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딥파이낸셜] ‘경제 불확실성’만 없앨 수 있다면?

[딥파이낸셜] ‘경제 불확실성’만 없앨 수 있다면?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거시경제 안정 대가로 “평생 소비 5% 포기 가능”
인플레이션도 마찬가지
경기 불안정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 “크고 직접적”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경기 침체로 직업을 잃을 위험이 없고 인플레이션이 구매력을 약화시키지도 않으며 금융 위기도 없는 세상을 상상해 보자. 사람들은 그런 경제 안정을 얻기 위해 얼마나 희생할 용의가 있을까? 최근 13개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응답자들은 경기 변동을 없앨 수만 있다면 평생 소비의 5%를 줄일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또한 인플레이션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어도 비슷한 만큼을 희생하겠다고 답했다.

사진=CEPR

경기 변동 없다면 평생 소비의 5% “희생할 용의”

전통적인 거시경제학 이론은 경기 변동이 전반적인 복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주장해 왔다. 소비자들이 경기 하락 충격을 저축과 계획을 통해 최소화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실 세계의 소비자들은 경제 불안정을 지금까지 생각하던 것보다 훨씬 파괴적으로 여기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들은 경기 변동을 제거할 수만 있다면 평생 소비의 5~6%를 희생할 용의가 있다. 인플레이션율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어도 마찬가지의 희생을 용인할 수 있다. 이는 전통적 경제학 이론의 예상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경기 변동이 전 세계 국민들의 재정적 안정과 전반적인 복지에 직접적이고 확실한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불안정성 높은 국가 국민이 지불 의사도 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평생 소비를 희생하면서까지 경기 변동을 피하고 싶어하는 것일까? 가장 먼저 경기 변동으로 인한 아픈 경험이 답으로 나온다. 역사적으로 경제 불안정 지역의 거주민들이 안정을 위한 지불 의사 금액도 높았다. 예를 들면 독일이나 네덜란드처럼 조사 대상국 중 안정적인 경제 환경을 가진 나라의 소비자들은 3~4%의 지불 의사를 나타낸 반면, 스페인이나 그리스처럼 심각한 경제 불안정을 경험한 국민들은 그 두 배에 가까웠다.

또한 경기 변동에 따라 소득과 소비가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국민들은 경기 침체를 훨씬 고통스럽게 느끼고 안정도 간절하게 원했다. 경기 변동에 따른 소득 민감도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인 미국 소비자들도 가장 높은 수준의 지불 의사를 밝혔다. 여기에 사람들이 느끼는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한 불투명성도 큰 역할을 했다. 실업률이나 인플레이션율 변동 폭이 클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들이 그에 비례하는 지불 의사를 밝힌 것이다.

경기 변동과 지불 의사 간 상관관계
주: 실업률(1991~2023년) 표준편차(X축), 지불 의사(Y축), 오스트리아, 한국,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독일, 핀란드, 포르투갈, 아일랜드, 스페인, 그리스(좌측부터) / 경제 불확실성 표준편차(X축), 지불 의사(Y축), 소비 불확실성(Personal consumption uncertainty), 회귀 계수(Beta, 불확실성 1%P 변화에 따른 지불 의사 변화를 나타냄), 국내총생산 성장 불확실성(GDP growth uncertainty)/출처=CEPR

경제 안정 가능하다면 “많은 것 희생 가능”

인플레이션도 소비자들에게는 무시하기 힘든 걱정거리다. 많은 응답자들이 인플레이션율의 급격한 하락을 원했고 최근 오른 만큼의 조정을 원하는 이들도 다수였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희생할 수 있는 가치는 얼마나 될까? 이 역시 응답은 평생 소비의 5% 수준이었다.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한 사람들일수록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지불 의사도 높았다.

인플레이션 수준과 지불 의사 간 상관관계
주: 인플레이션 불확실성(X축), 지불 의사(Y축), 회귀 계수(Beta, 인플레이션 1%P 변화에 따른 지불 의사 변화를 나타냄) / 평균 인플레이션율(1991~2023년)(X축), 지불 의사(Y축), 프랑스, 핀란드, 독일, 아일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미국, 스페인, 포르투갈, 한국, 그리스(좌측부터)/출처=CEPR

지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도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高인플레이션에 시달려 온 인구들은 상승폭에 비례하는 하향 조정을 원했다. 또한 인플레이션은 변동성이 크고 불안정한 경제 변수로 여겨졌다. 여기에 다수의 소비자는 인플레이션을 경기 하락 지표로 생각해 인플레이션 통제가 정책 우선순위가 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경기 변동 관련 지불 의사와 인플레이션 관련 지불 의사 간 상관관계
주: 경기 변동 지불 의사(X축), 인플레이션 지불 의사(Y축), 상관 계수(p)/출처=CEPR

지금까지의 결과는 개인들이 계획을 통해 소비를 조절한다는 전통적인 거시경제 모델을 반박한다. 그보다는 경제 안정을 간절히 원하며 가능하다면 많은 것을 희생할 용의가 있다는 것이다. 경제 이론과 실제 소비자 정서 사이 상당한 괴리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어찌 보면 경제학자들에게 경제 안정은 기술적 이슈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경제 불안정은 가구들의 안정과 복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경제 정책 역시 경기 변동 최소화와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제거를 우선순위로 해 대중의 가치와 선호를 대변할 필요가 있다.

원문의 저자는 디미트리스 게오르기라코스(Dimitris Georgarakos)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 DG-리서치(DG-Research) 수석 이코노미스트 외 8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The perceived costs of business cycles and inflation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파이낸셜] 베트남은 ‘중진국 함정’ 통과할 수 있을까?

