 있다. 연준이 경기침체를 막고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지난 15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 트루스 소셜에서 "미국에는 자유 무역이 없다. 우리는 바보 같은 무역을 하고 있다"며 다시 한번 자신이 일으킨 관세전쟁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발 관세전쟁이 미국 경제는 물론, 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지속해서 증폭시키는 가운데서다. 1기 트럼프 정권과 다르게 2기 트럼프 정권의 관세전쟁은 주변국과 동맹국을 가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1월 취임 직후 중국보다 이웃나라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관세전쟁 포문을 열었다.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될 것이고 캐나다 총리를 미국 주정부의 주지사로 조롱하면서까지 관세전쟁을 한 것이 대표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지난 12일에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전 세계 모든 국가에 부과하는 첫 품목별 관세였는데, 이는 보복에 재보복 위협으로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가진 관세전쟁 무기는 또 있다. 자동차·반도체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와 내달 2일로 예고한 국가별 상호 관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굴복하지 않겠다"며 관세전쟁을 이어나갈 방침을 확고히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과 그에 대한 불확실성은 이미 미국 경기침체 경고등을 켜게 했다.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 관세전쟁이 소비자 물가를 상승시키고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지출을 위축시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 미국 소비자들의 심리는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14일 미국 미시간대가 발표한 미국 경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자신감을 반영하는 소비자심리지수는 3월 57.9로, 2월 지수(64.7)보다 크게 떨어졌다. 이는 지난 2022년 11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동아시아포럼] 동남아의 판정승으로 끝난 작년 남중국해 대치

[동아시아포럼] 동남아의 판정승으로 끝난 작년 남중국해 대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동남아 국가들, 남중국해 중국 도발에 ‘효과적 반격’
자원 개발 지속하며 지역 방어 강화
중국 전략 변화 ‘예의 주시’ 필요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2024년은 동남아 국가들이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거세지는 도발에 효과적인 반격을 가한 한 해였다. 고조되는 갈등과 군사력 배치에도 불구하고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 반면 중국은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자원 개발과 방어력 강화는 물론, 국제 협력 시도도 막지 못했다. 지금까지의 결과는 중국의 전략적 패배로 보인다.

사진=동아시아포럼

작년 남중국해 대치, 동남아 국가들 ‘판정승’

중국은 작년 내내 남중국해에서 공세적 입장을 취했는데 이는 2022년 이후 한결같은 모습이다. 중국 해안경비대가 동남아 국가들의 배타적 경제 수역 순찰을 강화하는 한편 그레이 존 전술(grey zone tactics, 전면적인 전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통제권을 주장하기 위한 위압적 행동)의 빈도도 늘렸다. 하지만 동남아 국가들이 진전을 이룬 반면 중국 정부의 전략 목표는 실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필리핀, 중국 압박 이겨내고 ‘전술적 목표 달성’

작년에 긴장감이 가장 고조된 지역은 필리핀이 군함 ‘BRP 시에라 마드레’(BRP Sierra Madre)를 정박해 군사 기지로 사용하고 있는 ‘제2 토마스 숄’(Second Thomas Shoal)이다. 이곳은 2016년 상설 중재 재판소(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가 필리핀의 배타적 경제 수역이라고 판결했음에도 중국이 수용을 거부하고 있다. 중국은 필리핀의 군함 수리를 위한 재보급을 막기 위해 해안경비대와 민병대까지 동원해 2023년과 작년 초에 걸쳐 수차례 봉쇄 작전을 벌인 바 있다.

갈등이 고조되며 중국군은 공격적으로 변해 필리핀 선박을 파손하고 선원에게 부상을 입히기에 이르렀다. 결국 작년 1월 중국군이 필리핀 군함을 들이받고 올라타면서 격렬한 대치 끝에 필리핀 선원이 손가락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치명적일 뻔했던 대치로 중국 정부는 미국의 군사 개입을 우려할 수밖에 없었다. 미국과 필리핀 간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돼 있기 때문이다.

결국 작년 중반 필리핀은 파손된 군함을 수리하면서 전술적 목표까지 달성할 수 있었다. 중국이 긴장 완화 조치에 서명한 것이다. 필리핀은 해당 수역에서의 재보급 활동을 제한적으로 실시하는 대신 중국은 봉쇄를 풀게 됐다. 하지만 스카버러 숄(Scarborough Shoal)과 사비나 숄(Sabina Shoal) 등 다른 지역에서의 대치는 지속되고 있다.

