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딥폴리시] 브라질 청년들, “집 장만해야 아이 갖겠다”

[딥폴리시] 브라질 청년들, “집 장만해야 아이 갖겠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출산율 하락은 ‘글로벌 트렌드’
브라질 연구, 주택 소유와 출산율 간 ‘높은 상관관계’
청년층 대상 주거 지원이 저출산 문제 대안 될 수도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출산율 저하는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2021년 기준 세계 인구의 73%가 인구 유지에 필요한 여성 한 명당 자녀 수 2.1명 이하 지역에서 살아간다. 1960년에는 해당 수치가 4.3%에 불과했다. 출산율 감소는 경제 성장률 둔화는 물론 사회복지제도와 노동 시장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사안이다.

사진=CEPR

전 세계가 출산율 하락으로 고민 중

각국 정부는 이에 대응해 유급 육아 휴직, 보육 보조금, 가족에 대한 재정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출산율 저하라는 대세를 거스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주택 정책을 통해 이 문제를 어느 정도는 바로잡을 수 있다고 한다.

Figure 1
전 세계 출산율(Fertility Rate) 현황(2021년)
주: 저출산율 지역(Low Fertility)/출처=CEPR

주택 문제는 가구들의 재정적 여유와 안정성, 주거 환경에 영향을 줘 가족계획에도 크게 작용한다. 주거 비용과 주택 담보 대출 금리가 출산율의 주요 변수라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하지만 주택 소유와 출산율 간 명확한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다.

주택 소유와 출산율 간 ‘높은 상관관계’

그런데 최근 브라질에서 진행된 연구는 주택 소유가 출산율을 획기적으로 늘린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브라질에는 참가자들의 재원을 모아 복권 추첨을 통해 당첨자에게 주택 자금을 지원하는 콘소르시우(consórcio)라는 일종의 주택 복권이 있다. 연구는 복권 당첨된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의 출산율을 비교 분석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20~25세 참가자 중 복권에 당첨된 이들의 출산율은 평균보다 32% 더 높았고 자녀 수도 33% 더 많았다. 20~24세 성인 중 주택 구입이 10년 늦은 참가자들의 출산율은 절반으로 줄었다.

주택 복권 당첨과 출산율 및 자녀 수 간 관계
주: 당첨 시 연령(X축), 자녀 수(청색), 출산율(적색)/출처=CEPR
연령별 주택 복권 당첨과 이사 확률 간 관계
주: 복권 당첨 후 경과 기간(년)(X축), 이사 확률(X축), 20~24세(청색), 25~29세(적색), 30~34세(회색)/출처=CEPR

추가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20~35세 집단의 31%는 가족을 꾸리기 위해 복권에 참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때문이라는 참가자는 16%, 사업 때문은 17%에 그쳤다. 또 25~35세의 상대적으로 젊은 집단이 복권 당첨 후 이사할 확률이 높았다.

안정된 주거 환경 조성돼야 ‘아이 키울 만하다’고 느껴

안정된 주거 환경이 조성되면 출산율이 늘어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다수의 참가자들이 비좁고 불편한 집 때문에 부모가 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복권에 당첨돼 범죄율이 낮고 소득 수준이 높은 동네에 주거 안정이 보장되는 집으로 이사하면 아이를 기를 환경이 조성됐다고 느끼는 것이다.

또한 응답자의 27%에 해당하는 임대 주택 거주자가 주택을 소유하면서 임대료 부담이 사라져 아이 양육비에 쓸 재원이 생겼다고 대답했다. 해당 영향은 임대료가 소득 수준에 비해 비싼 지역일수록 두드러졌다.

한편 여성이 가구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가구일수록 출산율이 훨씬 더 높았다. 여성이 직업을 포기할 경우 발생할 기회비용이 낮다 보니 출산에 우선순위를 둘 가능성도 커진다는 것이다. 여성의 가사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이 출산율을 높여준다는 기존 조사와도 일치하는 결과다.

청년층 겨냥 ‘주거 지원 정책’ 집중 필요

연구 결과는 저출산율로 고민하는 정책 당국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선 복권 연구에서 출산율이 눈에 띄게 향상된 층은 20~35세의 젊은 층이다. 따라서 담보 대출 보조 및 계약금 지원이나 구매 전환이 가능한 임대 주택 등 청년층의 주택 구입을 돕는 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저소득층과 임대료 부담이 높은 가구들의 주거 안정성이 개선됐을 때도 출산율이 치솟았다. 적정 가격 주택 공급과 소득별 혼합 단지 개발, 토지 이용 제한의 조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성이 가구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가정의 출산율이 높았던 점을 감안해 보육 지원 및 유급 육아 휴직 등을 통해 여성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중요해 보인다.

출산율 감소의 주요인으로 도시화와 교육 수준의 향상, 사회 규범의 변화 등이 자주 거론된다. 하지만 브라질 사례는 물질적 조건, 그중에서도 주거 안정이 출산율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감당 가능하지만 널찍하고 주거 안정이 보장된 집은 출산율 저하 현상을 상당 부분 완화할 수 있다.

원문의 저자는 베르나르두스 반 도어닉(Bernardus van Doornik) 브라질 중앙은행(Central Bank Of Brazil) 이코노미스트 외 3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Housing and fertility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목전, KCD·더존·유뱅크 삼파전에서 KCD 독주체제로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목전, KCD·더존·유뱅크 삼파전에서 KCD 독주체제로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더존·유뱅크 예비인가 불참 선언
시중은행 “성장성, 수익성에 의문”
경쟁자 이탈에 KCD뱅크 급부상

제4인터넷전문은행(인뱅) 예비인가 신청이 목전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력 후보가 연이어 불참을 선언하는 등 막판 변수가 속출하고 있다. 3강 체제를 이루던 주축인 더존뱅크와 유뱅크 컨소시엄이 출사표를 거둬들인 데 이어 인뱅 진출을 공식화했던 시중은행들도 하나둘 참여 의사를 철회하면서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기존 사업 주력, 신중한 전략 우선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더존비즈온을 주축으로 꾸려졌던 더존뱅크 컨소시엄은 17일 공식 성명을 내고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더존비즈온은 주력 사업인 비즈니스 솔루션에 신사업으로 채택한 금융 서비스를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제4인뱅 설립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단기적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는 신규 사업을 확대하기보다는 기존 사업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바꿔 잡았다.

더존비즈온 관계자는 “예비인가 신청 준비 과정에서 기존 은행업의 경쟁을 고려한 전략, 재무, 법률, ICT 등 다각도의 컨설팅을 받는 등 사업계획에 대한 검토와 고민을 계속해 왔다”며 “경영진의 숙고 끝에 예비인가 신청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으며 앞으로 더존비즈온 강점을 살려 독보적인 데이터 기반의 금융 플랫폼을 완성하고 고객에게 더 큰 가치와 혁신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유뱅크 컨소시엄도 예비인가 신청 계획을 잠정 보류한다고 알렸다. 유뱅크 컨소시엄에는 렌딧, 네이버클라우드, 삼쩜삼, 트래블월렛 등 인공지능(AI) 및 ICT 기업과 대교, 현대백화점, MDM플러스 등 다수의 기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준 렌딧 대표는 “불안정한 시장 상황에 따라 신중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추후 예비인가 신청은 금융 당국과 협의 결정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유력 후보들의 연이은 이탈을 두고 금융권에선 여러 해석을 내놓고 있다. 가장 유력한 해석으로는 김 대표가 언급한 ‘시장 불확실에서 기인한 수익 악화 가능성’이 꼽힌다. 현재 시중은행과 인뱅을 합쳐 20개 은행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추가로 은행을 출범할 경우, 기대한 만큼의 수익을 거두기는 힘들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제4인뱅에 출사표를 던진 컨소시엄 대부분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특화 서비스 제공을 내세운 만큼 지금과 같은 경기 침체 상황에서는 일정 수준의 수익성조차 담보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금융당국은 일부 컨소시엄의 이탈에도 제4인뱅 인가 관련 절차를 기존대로 밟아 간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사전에 발표한 대로 일정을 진행할 방침이며, 심사 기준도 이미 발표한 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25~26일 예비인가 신청을 받는다. 이후 2개월 이내 심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르면 오는 6월 내 본인가를 마쳐 신규 인뱅을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수익성 미지수, 동행 매력 잃었나