[딥파이낸셜] 베트남은 ‘중진국 함정’ 통과할 수 있을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베트남, 경제 성장 목표 달성 ‘불투명’
제도적 비효율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극복해야
과감한 결정과 실행 없으면 “정체 못 벗어나”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베트남은 기술 기반 성장과 산업 현대화를 통해 2045년까지 고소득국(High Income Nation)이 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향해 달리고 있다. 하지만 해당 목표 앞에는 제도적 비효율부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까지 만만치 않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베트남의 우선순위 과제는 구조 개혁을 단행하고 무역 전략을 새롭게 개발하며 과감한 투자 의사 결정을 도입하는 것이다. 또한 정치적 책임 강화와 연구개발 투자 및 교육 발전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사진=동아시아포럼

베트남, 2045년까지 ‘고소득국’ 진입 목표

베트남 공산당은 내년으로 예정된 ‘14차 전국대표대회’(14th National Congress)에서 ‘도약의 시대’(era of rising)를 공식적으로 선포할 계획이다. 또 람(To Lam) 총서기와 팜 민 친(Pham Minh Chinh) 총리도 경제 현대화와 디지털 전환, 산업 구조의 개선을 부르짖고 있다. 하지만 선언과는 다르게 베트남은 여전히 저비용 제조업과 해외 직접 투자에 심각하게 의존해 장기적 경제 성장 잠재력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

첨단 산업과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정부 정책에도 불구하고 관료주의와 일관성 없는 정책이 민간 분야 성장을 방해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과단성 있는 제도 개혁을 통해 투명성을 제고하고 의사 결정 구조를 단순화하지 않으면 발전이 아닌 정체에 머물 위험이 크다.

제도적 한계와 글로벌 공급망 변화가 ‘성장 위협’

베트남의 경제 전략은 본격화하는 미국의 보호주의를 포함한 글로벌 무역의 양상을 감안해 수립돼야 한다. 미국의 리쇼어링(reshoring, 제조 및 서비스의 자국 재이전)과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도입이 베트남의 수출 주도 경제에 심각한 장애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베트남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he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과 역내 포괄적 경제 파트너십(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에 속해 있다 해도 구조적 한계 때문에 해당 협정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반도체 제조 및 디지털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영역에서 미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베트남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 상황에 대응해 전략적 우위를 지켜 나가기 위해서는 더 능동적인 무역 외교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 불균형과 관료주의가 “발목 잡을 수도”

베트남이 목표로 하는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6~7%도 비효율적인 자원 배분으로 달성이 불투명하다. 공공 부문 투자는 홍강 삼각주(Red River Delta)와 호찌민시가 위치한 동남부 지역에 치우쳐 성장 잠재력을 가진 지역들이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이러한 불균형이 지역 간 인프라 및 서비스 격차를 벌려 장기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도 크다.

도시화는 급속도로 진행돼 도시 지역 인구는 2010년 30.5%에서 2022년 41.5%로 늘었다. 그 결과로 호찌민시를 비롯한 주요 도시들은 인프라 부족에 시달리는 반면 탄 호아(Thanh Hóa)를 비롯한 농촌 지역은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보다 역동적이고 장기적 영향을 고려한 투자 전략이 세워져야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경제 성장이 전국에 걸쳐 이뤄질 수 있다.

이와 함께 ‘불타는 용광로’(burning furnace)로 불리는 반부패 캠페인이 통치 체제에 대한 신뢰로 연결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관료주의적 기능 마비를 부르기도 했다. 조사를 두려워한 관료들이 대규모 경제 정책 및 인프라 투자 승인에 미온적이기 때문이다. 발전을 이어가고 싶다면 베트남 정부는 책임 추궁과 효율적 의사 결정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규제 장치의 투명성 제고도 국내외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도 개혁, 인적 자원 개발, 혁신 분야 투자 “시급”

2023년 기준 세계은행(World Bank)의 분류에 따르면 고소득국은 1인당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이 13,205달러(약 1,919만원) 이상이어야 한다. 베트남의 현재 1인당 국민총소득이 대략 4,110달러(약 597만원)이니 아직 갈 길이 너무나 멀다.

여기서 대한민국과 싱가포르는 반드시 참고해야 할 대상이다. 두 나라 모두 목표지향적 개혁과 인적 자원 개발, 혁신 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고소득국 지위에 올랐기 때문이다. 반면 일부 동남아 국가들이 구조적 장애 극복에 실패해 ‘중진국 함정’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두 선진국의 선례를 따르려면 베트남은 교육 개혁 및 연구개발 투자 증대와 함께 더 많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베트남 지원 산업(supporting industry) 발전 방향을 규정한 ‘법령 제111호/2015/ND-CP’(Decree 111/2015/ND-CP)의 실행이 지체되고 있어 더욱 강력한 정책 실행이 절실하다.

향후 20년이 ‘중진국 함정’ 시험대

또한 중진국 함정을 통과하는 것이 단순히 수치적 목표의 달성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장기 성장은 제도 수준과 경제적 다양성, 혁신 생태계의 발전에 달려 있다. 지난 1월 ‘과학, 기술, 혁신 및 국가 디지털 혁신에 관한 전국 회의’(National Conference on Breakthroughs in Science, Technology, Innovation and National Digital Transformation)에서 또 람 총서기 역시 과학기술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현재 베트남 정부는 연간 예산의 3%를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집행액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 간극을 메우기 위해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연구개발 지원 예산을 GDP의 2%까지 늘릴 계획이다. 해당 계획은 작년 12월 정치국 결의안 57호(Politburo Resolution No. 57)를 통해 의결된 바 있다.

‘도약의 시대’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베트남이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고소득 국가로 거듭날 수 있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시험 과제다. 향후 20년이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할지, 정체 상태에 머물지를 결정할 것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과감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제도 개혁을 단행하고 고부가가치 투자를 유인할 수 있는 정책을 실행해 혁신 기반 성장 모델로 나아가야 한다. 국가 주도 계획과 시장의 역동성이 조화를 이뤄야 베트남의 경제적 지위도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원문의 저자는 도 꽝만 린(Do Khuong Manh Linh) 베트남 국립정치아카데미(National Academy of Politics) 정치국제관계연구소(Institute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연구원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Can Vietnam’s ‘era of rising’ break the middle-income trap?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메리츠화재도 손 뗐다" MG손보 매각, 노조 반대 끝에 재차 불발

"메리츠화재도 손 뗐다" MG손보 매각, 노조 반대 끝에 재차 불발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메리츠화재, MG손보 우협 지위 반납
노조 '몽니'에 매각 절차 지연돼
청·파산 시 소비자 피해 확산 우려

메리츠화재가 MG손해보험의 인수를 포기했다. MG손보 노동조합의 반대로 실사 등 매각 절차가 차일피일 지연되자, 끝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내려놓은 것이다.