원유 및 가스 채굴 진행하며 영토도 확장

필리핀이 중국과 전면적인 대치를 벌이는 사이 다른 동남아 국가들도 함께 저항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원유 및 가스 채굴 활동을 방해하려는 중국 해안경비대와 맞닥뜨렸다. 작년 9월 유출된 외교 문서에 따르면 중국은 말레이시아에 루코니아 숄스(Luconia Shoals) 탐사 활동을 중지할 것을 종용했지만 말레이시아는 사라왁(Sarawak) 해안에 15개의 유전을 굴착하는 등 대규모 탐사를 지속했다.

인도네시아도 중국의 위협에 굴하지 않고 나투나 D-알파(Natuna D-Alpha) 가스전에서 탐사를 완료했다. 당시 중국과 인도네시아 군함이 3주 동안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 사이 베트남은 스프래틀리 제도(Spratly Islands)에서 영토 확장에 성공했다. 바크 캐나다 리프(Barque Canada Reef)의 상당 부분을 매립해 제도에서 4번째로 큰 군사기지를 만든 것이다. 작년 중반까지 베트남은 중국이 스프래틀리 제도에 점유한 육지 면적의 2/3 이상을 만들어 냈고, 내년까지 동등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이 해당 지역에 활주로를 건설하는 모습도 위성을 통해 관측됐다.

중국 전략 변화 없으면 ‘소득은 더욱 줄어들 것’

작년 한 해 남중국해 대치는 중국에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지 않았다. 강력한 압박에도 중국 정부는 핵심 지역에서 가스 및 원유 시추 작업을 막지 못했고 베트남의 군사기지 확장도 마찬가지였다. 나아가 필리핀은 중국의 압력에 맞서 중국의 팽창주의에 반대하는 국가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기도 했다.

필리핀은 미국과의 동맹을 통해 방어력을 현대화하는 한편, 27개국 및 유럽연합으로부터 중국이 2016년 중재 재판 결과를 수용해야 한다는 동의를 받아냈다. 또한 일본과의 상호 접근 협정(Reciprocal Access Agreement)을 체결하고 한국, 호주, 독일, 프랑스, 뉴질랜드, 베트남 등과의 국방 협력도 강화했다. 중국으로서는 추가적인 점유지 확보도, 채굴 작업 중지도, 타국과의 연합도 막지 못한 채 군사 대치 가능성을 높이고 관계만 악화시킨 셈이니 상당한 지정학적 실패가 아닐 수 없다.

중국이 작년과 같은 길을 걷는다면 실질적 소득은 더욱 줄어들 것이다. 그 어떤 전략적 목표도 달성하지 못하고 상대국의 반발과 국제사회의 비난만 키운 작년의 결과를 보면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원문의 저자는 그레고리 폴링(Gregory Poling) 전략 및 국제 연구 센터(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수석 연구원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Beijing treads water in the South China Sea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결국 자금 유동화 수단" 힘 못 쓰는 대기업 리츠

"결국 자금 유동화 수단" 힘 못 쓰는 대기업 리츠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정부, 부동산 간접투자 활성화 방안 다수 제시
성장세 지지부진한 대기업 리츠, 업계 "공정위 규제 때문" 주장
과도한 유상증자·매력 부족한 자산 탓에 경쟁력 잃어

부동산 리츠(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시장에 뛰어든 대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규제를 완화하며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리츠의 성장세는 지지부진한 양상이다. 시장에서는 대기업들이 리츠를 자금 유동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이상, 앞으로도 유의미한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리츠' 밀어주는 정부

1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본격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한 지난 2022년부터 잇달아 리츠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시행사가 높은 부채 부담을 안는 PF 대신 리츠를 통한 간접 투자를 중심으로 부동산 개발 시장을 재편하기 위해서다. 리츠는 투자자들을 모아 개별 투자가 어려운 고가·우량 부동산에 투자한 뒤, 운용수익과 매각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부동산 투자 회사다.

지난해 11월에는 리츠의 투자 대상 확대와 규제 합리화를 골자로 한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과 관련 행정규칙 개정안이 입법 예고됐다. 개정안에 따르면 정부는 리츠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투자 대상을 다각화할 예정이다. 오피스와 주택 등 전통적인 부동산을 넘어 △데이터센터, 산업단지 등 토지나 건물에 설치하는 공작물 △자산유동화증권(ABS) △주택저당증권(MBS) 등 부동산 금융 상품으로 투자 대상이 확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시행령에서 열거하지 않은 자산이라도 국토부 장관이 인정하면 리츠 자산에 포함할 수 있도록 포괄 규정 신설을 신설한다.