이런 가운데 그간 제4인뱅 출범과 관련해 공조 의사를 밝혀온 시중은행들도 속속 등을 돌리는 분위기다. 더존뱅크의 예비인가 신청 철회 소식 직후 KB국민은행은 “제4인뱅 컨소시엄 투자를 내부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참여하지 않기로 최종 확정했다”고 선언했다. 하나은행과 BNK부산은행의 경우 KCD뱅크 측과 대화를 전개 중이지만, 합류를 속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제4인뱅 출범이 유력한 컨소시엄 합류를 위해 다수의 은행이 물밑에서 ‘눈치싸움’을 벌이던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은행들이 돌연 소극적 태도로 돌변한 데는 인뱅 사업 전개로 인한 실익이 크지 않다는 판단이 짙게 작용했다. 강화된 중·저신용자 대출 규제, 중소기업·소상공인 특수 은행이란 한계 등 인뱅의 수익성에 대한 의문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투자 매력도가 떨어졌다는 지적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 당국이 가중치를 둔 비수도권 중소기업·소상공인 자금 공급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성장성, 수익성을 기대만큼 가져갈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가 쉽지 않은 사업 모델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시중은행의 인뱅 지분 투자가 수익보다는 정보 공유에 그 목적이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같은 컨소시엄에 참여한 핀테크 기업들이 축적한 정보를 통해 차별화된 대안 신용평가모델을 확보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은행권의 평가는 달랐다. 투자가 아닌 업무 제휴를 통해서도 비금융 정보를 대출 심사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페이와 나이스평가정보가 공동 개발한 개인 신용평가 모델 ‘네이버페이스코어’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해당 신용평가 모델은 온라인 결제 이력과 쇼핑 내역 등 비금융 정보를 활용한 것이 특징으로, 현재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이 적용을 검토 중이다.

어부지리 기대되는 KCD뱅크

공식적으로 출사표를 던진 6개 컨소시엄 중 더존뱅크와 유뱅크가 빠지면서 한국소호은행(KCD뱅크), 소소뱅크, 포도뱅크, AMZ뱅크 4곳만이 남아 신규 인가를 위한 경쟁을 벌이게 됐다. 그간 시장에서는 이들 후보 중 더존뱅크, 유뱅크, KCD뱅크 3곳만이 주요 금융사와의 동행을 예고한 만큼 ‘3강 체제’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그러나 막강한 경쟁자들이 잇따라 물러나면서 KCD뱅크의 독주 체제가 구축됐다는 평가다.

KCD뱅크는 한국신용데이터(KCD)를 주축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으로, 지난해 5월 우리은행의 합류로 단숨에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이후 우리카드, 아이티센, 유진투자증권, NH농협은행, 메가존클라우드 등과 연이어 손을 맞잡으며 세력을 키웠다. 이달 18일에는 OK금융그룹까지 투자 참여를 확정하며 KCD뱅크에 힘을 실었다. 컨소시엄 자체가 다양한 업체들로 구성된 데다, 주요 금융사도 여럿 존재하는 만큼 KCD뱅크의 자금력과 신용평가모형 개발 역량을 따라올 경쟁자가 없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금융당국도 제4인뱅 예비인가에서 사업계획의 타당성과 혁신성, 자금 조달 능력 등을 핵심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이 밝힌 인터넷은행 예비인가 평가 항목과 배점은 △자본금 및 자금조달 방안(150점) △대주주 및 주주 구성계획(50점) △사업계획 혁신성(350점) △사업계획 포용성(200점) △사업계획 안전성(200점) △인력·영업시설·전산체계·물적설비(50점) 등 총 1,000점이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기존 인터넷은행 3사 예비인가 심사와 비교해 배점이 높아진 항목은 자본금 및 자금조달 방안(100점→150점), 사업계획의 포용성(2015년 140점·2019년 150점→200점) 부분이다. 또 금융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비수도권 중소기업(소상공인 포함)에 대한 자금 공급 계획(50점)은 이번 심사에서 처음으로 포함됐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MSc Research topic 2025-2026] Advancing AI-Driven Narrative Intelligence for public opinion

[MSc Research topic 2025-2026] Advancing AI-Driven Narrative Intelligence for public opinion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

Modified

I have spent years in AI and data science, believing that structured models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the future. That perspective changed the moment I became a target of an orchestrated misinformation campaign—one that wasn’t random but designed to destroy my credibility, my institution’s reputation, and my work.

What I witnessed was beyond just social media hate—it was engineered narrative manipulation. The same keywords appeared repeatedly in different online communities, the same phrases were echoed by different sources, and an invisible conductor seemed to be controlling public sentiment. The attacks weren’t spontaneous; they were structured.

Then I asked myself: What if this isn’t just about me? What if this is how narratives are shaped globally—in politics, in business, and in the financial markets?

During my research, I collaborated with a team monitoring public narratives in real time, initially for defensive purposes. They needed a way to detect emerging misinformation, neutralize harmful narratives before they spread, and assess whether their own strategic messaging was effective. The results were game-changing: by tracking word relationships and monitoring sentiment shifts, they were able to counteract disinformation, reinforce positive messaging, and stay ahead of competitors.

That experience made one thing clear: narrative manipulation is a reality, and businesses, financial institutions, and governments need AI-driven intelligence to track, analyze, and respond to it.

Bridging Academia and Business: AI for Narrative Intelligence

At the Swiss Institu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I), our MSc AI/Data Science program is committed to pioneering research that bridges theoretical AI concepts with real-world impact. Our latest research focus is on AI-driven word network analysis, a powerful framework for narrative intelligence, crisis detection, and reputation management.

The very example of the network analysis for words is the above image with SIAI's logo and a network array of AI/Data Science related keywords. We have crawled SIAI's lecture notes and created the chart. Below research is to find the best use of the simple mathematics to real world.

Research Overview: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Narrative Influence

Traditional sentiment analysis and keyword tracking provide shallow insights, failing to captu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hind word networks, narrative evolution, and hidden agenda orchestration. Our approach leverages AI, NLP, and Network Theory to:

  • Build narrative networks from large-scale text data (news articles, social media, online communities).
  • Detect clusters of related words and topics using graph-based centrality measures (e.g., Betweenness Centrality).
  • Identify coordinated messaging efforts and the key actors driving sentiment changes.
  • Predict how narratives will evolve over time using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This methodology enables businesses, investors, and policymakers to analyze the power dynamics behind narratives, revealing not just what is being said, but who is controlling the conversation.

Practical Applications: The Business Case for Narrative Intelligence - Beyond sentiment analysis

This research is not just academic—it has direct, real-world implications. Just as financial institutions rely on algorithmic trading for predictive insights, companies will soon require AI-powered narrative intelligence to safeguard their brand and control public sentiment.

Potential applications include:

  • Corporate Risk Management: Identifying reputation threats and misinformation campaigns before they escalate.
  • Financial Markets & Hedge Funds: Tracking public narratives that influence stock prices and investment trends.
  • Mergers & Acquisitions (M&A): Assessing potential reputational risks before acquiring companies.
  • Crisis Management & PR Strateg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messaging strategies in real time.
  • Political & Geopolitical Analysis: Understanding how narratives shape public policy and voter behavior.

A Case study: The Business of Monitoring, Defending, and Attacking Narratives

As narrative intelligence matures, businesses will require a structured, AI-driven subscription service to monitor, counteract, and proactively manage their public perception. This research could evolve into:

  • A B2B subscription model for corporations to monitor brand sentiment.
  • A financial intelligence tool for hedge funds assessing market-moving narratives.
  • A cybersecurity and misinformation detection service for governments and media firms.

Let me give you a fictional but realistic example case of using this tool.

Chapter 1: A Brewing Crisis

It started with a single tweet—an anonymous account posted a claim that OrionTech, a rising AI startup, was exaggerating the capabilities of its flagship product, NeuraSync, an AI-driven customer service chatbot. Within hours, the tweet was shared by a prominent tech influencer, and by the next morning, it had made its way onto major tech news sites.