MG손보 매각 '또' 무산

13일 메리츠화재는 입장문을 통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MG손보 보험계약을 보험한 자산부채이전(P&A) 거래의 우협으로 선정됐지만, 기관의 입장 차이 등으로 지위를 반납한다”고 밝혔다. 덧붙여 메리츠금융은 이날 이사회 결의를 통해 예보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통지를 발송했다고 전했다.

이에 같은 날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예보와 공동으로 자료를 내고 "2022년 4월 MZ손보를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한 뒤 이미 3년이 경과한 상황"이라며 "매각 절차가 지연되면서 MZ손보의 건전성 지표 등 경영 환경은 지속적으로 악화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로 인해 시장에서도 MZ손보의 독자 생존에 대해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이를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안에 대해 금융위와 금감원, 예보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짚었다.

MG손보 노조의 반발

메리츠화재가 우협 지위를 반납한 배경에는 노조의 강력한 반발이 있다. 지난 1일 9일 메리츠화재와 예보가 MG손보 본사에서 실사에 착수했을 당시, 노조는 실사 요청 자료에 민감한 경영 정보 및 개인 정보가 담겨 있다는 이의를 제기하며 실사를 무산시킨 바 있다. 이에 예보는 메리츠화재, MG손보와 함께 법률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노조의 이의 제기 사항을 해소할 수 있는 실사 방안을 마련한 후 지난달 7일 실사를 재시도했다. 하지만 노동조합은 예보가 제시한 실사 방안을 수용하지 않았고, 기존과 유사한 문제 제기를 지속하며 또다시 실사를 막았다.

이후 예보는 지난달 26일에서야 MZ손보 노조와 실사에 대한 합의를 마쳤으며, 관련 공문을 메리츠화재에 회신했다. 2월 28일부터 실사를 할 수 있고, 고용 규모와 위로금 수준은 실사 개시 후 협의하게끔 노력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이어 지난 11일 예보는 메리츠화재와 MZ손보 노조, MZ손보 대표관리인 등에 고용수준 등 협의를 위한 회의를 요청했으나, 노조 측이 불참하며 회의가 무산됐다.

MG손보 노조는 메리츠화재가 인수합병(M&A)이 아니라 P&A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에 불만을 품은 것으로 알려졌다. P&A는 부실 금융기관의 자산과 부채를 우량 금융기관이 인수하는 방식으로, M&A와 달리 고용 승계 의무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메리츠화재는 MG손보 인수 시 소수의 직원만을 승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반면 MG손보 노조는 100% 고용 승계를 주장했다.

그러나 예보는 MG손보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라도 빠른 시일 내로 P&A 방식의 매각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와 관련해 한 시장 관계자는 "MG손보의 재무 상황은 이미 한계치에 도달했다"며 "매각 기회를 놓친 이상 남은 건 말 그대로 '낭떠러지'뿐"이라고 짚었다. 실제 지난해 9월 말 기준 MG손보의 자본총계는 -184억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K-ICS) 비율은 43.4%로 법정 기준인 100%를 크게 밑돈다.

"손실 떠안을라" 고객 불안감 가중

앞서 예보는 MG손보 노조의 반대로 매각이 무산될 경우 청·파산 절차를 밟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 같은 예보의 경고대로 향후 MG손보가 청·파산 방식으로 정리될 시, MG손보 보험 계약자 124만 명은 예금자보호법상 5,000만원 한도의 해약환급금만을 보장받을 수 있다. 5,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원금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의미다.

계약이 다른 보험사로 이전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지난 2002년 12월 리젠트화재가 파산했을 당시에도 5개 보험사로 보험계약이 나누어서 이전된 전례가 존재한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같은 방식으로 MG손보가 정리될 확률은 사실상 매우 낮다고 본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가 파산하면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다른 보험사로 계약을 이전하는 것이 좋다"면서도 "부실금융기관의 보험 계약을 선뜻 이전받겠다고 나서는 보험사는 좀처럼 없기 때문에, 계약 이전에 드는 비용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MBK , 홈플러스 매각·폐점 대상 구체화 “수익만 빼먹고 책임은 회피” 비판 고조

MBK , 홈플러스 매각·폐점 대상 구체화 “수익만 빼먹고 책임은 회피” 비판 고조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홈플러스 법정관리 후폭풍
대주주 MBK 향한 비판 계속
"자기 돈 적게 쓰고 책임 떠넘겨"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곧 법원에 제출할 회생계획안에 점포 추가 매각 계획 및 폐점 계획을 담는다. 오프라인 자산 매각과 회생신청을 통한 금융 부채 경감으로 위기를 타개한다는 구상이지만, 시장 불안감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홈플러스가 가진 부동산 자산이 4조7,000억원에 이른다 해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자산 매각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비등하다. 또한 홈플러스 투자로 막대한 수익을 챙겼음에도 아무런 자구책 없이 회생절차를 신청한 MBK의 무책임한 행태에 대한 비판도 고조되는 모습이다.

MBK, 홈플 4개 점포 추가 매각 계획

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회생개시 결정 이후 60일 이내 법률상 관리인(김광일 MBK 부회장)이 법원에 제출할 회생계획안에 4개 점포(중계점, 정관점, 동광주점, 유성점)에 대한 매각 계획을 담을 것으로 확인됐다. MBK는 최근 점포별 입지나 개발 여건 등을 고려해 매각 가치가 높은 점포 33곳을 추려낸 상황이다.

홈플러스는 현재 현금이 없어 당장 허덕이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번 돈으로 빚을 전부 갚긴 어려운 상황이다. 회사의 현금흐름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지난해 2,374억원이었으나, 실제 현금흐름은 이보다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여기엔 임차료와 마찬가지인 연 1,500억원에 달하는 리스부채 이자비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결국 홈플러스는 점포를 매각해 빚을 갚아야 할 상황이다. 전국에 126개의 점포를 운영 중이며 이 중 자가 소유한 점포는 60개, 감정평가액은 4조7,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들 점포는 신탁자산이라 회생계획안과 별도로 처리할 수 있다.

