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홈쇼핑 사상 초유 '블랙아웃' 송출 수수료 갈등에 일부 케이블TV 송출 중단

홈쇼핑 사상 초유 '블랙아웃' 송출 수수료 갈등에 일부 케이블TV 송출 중단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CJ온스타일 대형사중 처음 방송 중단
송출수수료 협상 결렬에 초강수
GS·롯데·현대도 송출수수료 협상 난항
출처=딜라이브 방송 내 CJ온스타일 송출 중단 화면 캡처

TV홈쇼핑과 방송사업자 간 갈등이 격화되면서 ‘블랙아웃’(송출 중단 사태)이 현실화했다. CJ온스타일이 일부 케이블TV 방송을 중단한 데 이어 다른 홈쇼핑 업체들도 송출수수료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어 연쇄 방송 중단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CJ vs. 케이블TV3사, 서로 "가이드라인 위반했다"

6일 홈쇼핑업계에 따르면 CJ온스타일은 전날 자정부터 딜라이브와 아름방송, CCS충북방송에서의 홈쇼핑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 연초부터 이어온 송출수수료 협상이 결렬되자 강수를 둔 것이다. CJ온스타일 측은 “케이블TV사의 최근 5년 평균 취급고와 가입자 수가 감소하는 가운데 해당 3개 사의 감소 폭이 특히 컸다”며 “이에 방송법과 ‘홈쇼핑 방송 채널 사용 계약 가이드라인’에 따른 합당한 수수료를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라고 방송 중단 이유를 설명했다.

반면 케이블TV 업계는 CJ온스타일이 기존 계약 방식과 가이드라인을 무시한 채 60% 이상의 수수료 인하를 요구해 협상이 결렬됐다는 입장이다. 한국케이블TV협회는 5일 입장문을 통해 “유료방송사업자의 영업권을 심각하게 위협할 뿐 아니라 유료 방송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국민의 기본 시청권마저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CJ온스타일 측은 가이드라인 위반은 오히려 3사가 했다고 맞섰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지난해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송출수수료 산정 시 비주거용 법인 이용자 수는 제외된 만큼, 이에 해당하는 송출수수료를 제외하거나 재산정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합리적 근거 없이 이를 거부해 가이드라인을 위반했다”고 말했다.

이어 “송출 중단하는 3개사는 디지털 연계가 어려워 시청 환경 개선이 쉽지 않은 고화질 단방향 방식의 상품(8VSB) 가입자 비중이 높다”며 “8VSB 가입자 대부분은 비주거용 법인 이용자로,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워 3개사에 실제 사용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으나 받지 못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3사가) 합리적이고 성실한 협상을 통해 방송이 정상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방송으로 1만원 벌면 7,100원 수수료로

송출수수료는 TV홈쇼핑 업체가 유료방송사업자(SO·위성·IPTV)로부터 채널을 사용하는 대가로 지불하는 일종의 자릿세다.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좋은 지상파 채널에 근접할수록 더 많은 금액이 책정되는데, 과거 홈쇼핑 호황기에는 협상이 원활히 타결됐지만 업황이 악화되면서 수수료를 깎으려는 홈쇼핑과 수익을 유지하려는 방송사업자 간 갈등이 커진 것이다.

한국TV홈쇼핑협회에 따르면 주요 홈쇼핑 7개사가 방송사업자에 지급하는 송출수수료는 2020년 1조6,750억원에서 지난해 1조9,375억원으로 늘었다. 이 기간 모바일·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산업 성장으로 TV 방송 영향력이 떨어졌음을 고려하면 비용 증가를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다. 같은 기간 방송 매출액에서 송출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60%에서 지난해 71%까지 치솟았다. 방송에서 상품을 팔아 1만원을 벌면 7,100원을 방송사업자에 내야 하는 셈이다.

시장 축소에 고민 깊어지는 홈쇼핑업계

문제는 TV 시청자 감소로 홈쇼핑 이익도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샵은 올해 3분기 매출 2,510억원, 영업이익 186억원을 올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3.4%, 영업이익은 2.7% 각각 줄었다. 현대홈쇼핑은 3분기 0.3% 증가한 2,558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영업이익은 9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CJ온스타일은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한 3,338억원의 매출과 29.6% 증가한 92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으며 롯데홈쇼핑은 3분기 2,08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2%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98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통상적으로 홈쇼핑 업계에선 취급액을 기준으로 업계 순위를 매겨왔지만 최근에는 경기 불황에 따른 소비침체로 홈쇼핑 업황 자체가 대세 하락 국면을 받으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중요도가 높아진 상황이다. 외형적으로만 보면 매출은 CJ, 영업이익은 GS가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따져보면 누가 승자라고 평가하기 어렵다.

실제로 CJ온스타일은 홈쇼핑 빅4 가운데에는 유일하게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하는 실적을 거뒀으나 영업이익 순위를 보면 매출액 1위를 하고도 3위에 머물러있다. 1위와 차이는 94억원, 4위와 차이는 2억원에 불과하다. 영업이익 1위 GS샵 역시 홈쇼핑 4사 가운데 유일하게 세자릿수를 기록했지만,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작년 3분기 대비 줄었다. 홈쇼핑 시장 규모가 축소된 여파가 크다. 업계 관계자는 "TV시청인구 감소로 모든 홈쇼핑 업계가 탈TV 전략을 세우고 있지만 어느 곳도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는 얘기"라며 "당분간 홈쇼핑 업계의 혼조 상태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지분 경쟁 불붙은 고려아연, 주가 200만원 도달

지분 경쟁 불붙은 고려아연, 주가 200만원 도달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고려아연 주가 200만원까지 껑충
임시 주총 앞두고 장내 매집 가열
이달 19일 권리락 우려, 투자 유의

고려아연 주가가 200만원을 찍었다. 2017년 3월 삼성전자가 액면분할 전 200만원을 돌파한 후 7년 9개월 만에 주가 200만원을 기록한 종목이 나온 것이다. 경영권 분쟁 중인 MBK파트너스·영풍 연합과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의 장내 지분 매수에 따른 주가 상승으로 풀이된다. 다만 임시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가지려면 이달 18일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해 ‘권리락’ 우려도 한층 높아져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거래일 연속 상승, 시총 6위까지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5일 고려아연 주식은 코스피시장에서 200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보다 19.60%(32만9,000원) 뛴 것으로, 역대 최고가를 새로 썼다. 지난달 25일만 해도 고려아연은 시가총액 기준 코스피시장에서 20위였다. 하지만 8거래일 연속 주가가 뛰면서 메리츠금융지주, LG화학, 삼성물산, POSCO홀딩스등을 차례로 제쳤다. 고려아연은 이날도 시가총액 순위 10위로 출발, KB금융, 기아, 삼성전자우, 셀트리온의 시가총액을 넘어섰다. 코스피시장 시가총액 5위인 현대차와의 격차도 1조4,200억원까지 좁혀졌다.

고려아연 주가가 급등한 것은 MBK·영풍 연합과 최 회장의 지분 매입 경쟁 때문이다. 증권가에 따르면 MBK·영풍 연합과 최 회장 측 모두 장내에서 지분을 매집했다. 지난달 26일부터 이날까지 고려아연 주식을 기타법인이 220억원, 기타금융이 780억원 순매수했다. 베인캐피털, 유미개발, 영풍정밀 등 최 회장의 특별관계자들도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4일까지 0.32% 지분을 장내 매입해 17.50%로 지분율을 높였다.