By lunchtime, OrionTech’s marketing team was in full panic mode. Stock prices dipped 4%, venture capital partners were sending urgent emails, and their biggest client was asking for clarification. The PR team scrambled to control the damage, drafting a corporate statement and instructing their social media team to respond—but they had no idea where the fire started or who was fanning the flames.

Then, they turned to their secret weapon: SIAI’s AI-powered narrative intelligence platform.

Chapter 2: Mapping the Attack

As soon as the PR team fed the trending keywords into the system, the word network analysis kicked in. The AI quickly mapped out how the negative narrative was spreading, identifying key word clusters and influential nodes in the network. The system flagged several crucial insights:

  1. The Anonymous Tweet Wasn’t Random – The AI detected similar phrasing and keywords in older forum posts from months ago, revealing a pattern of coordinated messaging targeting OrionTech. This was not an organic complaint—it was a strategic attack.
  2. A Competitor Was Involved – The AI identified a subtle but critical connection: many of the accounts amplifying the backlash had also promoted a new product launch from OrionTech’s biggest competitor two weeks prior. A deeper dive into the network graph showed that the same influencer boosting the anonymous tweet had previously collaborated with the competitor’s PR team.
  3. The Narrative Was Not Yet Fully Cemented – The AI projected that while the sentiment was turning negative, the backlash was still containable—if countermeasures were deployed within 24 hours.

Chapter 3: Counterattack and Narrative Defense

With these insights, OrionTech’s PR team took a multi-layered response strategy:

Neutralize the influencer – Instead of directly confronting the tech influencer who amplified the attack, OrionTech’s CEO invited them for a private demonstration of NeuraSync, offering full transparency. The influencer agreed to an exclusive behind-the-scenes look—leading to a follow-up post praising OrionTech’s technology, shifting the conversation.

Redirect the public narrative – Instead of merely defending against accusations, OrionTech launched a proactive campaign highlighting real customer success stories with NeuraSync. The AI platform recommended specific key phrases and hashtags that would be most effective in steering public perception back in OrionTech’s favor.

Expose the coordinated attack – Without directly accusing their competitor, OrionTech’s PR team leaked data-backed insights to industry journalists, showing how misinformation campaigns were becoming a growing problem in the tech sector. The story wasn’t about OrionTech anymore—it became a broader conversation about ethics in corporate PR warfare, shifting scrutiny away from them and onto industry-wide practices.

Chapter 4: Victory in the Narrative War

Within 48 hours, OrionTech’s AI-driven response had turned the tide:

  • Stock prices rebounded by 6% after positive media coverage.
  • The influencer’s correction post reached 1.2 million views, overshadowing the initial attack.
  • The anonymous tweet stopped gaining traction, and discussions moved on to new topics.
  • Venture capital partners re-engaged, reassured by OrionTech’s proactive handling of the crisis.

OrionTech’s executive team had learned a valuable lesson: in today’s world, public perception isn’t just shaped—it’s engineered. Companies that fail to monitor, defend, and shape their narratives will be at the mercy of unseen forces.

But those who harness AI-powered narrative intelligence? They don’t just survive the storm—they control the winds.

Join the Research: MSc AI/Data Science at SIAI

To further develop this study, we seek MSc AI/Data Science students and research collaborators with expertise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for large-scale text data analysis.
Network Theory & Graph Models to model word relationships dynamically.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for predictive analysis and automation.
Game Theory (optional, future expansion) for modeling strategic interactions within narrative control.

Students and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his initiative will gain hands-on experience with cutting-edge AI methodologies, real-world applications of graph-based NLP models, and exposure to industry-relevant case studies on narrative intelligence and influence tracking.

If you are interested in joining this research initiative as an MSc student, research collaborator, or industry partner, we welcome applications and inquiries. This is a unique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next-generation AI applications in business, finance, and global information ecosystems.

If interested, feel free to ask questions in comments through GIAI Square.

Other related reserach series in 2025-2026 cycle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

EU ‘바이 유러피안’ 재무장 전략 발표, 현실화 가능성은 ‘글쎄’

EU ‘바이 유러피안’ 재무장 전략 발표, 현실화 가능성은 ‘글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EU 집행위 국방백서 윤곽 드러나
범유럽 군사장비 시장 구축 선언
유럽 방위산업 ‘잃어버린 50년’

유럽연합(EU)이 역내에서 생산된 무기들을 중심으로 오는 2030년까지 재무장을 마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미국에 대한 전략적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유럽의 방위 산업이 악화할 대로 악화한 만큼 이 같은 계획을 현실화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역내 방위산업 기반 강화에 방점

18일(이하 현지시각)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와 함께 덴마크 왕립 육군사관학교를 찾아 한 연설에서 “전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내일(19일) ‘대비태세2030(Readiness2030)’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로드맵은 지난해 12월 출범한 폰데어라이엔 2기 집행부가 방위력 강화를 위해 취임 100일 이내에 발표한다고 공약한 국방백서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재무장을 통해 EU 회원국들이 역내 공급망에 완전히 의존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역내 방위산업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는 설명이다. 그는 “범유럽 군사장비 시장 구축, 다년간 계약 촉진, 무기 공동조달 등을 가능하게 하도록 ‘유럽 무기판매 메커니즘’을 마련할 계획”이라면서 “현재 대부분의 국방 부문 투자가 유럽 밖으로 빠져나가고 있는데, 이 흐름을 바꿔놔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연설 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도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바이 유러피안(Buy European·유럽산 구매)’ 전략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갔다. 그는 “유럽산 부품이 65% 이상이어야 하고, 유럽 소유 회사가 아니더라도 유럽 내에 생산시설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그 기준을 제시했다. 다만 영국이나 노르웨이 등 EU에 참여하지 않은 유럽 국가들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서는 문을 열어뒀다.

발표를 앞둔 로드맵에는 유럽 내 방위산업 신규 사업에 대한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옴니버스법’ 시행, 역내 업계와의 전략대화 출범 등이 포함될 것이라는 게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의 설명이다. 함께 있던 프레데릭센 총리 또한 “우리는 미국, 한국과 같은 유럽 밖의 파트너국들과 계속 방산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다만 이른 시일 내에 유럽 전체를 재무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역내 생산 역량을 끌어올리는 게 필수”라고 거들었다.

대(對) 미국 안보 의존도 축소가 목표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지난 5일에도 기자회견을 열고 총액 8,000억 유로(약 1,258조원) 규모의 유럽 재무장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 중 1,500억 유로(약 236조원)를 자체 예산으로 마련해 유럽산 무기 구매에 활용한다는 설명이다. EU는 이를 통해 유럽 방위 산업의 부활을 지원하고, 미국산 무기 의존도를 축소하겠단 구상이다. 현재 유럽 국가들이 보유한 핵심 무기의 약 55~60%가 미국산으로 추정된다.

EU 예산으로 지원되는 1,500억 유로를 뺀 나머지 6,500억 유로는 각국이 자체적으로 마련한다. EU는 군사력 강화로 인해 회원국의 재정 적자가 확대되더라도 이를 예외적 상황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그간 EU는 경제·금융 안정을 위해 각국의 재정 적자를 국내총생산(GDP)의 3% 이내로 규제해 왔지만, 당장은 군비 확대가 더 중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27개 EU 회원국 정상들도 공동 성명을 내고 “미국에 대한 전략적 의존성을 줄이는 한편, 유럽 전역의 방위 산업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유럽의 재무장 움직임은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 이후 급격하게 빨라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에 대한 자국의 안보 지원에 노골적으로 불만을 제기해 왔기 때문이다. 유럽이 자국 안보에 무임승차 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미국이 모든 손해를 떠안고 있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다.

이런 상황 속 이달 4일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잠정 중단하면서 유럽의 불안감도 최고조에 달했다. 유럽 내 한 고위 외교관은 “우크라이나와 똑같이 유럽이 당할 수 있다는 우려,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은 동맹이 아닌 위험한 존재로 변모했다는 평가가 확산하고 있다”면서 “미국과의 ‘안보 디리스킹’이 언급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디리스킹(de-risking·위험 제거)은 과거 유럽이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을 설명할 때 사용했던 표현이다.