리츠에 대한 불필요한 규제는 개선된다. 신용평가, 주주총회 특별결의 등 이미 공시를 통해 공개된 자료를 행정청에 보고·제출하는 업무는 폐지하고, 주주총회를 거쳐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상호·본점 소재지 변경 등은 인가에서 보고 사항으로 바뀐다. 이에 더해 자산관리회사(AMC)의 대형화를 위해 합병 시 대주주가 될 수 없는 결격 기준을 기존 '벌금형'에서 자본시장법과 같은 수준인 '벌금형 5억원'으로 합리화하고, 리츠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AMC 전문 인력 등록 및 관리 업무를 리츠 협회에 위탁하도록 했다.

대기업들, 리츠 시장서 '찬밥 신세'

정부의 부동산 간접 투자 활성화 노력이 이어지자 수많은 기업이 리츠 시장에 뛰어들었다. SK그룹, 롯데그룹, 한화그룹 등 대기업들은 2022년부터 지속된 고금리 기조로 대다수 상장 리츠가 주가 부진에 빠졌을 당시 시장의 구원투수로 등판하기도 했다. 대기업이 보유한 부동산을 기초 자산으로 삼은 이들 리츠는 높은 배당 안정성으로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현시점 대기업 리츠는 시장에서 별다른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운용사들의 회사형 리츠 운용 현황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부동산 운용업계 1위인 이지스자산운용은 40개에 달하는 회사형 부동산 펀드를 운용하고 있지만, 2위인 삼성그룹 계열의 삼성SRA자산운용은 운용 중인 회사형 부동산 펀드가 없다. 10위권으로 확대해도 독립계인 마스턴투자운용, 코람코자산운용 등은 10개 이상의 회사형 부동산 펀드를 운용하는 반면, 대기업 집단 계열인 미래에셋자산운용과 키움투자자산운용의 회사형 부동산 펀드는 3~4개에 불과하다.

업계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 규제가 대기업 리츠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회사형 부동산 펀드는 법인 형태를 띤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의 감독 대상이 된다"며 "대기업 소속 운용사가 조성하는 회사형 부동산 펀드를 대기업 계열사로 간주하는 공정거래법 규제가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SK리츠가 매입한 SK하이닉스 통합수처리센터/사진=SK리츠

대기업 리츠의 근본적 문제

다만 일각에서는 대기업 리츠의 부진이 자업자득이라는 평도 나온다. 대기업들이 리츠를 그룹의 '자금 조달 창구'로만 활용하고 있는 이상, 실질적인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대기업 리츠의 이 같은 문제점은 지난 2023년 SK리츠의 유상증자 사례에서 여실히 체감할 수 있다. 당시 SK리츠는 3,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기존 회사채를 상환하겠다는 명목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유동성 위기에 빠져 허우적대던 SK하이닉스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였다.

SK리츠 지분 43%를 보유한 최대주주 지주사 SK는 주주배정 유상증자에서 배정된 몫의 90%를 포기했다. 스폰서 리츠의 최대주주인 대기업이 주주들에게 유상증자 자금 조달 부담을 떠넘긴 것이다. 투자자 반발에 유상증자 청약은 결국 미달로 마무리됐지만, 주관사를 맡은 증권사들이 실권주 물량을 인수하면서 자금은 계획대로 조달됐다. 유상증자를 통해 3,061억원을 확보한 SK리츠는 이후 해당 자금을 활용해 SK하이닉스의 수처리 시설을 1조1,000억원에 매입했다.

이에 더해 대기업이 리츠에 편입하는 부동산의 대부분이 '알짜 자산'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특히 롯데리츠는 2019년 설립 초기부터 비우량 자산을 처분하기 위해 리츠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아 왔다. 포트폴리오 대부분이 백화점과 마트고, 이마저도 롯데백화점 강남점과 작년 편입한 호텔 L7 강남을 제외하면 모두 서울이 아닌 지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부실한 포트폴리오 탓에 롯데리츠의 배당금은 2020년 1주당 161원에서 2024년 112원으로 줄었고, 같은 기간 주가도 6,000원대에서 3,000원대로 반토막 났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판치는 ‘가상자산 폰지사기’, AI·퀀트 등 전문용어 내세워 투자자 모집

판치는 ‘가상자산 폰지사기’, AI·퀀트 등 전문용어 내세워 투자자 모집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가상자산 차익거래로 하루 2% 수익 홍보
“갑자기 출금 안 된다” 피해자 속출
장수군서만 농민·공무원 등 4,000여 명 가입 추정
사진=퀀트바인