최 회장 백기사 베인캐피털, 165만원에 매입

특히 최 회장의 백기사 베인캐피털은 165만원에 고려아연 주식을 취득할 정도로 지분 확보 경쟁에 적극 뛰어들었다. 베인캐피털은 이달 3일 평균 151만5,505원에 5,184주를, 4일에는 165만4,713원에 5,875주를 매입했다. 각각 78억원, 97억원 규모다. 가장 낮은 매입 단가가 지난달 25일의 91만467원으로 자사주 공개매수 가격(89만원) 보다 높다. 베인캐피털은 한국투자증권으로부터 빌린 차입금을 매수 자금으로 썼으며 베인캐피털이 보유한 고려아연 지분은 1.41%에서 1.56%로 증가했다.

이 외에 유미개발 1만7,665주(0.09%), 영풍정밀 7,670주(0.04%), 최정운 전 서울대 교수(150주) 등이 장내 매입에 동참해 베인캐피털을 포함하면 총 6만6,623주(0.32%) 지분을 샀다. 이로써 최 회장과 특별관계자의 지분율은 17.50%로 0.32%포인트 늘어났다. 다만 MBK·영풍 연합의 지분율(39.83%)과는 여전히 격차가 크다. 최 회장의 우호군을 모두 더해도 약 5% 안팎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양측이 공개매수에 이어 장내 매수까지 나서면서 고려아연은 유통주식 수가 적은 ‘품절주’에 가까워졌다. 그만큼 주가 상승 폭도 가파를 수밖에 없다. 고려아연 하루 평균 거래량은 지난 10월 평균 32만5,000주였으나, 이달 들어서는 10만 주 수준으로 불어났다.

한미사이언스, 경영권 분쟁 종료 후 주가 21% 뚝

주가가 급등하자 한국거래소는 고려아연을 투자주의종목으로 지정했다. 그런 만큼 권리락 시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 고려아연은 내년 1월 23일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해당 주총 주주명부폐쇄 기준일은 오는 20일로, 결제까지 2거래일 시차를 고려할 때 오는 18일까지 확보한 주식만 주주총회에서 표가 된다. 오는 19일부터 권리락일에 들어가면 주가가 급락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실제 한미사이언스도 경영권 분쟁이 일단락된 이후 주가가 폭락했다. 경영권 분쟁을 호재로 인식한 투자자들의 심리가 분쟁 종료 이후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주가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다. 한미사이언스는 지난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연초부터 3개월간 이어지던 경영권 분쟁을 마무리한 바 있다. 당시 임종운·종윤 형제 측이 추천한 이사 5인이 주주들의 과반 득표로 이사회에 진입했다.

주총이 열린 당일 한미사이언스 주가는 4만4,350원이었지만, 이튿날 주가는 3만8,300원으로 하루 만에 13.64% 급락했다. 이후로도 완만한 하락세가 이어져 10거래일 새 3만5,000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한미사이언스가 OCI홀딩스와 통합 결정을 발표한 1월 12일 종가(3만8,400원)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경영권 분쟁이 본격화하며 주가가 최고로 치솟았던 1월 16일 종가 5만6,200원과 비교하면 두 달여 만에 37.72%나 고꾸라진 것이다. 시가총액 역시 1월 16일 3조9,314억원까지 치솟았으나 경영권 분쟁이 장기화하는 과정에서 3월 28일엔 3조1,026억원으로 감소했고, 이어 10거래일 만에 6,500억원 이상 증발하며 2조4,520억원까지 쪼그라들기도 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0.1% 성장 그친 3분기 GDP, 내수 ‘깜짝 분전’에도 건설 부진에 발목 잡혀

0.1% 성장 그친 3분기 GDP, 내수 ‘깜짝 분전’에도 건설 부진에 발목 잡혀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설비투자 6.5%↑, 건설투자3.6%↓
건설 착공 저조에 성장률 하방압력
강달러·중국 경기 침체는 변수로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직전 분기와 비교해 0.1% 성장에 그쳤다. 수출이 0.2% 뒷걸음질 치면서 불황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우려했던 내수가 이를 간신히 만회했다. 다만 경기 전반의 가늠자라고 할 수 있는 건설은 여전히 긴 불황의 터널을 지나는 모습이다. 최근 강달러 현상에서 비롯된 원자재 가격 하락이 우리 건설 부진을 지우는 데 기여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2분기 주춤했지만, 곧바로 상승 전환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국민소득’에 따르면 3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잠정치는 직전 분기 대비 0.1% 증가했다. 이는 지난 10월 한은이 발표한 속보치와 같은 수치다. 2분기(-0.2%)보다는 개선됐지만, 지난해 (1분기·0.4%, 2분기·0.6%, 3분기·0.8%, 4분기·0.5%)나 올해 1분기(1.3%)와 비교하면 매우 아쉬운 수준의 증가 폭이다.

세부 항목에서는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각각 0.5%, 0.6% 증가했고, 설비투자는 6.5% 늘었다. 또 재고증감은 0.3%, 수입은 1.6% 늘었다. 반면 건설투자와 수출은 각 3.6%, 0.2% 감소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전 분기와 동일했다. 속보치와 비교하면 수출은 0.2%p, 수입 0.1%p,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0.1%p 상향 조정됐고, 건설투자는 0.8%p, 설비투자는 0.4%p 하향 조정됐다.

전반적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동기 대비 3.5% 상승했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뒤 100을 곱해 산출하는 GDP 디플레이터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반영하는 종합 물가지수다. ‘GDP 물가’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1.4% 증가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을 웃돌았다. 2분기에는 1.4% 감소하면서 2021년 3분기(-1.6%) 이후 11개 분기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다. GNI는 전체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산한 것으로, 실질 구매력을 가늠할 때 활용되는 지표다.

성장률 기여도에서는 순수출(수출-수입)이 -0.8%p를 기록했다. 거의 1%포인트 가까이 성장률을 깎아내린 것이다. 하지만 우려했던 내수가 성장률을 0.8%p 끌어올리며 이를 만회했다. 내수 중 세부 항목별 기여도는 △설비투자 0.6%p △민간소비 0.3%p △정부소비 0.1%p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5%p 끌어내렸다.

강창구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3분기 수출은 자동차와 화학제품 등 비IT 품목을 중심으로 줄어든 측면이 있다”며 “10월 반도체 물량 수출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플러스(+) 전환했지만, 지속될지 여부는 구조적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3분기에는 수출 증가 폭이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내수 회복에 힘입어 성장률이 플러스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경기 침체·원가율 악화’ 이중고

전문가들은 건설투자의 침체가 길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통상 건설투자의 역성장은 내수 침체가 깊어지는 신호로 풀이된다. 3분기 건설투자는 전분기 대비 -3.6%로 속보치(-2.8%)보다 0.8%p 감소 폭이 커졌다. 건설투자는 2분기(-1.7%)에도 후퇴하는 등 2분기 연속 역성장을 보였고, 지난해 3분기에 비해서도 5.7% 감소해 침체가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측면에서도 건설업은 2분기(-0.6%)에 이어 3분기(-1.4%)에도 역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악재가 겹치며 수익성이 악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한국건설기술협회(건기협)가 평가하는 건설공사비 지수는 9월 기준 130.45로 집계돼 5월 이후 다시 고점을 경신했고, 2020년과 비교하면 30% 이상 높아졌다.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건설사들의 원가율도 크게 악화했다. 원가율이란 매출액에서 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 80%를 적정 원가율로 평가한다. 건기협에 따르면 국내 대부분 건설사가 90% 이상의 원가율로 시름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는 건설 착공이 저조해 한동안 경제성장률 하방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 착공이 줄어들면 고용 및 소비가 일제히 감소하고, 이후 2~3년간 건설기성 지표 또한 악화하는 흐름을 보인다. 지난해 주택 건설 착공은 24만2,188가구로 2022년(38만3,404가구) 대비 36.8% 감소했다. 올해는 1월부터 9월까지 19만4,007가구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늘었지만, 여전히 2022년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철광석 가격 연초 대비 26% 하락