낮은 생산성에 대규모 예산도 무용

문제는 지난 30여 년간 쇠퇴의 길을 걸어온 유럽 방위산업이 몰려드는 무기 주문을 소화할 여력이 없다는 점이다. 과거 유럽은 냉전이 끝난 후 대규모 군축에 돌입했고, 이에 따라 신규 무기 발주 또한 대부분 사라졌다. 심지어 기존 장비마저 중동이나 아프리카, 아시아 국가에 대거 매각됐다. 노후 무기를 대체할 때 들어가는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추진한 공동개발·구매 확대도 산업의 몰락을 부추겼다. 그 과정에서 소위 ‘밥그릇 싸움’이 벌어져 유럽 방산의 효율성이 끝 모르고 추락한 것이다.

사회 구조적 문제도 한몫을 했다. 독일을 비롯해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등 유럽 각국 정부는 무기체계를 구매할 때 성능보다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기여도를 더 중점에 뒀다. 이 때문에 일감을 쪼개 만든 수많은 하청·협력업체가 유럽 전역에 흩어져 있다. 이 가운데 영세한 업체 한두 곳만 도산해도 무기체계 조립 공정 전체가 멈춰버리는 구조다. 행정비용과 물류·인건비 폭등으로 인한 무기 가격 상승은 덤이다.

전문가들은 유럽 방산이 냉전 때와 같은 수준으로 무기를 대량 생산하려면 이처럼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산업 생태계부터 바꿔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일우 자주국방네트워크 사무국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부터 유럽 각국은 무기 증산을 선언했지만,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생산 효율이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고 꼬집으며 “비싼 가격은 차치하고라도 무기의 성능이나 생산 속도 등을 단기간 끌어올리기는 현실적으로 매우 힘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오만하기 그지없어" 강경 발언 내놓은 서울의대 교수들, 의료계 '시끌'

"오만하기 그지없어" 강경 발언 내놓은 서울의대 교수들, 의료계 '시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작심 비판' 내놓은 서울의대 교수들
의료계 내부 갈등 심화 조짐
"참 스승의 면모다" 지지·공감 의견도 존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사진=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홈페이지

한국 의료계 내부 갈등에 불이 붙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 4인이 전공의(인턴·레지던트)와 의대생들을 향해 '미복귀'를 강요하는 분위기를 정면 비판하면서다. 교수들의 강경한 발언에 의료계 내부에서는 즉각적인 반발이 터져 나왔다.

서울의대 교수 4인, 성명 발표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소속 강희경·하은진·오주환·한세원 교수는 17일 공동 성명을 통해 "복귀하는 동료를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위기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메디스태프(의료계 커뮤니티), 의료 관련 기사 댓글,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의 소셜미디어(SNS) 글 등에서 환자에 대한 책임도, 동료에 대한 존중도, 전문가로서의 품격도 찾아볼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난다"고 일갈했다.

특히 이들은 일부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의사만이 의료를 할 수 있다'는 오만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간호사나 응급구조사 등 의료 종사자들을 깎아내리는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 등은 "솔직히 응급실에서의 응급처치, 정맥주사 등의 술기를 응급구조사나 간호사들에게 배우지 않았나"라며 의료계 내부의 위계를 강조하는 태도에 경종을 울렸다. 또한 "조금은 겸손하면 좋으련만,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이 오만하기 그지없다"며 단순히 면허를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의사로서의 권위를 주장하는 행태를 꼬집었다.

발칵 뒤집힌 의료계, '을사사적' 비판

성명서가 게시된 강 교수의 페이스북에는 수많은 댓글이 달렸다. "의적의(의사의 적은 의사)", "1905년 을사오적이 있었고 2025년엔 당신들이 을사사적" 등 의사들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비난 댓글이 대부분이었다. 욕설·막말이 섞인 인신공격성 댓글도 있었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 박단 비대위원장은 17일 SNS를 통해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몇몇 분들께"라며 반박 글을 게시했다. 그는 "병원장은 교수에게, 교수는 전공의에게 노동을 전가하며, 이제는 전공의 부재를 핑계로 간호사에게 의사의 책무를 떠넘기고 있다”며 교수들이 전공의와 간호사들에게 의료 노동을 강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의료계 커뮤니티인 메디스태프에서도 강도 높은 반발이 이어졌다. 한 이용자는 "이 교수들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 늙어서 자신이 비난한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진료를 받아야 할 날이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이용자는 "교수들의 머릿속에는 자신들과 전공의를 제외한 국민들은 제3세계 인간들에 불과한 것 같다"며 교수들이 특권 의식에 젖어 있다고 주장했다.

"올바른 말 해줘서 고맙다" 응원 여론도 형성

반면 이들의 행보에 응원과 지지를 보내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익명을 요청한 한 의대 교수는 “밖에서 보면 강경한 목소리가 눈에 띄겠지만, 침묵하는 다수는 이번 성명에 대부분 공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교수도 “(성명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 관련 기사에도 “용기 있는 목소리 응원한다”, “환자, 국민 입장에서 올바른 말 해줘서 감사하다” 등의 댓글이 달렸다.

환자 단체인 한국중증질환연합회도 “제자를 위해 참 스승의 면모를 보였다는 점에서 환영하고 응원한다”는 입장문을 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환자를 버린 행위까지 감싸주는 의사 카르텔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렸고 비판했다는 점에서 우리는 희망을 봤다”며 “이익을 위해 자리를 떠난 이들에게 부여하는 ‘특례’가 아닌 수모를 겪고도 남은 이들을 향한 ‘특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도 “의료계 내부자로서 그동안 아무도 하지 않은 이야기를 공표해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며 "환자 입장에서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서울 부동산 ‘불장’ 한 달 만에 토허제 부활, 시장 혼선 불가피

서울 부동산 ‘불장’ 한 달 만에 토허제 부활, 시장 혼선 불가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정부·서울시, 강남3구·용산 토허제 확대 지정
서울 주택가격 빠른 상승에 대한 선제 대응 차원
"오락가락 정책에 시장 변동성 더욱 커질 것" 비판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국토교통부

서울 강남구·서초구·송파구·용산구 내 전체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다. 이번 토허구역 재지정은 지난달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제를 해제한 이후 사실상 ‘후퇴’다. 지난달 이른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아파트를 토허구역에서 해제한 뒤 서울 집값이 들썩이자 한 달여 만에 이를 번복하고 더 강력한 규제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서울 주요 지역에 대한 토허제 해제는 주택시장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이 자명함에도 섣불리 풀었다 다시 지정하면서 시장에 혼란만 가중시킨 꼴이 됐다.

'잠삼대청' 해제 이후 집값 들썩이자 재지정

19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전체에 대해 토허구역을 확대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오 시장은 지난달 12일 잠삼대청으로 불리는 강남 지역 주요 단지에 대한 토허구역 해제를 발표했는데, 한 달 만에 구역을 확대 재지정하게 된 셈이다.

토허제는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에서 일정 규모 이상 집이나 땅을 거래할 때 관할 기초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규제다. 허가 없이 토지거래계약을 체결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토지가격의 30% 상당 금액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특히 주거용 토지는 2년간 실거주용으로만 이용해야 하며, 해당 기간동안 매매·임대가 금지된다.

이번에 지정하는 구역은 강남3구와 용산구 안에 있는 모든 아파트로, 단지 수만 2,200곳에 달한다. 이번 지정으로 서울 내 토허구역은 52.79㎢에서 163.96㎢로 3배가 되는데, 이는 서울시 전체 면적(605.24㎢)의 27% 수준이다.

정부는 이달 24일부터 9월 30일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토허구역을 재지정한 뒤 시장 상황에 따라 연장하겠단 계획이다. 만약 시장 과열 양상이 계속되면 성동구와 마포구, 강동구 등으로 구역을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또 허가구역 지정과는 별도로 현재 강남3구와 용산구에 지정돼 있는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해제 후 신고가 경신・편승 효과↑

정부가 토허구역 재지정에 나선 것은 해제 이후 이상거래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서울 주간 거래량이 1,000건에서 2,000건까지 증가하는 데 불과 4주밖에 걸리지 않았다. 지난해 13주가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3배 이상 빠른 속도다. 또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 비율도 강남3구를 중심으로 2월 크게 반등하는 등 상급지 위주로 가수요 유입 흐름이 발견됐다.