홈플러스는 매각과 동시에 16개 점포의 문을 닫을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연간 600억원 수준의 현금흐름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19개 점포는 운영 효율화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홈플러스는 매출 하위권 점포 7곳을 시범점포로 선정해 면적 축소 및 고정비 절감 등을 진행했는데, 그럼에도 시범점포는 매출이 오히려 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MBK 측은 효율화 작업을 통해 연간 480억원의 현금흐름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회생 직전 임금협상 마무리, 점포 매각 시 노사협의체 구성안 포함

홈플러스 점포 매각 계획은 MBK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기 전에 마무리한 협상안에도 포함돼 있는 내용이다. 지난 11일 홈플러스가 서울회생법원 재판부로부터 임금협상 체결 허가를 받은 만큼 지난달 잠정 합의한 임금협상 결과대로 집행이 가능해졌다. 앞서 홈플러스 노사는 지난해 10월부터 임금 교섭에 돌입해 지난달 24일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노사 잠정합의안은 △임금 평균 1.2% 인상 △현장 경력 수당(기본 2,500원 이후 매년 2,500원씩 가산) 신설 △호칭 변경 기준 개선 △점포 매각 시 협의체 구성 등으로 이뤄졌다.

이 가운데 점포 매각 시 협의체 구성 조항은 이번 회생절차 개시와는 별개로 지난해 MBK가 노동조합 측과 상의 없이 익스프레스 사업부문을 일방적으로 매각하려 했다는 점을 문제 제기하며 명문화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홈플러스가 향후 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일부 점포를 폐점하는 등의 계획을 실행할 때 노조 측의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MBK가 기업회생을 발표하고 구조조정과 점포 폐점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며 "이에 맞서 노동조합은 단결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권리를 지키겠다는 입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IB업계는 MBK가 홈플러스 점포를 매각 후 재임대하는 세일앤리스백(S&LB)을 이어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S&LB를 하면 임대료를 추가로 내야 하므로 수익성이 좋은 알짜 점포에 적용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예전처럼 S&LB를 원활히 진행하긴 어려울 것으로 본다. 시장의 신뢰를 잃어버린 가운데 부동산 경기는 얼어붙고 오프라인 할인점 수익은 줄어드는 삼중고를 겪고 있어서다. 특히 크기가 큰 대형마트는 마트 이외 용도로는 팔기가 어렵다. 그렇다고 경쟁사인 이마트와 롯데마트가 매입에 관심을 둘 가능성도 낮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사진=MBK파트너스

홈플 기습 회생신청 MBK, 운용보수 1조 챙겨

이에 IB업계 일각에서는 "MBK가 결국 노조를 무너뜨리기 위해 회생 신청을 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점포 매각을 통한 투자금 회수(엑시트) 작업이 노조 반대에 부딪히며 난항을 겪자 법원을 이용해 투자금을 건지려 한다는 지적이다. 노조 측 역시 MBK가 남(법원과 채권단)의 손'을 빌려 홈플러스를 안락사시키려고 한다고 보고 있다. 민주노총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12일 발간한 '투기자본 MBK의 홈플러스 먹튀매각 시즌3 보고서'에서 MBK가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3호 블라인드 펀드를 통해 3조2,000억원을 조달한 뒤 여러 기업을 인수하거나 투자해 매각하는 방식으로 천문학적인 차익을 남겼다고 지적했다.

실제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데 활용한 펀드 운용으로 1조원 안팎의 성과 보수를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3호 펀드는 홈플러스 외에도 ING생명(오렌지라이프), 네파, 두산공작기계 등 국내기업과 중국기업(HKBN, 아펙스 로지스틱스), 일본기업(타사키·아코디아 넥스트골프)을 인수하거나 투자하는 데도 활용됐다. MBK는 아코디아 넥스트골프를 1조원에 인수해 4조원에 팔아 3조원의 차익을 남겼고, 두산공작기계는 1조1,300억원을 투자해 1조원 이상의 매각 차익을 거뒀다. 오렌지라이프도 지난 2013년 인수 후 2018년 신한금융지주에 매각하기까지 2조원이 넘는 수익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3호 블라인드펀드의 내부수익률(IRR)은 28%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손익이 실현되지 않은 홈플러스와 네파에서 손실이 확정된다고 해도 3호 블라인드 펀드의 전체 IRR은 최소한 15% 이상일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또한 MBK가 3호 블라인드펀드를 운용하면서 챙긴 보수도 상당하다. MBK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운용 보수로 2억5,000만 달러(약 3,630억원), 성과 보수로 5억3,000만 달러(약 7,695억원)가량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합계 1조1,325억원으로 11년간 연평균 1,000억원이 넘는다. 운용 보수는 펀드가 청산되지 않아 지금도 정기적으로 수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성과 보수의 경우 통상 전체 15∼20%를 유보액으로 남겨둔다는 점을 감안해도 최소 1조원 안팎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홈플러스가 MBK의 경영 실패로 핵심 점포가 매각되고 손실이 누적되는 와중에도 MBK는 관련 펀드 운용으로 막대한 수익을 챙기고 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아무런 자구 노력 없이 기습적으로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을 신청해 직·간접 고용인원 3만 명은 물론 1만여 개 납품사 및 외부 임대매장점주, 개인투자자들부터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까지 모두 위기에 빠뜨린 MBK에 대한 비난 강도도 높아지고 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신용등급 강등 이후 잠재적 금융 이슈에 대한 선제적 조치를 표면적인 이유로 내세우며 기업회생을 신청한 것부터 정상적이지 않다"며 "한 푼도 손해 보지 않으려는 MBK의 '대국민 기만극'이자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홈플러스 유동화 전자단기사채(전단채) 피해자 대책위원회도 김병주 MBK 회장을 겨냥해 "자구책 마련은 뒷전이고 서둘러 회생 신청을 해 부채를 단번에 털고 '먹튀 행각'을 벌이려던 것"이라고 일갈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美 풍력·태양광 발전량, 사상 최초로 석탄 넘어섰다

美 풍력·태양광 발전량, 사상 최초로 석탄 넘어섰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AMPC 영향" 석탄 꺾은 美 풍력·태양광 발전
美 정부 인사들 "신재생에너지, 화석연료 대체 못 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석탄 발전보다 저렴

지난해 미국의 풍력·태양광 발전량이 처음으로 석탄 발전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 발전소들이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수혜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며 시장 판도가 급변한 것으로 풀이된다.