그나마 다행인 것은 건설업 부진의 주범으로 꼽힌 원자재 가격이 최근 상승세가 꺾였다는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의하면 4일 기준 철광석과 제철용 원료탄은 톤(t)당 각 106.45달러, 208달러 선에 거래되고 있다. 철광석은 올 1월 초 t당 143.95달러를 기록한 후 꾸준히 하락세에 있다. 현재 가격은 연초 대비 약 26% 하락한 수준이다. 원자재 가격의 하락은 원재료 구매 부담이 줄어들어 생산 기업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같은 원자재 가격 하락의 배경으로는 기록적인 강달러 현상을 꼽을 수 있다. 대부분 원자재가 달러로 거래되는 만큼 달러 강세가 원자재 가격 약세로 이어진 것이다. 내년 1월 취임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세금을 인하하고 막대한 국채를 발행하는 등 확장적 재정정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미국이 대규모 국채를 발행하면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달러 가치는 높아져 지금과 같은 강달러 현상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의 경기 침체 또한 원자재 가격 하락을 부추기는 요소다. 세계 최대 원자재 소비국인 중국의 건설 경기 침체로 철강재들의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재고가 증가한 것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의 산업 재고 규모는 지난 5월 기준 16조6,940억 위안(약 3,173조원)에 달했다. 이는 해당 통계가 집계된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영업 재개·새 주인 맞이 준비 나선 티메프 “2곳에서 인수의향서 받아”

영업 재개·새 주인 맞이 준비 나선 티메프 “2곳에서 인수의향서 받아”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매각 주관사, 스토킹 호스 방식 선택
한 달 넘게 인수의향서 ‘0건’
IPO 흥행 노린 수요 자극했나
사진=티몬, 위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초래하고 회생 절차에 돌입한 전자상거래 플랫폼 티몬·위메프(티메프)가 기업 정상화를 위한 발걸음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현재 영업 재개를 위한 준비가 한창인 가운데, 인수를 희망하는 기업이 등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인수 희망자와 매각 금액 등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매각 대금으로 피해 복구 예정

5일 업계에 따르면 조인철 티메프 법정관리인은 전날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는 티몬 본사에서 ‘티메프 영업 재개·M&A(인수합병) 성공을 위한 설명회’를 열어 영업재개 준비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M&A 성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조 관리인은 M&A와 관련해 “현재 두 곳에서 인수 의향서(LOI)를 제출한 상태”라고 밝히며 “현재로선 M&A만이 판매자 피해 복구를 위한 유일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조 관리인은 이르면 연내 M&A를 성사하고, 내년 3월께에는 매각 대금을 활용한 피해 복구에 나설 것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티몬과 위메프를 묶어 한 번에 매각하는 게 M&A 기본 원칙이며, 이를 통해 어느 정도의 피해를 복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조 관리인의 설명이다. 그는 다만 LOI를 제출한 기업과 매각 금액 등 구체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티메프는 현재 영업 재개 준비에 한창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 관리인은 “영업 재개를 위한 시장의 신뢰를 얻고자 에스크로(판매 대금 제삼자 위탁) 기반의 정산시스템을 도입하고, 정산 주기도 판매 후 최대 70일에서 10일로 단축하기로 했다”며 판매자와 카드사, PG(결제대행)사 등의 협조를 당부했다.

미정산 사태 당시 문제가 된 티메프의 2차 PG사 역할은 제거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판매자 수수료를 낮추고, 경쟁력을 확보해 종국에는 수익성을 빠르게 회복하겠다는 복안이다. 조 관리인은 “영업 재개는 M&A의 필요충분조건”이라며 “매각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매각가치를 증대하기 위해서라도 영업 재개는 꼭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한편 티메프 매각 주관사로 선임된 EY한영회계법인은 기업 실사 등을 통해 계속기업가치(존속가치)와 청산가치를 산정해 서울회생법원에 보고하는 조사위원도 맡고 있다. EY한영은 오는 13일 서울회생법원에 티메프 조사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업계는 해당 보고서에 판매자 피해 보상을 위한 M&A를 통한 기업 존속의 필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금까지 파악된 티메프 미정산 판매대금 규모는 1조3,431억원 수준이며, 피해 판매자는 약 5만5,000명이다. 소비자 미환불액은 1,254억원, 피해자 수는 약 46만 명이다.

신용 잃은 티메프, 시장에서 외면

앞서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10월 11일 조 관리인이 티메프 회생계획 인가 전 M&A를 추진하기 위해 EY한영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해 달라는 용역 계약 체결을 허가했다. 이후 매각 주관사는 ‘스토킹 호스(Stalking Horse, 제한적 경쟁 입찰)’ 방식으로 티메프 매각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일단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상태에서 공개경쟁 입찰을 병행,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원매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인수자를 확정하는 식이다.

하지만 한 달이 넘도록 LOI를 제출한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입찰 과정에서 인수에 관심을 보인 기업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모두 LOI를 제출하지 않았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티메프 인수에 관심을 보인 업체도 있었는데, 가격이 너무 높다고 판단해 결국 LOI를 제출하지 않았다”며 “신용에 기반한 사업을 하는 티메프가 이를 잃었고, 우발채무 우려와 시장에 미치는 파장 등이 크기 때문에 함부로 고액을 들여 인수에 나서려고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도 티메프 우발채무에 대한 매수자들의 우려가 큰 만큼 매각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란 예측이 주를 이뤘다. 스토킹 호스 방식에서는 우선매수권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곧바로 공개입찰에 들어서게 되고, 공개입찰에서도 인수자를 찾지 못하면 파산 절차가 진행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티메프가 ‘파산기업’ 낙인이 찍힐 것을 우려해 매각 금액을 대폭 낮출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기도 했다.

사진=뉴욕증권거래소

“롤모델은 쿠팡”

시장에서는 이번 티메프 M&A에 기업공개(IPO)를 통한 대규모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노린 수요가 반응한 것으로 평가했다. 기업 상장을 목표로 다소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더라도, IPO에만 성공하면 소위 ‘대박’을 거둘 수 있다는 심리가 만연하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성공하면 쿠팡, 실패하면 티메프”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쿠팡은 지난 2021년 3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하면서 첫날 시가총액 100조원을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흥행을 기록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법조계에서는 금융당국의 부실 관리 등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한 글로벌 IT기업 출신 변호사는 “자본잠식까지 오가는 상황에서도 사업 규모를 일단 키운 뒤 상장으로 엑시트하는 게 최근 이커머스 사업의 표본”이라고 꼬집으며 “다만 이커머스 업체들은 대체로 전자금융거래법상 규제를 받는데, 이를 관리·감독해야 할 금융당국이 몇 년 새 손을 놓고 있다”며 재무건전성 관리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역설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동아시아포럼] 일본 기업 ‘흑자 경영’이 드리운 저성장의 그늘