토허구역 지정이 해제된 이후 해당 지역 집값도 치솟았다.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토허구역 해제 후인 2월 12일부터 20일까지 8일간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거래가는 직전 10일 대비 1.6%(1,773만원) 하락한 11억1,828만원이었지만, 강남3구는 직전 22억6,969만원 대비 8%(1억8,170만원) 뛴 24억5,139만원을 기록했다. 또한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의하면 2월 4주차 서울 전체 아파트 값이 0.11% 오르는 동안, 강남구는 0.38%, 송파구는 0.58% 뛰어올랐다. 해제 지역의 가격 상승률이 서울 평균 대비 3배 이상 벌어진 것이다.

신고가 행진도 잇따랐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84.99㎡형(5층)은 해제 직후인 2월 13일 35억1,000만원에서 14%(4억9,000만원) 오른 40억원에, 삼성동 힐스테이트 1단지 84㎡형은 지난해 말 28억8,000만원에서 2월 25일 4.2%(1억2,000만원) 오른 30억원에 팔렸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의 전용 84㎡형도 2월 26일 직전 최고가 28억8,000만원보다 4.2%(1억2,000만원) 오른 30억원에 팔렸고,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2차 196.84㎡형은 종전 최고가 83억원에서 7.8%(6억5,000만원) 오른 89억5,000만원에 손바뀜했다.

토허구역 해제에 따른 강남권 아파트 가격 상승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밴드웨건 효과도 감지됐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전용116.92㎡형이 직전 최고가 62억원에서 지난달 14.5%(9억원) 뛴 71억원에 매매됐다. 개포우성2단지 전용 127㎡형은 2월 15일 종전 최고가 47억원보다 7.4%(3억5,000만원) 비싼 50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시장 기능 왜곡 초래한 정책 혼선" 강력 비판

이에 한 달 만에 정책을 번복한 서울시는 파급력 큰 부동산 정책의 영향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국민의힘 소속 유승민 전 의원은 “서울시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토허구역을 해제한 것인지, 이런 결과를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면 황당하기 그지없다”고 질타했다. 이어 “토허구역 해제와 재지정이 한 달 만에 뒤집을 가벼운 정책인가”라며 “이 상황을 조기에 진화하지 못하면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악화의 악순환이 다시 시작될 것이며 극심한 경기침체에도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드는 등 부작용이 심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도 “강남3구의 토허제를 해제한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지방은 집값이 내려가고 미분양 사태를 걱정하고 있는데 서울 일부 지역만 가격이 오른다. 굉장히 큰 비판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오판'이라는 의견을 냈다. 김 지사는 "지금 서울 여러 지역에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아마 서울시는 규제 완화나 민생경제 활성화를 얘기했지만, 강남3구 토허제를 해제하는 것이 민생경제에 무슨 도움이 될지에 대한 생각도 들고, 이렇게 됨으로써 경기부양을 위한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추세에도 발목을 잡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정책 실책에 대한 시민단체들의 반응도 거세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을 자유시장 논리로만 접근하다가 오히려 시장 기능을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과거에도 반복된 정책 혼선을 이번에도 반복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관계자도 "부동산 정책은 단순히 시장 논리에 맡겨서는 안 되며, 실수요자 보호와 투기 억제라는 두 가지 원칙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도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권 부동산 가격이 폭등할 것이라는 경고가 이미 있었음에도 서울시는 이를 무시했다"며 "결국 다시 규제를 강화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시장에 불필요한 혼란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오 시장이 부동산 정책에서 실패한 것은 단순한 행정적 실책이 아니라, 그의 경제철학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꼬집었다.

이에 오 시장은 사과의 뜻을 전하며 고개를 숙였다. 오 시장은 “지난 2월 12일 토허구역 해제 이후 강남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졌다는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이로 인해 심려를 끼쳐드린 점 시민 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오 시장은 “저는 여전히 주택 시장이 자유시장 원리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실 토허제는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형성을 유도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자유거래를 침해하는 반시장적 규제임은 틀림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토허제는 시장 기능을 왜곡할 수 있는 ‘극약 처방’에 해당하기 때문에 한시적으로 제한된 범위에서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Why SIAI failed 80% of Asian students: A Cultural, Not Genetic, Explanation

Why SIAI failed 80% of Asian students: A Cultural, Not Genetic, Explanation
Picture

Member for

5 months
Real name
David O'Neill
Bio
Founding member of GIAI & SIAI
Professor of Data Science @ SIAI

Modified

80% of Korean students failed at SIAI not due to lack of intelligence but due to deep-rooted cultural conditioning that discourages independent thought and risk-taking
The Confucian, exam-based education system promotes rote memorization over problem-solving, making students struggle in an environment that requires deep, abstract thinking
Korea’s broader economic and corporate structure reinforces a ‘safe thinking’ mindset, making it unlikely that Western-style innovation will thrive here without significant systemic change

Before going into details, please allow me to emphasize that I am well aware that this article is an unfiltered critique, but this also comes from our team's painful 4 years experience in Korea while running a pilot program for MBA AI/BigData and MSc Data Science (PreMSc in AI/Data Science) under our research lead, Keith Lee, a Korean national, whose academic background lies in Mathematical Finance along with Investment banking and Data Science industry experience. Together with below two earlier articles, our analysis so far helps us to conclude that most East Asian countries, except China, are not our target market. For China, we have another mention at the end of this article.

SIAI was never designed to be an easy program. It is built around problem-first learning, where students must struggle through difficult challenges before being given answers. The idea is that true expertise comes not from memorization but from direct engagement with problems. However, Korean students have failed at a disproportionately high rate, often not because of a lack of intelligence but because they simply could not adapt to this mode of learning.

The failure of Korean students at SIAI is not an isolated incident. It mirrors Korea’s broader struggles in fostering high-risk, innovation-driven industries like AI startups. The same traits that lead to failure at SIAI—risk aversion, hierarchical thinking, and an over-reliance on structured answers—are the same factors that limit Korea’s ability to compete in global high-tech industries.

This raises an important question: If intelligence is not the issue, why do Korean students fail at SIAI at such high rates? The answer lies in deeply ingrained cultural conditioning, reinforced by Korea’s education system and work culture.

The Education System Teaches Memorization, Not Thinking

Korea’s educa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ntense in the world, yet it produces students who struggle with independent problem-solving. Why?

  • The National Exam Mentality – Success in Korea is defined by performance on standardized exams like the CSAT (Suneung). These tests reward students who can memorize massive amounts of information and reproduce it under time pressure.
  • Lack of Open-Ended Problem-Solving – Korean students are rarely taught how to deal with ill-defined problems where multiple solutions exist. They are conditioned to expect one correct answer.
  • Fear of Making Mistakes – The Korean school system does not encourage risk-taking. Making a mistake is seen as a failure, not a learning opportunity. As a result, Korean students are reluctant to explore ideas that might not lead to immediate success.

At SIAI, students are deliberately given incomplete information and forced to struggle through uncertainty—something the Korean education system has trained them to avoid at all costs. The result?

Mental shutdown, frustration, and high dropout rates.

Students Have a Passive Learning Mentality

A key observation from SIAI’s Korean students is their tendency to:
Wait for direct explanations instead of exploring solutions themselves
Copy existing solutions rather than develop their own
Give up when confronted with open-ended questions

This passive learning mentality is not their fault—it’s a survival strategy that works in Korea’s academic and corporate environments.

  • In schools, students are rewarded for following the teacher’s guidance exactly, rather than questioning the material.
  • In companies, employees are expected to obey superiors rather than challenge ideas or propose new solutions.
  • In social interactions, independent thinking can be seen as arrogance or defiance rather than intelligence.

At SIAI, these habits become a liability. When students are told to figure out a problem before receiving a solution, many experience anxiety and paralysis, as this goes against everything they have been trained to do.