최근 경기 불황을 틈타 가상자산을 활용한 폰지사기(다단계 금융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 곳곳에서 가상자산 사기 업체들은 인공지능(AI), 퀀트투자, 아비트라지(차익거래) 등 최신 기술과 전문 용어를 활용하며 가상자산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을 공략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금감원, 경찰청에 퀀트바인 수사의뢰

19일 금융감독원은 이달 초 경찰청에 퀀트바인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전날 오후 3시 기준 퀀트바인 피해자모임 카페 가입자는 지난주 4,000명에서 5,700여 명으로 불어난 상태며, 국회 전자청원에는 퀀트바인에 대한 수사를 요청하는 청원도 올라왔다. 금감원은 퀀트바인과 유사한 업체들이 여전히 많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고, 추가 피해가 발생할 경우 소비자경보를 현재의 ‘주의’ 수준에서 ‘경고’ 수준으로 격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퀀트바인은 하루에 2%(연 13만7,600%)의 수익을 보장한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퀀트바인 이용자는 100~300테더(USDT)만 투자할 수 있다. USDT는 미국 달러와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1USDT는 1달러와 같은 가치를 지닌다. 최대 투자 가능 금액이 300달러(약 43만원)인 셈이다. 퀀트바인 피해자들은 투자 가능 금액이 비교적 소액이라는 점에 안심하고 투자했다. 사기 사건이 발생해 투자금을 모두 잃어도 일상생활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퍼진 그럴듯한 수익 인증글을 보고 '밑져야 본전'이라는 마음으로 투자한 것이다.

퀀트바인은 전형적인 폰지사기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약속한 수익을 배분했다. 이에 투자자 일부는 퀀트바인에 믿음을 갖고 퀀트바인을 홍보하기 시작했다. 수익금으로 재투자하는 것이라 손해 볼 것이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또 다른 투자자를 유치하면 수익률이 올라간다. 퀀트바인도 신규 투자자에게 USDT를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를 열며 투자자 유치에 박차를 가하다 지난 12일 출금을 막고 잠적했다.

퀀트바인 사기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전북 장수군으로 알려졌다. 퀀트바인에 가입한 장수군 주민들은 3,500~4,000여 명으로 추정된다. 이는 장수군 전체 인구(2024년 1월 2만951명)의 5분의 1에 달하는 인원으로 투자자는 농민, 공무원, 건설업, 정치인 등 여러 직종에 분포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9년 ‘희대의 가상화폐 사기사건’으로 유명세를 떨친 에어비트클럽도 다시 조명되고 있다. 당시 전북 군산을 비롯해 전국 5개 지역에서 다단계 형식으로 벌어진 해당 사건은 약 2,000명의 피해자와 680억원의 피해금액으로 지역사회를 술렁이게 했다. 특히 군산 지역 투자자 모집 과정에서 유력 정치인들까지 관여하면서 수많은 부작용을 양산했다.

간판만 바꾼 유사 퀀트바인 업체, SNS서 활개

현재 피해자모임 카페에서는 퀀트바인과 비슷한 원리의 폰지사기 사례가 여럿 공유되고 있다. 이런 업체의 공통적인 특징은 회사를 ‘해외에 본사가 있는 기술 업체’로 소개하고, ‘국내 공식사이트’라고 주장한다는 점이다. 또한 AI나 퀀트투자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투자자들에게 적은 투자금으로 일정한 수익을 보장하는가 하면,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 등 대형 가상자산거래소를 협력업체로 소개한다. 영국판 퀀트바인, AI 양적거래, 가상자산 채굴, 앱테크 등 간판은 다양하지만 실체는 퀀트바인과 판박이다.

특히 이런 업체들은 초반에 여러 투자자 유입을 위해 투자금의 일부분을 배당금 명목으로 배당하고, 레퍼럴(추천)코드로 지인을 투자 유치하면 추가 보상을 지급한다고 설명한다. 이 때문에 실제로 배당을 받은 투자자들이 자신들의 가족이나 지인 등에게 소개하면서 피해자가 순식간에 불어난다. 실제 A사는 하루 6%의 수익률을 보장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투자자를 유치해 레벨을 올리면 투자 가능 금액이 높아지고 수익률도 높아지는 구조다. A사에 투자하라고 홍보하는 사람들은 "퀀트바인에는 문제가 생겼지만, A사는 안전한 투자처"라고 주장하고 있다.