[동아시아포럼] 일본 기업 ‘흑자 경영’이 드리운 저성장의 그늘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일본, 버블 붕괴 이후 저축과 부채 상환에만 집중
기업들 ‘대출 기피’로 정부가 통화정책 통해 ‘민간 투자 대행’
천문학적 정부 대출, 경기 활성화 시 ‘치명적 영향’ 줄 수도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일본의 ‘대차대조표 불황’(Balance Sheet Recession, 기업과 가계의 부채 상환 집중으로 발생하는 경기 침체)은 1990년 자산 버블 붕괴로 시작해 20년 넘게 이어졌다. 해당 기간 기업과 가계는 빚을 갚고 저축을 늘리는 데만 온전히 몰입했는데, 특히 일본의 비금융 기업 부문은 부채 비율 축소를 위해 낮은 이자율에도 대출을 최소화하고 회계상 흑자를 유지했다. 하지만 이 같은 ‘부채 기피’는 일본 정부가 통화 정책의 효과성과 재정 적자 감축 목표를 희생하지 않고 경제 성장과 자금 수요 증가를 끌어내는 데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사진=동아시아포럼

일본 버블 붕괴 이후 ‘차입 축소’가 경기 침체 원인

일본은 1990년 부채로 부풀려져 온 버블이 붕괴하며 20년 넘게 ‘대차대조표 불황’(Balance Sheet Recession)에 시달렸다. 버블의 규모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도쿄 시내 임페리얼 팰리스 가든(Imperial Palace Garden)이 캘리포니아주 전체 가치와 맞먹을 정도였다. 이렇다 보니 기업과 가계가 진 빚을 갚고 이를 저축으로 채우는 데도 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다.

문제는 누군가 저축을 하고 빚을 갚고 있다면 누군가는 그 저축을 빌리고 소비해야만 경제가 돌아간다는 점이다. 1990년까지만 해도 일본 기업이 가계 저축을 빌려 투자한 금액은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12%에 달했다. 하지만 이후 급격한 대출 축소로 2003년에는 기업들 자체가 GDP의 11%에 이르는 저축 보유자가 됐고, 해당 기간 GDP의 23%에 상당하는 기업 대출 및 자금 수요 감소는 고스란히 경기 침체로 직결됐다.

당시 그 어떤 경제학자도 민간 부분이 수익 극대화 대신 ‘부채 최소화’에 주력하는 것이 경기 침체를 부를 수 있다고 예상하지 못했다. 결국 일본 정부는 이에 대응해 재정 지출을 늘려 민간 부문 잉여 저축을 경제 부문으로 재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정부 지출은 일본 GDP가 이후 30년 동안 버블 최고점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데 일부 기여했다. 해당 기간 급격한 자산 가치 하락으로 1989년 GDP의 세 배에 해당하는 국부가 사라진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업적으로 볼 수도 있다. 미국의 경우 대공황(Great Depression) 때 명목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의 46%가 줄어들었는데, 이는 1929년 GNP 1년 치에 해당한다.

기업들 대출 기피로 정부가 양적 완화 통한 ‘민간 투자 대행’

일본 기업들의 부채 상환이 마무리에 접어든 시점은 2012년이다. 일본 정부는 규제 완화와 기업 지배 구조 개선, 민영화를 밀어붙였고, 비자 조건을 완화해 일본을 찾는 관광객 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여기에 수입과 해외 인력 진출까지 개방함에 따라 일본은 30년 전 수준과는 비교도 안 되는 상품과 노동자 유입을 경험하게 됐다.

그러나 일본의 비금융 기업 부문은 지금까지도 저금리, 건전한 재무 구조, 우호적인 금융 환경에도 불구하고 차입을 허용하지 않는 ‘흑자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장기간에 걸친 부채 상환 경험이 기업들의 ‘부채 기피 성향’을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다수의 일본 기업은 현금흐름 경영(cashflow management)에 매달리는데, 이는 자본 지출(capital expenditure, 건물·장비 등 자본재 구입을 위한 지출)을 포함한 모든 자금 수요를 현금흐름 내에서 해결한다는 의미로, 대차대조표 불황에 대처하는 전형적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대공황 때 혹독한 부채 해소(deleverage) 과정을 겪어야 했던 미국인들도 대출 기피 현상을 보인 바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일본 기업은 여기에 더해 그나마 있는 자금 수요도 더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는 신흥 시장 투자를 위해 해외에서 해결한다. 아직도 정부가 민간 저축 잉여금을 직접 대출받아 시장에 공급할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일본, 서비스 산업 중심 자금 수요 증가 및 경제 성장 가능성

일각에서는 일본 경기 침체가 노동 가능 인구 감소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실제로 1995년에 최고점을 찍고 지금까지 15% 정도 감소한 것은 맞다. 단, 이러한 관점은 일본이 여성 및 노인 인구의 경제 활동 증가로 현재 사상 최고의 취업자 수를 기록하는 현실을 간과하고 있기도 하다. 일본이 안정적인 물가 및 임금을 유지한 채 작게나마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게다가 일본 노동 시장의 유연성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노동 시장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면서 일본은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심각한 인력난을 겪는 중이다. 이는 일본 서비스 기업들이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금 대출 및 투자를 실행한다면 일본 경제가 다시 성장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 경우 일본 정부 역시 대차대조표 불황 시작 이래 처음으로 재정 적자 축소를 시도하는 동시에 전반적인 일본 경제도 정상화될 수 있다.

금리 인상 시 정부 부채 이자 부담 '천문학적'

다만 이 같은 경제 정상화 가능성은 통화 정책 측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앞서 일본 중앙은행이 2013년부터 실시한 대규모 양적 완화 조치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까지 인플레이션 기조를 되살리는 데 실패했으며, 대부분의 자금이 은행권을 벗어나 실물 경제에 투자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은행 시스템 안에는 474조 엔(약 4,470조원)이 잉여 준비금으로 묶여 있다. 일본 GDP의 79%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런 잉여 자금은 수요가 없다면 문제될 것도 없으나, 실제 자금 수요가 나타날 경우엔 상당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자금 수요라는 것은 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설비나 장비 투자가 필요해지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이 현실화 하게 되면 일본은행은 금리 인상을 통해 수요를 억제해야 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 여기서 474조 엔 규모의 부채에 적용되는 고금리를 일본은행이 감당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이러한 대규모 지급 이자는 중앙은행 긴축 정책의 효과성을 저해하면서 재정 적자는 늘리는 이중의 부정적 효과를 발휘한다. 일본은행이 금리를 1% 인상하면 정부가 재정 적자 확대 방지를 위해 소비세를 2% 올려야 한다는 등식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일본이 간절히 기다려 온 자금 수요의 귀환이지만 일본은행이 통화 정책을 단계적으로 조정해 경제와 재정에 미칠 치명적인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속도 조절이 필요해 보인다.

원문의 저자는 리처드 C. 구(Richard C Koo) 노무라 연구소(Nomura Research Institute) 수석 이코노미스트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Borrowers nowhere to be seen as Japan enters its post-deflation era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대형 시중은행, 5,000만 달러 美 오피스 부실채권 매각 추진

대형 시중은행, 5,000만 달러 美 오피스 부실채권 매각 추진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대형 은행, ‘부실채권 매각 자문’ 위한 업체 선정
미국 부동산 700억원 규모 부실채권 매각 결정
美 현지 부동산 시장 침체, 상환능력 잃은 차주 다수

대형 시중은행이 미국 현지에서 대출을 내준 사무실에 대해 부실채권이 발생했다. 미국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공실률이 높아지는 등 수요가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영향이다.