Culture of Risk Aversion Prevents Deep Thinking

Deep, abstract thinking requires a willingness to take intellectual risks—to explore different possibilities, challenge assumptions, and tolerate uncertainty. However, Korea’s society is structured around minimizing risk, not embracing it.

  • Corporate & Social Hierarchy – Questioning authority or challenging ideas is discouraged. Instead of debating ideas critically, Koreans are expected to align with the dominant view.
  • High-Stakes Consequences for Failure – In Korea, failing an exam or business venture can have lifelong social and economic consequences, making risk-taking too dangerous for most people.
  • Short-Term Thinking – Success is measured by immediate results, whether it’s exam scores, company profits, or startup funding. Long-term strategic thinking and foundational research are undervalued.

This cultural mindset clashes directly with the Western-style, research-driven, exploratory approach that SIAI promotes. Students who have spent their whole lives avoiding intellectual risk struggle to suddenly embrace it.

Hierarchical Thinking Limits Creativity & Initiative

Korea’s Confucian-influenced hierarchy impacts how students approach learning and problem-solving:

  • Respect for authority over logic – Many students hesitate to challenge assumptions, even when they recognize flaws in a solution.
  • Preference for pre-existing formulas – Instead of inventing new methods, students tend to rely on what has already been written or accepted.
  • Fear of standing out – Independent thinkers often get labeled as "weird" or "difficult," discouraging students from expressing unique perspectives.

At SIAI, students must develop their own methodologies to solve complex problems. Korean students, conditioned to seek pre-approved frameworks, often struggle with this level of intellectual freedom.

Even if a Korean student somehow overcomes these limitations, their society does not reward them for it.

  • Korean corporations hire based on university ranking, not problem-solving skills.
  • AI startups struggle because investors prefer “safe” business models over high-risk innovation.
  • Government-funded AI projects focus on applications, not fundamental research.

As a result, even Koreans who succeed at Western-style deep thinking often find themselves with no place in Korea’s economy. This reinforces the idea that memorization and safe thinking are the only viable survival strategies.

Korea Is Not Built for Western-Style Innovation

Korea’s failure at producing high-level AI researchers and independent thinkers is not due to a lack of intelligence but rather a fundamental mismatch between its cultural/economic system and the traits required for deep, abstract thinking.

  • SIAI’s teaching model aligns with Western academic traditions of independent problem-solving, but Korea’s students are conditioned to avoid risk, challenge, and deep exploration.
  • Korean society does not reward the type of intelligence that SIAI promotes. Even students who do well at SIAI may find that Korea has no place for them.
  • As a result, Korea is not just failing to produce AI experts—it is failing to cultivate the kind of innovative minds that could drive long-term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end, SIAI was never going to succeed in Korea, because Korea is not built for this kind of education. Raising independent, abstract thinkers here requires enormous effort, but the country itself does not value or support such minds.

For Korea to truly change, it would need to:

  1. Replace its rote-learning, exam-based education system with research-based learning.
  2. Encourage intellectual risk-taking and debate at all levels of society.
  3. Redefine success beyond standardized test scores and corporate hierarchy.

But given the country’s historical patterns, such change is unlikely to happen anytime soon. That is why SIAI has shifted focus to the global market, where its philosophy is more likely to be understood and valued.

For Koreans who wish to truly think independently and engage in deep research, the best path may not be to change Korea—but to leave it altogether.

Why I think Korea, once a tech leader, will soon be China's tech colony

As mentioned at the beginning, I am fully aware that it’s an unfiltered critique, but it reflects exactly what I’ve observed over the years together with Keith Lee. He has seen irsthand how these structural barriers prevent not just our students at SIAI, but the entire country, from evolving into a true deep-tech and innovation powerhouse.

This is not about attacking Korea just for the sake of criticism—it’s about identifying why certain types of high-level intellectual pursuits simply don’t thrive there. We tried to break the cycle with SIAI, but the overwhelming response confirmed that Korea isn’t ready, and perhaps never will be. The country is optimized for exam-driven intelligence, corporate hierarchy, and predictable business models—not for nurturing independent, abstract thinkers.

We ’re not alone in this realization. Many of Korea’s most brilliant minds either left the country or had to work under constraints that killed their full potential. That’s why even Korea’s so-called "AI industry" is largely just AWS and OpenAI API integrations rather than real algorithmic breakthroughs.

However, we have witnessed the similar East Asian background but distinctly different stories from China. (Before going any further, please allow me to emphasize that we are not pro-China. We just lay facts and analyses that we have found on the table.)

Despite a similar cultural background, China is making massive strides in AI, semiconductors, and electric vehicles, while Korea seems stuck in safe, incremental improvements. We earlier thought Confucian-structured social system is one of the fundamental cultural influences for Korea's debacle in tech innovation, but we had to change our earlier theory.

Here’s why China is breaking ahead:

1.Massive Long-Term State Investment in Deep Tech

  • The Chinese government is willing to pour billions into AI, quantum computing, and electric vehicles, even with no immediate return.
  • Korea, on the other hand, only funds projects that have predictable, short-term success—which is why most Korean AI companies just build applications using OpenAI’s APIs rather than actual models.

2.Tolerating Experimentation & Failure

  • Chinese tech firms (like Tencent, Baidu, and Huawei) allow moonshot projects to fail because they have strong state backing and long investment cycles.
  • Korea’s corporate culture punishes failure harshly, which forces companies to play it safe rather than push technological boundaries.

3.Government-Backed Industrial Policy vs. Market-Driven Hesitation

  • China strategically subsidizes key industries (like batteries, EVs, and AI models) to ensure global dominance.
  • Korea’s companies, despite having world-class battery tech, have to compete without meaningful government protection.

4.Better Retention of Top Talent

  • Many of China’s best AI and deep tech researchers return home from the U.S., thanks to both government incentives and nationalism - Chinese universities' research papers are phenomenal these days.
  • Korean researchers, on the other hand, often prefer to stay abroad because they know Korea’s rigid corporate culture won’t let them do meaningful work.

Keith is the best example for this point #4. After years of hopeless trial, he has completely turned his back to his own country and leading our research team here at GIAI. We are glad to have his full attention to GIAI's research and SIAI's Euro operation, but what a loss to his home country.

Among many tech sectors, we admit that there still is Korea's marginal tech lead in EV batteries to China. None of us are EV battery experts, but tracking what they publish in academic (and not-so-academic) journals, we are almost certain that Korea’s battery dominance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SK On) is also under threat from China,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China could soon overtake both Korea and Tesla in EV battery tech.

China’s advantages:
Cheaper production due to massive economies of scale
Aggressive government subsidies that lower manufacturing costs
Faster innovation cycles due to high tolerance for risk

If Korea’s battery makers don’t shift to long-term, high-risk research, they will lose their lead within 5-10 years. And knowing Korea’s business culture, they will likely just play defense rather than take bold steps forward, which will only delay, not prevent, China’s takeover.

My final thought: Korea Is Losing, But It’s a Choice

The key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s that China is willing to take long-term risks, while Korea isn’t. China sacrifices short-term efficiency for long-term dominance, whereas Korea only funds safe bets with immediate ROI. If Korea wants to stay competitive, it must change how it approaches innovation:

  • Fund actual AI research, not just API-based applications.
  • Encourage experimental, high-risk tech startups instead of just supporting chaebol-driven projects.
  • Give top researchers a reason to stay in Korea instead of moving abroad.

But given Korea’s deeply ingrained corporate and academic structure, I don’t think this change will happen. Instead, Korea will likely continue doing incremental improvements while China overtakes in every major deep-tech sector.

For other East Asian countries, we see that Japan, Mongolia, Vietnam, and other Southern Eastern Asian countries are still in infant stage in AI/Data Science. SIAI's hard training may not have chances to blossom in there, as we already have seen in Korea, for a different reason. If we go to Asia, it will mainly be South Asia and Middle East.