챗GPT 콘셉트를 차용한 B사도 퀀트바인과 수법이 동일해 폰지사기 의혹을 받고 있다. 인터넷에는 B사에 3만원을 투자했더니 6개월 만에 300만원을 벌었다는 수익 인증글이 공유되고 있다. 이밖에 가상자산 채굴 업체라는 C사, 일본에서 공전의 인기를 끌고 최근 한국에 진출했다는 가상자산 업체 D사 모두 폰지사기 의혹을 받고 있다.

“확정 수익 주는 가상자산 업체는 사기”

‘조작한 코인 가격 그래프 제시’도 사기 업체들이 자주 사용하는 수법 중 하나다. 이들은 특정 코인이 가상자산거래소에 상장돼 가격이 급등했다며 허위·조작된 시세 그래프를 보여준다. 하지만 해당 그래프는 사기를 목적으로 코인 시세를 급등시킨 가짜 그래프다. 사기 업체들은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특별물량을 판매(프라이빗 세일)하는 것이라며 투자 직후부터 원금은 물론 고수익이 보장된다고 피해자들을 현혹한다.

이외에도 ‘가짜 상장 공지’, ‘허위 원금 보장 약정서 제시’도 사기 범죄에 활용되고 있다. 가짜 상장 공지는 국내 최대 가상자산거래소가 상장 예정임을 공지한 것처럼 조작된 가짜 문서를 보여주면서 이른 시일 내에 국내 거래소에 상장 예정이라고 투자자를 속이는 것이다. 허위 원금 보장 약정서 제시의 경우 투자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원금 손실 시 매입 가격 또는 수십 퍼센트 높은 가격에 재매입해준다는 내용의 허위 약정서를 작성해 투자자에게 주는 수법이다.

이를 눈치챈 일부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현금화를 시도하면, 투자금의 극히 일부분을 인출할 수 있도록 설정해 두거나 출금을 정지시키고 애플리케이션(앱)을 삭제한다. 현재 사이트를 폐쇄한 퀀트바인의 경우 폐쇄 전 투자자들에게 투자금을 재충전할 경우 인출이 가능하다며 입금을 요구하기도 했다. 금감원은 “최근 가상자산 투자 관련 불법 업체들의 수법이 점차 지능화·정교화되고 있다”며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이를 악용하는 불법 유사수신업체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금융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들도 가상자산 투자를 빙자한 사기 업체들 때문에 가상자산에 대한 신뢰도만 떨어진다며 소비자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조금만 유심히 살펴봐도 문제가 있는 사이트는 분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 국내에서 가상자산업을 정상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가상자산사업자여야 한다. 금감원은 미신고 사업자는 투자사기 가능성이 커 금융정보분석원 홈페이지의 신고현황을 반드시 확인할 것을 권하고 있다. 또한 ‘확정 수익’, ‘원금 보장’ 등의 문구는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할 때 사실상 불가능하다. 합법적인 투자업체는 항상 원금 손실 가능성을 명시하며 새 회원 유치에 과도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형적인 폰지사기의 특징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딥테크] 거대 기업 시장 지배가 ‘다수의 가난’으로

[딥테크] 거대 기업 시장 지배가 ‘다수의 가난’으로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미국 경제, 거대 기업 시장 지배 ‘심각’
생산성 정체와 빈부 격차 확대로 이어져
강력한 경쟁 정책 도입 필요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지난 40년간 미국 경제는 소수 기업의 시장 지배력 집중과 생산성의 정체, 빈부 격차의 확대를 목격해 왔다. 세 가지 현상의 배후에는 공통적으로 시장 경쟁의 쇠퇴가 자리 잡고 있다. 시장 지배적 사업자가 시장 가격을 올리고 임금은 낮추면서 혁신과 경제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늘어난 기업 이윤은 높은 자산수익률로 연결되고 부자들에게 더 큰 부를 안겨준다. 하지만 대부분 임금 노동자들의 수입은 제자리에 머물러 소득 불평등이 확대된다. 기업들의 폭리와 불평등 심화를 바로잡기 위한 강력한 경쟁 정책이 절실하고 시급하다.

사진=CEPR

80년대 이후 미국 기업 이윤 폭 ‘30% 이상 증가’

경쟁과 성장, 부의 분배는 애덤 스미스(Adam Smith)와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시대부터 경제학의 주요 관심사였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슈퍼스타 기업’(superstar firms)으로 불리는 거대 기업들이 경제 성장과 분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 이후 2020년까지 기업들이 취하는 이윤 폭(markup, 시장 가격과 생산 비용 간 차이)은 20%에서 55%로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총 요소 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노동 및 자본을 제외한 효율성, 기술, 혁신 등에 의한 생산성)은 1960~80년 기간 연간 성장률 1.56%에서 이후 0.77%로 급속히 줄어들었다.