뉴욕 소재 오피스, 부실채권으로

5일 금융권에 따르면 A은행은 최근 ‘부실채권 매각 자문’을 위한 용역업체를 선정한다는 내용의 공고를 냈다. 통상 은행들은 자금을 빌려준 차주가 빚을 상환하지 못하면 부실채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미리 잡아둔 담보물의 매각을 통해 자금을 충당한다.

이번 부실채권 대상은 미국 뉴욕에 있는 한 오피스다. 해당 오피스를 담보로 대출을 받은 차주가 빚을 갚지 못하면서 담보채권에 대한 매각을 진행하는 것이다. 지난 2일까지 업체들로부터 제안서를 받았고, 이달 중 매각을 위한 입찰을 추진할 방침이다. 매각 규모는 5,000만 달러(약 700억원) 수준이다. 다만 A은행이 가진 채권은 다른 채무자 대비 우선 변제받을 수 있는 선순위채권으로, 차주로부터 돌려받지 못한 대출금을 전부 충당할 수 있을 전망이다.

A은행이 부실채권 매각에 나선 배경에는 미국 현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오피스 수요 회복이 요원해진 가운데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이 높아진 결과다. 더불어 그간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 부담이 커지자, 이미 상환 능력을 잃은 차주들이 대거 발생한 점도 부실채권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미국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CPPI)는 여전히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가장 최근 수치를 보면 지난 10월 125.5로 1년 전(125.3)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2년 전인 2022년 10월(135.0) 대비해서는 약 7% 낮아졌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121.8로 작년 말보다 더 낮아지기도 했다.

이렇다 보니 해외 부동산 펀드도 손실을 면치 못하고 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해외 부동산 펀드의 최근 1년간 손실률은 6.60%에 달한다. 총투자액을 뜻하는 설정액 역시 감소 추세다. 올해 초 2조7,585억원이었던 해외 부동산 펀드 설정액은 지난 2일 기준 2조4,204억원으로 3,381억원 줄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美 WWP 부동산, 임차인 이탈로 EOD 위기

앞서 신한자산운용도 뉴욕 소재 상업용 부동산 월드와이드플라자(Worldwide Plaza·WWP)의 심각한 공실률로 인해 채무불이행(EOD) 사태에 직면한 바 있다. 2017년 신한자산운용이 대출을 진행할 당시만 해도 월드와이드플라자의 임대율은 92%에 달했다. 주요 임차인으로는 금융사 노무라홀딩스와 법무법인 크레바스(Cravath, Swaine & Moore) 등이 있었다. 노무라홀딩스는 2022년 임대 면적을 축소하면서 두 개 층을 반환했고, 오피스의 30% 이상을 임대 중인 크레바스는 지난 8월 다른 빌딩으로 이전했다.

대주단이 빌딩을 인수한 금액은 17억4,000만 달러(약 2조원)다. 골드만삭스는 상업용부동산 저당증권(CMBS)을 통해 9억4,000만 달러(약 1조800억원) 선순위 대출에 참여했다. 시니어 메자닌 대출은 1억9,000만 달러(약 2,200억원), 주니어 메자닌이 7,000만 달러(약 800억원), 에쿼티가 5억4,000만 달러(약 6,200억원)다. 이 중 신한자산운용은 약 2,200억원 규모의 중순위 대출을 주선했다. 신한지주 계열사 신한라이프가 앵커 투자자(LP)로 나섰고, 국내 보험사 4~5곳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그러나 빌딩 가치는 인수 당시 2조원에서 지난해 6월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지난 9월 주요 임차인들이 퇴거하면서 6,000억원까지 떨어졌다. EOD가 발생해 공매 절차를 진행한다고 해도, 선순위 1조원도 건질 수 없는 상황인 만큼 중순위인 신한자산운용 펀드는 전액 손실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최근 공실률 확대로 임대료 수입과 담보인정비율(LTV)이 떨어지면서, 대주단은 대출 원리금도 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선순위 CMBS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신용등급은 2017년 최상위 등급이었던 'AAA'에서 2023년 'BBB-'로 6단계나 떨어졌다.

부실 유발 대출자에 헐값 매각 사례도

이지스자산운용의 경우 해외 상업용 부동산 중순위 채권을 대출자에게 헐값에 되팔아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미국 오피스 ‘1551 브로드웨이 프로퍼티’ 중순위 채권을 와튼 프로퍼티에 1,800만 달러(약 250억원)에 매각했다. 당초 대출 규모가 1억4,000만 달러(약 1,980억원) 수준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서 지급된 이자를 포함한 원금 회수율은 29.86%에 불과하다.

1551 브로드웨이 프로퍼티는 뉴욕 타임스퀘어 인근 핵심 오피스다. 건물주이자 대출자인 와튼 프로퍼티가 2021년 7월 이자 등을 지급하지 않아 채무불이행이 발생, 중순위 채권자인 이지스운용의 원금 회수가 어려워졌다. 이에 이지스운용도 여러 자구책을 진행했으나 지난해 말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결국 와튼 프로퍼티에 채권을 매각하기로 하고 지난 4월 모든 절차를 마무리했다.

이를 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자산 부실을 일으킨 대출자에게 채권을 매각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컸다. 한 업계 관계자는 “뉴욕에서 한국 기관 투자자들은 디폴트를 일으킨 대출자에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헐값에 채권을 넘겼다”며 “해당 선례로 다른 한국 기관도 피해를 볼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업계 일각에서는 해당 건이 와튼 프로퍼티의 성공적인 투자 사례로 거론됐다는 얘기도 돌았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퀵커머스' 손잡은 배민·홈플러스, 새 국면 맞은 배달시장

'퀵커머스' 손잡은 배민·홈플러스, 새 국면 맞은 배달시장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홈플러스, 이커머스 공세에 배민과 '연합 전선'
급성장하는 퀵커머스 시장에 유통채널도 참전
배송 효율 높이고 예약 배송 등 서비스 다양화

'퀵커머스(Q-Commerce)'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대형마트와 배달플랫폼 간 합종연횡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최대 퀵커머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배달의민족에 이마트에 이어 홈플러스까지 입점하면서 유통업계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했다. 이들 기업의 협력이 물류 인프라와 빠른 배송을 강점으로 성장한 쿠팡의 영향력을 견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배민 플랫폼에 홈플러스 '마트 직송' 입점

4일 홈플러스는 배민 장보기·쇼핑 플랫폼을 통해 전국 108개 점포를 기반으로 한 '마트 직송'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마트 직송'은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당일 배송받거나,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맞춰 받을 수 있는 즉시 배송 서비스다. 홈플러스의 마트 직송 서비스는 전국 100여 개 매장에서 운영하며 홈플러스 자체브랜드(PB) 상품과 신선식품, 가전, 완구, 의류, 리빙·스포츠용품 등 다양한 제품들을 구비하고 있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해 '즉시 배송' 서비스를 배민에 입점시켰다. 즉시 배송은 고객 주문 후 인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에서 1시간 내외로 배송하는 서비스로 지난 10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증가했다. 즉시 배송 서비스가 배민 입점 후 성과를 거두자 이번에는 마트 직송까지 협업의 범위를 확장한 것이다. 이번 마트 직송으로 고객 선택권이 확대돼 즉시 배송과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으로 홈플러스는 기대하고 있다.  