美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급증

13일(이하 현지시각) 미국의 전기차·신재생에너지 전문 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글로벌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는 최근 발표한 '미국 전력 통계 분석 보고서'에서 지난해 풍력·태양광 발전이 미국 전체 전력 생산의 17%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가 본격적으로 석탄(15%)을 대체하기 시작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증가한 배경에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AMPC가 있다. AMPC는 배터리, 태양광, 풍력 발전 부품 등 첨단 제조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해 판매하는 경우 세액공제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다. 태양광 모듈, 셀에는 각각 와트(W)당 7센트와 4센트, 풍력 발전용 블레이드와 타워에는 각각 W당 2센트와 3센트의 세액공제 혜택이 제공된다.

미국의 석탄 발전소들은 AMPC 수혜를 위해 석탄 발전소를 태양광 발전소 등으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북서부 베커에 있는 대형 석탄 발전소들이 대규모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 단지로 '변신'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에 회의적

다만 신재생에너지의 강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정부 주요 인사들이 화석연료로의 '복귀'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일 미국 에너지부 장관 크리스 라이트(Chris Wright)는 ‘2025년 세계 에너지 콘퍼런스(CERAWeek Conference)’ 기조연설을 통해 “화석연료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를 따뜻하게 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태양광, 풍력, 배터리 등 수많은 수단들이 석유를 대체할 물리적인 방법은 없다”며 “지금 더 큰 문제는 기후변화보다는 에너지 빈곤”이라고 발언했다.

같은 날 미국 내무부장관 더그 버검(Doug Burgum) 역시 블룸버그통신 인터뷰를 통해 "폐쇄된 석탄 발전소를 재가동하면 인공지능(AI) 발전으로 인해 증가하는 전기 수요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선언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의 일환으로 우리는 모든 발전소를 계속 가동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석탄 발전소 중 폐쇄된 곳이 있다면, 다시 가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회의감을 품는 것은 신재생에너지의 설비 용량이 아직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아직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의 확충 속도는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석탄을 비롯한 화석연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신재생에너지의 '가격 경쟁력'

관건은 향후 미국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의 가격적 이점을 외면하고 화석연료 발전을 선택할 수 있을지다. 지난 2023년 미국 에너지·기후 싱크탱크 에너지 이노베이션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210개 석탄발전소 중 99%(209개)가 태양광 또는 풍력에너지 시설보다 많은 운영 비용을 투입하고 있다. 석탄발전소의 평균 한계비용이 메가와트시(MWh)당 36달러(약 5만2,000원)에 달하는 반면, 태양열발전소의 평균 한계비용은 24달러(약 3만4,800원)로 약 30% 저렴하기 때문이다. 한계비용은 수요 또는 생산량이 한 단위 변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일컫는 용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이 저렴해진 배경으로는 ‘설비 가격의 하락’이 꼽힌다. 글로벌 청정에너지 설비 가격 지수(CEEPI, Clean Energy Equipment Price Index)는 2021년 이후부터 석유 및 가스 설비 가격 지수(UCCI, Upstream oil and gas Capital Costs Index)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태양광 모듈 가격은 2021년부터 2023년 사이 50% 이상 미끄러졌으며, 지난해 2분기에만 20% 이상 추가 하락했다. 풍력 터빈 가격은 2023년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 약 5% 내렸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사모펀드 평가방식 손보는 국내 큰손들, ‘수익의 질’까지 반영 검토

사모펀드 평가방식 손보는 국내 큰손들, ‘수익의 질’까지 반영 검토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사회적 물의 일으킨 PEF 투자 제한 추진
수익 실현 과정에 대한 '정성적 평가' 반영
국내 사모 위탁운용사 선정 과정 투명성 제고

국민연금이 국내 사모투자펀드(PEF) 위탁운용사(GP) 선정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책임투자를 고려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번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로 비판적 시선이 커지자 기존에 보던 회사 인력과 재무, 운용 수익률 등 정량적 평가에 더해 수익 실현 과정에 대한 정성적 평가까지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연금, PEF GP 선정 시 ESG 책임투자 고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대체투자 GP를 선정할 때 책임투자 가점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최근 불거진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에 대한 조치로 평가된다. 이달 초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별다른 자구 노력 없이 홈플러스에 대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자, 국민연금공단이 대규모 투자 손실 위험에 처했다는 지적이 팽배해 있다.

PEF들은 그간 제도권 감시에서 한발 빗켜나 있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안건자료에 따르면 대체투자 분야가 각종 수탁자 책임활동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것은 국민연금법 관련 조문의 영향이다. 국민연금 투자에서 ESG를 고려하도록 하는 조항은 대체투자가 활발하지 않았던 2015년 도입된 탓에 주식·채권만을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에 비해 PEF를 비롯한 대체투자가 급격히 확대된 만큼 현재 실정에 맞춰 제도를 적용하거나 관련 조문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의 한 전임 전문위원은 “PEF라고 해서 수탁자 책임활동에서 예외가 될 이유가 전혀 없다”며 “오히려 개별 투자 건당 규모는 훨씬 크고, 사회에 끼치는 영향도 상당해진 만큼 관련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했다.

이에 국민연금은 "GP 선정 및 모니터링 시 책임투자 관련 가점을 부여하는 등 위탁운용의 책임투자를 내실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제도 개선을 통해 국내 PEF GP 선정 시, 기존 성과 중심의 정량 평가에서 수익 실현 과정에 대한 정성적 평가 등 '수익의 질'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선정위원회 의사록 작성을 국내 PEF GP 선정 및 관리 기준에 명시화하는 것을 검토해 국내 PEF 위탁운용사 선정 과정의 투명성을 제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국민연금·공무원연금·교직원공제회 등도 검토 중

국내 주요 연기금과 공제회들도 출자할 PEF의 허들을 높이고 있다. 현재 공무원연금공단은 올해 출자 사업에서 평가 방안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공무원연금공단 고위 관계자는 "최근 MBK 사태 등 사회적 물의를 빚는 모습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다고 보고 있다"며 "경영 안전성 등 이런 부분들을 포괄적으로 GP 선정 평가에 녹여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교직원공제회도 같은 맥락으로 평가를 강화한다. 투자 기업을 잡음 없이 성장시킬 수 있는지를 보기로 한 것이다. 특히 PEF가 별도의 기업 경영 조직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지도 들여다볼 것으로 전해졌다. 투자 규모와 능력뿐만 아니라 투자회사를 경영하는 능력까지 평가하겠다는 취지다.