거대 기업 시장 지배, 소득 불평등과 직결

시장 지배력의 집중은 소득 불평등과 직접 관련이 있다. 부유층들의 자산 소유 비중이 날로 증가하는 동안 중산층과 저소득층은 물가상승률을 따라잡기도 버겁다. 소수 기업이 핵심 산업을 좌지우지할수록 노동자와 중소기업은 영향력을 잃고 경쟁과 성장에서 뒤처지게 된다.

기업 이윤, 생산성, 빈부 격차 추이(미국)
주: 기업 이윤(markups), 총요소생산성(TFP), 상위 10% 가구 자산 비율 및 지니 계수(좌부터)/출처=CEPR

불평등의 심화는 경제학자 토마스 피케티(Thomas Piketty)가 언급한 수익률 격차(return gap, 자산수익률과 경제성장률 간 차이)로 많은 부분 설명된다. 자산수익률이 성장률을 웃돌면 당연히 불평등이 심화한다. 이미 충분한 금융 자산을 보유한 부유층들의 재산은 급속히 늘어나지만, 대부분 임금 수입에 의존하는 저소득층의 소득은 기업들이 임금 상승률을 낮추고 가격을 올리는 동안 정체 상태에 머물기 때문이다.

여기에 경쟁 감소라는 요인이 더해지면 그야말로 기름을 붓는 격이다.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신규 진입자들이 줄면 기존 기업들은 가격을 더욱 인상해 수익을 늘릴 수 있다. 배부른 주주들이 기업에 혁신을 요구할 이유는 없다. 기업들이 효율을 개선하고 신기술 개발에 힘쓰는 경쟁 시장과 달리 독과점 시장의 지배자들은 혁신의 압력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과 경제 성장이 정체되는 것은 당연하다.

경쟁 감소, 노동자 임금 줄이고 혁신 방해

경쟁 감소의 결과는 소비자 가격 인상과 빈부 격차로 끝나지 않고 노동자 임금의 전반적 하락으로도 이어진다. 이윤 폭(markup)이 커진다는 것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수입과 노동자들에게 지급하는 임금 간 격차도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대안이 없는 임금 노동자들의 협상력은 갈수록 줄어 임금은 정체되고 직업적 성장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높은 시장 집중도는 혁신을 방해한다. 건강한 경제는 기업들이 경쟁사들의 약진에 자극받고 이에 대응하며 더욱 성장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렇다 할 경쟁도 없는 시장 지배적 기업이 획기적인 연구개발에 대규모 자본을 투자할 동기를 찾기는 어렵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지식 생산과 공유가 사라지면서 경제 성장은 더욱 정체된다.

강력한 반독점법과 경쟁 활성화 필요

이렇게 증가하는 수익률 격차(return gap)는 커지는 빈부 격차의 주요 원인이다. 부유한 가구일수록 재무적 불확실성이 적기 때문에 저축률도 높고 수익률 격차가 커질수록 훨씬 더 많은 부가 쌓인다. 생필품 사기도 바쁜 저소득층들이 장기적인 재무 계획을 세워 이들을 따라간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 결과로 상위 1% 부자들이 어마어마한 부를 축적하는 동안 대다수인 하위 80%가 뒤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실제로 거대 기업의 시장 지배는 대부분의 미국인에게 상당한 복지 감소를 가져왔다. 상위 0.1%의 소비 증대 효과가 30%나 늘어난 것을 비롯 부자들이 현저한 수입 증가를 누리는 동안, 하위 80% 가구들은 장기 소비(long-term consumption, 장기간 소비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의 총량) 34% 하락에 해당하는 복지 감소를 받아들여야 했다.

정책 당국은 경쟁 감소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강력한 반독점법의 집행과 경쟁 정책만이 혁신을 되찾고 생산성을 증대하며 성장의 열매가 보다 공평하게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기업 이윤 폭을 바로 잡는 것은 공정한 시장 질서의 차원을 넘어 경제 성장과 부의 재분배 문제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원문의 저자는 지암마리오 임풀리티(Giammario Impullitti) 노팅엄 대학교(University Of Nottingham) 교수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The price of power: Why rising markups hurt innovation and widen inequality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