배민은 입점 마트 중 처음으로 사륜차 배송을 도입해 홈플러스 대형·중량 상품의 배송 효율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또 상품 카테고리를 확대해 전자레인지, 밥솥과 같이 부피가 크거나 무게가 나가는 물건들도 배민 앱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아울러 최대 4일까지 예약배송 기능을 제공해 고객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였다. 홈플러스 마트 직송은 배민 장보기·쇼핑 내 대형마트의 예약배송 서비스를 최초로 제공한다.

출처=배달의 민족

유통업계의 '지각 변동', 쿠팡 독주에 도전

이번 배민과 홈플러스의 연대는 이커머스 시장을 선도하는 쿠팡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쿠팡은 강력한 물류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빠른 배송 서비스로 시장 1위의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특히 신선식품 새벽 배송 서비스 '로켓프레시'는 대형마트의 전통적 강점을 약화시키며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 반면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다양한 상품과 오프라인 상권 내 영향력을 갖췄음에도 온라인 경쟁력이 약하다. 유통산업발전법 규제로 새벽 배송 서비스 제공이 사실상 막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퀵커머스에 강점을 가진 배달앱 제휴는 부족한 배송 역량을 보완하고 신선식품 등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열쇠다.

실제 홈플러스는 배민과의 협업을 통해 온라인 배송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렸다. 기존에는 낮은 인지도와 제한적인 고객층으로 성장에 한계를 겪었지만 이번 협력을 통해 배민이 보유한 방대한 회원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기회를 얻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배민의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2,166만 명으로 업계 2위인 요기요(488만 명)를 크게 앞섰다.

배달앱 입장에서도 대형마트·SSM과의 제휴는 업계 2위로 올라선 쿠팡이츠를 견제할 수 있는 카드다. 배민은 홈플러스 입점으로 유통 채널 다각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배민은 지난 2021년 장보기·쇼핑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전자랜드, 삼성스토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를 시작으로 이마트에브리데이, GS더프레시, 이마트 등으로 협업의 범위를 확장 중이다. 지금까지 가전양판점, 편의점 4사, SSM, 대형마트까지 거의 모든 대형 유통 채널을 입점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배민은 이미 'B마트' 서비스를 통해 리테일 시장에 진출하며 직매입한 상품을 전국 70여 개 도심형 유통센터(PPC)에서 배송하는 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이는 단순히 배송 플랫폼의 역할을 넘어 리테일 생태계에서 경쟁 우위를 강화하는 전략으로 최근에는 대형마트·SSM과의 협력이 더해지면서 음식 배달을 넘어 식료품·생필품·디지털·패션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물류와 상품군을 확장할 기반을 마련했다. 배민의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배민에 입점하면서 고객 선택지가 크게 확대됐다"며 "앞으로 다양한 셀러들과 협력하며 고객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컬리

'퀵커머스' 도입되며 배달시장 경쟁 새 국면

업계에서는 이마트와 홈플러스 외에도 다양한 유통 업체들이 잇따라 퀵커머스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라스트마일 딜리버리(주문 상품이 고객에게 전달되는 마지막 단계) 경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퀵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0년만 해도 3,500억원 수준에 머물렀으나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한 이듬해부터 급성장하며 2021년 1조2,000억원으로 크게 성장했다. 오는 2025년에는 5조원가량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최근 들어서는 온오프라인 유통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자사 소비자 성향에 맞는 배송 서비스를 개발해 퀵커머스를 도입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컬리는 올해 6월 퀵커머스 서비스 '컬리나우'를 출시하고 서울 서대문구·마포구·은평구 일대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어 지난 10월에는 '컬리나우 도곡점'을 열고 서울 강남권역에서 즉시 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컬리나우는 고객들의 주문이 들어오면 서울 마포구의 PP(Picking&Packing·집품 및 포장) 센터에서 물건을 포장하고, 배달대행업체를 통해 고객에게 배송하는 방식으로, 배달 가능 지역에서는 오전 9시부터 밤 10시 사이 즉시 배송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즉시 배송 대상 상품은 컬리몰에서 판매 중인 상품 중 밀키트와 생활필수품, 뷰티 제품 등 4,500여개로 우선 주문이 가능한 품목은 현재 새벽 배송 상품의 10~20% 수준이다.

편의점 업계도 퀵커머스 서비스를 확대하며 업계 내 입지 굳히기에 돌입했다. GS25는 배달 주문이 많은 치킨·피자·떡볶이 등에서 신상품을 출시하며 '배달 음식 시장' 공략에 나섰다. CU도 완제품을 비롯해 군고구마, 닭꼬치, 핫도그 등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올해 9월까지 누적 배달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136.0% 확대됐다. 더욱이 해당 상품은 배달 1건당 객단가가 오프라인 매장 이용객보다 2.5배 높아 수익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실제로 올해 1~9월 앱 배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7% 증가했다.

이마트는 퀵커머스 철수, 관건은 '수익성'

다만 수익성이 관건이다. 앞서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들은 수익성 개선을 위한 비용 절감 차원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던 퀵커머스 서비스를 접었다. 롯데마트와 롯데온은 지난 5월 퀵커머스 서비스인 '바로 배송'을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 '바로 배송'은 롯데온의 롯데마트몰에서 제품을 사면 2시간 이내에 상품 배송을 보장하는 서비스로 주문한 상품은 롯데마트 오프라인 매장에서 바로 출고된다.

롯데마트는 당초 퀵커머스 운영 점포 50개를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바로 배송 운영 점포를 30여 개까지 늘렸지만 올해 초 운영 점포 수를 15개까지 줄였고 결국 사업을 철수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고 오프라인 활동이 늘어나자, 상황이 변했기 때문이다. 오프라인 활동이 증가하면서 배송 수요가 줄어들며 퀵커머스 사업 수익성이 떨어진 것이다.

이마트도 수익성 등을 고려해 퀵커머스 사업에서 물러섰다. 이마트는 2022년 4월부터 논현, 반포 등 서울 강남 일부 지역에서 선보였던 퀵커머스 서비스 '쓱고우' 시범 서비스를 지난해 말 종료했다. 쓱고우는 도심형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MFC)를 활용해 소비자가 상품을 1시간 이내 배송하는 서비스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수익성 개선을 강조하며 이마트 역시 체질 개선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있었던 이마트와 이마트에브리데이 합병도 같은 맥락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미국 경제 강하다" 파월 美 연준 의장, 금리 인하 신중론 재확인

"미국 경제 강하다" 파월 美 연준 의장, 금리 인하 신중론 재확인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파월 의장 '신중론'에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 커져
탄탄한 경제 성장·물가 하락세 둔화가 영향 미쳤다
다가오는 12월 FOMC, '매파적 금리 인하' 가능성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재차 금리 인하 '신중론'을 강조하고 나섰다. 미국의 탄탄한 경제 상황을 고려해 차후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파월 의장 "경제 성장세 생각보다 강해"

파월 의장은 4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뉴욕타임스(NYT) 주최로 열린 ‘딜북 서밋’에 참석, 인터뷰를 통해 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적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노동 시장은 나아졌고, 노동 시장의 하락 리스크 역시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 성장세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확실히 강하며 인플레이션은 조금 높게 나왔다"고 평가했다. 이어 "좋은 소식은 우리가 중립금리를 찾으려 노력하는 과정에서 좀 더 신중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됐다는 점"이라고 발언했다. 중립금리란 경제 성장을 촉진하지도 않고 저해하지도 않는 수준의 금리를 말한다.

시장에서는 파월 의장이 이날 인터뷰를 통해 지난달 14일 공개 석상에서 내비쳤던 입장을 재확인했다는 평이 나온다. 그는 당시 "경제가 금리 인하를 서둘러야 한다는 신호를 보내지 않고 있다"며 "현재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경제 강세로 인해 우리는 금리 결정에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됐다"고 발언하며 신중론을 펼친 바 있다.