다른 기관투자자들도 정량적 수치뿐만 아니라 이같은 정성적 영역에도 평가 비중을 싣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일부 기관투자자는 대형 GP에 한 번에 많은 금액을 투자하기보다는 중·소형 GP에도 금액을 쪼개 분산투자 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입김이 강한 곳일수록 더 고민이 커졌다는 후문이다. 정치권에서도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운용사 판단에 책임 묻는 기조 강화

한편 국민연금은 지난 2023년에도 GP 관리 체계를 강화하며 PEF 출자 관리에 고삐를 조인 바 있다. 국민연금 입장에선 기껏 공들여 선정한 GP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어서다. 이에 국민연금 내부에서는 당시 그 수단 중 하나로 GP의 자금집행 요청(Capital call)에 응하지 않는 방법을 내놓기도 했다. 또한 PEF 해산이나 기존 출자금 회수까지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PEF 역사가 오래된 해외에서는 이미 핵심 운용 인력이 범법 행위를 할 경우 투자자 합의로 자금을 추가로 출자하지 않거나 PEF를 해산시키는 방안을 정관(LPA)에 담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도 이와 유사한 조항이 정관에 담기긴 하지만 관련 사례가 적어 실체적 효력이 있느냐에 대해선 의문이 적지 않다. 국민연금 역시 그간 출자사업을 하며 이런 내용들을 정관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고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고민에 대해 당시 PEF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이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국민연금이 문제 GP에 돈을 주지 않겠다는 내용을 정관에 넣자고 하면 이를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국민연금의 영향력을 감안하면 다른 출자자 동의 절차가 있더라도 사실상 국민연금의 재량에 GP의 명운이 갈릴 가능성이 크다. 한 PEF 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에서 GP가 징계를 받거나 사고를 냈을 때 추가 출자를 않겠다고 하면 GP 입장에서는 동의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카카오, 시너지 부족하던 '다음' 결국 분사

카카오, 시너지 부족하던 '다음' 결국 분사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다음, CIC 분리 2년 만에 카카오 품 벗어난다
"서로 도움 안 됐다" 카카오와 다음의 불편한 동행
CIC로 분리된 이후 다음 서비스 개선 속도 빨라져

카카오가 포털 서비스 다음의 분사를 추진한다. 다음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지난 2015년 카카오와의 합병 이후 다음의 시장 경쟁력이 눈에 띄게 약화한 가운데, 분사를 통해 본사 경영을 효율화하고 다음 서비스의 독립적인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카카오, 다음 분사 결정

14일 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전날 사내 타운홀 미팅을 열고 다음을 분사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는 2023년 5월에 다음 사업 부문을 CIC로 전환했고, 이후 1년 만에 '콘텐츠CIC'로 명칭을 변경한 바 있다. 분사한 다음 법인의 대표는 현재 콘텐츠CIC를 이끌고 있는 양주일 대표가 맡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콘텐츠CIC의 재도약을 위해 분사를 준비하고 있다”며 “완전한 별도 법인 독립으로 독립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환경과 빠르고 독자적인 의사 결정 구조를 갖춰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직 정확한 분사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다음 성장, 카카오가 틀어막았다?

시장에서는 이번 분사가 경영 효율화 작업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음의 국내 검색 시장 내 입지가 꾸준히 약화하는 가운데, 카카오가 과감하게 다음을 '잘라냈다'는 평가다. 실제로 웹로그 분석 사이트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웹 검색 시장에서 다음의 평균 점유율은 2.72%에 불과했다.

카카오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핵심 사업들과 다음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도 분사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앞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톡과 인공지능(AI)을 핵심 사업으로 분류하고, 이와 관계없는 사업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 성장 기반을 다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다음 서비스의 성장에 카카오가 장애물이 됐다는 인식 역시 분사 결정을 부추겼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합병 이후 카카오는 다음이 운영하던 수많은 서비스를 종료했다. 2015년 6월 30일에는 모바일·PC 메신저 서비스 ‘마이피플’이 사라졌고, 같은 달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다음뮤직도 서비스를 중단했다. 2015년 12월 31일에는 ‘다음클라우드’가 서비스를 종료했고, 다음tv팟은 카카오TV 론칭을 전후로 지원이 끊겼다가 2017년 2월 서비스를 멈췄다. 

카카오는 다음 서비스의 맥을 줄줄이 끊으며 자신들의 이름을 단 신규 서비스로 부진을 씻겠다는 포부를 펼쳤지만, 뚜렷한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다음은 카카오 합병 이후 고객 반응이 조금 신통치 않다 싶으면 서비스를 중단하곤 했다”면서 “인터넷 접속의 관문 역할을 하는 포털이 기능을 축소하면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다음이 CIC 분리 이후 선보인 '타임톡' 서비스 안내 이미지/사진=다음

다음의 재활 노력

카카오가 다음에 미쳐 온 악영향은 다음의 CIC 분리 이후 행보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다음은 독립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구조가 마련되자마자 속도감 있게 서비스를 개선하기 시작했다. 뉴스 서비스에 실시간 채팅 방식의 '타임톡'을 도입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타임톡은 기존 추천·찬반순 정렬과 같이 일부 댓글을 상위에 보여주는 형태에서 벗어나, 이용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실시간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다음의 전성기를 이끈 서비스 중 하나인 이메일도 CIC 분리 직후 개편 수순을 밟았다. 다음 메일과 카카오 메일 주소 전환 기능을 도입하고 디자인을 변경해 편의성을 대폭 개선한 것이다. 이메일 서비스 개편 당시 김종한 다음CIC 다음사업개발실장은 "다음 메일과 카카오 메일 서비스별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 이용자 니즈와 편의성을 높일 디자인과 기능을 적용했다"며 "이번 개편을 시작으로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하고 메일 서비스를 지속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대명사로 꼽혔던 '다음 카페'도 개방형 커뮤니티 공간 '테이블'을 통해 변신을 시도했다. 테이블은 이용자가 카페 가입이나 등업(등급 업그레이드)과 같은 복잡한 참여 절차 없이 간편하게 게시글과 댓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서비스다. 트래픽 확보를 위해 다음 카페 특유의 진입 장벽을 무너뜨린 셈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스코플리, '포켓몬 고' 개발한 나이언틱 게임 부문 5조원에 인수