Picture

Member for

5 months
Real name
David O'Neill
Bio
Founding member of GIAI & SIAI
Professor of Data Science @ SIAI

제한적 휴전 합의 미·러 “우크라戰 에너지·인프라 공격 중단”, 러시아는 극단 조건 유지

제한적 휴전 합의 미·러 “우크라戰 에너지·인프라 공격 중단”, 러시아는 극단 조건 유지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러시아, ‘30일간 전면 휴전안’ 거부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중단 요구도
협상 가속에 분주해진 유럽 국가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을 대상으로 ‘제한적 휴전’에 뜻을 모았다. 양국은 중동에서 전면 휴전 협상을 개시할 것이라고 밝혀지만, 푸틴 대통령이 장기적인 평화 계획에 여전히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그간 우크라이나를 지원해 온 유럽의 핵심 국가들 또한 협상의 전개를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중동에서 전면적 휴전 협상 돌입 예고

18일(이하 현지시각) 백악관은 성명을 내고 “미·러 정상이 2시간 30분에 걸친 전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와 휴전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해당 분쟁을 지속적인 평화를 통해 끝내야 한다는 데 뜻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에너지·인프라 분야에서 우선 휴전한 다음,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양국 정상은 이번 전화 통화에서 전략 무기 확산을 중단시킬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전략무기 확산 중단을 최대한 넓게 적용하기 위해 다른 당사국들에 관여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이는 미국과 러시아의 전략무기 감축 협상에 중국을 포함하겠다는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백악관은 “이번 협상으로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개선될 전망”이라면서 “평화가 달성됐을 때의 막대한 경제적 효과와 지정학적 안정이 큰 이점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해당 소식을 알렸다.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매우 끔찍한 전쟁을 끝내기 위해 신속히 노력할 것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에너지와 인프라에 대한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다”면서 “모든 절차가 이행되고 발효된 만큼 우리가 인류를 위해 이 일을 마무리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크렘린궁 역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30일간 에너지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데 합의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냈다. 크렘린궁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제안한 내용은 ‘30일간 전면 휴전안’이었다”며 “이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휴전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문제와 우크라이나의 동원 및 재무장 가능성에 대한 우려 등 문제가 있다는 점을 들어 이를 거부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수정된 휴전안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수용의 뜻을 내비쳤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에너지 및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자는 제안에 찬성한다”며 “러시아가 휴전안을 지킨다면 우리도 그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러 정상 간 전화 통화 내용에 관한 세부 사항을 듣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하기를 원한다면서 “세부 사항을 확인한 뒤 우리의 입장을 정리해 답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정당한 안보 이익’ 주장

변수는 러시아 측의 요구 사항이다. 이번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외국의 군사 및 정보 지원을 완전히 중단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회담 후 일시 중단했다가 재개한 대(對)우크라이나 무기 및 정보 지원의 중단을 요구했다. 크렘린궁은 “분쟁의 확대를 막고 정치·외교적 수단을 통해 해결하기 위한 핵심 조건은 외국의 군사 지원과 키이우에 대한 정보 제공을 완전히 중단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고 설명했다.

최대 격전지로 불리는 쿠르스크 문제도 언급됐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무장 세력이 쿠르스크 지역의 민간인에 대해 저지른 테러 성격의 야만적 범죄에 대해 지적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그는 통화에서 “쿠르스크 내 우크라이나군이 항복하면, 목숨은 살려주겠다”는 발언을 반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면서 러시아의 정당한 안보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했다. 우크라이나 땅에 서방의 군사적 자원을 남겨두지 않겠다는 의미다. 이는 안보 보장이 국가의 존립과 직결되는 우크라이나는 물론,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해 러시아의 재침공 야욕을 저지해야 하는 유럽 또한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외신은 러시아의 무리한 요구에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푸틴이 극단적 목표에 대해 타협할 의지가 있다는 징후는 찾아볼 수 없었다”며 “그의 목표는 사실상 독립 국가로서 우크라이나의 존립을 끝내고, 옛 철의 장막 동쪽으로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확장 대부분을 되돌리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협상 카드 된 유럽 최대 원전

그간 우크라이나를 지원해 온 유럽의 핵심 국가인 독일과 프랑스는 일단 미·러 정상의 합의 내용을 환영하면서도 우크라이나의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18일 베를린을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의 목표는 우크라이나의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라며 “부분 휴전이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는 있지만, 당사국을 배제한 결정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도 “우크라이나의 협상 참여 없이는 이 모든 게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여타 유럽 국가들도 지난 17일부터 인도 뉴델리에서 진행 중인 국제전략 대화 ‘라이시나 다이얼로그(Raisina Dialogue)’에서 푸틴 대통령이 협상 과정에서 국제사회를 속일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요나탄 브세비오프 에스토니아 외무부 사무총장은 “러시아가 목표를 바꿨다고 볼 수 있는 어떠한 증거도 없다”면서 “푸틴은 여전히 우크라이나 전역을 원하고 있으며, 완전한 지배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수십 년 동안 이런 방식으로 협상을 해왔다”며 “결코 안심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유럽 국가들이 이처럼 민감하게 반응하는 배경에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국경에 자리 잡은 자포리자 발전소의 재가동 여부가 주변국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는 관측이 자리하고 있다. 6개의 원자로를 보유한 유럽 최대 규모의 원전 시설인 자포리자 발전소는 2022년 러시아군이 점령하면서 운영·통제권이 러시아 국영기업 로사톰으로 넘어간 바 있다.

연간 생산량이 3만 기가와트시(GWh)에 달하는 해당 원전은 러시아 점령 이후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나아가 3년 가까이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방사능 사고의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자포리자 발전소가 재가동될 경우, 에너지 소비량의 40%가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유럽으로서는 비용 절감과 수급 안정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이를 두고 뉴욕타임스(NYT)는 에너지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러시아가 자포리자 발전소를 서방의 제재 완화와 같은 것으로 교환을 시도할 수도 있다”며 “러시아가 2014년 크림반도 점령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이어진 11년간의 공개적 침략에 대해 얼마나 큰 보상을 받을 것인지가 협상 대상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휴전 협상이 과거 강대국들이 유럽 내 국경을 결정했던 1945년 얄타회담과 비슷한 흐름으로 전개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는 이유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구글,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위즈' 46조원에 인수

구글,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위즈' 46조원에 인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美 규제당국의 승인 절차 남아있어
2026년 반독점 심의·승인 완료 전망
인수 종결되면 클라우드 사업부 합류
사진=위즈

구글이 클라우드 보안 스타트업 위즈(Wiz)를 32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구글은 클라우드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주요 빅테크를 고객사로 확보하면서 경쟁이 치열한 클라우드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반독점 심사라는 변수가 남아 있어 규제당국의 심의·승인 과정이 향후 거래 성사 여부를 가를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구글, 사상 최대 규모 M&A '전략적 투자' 단행

18일(현지시각)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이스라엘에 본사를 둔 위즈를 전액 현금 거래로 32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 계약은 구글 역사상 최대 규모의 M&A다. 알파벳은 보도자료를 통해 "구글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인프라 분야의 선두 주자로, 인공지능(AI) 전문성과 업계 최고의 보안 혁신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며 "위즈 인수를 통해 솔루션을 개선함으로써 클라우드 보안을 강화하고 멀티 클라우드 활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다만 이번 거래가 최종적으로 성사되려면 당국의 반독점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심사가 마무리되는 시기는 2026년으로 예상된다. 거래가 종결되면 위즈는 구글의 클라우드 사업부에 합류할 예정이다. WSJ은 "시장 변동성과 미국 내 정치적 혼란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알파벳이 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반독점 규제 기조를 시험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는 향후 다른 빅테크의 M&A에도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사진=위즈

지난해 인수 추진했으나 반독점 리스크에 결렬

위즈는 클라우드 컴퓨팅용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지난 2020년 아사프 라파포트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해 이스라엘 군 출신 4명이 공동 창업했다. 이들은 세계적인 수준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를 다수 배출한 엘리트 정보 부대 '유닛8200' 출신으로 강력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빠르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위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보안 위험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플랫폼을 제공해 왔는데 특히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버무려 쓰는 대형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기반으로 고성장을 이뤘다.