美 경제 '연착륙' 조짐

현시점 미국 경제는 지표상 '연착륙'을 향해 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지난 9월 "위험이 있지만 (강한 성장을 유지하면서) 지금처럼 유의미하게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었던 것은 정말 놀랍다"면서 "이는 대다수가 연착륙이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임금이 대량 실업 없이 인플레이션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월별 고용 증가세도 노동시장 신규 진입자를 흡수하는 데 필요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다.

경제 성장률 역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올해 3분기 미국 경제는 2.8%(속보치·직전 분기 대비 연율) 성장했다. 지난 2분기(3%)에 이어 3분기에도 탄탄한 성장세를 입증한 것이다. 이 같은 미국 경제의 성장 흐름은 여타 선진국과의 비교에서도 두드러진다. 지난 10월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미국의 경제가 2.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캐나다(1.3%), 독일(0%), 영국(1.1%), 프랑스(1.1%) 등의 성장 전망치를 훌쩍 웃도는 수준이다.

반면 물가 하락세는 둔화하고 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10월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 상승폭이 9월(2.1%) 대비 소폭 확대된 것이다. 같은 기간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2.8% 올랐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섣불리 인하할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된 셈이다.

12월 0.25%p 인하 전망

이런 가운데 주요 투자은행 등은 연준이 12월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4일 CNBC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전략가들은 최근 고객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연준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0.25%p 인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BofA는 "트럼프 당선 이후 인플레이션 반등을 둘러싼 경고음이 커지고 있지만, 연준이 올해까지는 금리 인하 경로를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며 "11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더라도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낮다"고 짚었다. 이어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의 발언을 인용해 "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긴축 정책을 펼치진 않을 것"이라며 "11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예상보다 약하면 금리 인하 필요성이 강화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증권가에서도 유사한 전망이 제기된다. 5일 iM증권은 "12월 FOMC 회의에서 25bp 추가 금리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지만, 고민은 내년 인하 속도"라며 "예상보다 견조한 경기와 다소 쉽게 잡히지 않는 물가 사이에서 미 연준의 고민도 깊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연준은) 12월에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하고, 내년 1월 FOMC 회의에서는 금리 인하를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져줄 가능성이 있다"며 "자산 시장과 경기 과열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억제하고 물가의 끈적임을 해소하기 위해 금리 인하 사이클이 숨 고르기에 들어갈 여지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롯데그룹 ‘자산 매각 릴레이’, 이번엔 롯데호텔 “L7·시티 일부 매각”

롯데그룹 ‘자산 매각 릴레이’, 이번엔 롯데호텔 “L7·시티 일부 매각”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매각 규모 6,000억원 수준
재무 ‘빨간불’, 차입금 의존도 49.5%
면세점 부진에 실적도 악화일로

롯데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호텔롯데가 자산 유동화에 팔을 걷어붙였다. 보유 중인 호텔 일부를 매각한다는 계획을 밝히면서다. 또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면세점 사업부에 대해서는 비상 경영 체제에 이어 새로운 수장과 함께 분위기 전환을 도모한다. 한동안 별다른 호재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면세점 업계는 롯데면세점이 새로운 경영 체제를 기반으로 수익성 개선을 이뤄낼 수 있을지 주목하는 모습이다.

‘유동성 확대’ 전면에 내세워

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지난달 28일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호텔롯데의 유동성 확대를 위해 L7과 롯데시티호텔 가운데 2~3곳의 매각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또 해외에서 운영 중인 부실 면세점을 철수하고, 잠실 롯데월드타워 내 면세점 면적을 축소해 고정비를 절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재 호텔롯데는 국내외에 시티호텔 8개, L7 호텔 6개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2분기 기준 호텔롯데가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공시지가가 6조7,360억원에 달하는 만큼 그 가운데 일부를 처분해 유동성을 확보한다는 게 롯데 측의 구상이다. 매각 규모는 6,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호텔롯데가 핵심 자산인 호텔 매각을 검토하는 배경으로는 급격히 악화한 재무 건전성이 꼽힌다. 공시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호텔롯데가 1년 내 상환해야 할 단기차입금은 2조3,061억원이며, 전체 차입금 규모는 8조7,616억원 수준이다. 반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7,108억원에 불과하다. 연결 기준 차입금 의존도는 49.5%에 달한다.

계속된 계열사 지원도 호텔롯데의 재무 건전성 악화를 부추겼다. 먼저 지난해에는 롯데건설 유동화 특수목적법인에 대한 후순위대출(1,500억원)과 선순위대출(9,000억원)의 이자에 대한 자금 보충 등을 지원했다. 호텔롯데는 롯데케미칼(44.02%)에 이은 2대 주주로, 그간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 등으로 롯데건설에 자금을 조달해 왔다.

올해는 롯데렌탈 총수익스왑(TRS) 정산에 따른 추가 지분 인수에 2,600억원을 투입했고 이에 더해 시카고 킴튼호텔 인수, 창이공항 면세점 관련 투자 등 굵직한 투자도 진행했다. 롯데그룹은 IR에서 11월 기준 호텔롯데의 현금성 자산이 1조1,000억원대라고 강조했지만, 신용등급 하향 검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서울 송파구에 있는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매장 모습/사진=롯데면세점

매장 축소·철수 등 경영 효율화

호텔롯데의 사업은 호텔, 면세점, 월드 등 크게 3개 부문으로 구분된다. 연 매출은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2019년만 해도 7조3,965억원, 영업이익은 3,183억원에 달했지만, 팬데믹 이후 줄곧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4조7,540억원으로 2020년에 비해 24%가량 증가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적자(-4,976억원)에서 흑자(1,326억원)로 전환했다. 하지만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면세 사업이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못하면서 올 3분기 호텔롯데의 누적 영업이익은 28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 면세사업부의 3분기 매출은 해외사업 매출 증가에 기인해 7,994억원으로 8% 증가했지만, 영업손실 460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98억원 손실)보다 적자 폭을 키웠다. 고환율에 따른 상품원가 상승, 희망퇴직 시행으로 인한 퇴직급여 증가 등이 손실을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호텔롯데는 지난 8월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과정에서 위로금으로 약 160억원을 지출한 바 있다.

여기에 해외 면세점의 실적 부진도 한몫했다. 현재 롯데면세점은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에서 시내면세점 4곳과 공항면세점 10곳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들 대부분 적자를 거듭 중이다. 호주 멜버른과 브리즈번 면세점 운영 법인은 지난해 35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베트남 합작법인도 240억원의 순손실을 떠안았다. 일본 간사이점의 순손실액 또한 32억원에 달했다.

롯데면세점은 실적이 부진한 해외 면세점을 정리하고, 국내에서도 경영 효율화를 서두를 계획이다. 당장 이달 10일에는 서울 명동에서 운영 중인 시내면세점 나우인명동(옛 LDF하우스)이 문을 닫는다. 해당 매장은 임대 기간이 남은 상황이지만, 지난 9월부터 진행한 디즈니 픽사 팝업스토어를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비상 경영에 따른 매장 효율화 작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대표 선임, 수익성 개선에 총력

본격적인 분위기 전환을 위해 새로운 대표이사도 맞이했다. 롯데그룹은 지난달 28일 2025년 정기 임원인사에서 김동하 롯데지주 HR 혁신실 기업문화팀장 전무를 롯데면세점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이번 인사로 지난 2년 동안 롯데면세점을 이끌었던 김주남 전 대표는 용퇴하게 됐다.