스코플리, '포켓몬 고' 개발한 나이언틱 게임 부문 5조원에 인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사우디 소유 스코플리, 나이언틱 인수
포켓몬 고 이후 차기작 부진에 재정난
신규 프로젝트 중단 등 구조조정 단행
사진=나이언틱

모바일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 고'를 만든 나이언틱랩스(Niantic Labs)의 비디오게임 사업부가 사우디아라비아 소유의 게임 개발사 스코플리(Scopely)에 매각됐다. 게임 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정하고 대형 게임사의 지분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번 인수를 계기로 중국 텐센트 그룹과 같은 '게임 연합체' 실현에 한 발짝 다가서게 됐다.

스코플리, 연간 활성 플레이어 5억 명 확보

12일(현지시각) AFP 통신은 사우디 국부펀드(PIF) 소유의 스코플리가 포켓몬 고를 개발한 나이언틱의 게임 사업부를 35억 달러(약 5조원)에 인수한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게임 개발사인 스코플리는 지난 2023년 4월 PIF 산하의 새비게임즈그룹(Savvy Games Group, SGG)에 인수됐다. 스코플리 측은 "지난 10년 동안 구축한 나이언틱이 이뤄 온 혁신적인 경험과 전 세계 이용자를 사로잡는 능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우리는 이번 협력을 통해 팀의 창의력을 더욱 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나이언틱의 게임 사업부 매각 논의는 지난달부터 본격화했다. 당시 미국 블룸버그통신, 일본 오토마톤 등 여러 외신은 업계 관계자들을 인용해 나이언틱이 스코플리에 게임 사업부를 매각하기 위한 비공개 협상을 진행 중이라 전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8월 나이언틱은 스코플리의 모회사인 새비게임즈그룹과 MOU(업무협약)를 체결한 바 있다. 중동·북아프리카 지역(MENA)에 현지화된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협업으로 사우디·아랍에미리트(UAE)·이집트 3개국에서 나이언틱의 사업 확장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나이언틱의 게임 사업부는 지난해 월평균 이용자 3,000만 명, 연간 활성 플레이어 1억 명을 기록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10억 달러(약 1조4,5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이번 인수로 스코플리의 포트폴리오에는 포켓몬 고를 포함해 '모노폴리 고', '피크민 블룸', '몬스터 헌터 나우', '마블 스트라이크 포스', '스텀플 가이즈' 등 나이언틱의 다양한 비디오 게임이 추가됐다. 이를 통해 스코플리는 연간 활성 플레이어 5억 명 이상을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글로벌 플레이어 커뮤니티 중 하나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이언틱, AI 지오스페이셜 컴퓨팅에 집중

지난 10년간 나이언틱의 성장을 견인한 것은 대표작 포켓몬 고다. 이 게임은 AR 기술을 사용해 플레이어가 실외에서 휴대폰 화면에 나타나는 포켓몬을 잡고 키우는 큰 인기를 끌었다. 출시 첫해에만 5억 명 이상의 플레이어를 확보했지만,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실외 활동이 제한되면서 게임의 인기가 사그라들었다. 이후 선보인 '해리포터: 마법사연합' 등 차기작도 게임 유저들의 외면을 받았다. 재정이 악화한 나이언틱은 신규 프로젝트 중단하고 2022년부터 2년간 최소 310명의 직원을 해고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지난해에는 2021년 출시된 '피크민 블룸'이 MZ세대들 사이에서 힐링 게임으로 주목받으며 인기를 끌었지만, 반짝 흥행에 그쳐 아쉬움을 남겼다. 피크민 블룸은 플레이어가 실제로 이동하면서 게임 내에서 식물 모종을 모으고, 걸음 수를 채워 캐릭터를 키우는 콘텐츠로 지난해 10월 QR코드를 활용한 친구 초대 기능, 여러 플레이어와 함께 참여하는 미션 등이 추가되며 인기 상승에 기여했다. 그 결과 지난해 11월 월간활성사용자수(MAU) 144만 명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올해 2월 73만2,556명까지 급감했다.

향후 나이언틱은 '나이언틱 스페이셜(Niantic Spatial)'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해 지오스페이셜(Geospatial) 컴퓨팅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지오스페이셜은 위치와 공간 데이터를 수집·분석·저장·관리·시각화하는 기술로, 나이언틱은 게임 이용자의 데이터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해 3D 확장현실(XR) 지도를 구축하는 대규모 지오스페이셜 모델(LGM)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 프로젝트는 나이언틱의 창업자이자 나이언틱 스페이셜의 CEO인 존 행키가 총괄하며 스코플리의 투자금 5,000만 달러를 포함해 총 2억5,000만 달러(약 3,600억원)가 투입될 예정이다.

사우디아라비아 키디야 건설 현장/키디야 유튜브

사우디, 2030 게임산업·e스포츠 허브 목표

나이언틱을 품은 사우디는 이번 인수를 계기로 거대한 '게임 연합체' 실현을 위한 시발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2020년 사우디는 '탈석유·사업 다각화'를 골자로 한 '비전 2030'을 발표하면서 게임과 e스포츠 산업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낙점했다. 이러한 정부의 전략 계획에 따라 PIF는 세계 각국 주요 게임사에 거금을 투자하며 게임업계의 큰손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PIF가 지분을 보유한 기업에는 엔씨소프트, 넥슨, 닌텐도, 액티비전블리자드, 일렉트로닉 아츠(EA), 캡콤 등 다수의 대형 게임사가 포함돼 있다.