현재 위즈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구글은 위즈 인수 이후에도 자사 클라우드뿐만 아니라 아마존웹서비스(AWS), MS 애저 등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도 계속 지원할 방침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구글이 위즈를 통해 맨디언트(Mandiant) 등 자사의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판매할 기회를 확보할 것으로 평가한다. 이에 대해 디인포메이션은 과거 MS가 유명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회사들을 인수하고 이를 자사 클라우드 비즈니스에서 선보인 것과 약간 비슷한 행보라고 전했다.

다만 넘어야 할 산도 있다. 구글은 지난해 하반기 위즈를 약 230억 달러에 인수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했으나 실패했다. 미 법무부가 구글을 상대로 2건의 반독점 소송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위즈 측이 규제 승인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협상이 결렬된 것이다. 이후 위즈는 기업공개(IPO)를 검토했으나 결국 별다른 진전 없이 협상 테이블로 복귀했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친기업적 정책, 반독점 규제 완화 기조가 재협상을 촉진했다"며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직후 양사 간 회담이 본격화되며 분위기를 반전시켰다"고 분석했다.

그 사이 기업 가치도 상승했다. 지난해 말 IPO를 준비하던 위즈가 직원 매수 제안을 통해 추산한 기업 가치는 160억 달러였다. 하지만 첫 번째 인수 논의 당시 구글은 아마존, MS 등 주요 빅테크를 고객사로 확보한 점을 높게 평가하며 위즈 측에 추산한 기업 가치보다 높은 230억 달러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구글 측이 제시한 인수 제안가는 320억 달러로 3개월 새 기업 가치가 40% 이상 상향 조정됐다. 업계에서는 현재 위즈의 연간 반복 매출(ARR)이 약 7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1년 이내에 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산한다. 

구글, 클라우드 사업을 미래 핵심 사업으로 낙점

구글이 이처럼 위즈의 기업 가치를 뛰어넘어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 이유는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보안 등 핵심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검색 비즈니스 시장이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구글은 클라우드 부문을 가장 유망한 성장 동력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최근 실적 발표에서 아나트 애슈케나지 알파벳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AI와 클라우드 같은 주요 투자 영역에서 일부 인력 확충이 있을 것"이라고 밝히며 클라우드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시사했다.

지난해 3분기 구글 클라우드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12%로 아마존 AWS(32%), MS 애저(23%)에 이어 3위에 올랐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아마존 점유율은 34%에서 2%포인트 하락한 반면, MS와 구글은 각각 3%포인트와 1%포인트 상승했다. 구글은 성장률 측면에서도 경쟁사를 앞서 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매 분기 30% 안팎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MS를 넘어섰다. 지난해 3분기 구글 클라우드의 성장률은 35%로 MS 애저(33%), 아마존 AWS(19%)를 능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29%)와 직전 분기 증가율(28.8%)을 모두 상회하는 수치다.

구글은 경쟁사에 대한 추격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보안 부문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최근 사이버 공격이 더 빈번해지고 정교해지면서 중요한 인프라와 금융 기관, 민간 기업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위즈의 첨단 사이버 보안 기술은 고객의 신뢰를 유지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위즈의 강력한 보안 솔루션이 구글 생태계에 통합되면 구글뿐 아니라 글로벌 사이버 보안 산업 차원에서도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가격 자신감에서 기술 자신감으로, BYD “5분 충전에 400km 주행 가능”

가격 자신감에서 기술 자신감으로, BYD “5분 충전에 400km 주행 가능”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테슬라·벤츠보다 훨씬 앞선 속도
안전성 확보 및 비용 절감은 과제
가격 이어 기술 경쟁에도 승부수
BYD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씰'/사진=BYD코리아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 업체 비야디(BYD)가 단 5분 충전으로 4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초고속 배터리와 충전소를 공개했다. 시장에서는 BYD가 오랜 시간 유지해 오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전략을 넘어 기술 혁신으로 승부하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차세대 ‘슈퍼 e-플랫폼’ 공개

19일 외신에 따르면 왕촨푸 BYD 회장은 17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발표회에서 초고속 배터리·충전소 ‘슈퍼 e플랫폼’을 소개했다. 왕 회장은 “새로운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이 세계 최초로 양산 승용차에 1,000V 고전압과 1,000㎾(킬로와트) 충전 전력을 제공한다”며 “차세대 모델부터 슈퍼 e플랫폼을 적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왕 회장은 슈퍼 e-플랫폼이 단 5분의 충전으로 400㎞를 주행할 수 있는 신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현재까지 공개된 테슬라와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력을 앞선 수치다. 테슬라는 15분 충전으로 275㎞를 주행할 수 있으며, 벤츠는 CLA 전기차 세단 기준 10분 충전으로 325㎞ 주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BYD는 중국 전역에 4,000개 이상의 초고속 충전소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많은 소비자가 주행거리 부족에 대한 불안을 이유로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는 만큼 최대 걸림돌을 없애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하겠단 의지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중국 자동차 분석가 조안나 첸 또한 “이번 신기술은 BYD의 차세대 자동차 수요를 더욱 끌어 올릴 수 있다”고 평가하며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신호가 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일각에서는 안전성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초고속 충전에 따른 배터리 과열 등 위험 징후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비용 문제도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지목된다. 블룸버그에 의하면 400V 전기차 시스템에서 800V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4,000위안(약 55만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성비에만 머물지 않겠단 의지

오랜 시간 가격 경쟁력으로 시장을 잠식해 온 BYD가 기술 경쟁에도 승부를 띄우면서 “테슬라는 기술력, BYD는 가성비”라는 공식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 같은 공식은 독일의 과학자들이 양사의 배터리를 모조리 뜯어 증명해 보이면서 업계 내 정설로 여겨져 왔다. 독일 아헨공대 전기차부품생산공학연구소는 테슬라의 4680 배터리와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를 해부해 기계적 디자인부터 크기, 전극 소재의 구성, 전기·열 성능을 평가하고 배터리 조립 과정과 원자재 비용도 함께 분석했다.

해당 연구에서 두 배터리는 설계 철학 자체가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테슬라의 배터리는 고에너지 밀도와 성능을 우선시하는 반면, 비야디의 배터리는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제조 비용을 낮추는 데 중점을 뒀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는 리튬·인산·철(LFP) 양극으로 안정성이 뛰어나고 원재료의 가격이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다. 리튬에 니켈·망간·코발트(NMC811)를 결합한 테슬라 4680 배터리가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는 것과 대비된다.

두 회사는 앞으로 상대의 강점을 적절하게 차용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테슬라는 4680 배터리 종류를 다양화하는 데 집중하는 동시에 배터리 전극 공정에 고체 소재를 코팅하는 건식 공정을 도입해 비용을 30% 절감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반대로 BYD는 올해 에너지 밀도를 높인 2세대 블레이드 배터리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더 이상 BYD가 저렴한 가격만을 앞세우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는 배경이다.

‘배터리 강자’ 넘어 ‘전기차 No.1’으로

시장에서는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과 기술 향상, 적극적인 시장 공략 등이 BYD의 급성장을 이끌었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배터리 회사로 출발한 만큼 자체 배터리 생산을 통한 원가 절감, 수직 계열화된 생산 구조 등 장점이 많다는 평가다. 실제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축소되는 상황에서도 BYD는 가격을 동결하며 시장 내 영향력을 꾸준히 키우고 있다.

기술 혁신과 품질 개선으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면서 브랜드 인지도 또한 동반 상승했다. 블레이드 배터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투자와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은 결과다. BYD는 공격적인 해외 시장 확장과 제품 다변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야심을 숨기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유럽과 동남아시아, 남미 등 다양한 지역에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면서 공급망을 최적화하는 데도 힘쓰고 있다.

나아가 하이브리드 차량 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이면서 전기차 전환이 더딘 국가에서 업계 1위 테슬라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다. BYD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판매된 BYD 자동차 중 플러그인하이브리드가 차지한 비중은 58.5%에 달했다. 판매량만 따지면 248만 대를 훌쩍 넘어서는 성적이다. 2003년 설립 이래 지금까지 순수전기차만을 생산 중인 테슬라로서는 고민이 깊어지는 지점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