롯데면세점의 새로운 수장이 된 김 전무는 ‘정통 롯데맨’으로 꼽힌다. 1997년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에 입사한 이후 롯데 정책본부 개선실과 롯데슈퍼 전략혁신부문장, 경영지원부문장, 기획지원부문장 등을 두루 거쳤다. 이후 2022년에는 롯데지주 기업문화팀장을 맡아 그룹의 노무와 생산성 관리를 책임졌다. 롯데는 김 전무의 높은 유통업 이해도와 강한 추진력이 면세점 사업과 조직을 개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로운 대표이사의 최우선 과제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는 롯데면세점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일이다. 팬데믹만 끝나면 모든 게 회복될 줄 알았던 기대감과 달리, 면세 업계는 현재 혹한기를 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간 면세 업계의 ‘큰 손’으로 불리던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의 발길이 끊긴 탓이다. 앞으로도 최소 2~3년은 큰 호재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롯데면세점 내부에서는 김 전무가 비용 감축 및 구조조정 등을 통해 수익성 개선을 모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대내외적 환경 변수들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전반적으로 기초체력을 잘 다지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매년 2조 상납' 국내 게임사들, 구글·애플 갑질에 단체행동 채비

'매년 2조 상납' 국내 게임사들, 구글·애플 갑질에 단체행동 채비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유럽은 17%인데 한국은 30% 고수
국내 게임사, 양대 마켓에 매년 2조 지급
수수료 낮추면 '수천억 수익 개선' 효과

글로벌 애플리케이션(앱) 마켓 시장을 양분하는 구글과 애플의 과도한 ‘통행료’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힘을 받고 있다. 국내 게임사들의 연간 인앱결제 수수료 피해 규모만 2조원이라는 추산이 나오는 가운데, 수수료 인하가 현실화하면 업체들의 즉각적인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45개 국내 게임사, 손배 소송 준비

5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한국모바일게임협회는 구글·애플의 앱마켓 독과점으로 인한 피해를 주장하며 손해배상 집단조정 참여사를 모집하고 있다. 현재까지 모인 게임사는 스타코링크를 포함해 45개사에 달한다. 조정은 특허법인 위더피플(We the People)과 미국 로펌 하우스펠드 LLP(Hausfeld LLP)가 주관하며 미국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미국에선 손해배상 청구 권한을 상당 기간 행사하지 않으면 법원이 청구를 기각할 수 있는 만큼 연내 집단조정을 개시할 방침이다.

한국모바일게임협회는 구글과 애플이 시장 지배력을 활용해 높은 수준의 결제 수수료를 책정했고 이를 통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개발사로부터 9조원 이상을 챙겼다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ESD(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 플랫폼은 구글플레이, 앱스토어, 갤럭시스토어, 원스토어 등 4개가 대표적이지만, 국내 개발사 매출의 80% 이상이 구글과 애플의 앱마켓에서 발생한다.

현재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는 연매출 100만 달러(약 14억원) 이상인 개발사를 대상으로 30%의 인앱결제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2021년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애플과 구글은 외부 결제 수수료(4%)를 제외한 26%를 결제 수수료로 책정하고 사실상 법안을 무시하는 모습이다. 이영기 위더피플 변호사는 “이제껏 한국에서 아무도 청구를 안 해서 문제가 안 됐던 것”이라며 “한국법에서는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국내 개발사들과 계약할 때 미국법을 근간으로 했기 때문에 지금 제기하면 청구권이 인정된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구글·애플이 한국에서 특히 많은 수수료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수수료 인하 시 게임 업계의 영업이익률이 대폭 상승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임희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30% 수준인 구글·애플의 앱 결제 수수료가 애플의 유럽 수수료(17%) 수준으로 낮아지면 주요 게임사들은 수백~수천억원의 영업이익 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대형 게임사 중 모바일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넷마블(92%)의 경우 예상 지급 수수료 규모가 7,190억원에서 4,070억원으로 줄어 3,120억원을 버는 셈이 된다. 이어 엔씨소프트는 1,260억원, 크래프톤은 710억원의 실적 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EU·미국, 반독점 행위에 철퇴

국내 게임업계의 이 같은 움직임은 해외에서 불고 있는 수수료 인하 요구의 연장선상에 있다. 유럽연합(EU)은 올해 3월부터 디지털시장법(Digital Markets Act, DMA)을 시행하며 앱스토어의 독점적 인앱결제 수수료를 제재했다. 지난 6월에는 앱스토어 운영방식이 DMA 위반에 해당된다고 잠정 결론을 내리고, 수십조원에 이르는 과징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결국 애플은 유럽에서의 결제 수수료를 30%에서 17%로 낮추기로 했다.

미국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에픽게임즈가 구글을 대상으로 제기한 반독점 소송에서 미국 법원은 구글의 인앱 결제 수수료 정책이 반독점법을 위반했다고 판시했다. 이어 재판부는 지난 10월 7일 구글플레이에 입점한 앱에 지금까지 금지해 온 제3자 결제 수단을 허용하도록 명령했다.

이 밖에 2022년 구글플레이의 30% 수수료 정책에 대한 반독점 소송에서 미국 4만8,000여 개의 앱 개발사가 9,000만 달러(약 1,27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을 받은 사례도 있다. 이에 유럽과 미국을 비롯해 다른 세계 국가들로 앱 마켓들의 생태계 개방 정책이 확장될 가능성도 제기되는 분위기다. 미국 등 각지에서 소송이 잇따르고 있는 만큼 애플이 유럽 지역에서만 수수료를 17%로 낮추는 정책을 고수하기는 힘들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 경우 애플의 경쟁사인 구글도 수수료를 따라 인하할 것으로 관측된다.

구글, 집단조정 참여 게임사 회유

한편 인앱결제와 관련한 손해배상 집단조정에 참여하려는 국내 게임사들이 늘자, 구글이 일부 게임사를 대상으로 회유를 시도한 정황이 드러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구글이 국내 게임사들에 집단조정 및 집단소송에 참여하지 않도록 회유하면서, 이를 대가로 앱 피처링 광고 노출 횟수를 늘려주는 등의 혜택을 제안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구글이 이처럼 차별적 혜택을 제공하는 행위가 불법 행위를 방조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공정거래법 제45조에서 금지하는 부당지원을 받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차별적 혜택을 수용한 기업들이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불법 행위에 가담한 경우에는 ‘배임죄’에 해당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경실련은 구글의 차별적 혜택 수령이 도덕적으로 큰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구글이 국내 게임사들로부터 연간 수조원에 이르는 수익을 얻고 있음에도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 소비자와 국고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구글의 차별적 혜택을 수령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음을 역설했다.

경실련은 나아가 구글의 차별적 혜택 수령이 불공정 경쟁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전수조사를 요청했다. 국내 게임시장은 집중도가 높고 주요 게임사들의 시장 지배력이 강하기 때문에 불공정 거래 행위가 인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한 경실련 관계자는 “구글의 차별적 혜택 수령은 불법 행위를 방조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중단하지 않으면 관련 기업들이 법적·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양대 앱마켓은 집단조정이나 정부 대응이 나오기 전에 일부 게임사를 상대로 개별 합의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게임업계 일각에서는 개별 개발사 합의는 집단 합의보다 손해배상이 높을 수 없다는 점에서 향후 회사와 주주 배임 등의 법적 책임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