사우디는 게임 사업 투자를 기반으로 게임 등 콘텐츠 사업을 오프라인 관광 사업과 결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현재 수도 리야드에 5억 달러(약 7,270억원)를 투입해 'e스포츠 지구'를 건설하고 총 7만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e스포츠 경기장 4곳을 세울 예정이다. 또한 리야드에서 서남쪽으로 45km 떨어진 사막지대 키디야에는 지식재산권(IP) 기반 테마파크 등 엔터테인먼트 전 분야를 아우르는 복합 문화 공간을 건설할 계획이다. 사업 규모는 약 700억 달러(약 93조원)로, 지난해 3월에는 세계 최초로 '드래곤볼 테마파크' 설립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유명 게임 전시회에 잇따라 모습을 비추며 영향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8월 새비게임즈그룹은 세계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에 참가해 자사가 보유한 게임과 e스포츠 기업을 홍보했는데, 당시 부스 규모가 글로벌 대형 게임사인 중국 텐센트에도 밀리지 않아 화제를 모았다. 이와 함께 네옴시티 프로젝트도 따로 부스를 내고 다양한 자국의 인디 게임을 소개했다.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부산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4'에 참가해 키디야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몰입형 게임, 1인칭 슈팅 게임 등을 선보였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유럽 최대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 파산, EU 배터리 자급자족 빨간불

유럽 최대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 파산, EU 배터리 자급자족 빨간불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전기차 캐즘에 기술력 한계 겹치며 경영난
EU, 배터리 산업 육성 기조 타격 불가피해
전기차 시장 韓·中·日 의존 심화 가능성

유럽 최대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스웨덴의 노스볼트가 파산을 신청했다. 노스볼트는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파산 신청을 한 이후 경영난 극복을 위해 신규 자금 조달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했지만, 결국 해법을 찾지 못하고 유럽에서도 법정 관리에 들어갔다. 노스볼트의 파산으로 '관내 배터리 산업 육성'을 추진해 온 유럽의 전기차·배터리 시장에 지형 변화가 불가피한 가운데,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속에서도 중국 전기차·배터리 기업들은 글로벌 점유율을 늘리고 있어 세계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노스볼트, 美 파산 3개월 만에 유럽에서도 파산

12일(이하 현지시각) 폴리티코 유럽판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노스볼트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회사의 미래를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찾으려 노력했지만, 노스볼트 이사회는 파산 신청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노스볼트는 "최근 몇 달간 자본 비용 상승과 지정학적 불안정, 시장 수요 변화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며 "이 과정에서 잠재적 파트너 및 투자자의 관심을 끌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 미래를 위해 필요한 계약을 체결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노스볼트는 2015년 테슬라 출신 임원 2명이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3국에 대한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포부로 설립했다. 창립 초기 스웨덴뿐 아니라 유럽연합(EU) 완성차 업체의 지지를 받으며 글로벌 배터리업계의 주요 플레이어로 떠올랐지만, 기술력 한계와 전기차 캐즘 등 악재가 겹치며 경영난을 겪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파산보호를 신청할 당시 노스볼트의 현금 자산은 3,000만 달러(약 435억원)였던 반면에 부채는 58억4,000만 달러(약 8조4,700억원)에 달했다.

노스볼트의 파산은 당장 캐나다, 특히 퀘벡의 지역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퀘벡 정부와 캐나다 정부는 노스볼트와 함께 몬트리올에 70억 달러(약 10조원) 규모의 거대한 배터리 셀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었다. 이는 퀘벡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간 투자로, 퀘벡을 전기차 배터리 생산·개발의 글로벌 허브로 만들겠다는 프랑수아 레고 총리의 야심 찬 계획의 핵심 프로젝트였지만 노스볼트의 파산으로 공장 건설이 중단됐다.

중국 CATL 독일 공장/사진=CATL

中 의존도 낮추려면 EU 차원의 재정 지원 필요

'베터리 자급자족'을 추진해 온 유럽 자동차 산업의 타격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럽은 그동안 CATL, BYD 등 중국 배터리 제조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스볼트에 큰 기대를 걸었지만, 전기차 시장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노스볼트 지분 21%를 보유한 폴크스바겐을 비롯해 볼보, BMW, 유럽투자은행 등 다수의 유럽 자본이 100억 달러(약 14조5,000억원)가 넘는 자금을 투입했음에도 기술력의 한계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노스볼트의 파산은 유럽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노스볼트와 투자자들은 스웨덴 정부와 EU가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지 않은 것이 파산 사태의 배경이 됐다고 비판한다. 중국 정부가 CATL 등 자국 기업 육성에 막대한 자금을 지원해 성과를 낸 반면, 유럽의 정책적 지원 규모는 턱없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FT에 따르면 파산 다음 날인 13일 톰 존스턴 노스볼트 임시 이사회 의장은 EU 측에 자체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위한 추가 투자를 요청했다. 그는 FT와의 인터뷰에서 "유럽 정치인들이 중국 등 아시아 배터리 제조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데 많은 비용과 고통이 따른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 배터리업계에서는 중국 기업들이 경쟁사인 노스볼트의 파산을 계기로 역내 생산설비 확보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2023년 독일에서 첫 유럽 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한 CATL은 올해 연간 생산능력 10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헝가리 공장을 가동하고 내년에는 스텔란티스와 합작한 스페인 공장이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네 번째 배터리 공장 설립 계획을 공식화했다. 이 외에도 엔비전AESC, 귀시안하이테그, CALB, SVOLT 등 중국의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스페인, 독일, 포르투갈 등에서 공장을 운영하거나 설립할 계획이다.

올해도 전기차 캐즘 속에 中 기업 수혜 이어질 듯

노스볼트의 파산을 초래한 캐즘도 중국 기업에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글로벌 시장의 수요 부진이 장기화하며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 증가율은 1.7%에 그쳤고, 판매량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을 5년 연속 밑돌았다. 특히 유럽 시장의 판매 부진이 두드러졌다.

반면 중국 판매량 증가율은 4.5%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회복세를 나타냈다. 무엇보다 전기차 시장에서의 격차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은 전년 대비 26.1% 증가한 1,763만 대를 기록했는데, 사실상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의 성장을 주도했다. 브랜드별로 보면 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인 중국의 BYD가 43.4%의 성장률을 달성하며 2위인 미국 테슬라와의 격차를 두 배 이상 벌렸다. 특히 BYD는 자국 시장뿐 아니라 유럽, 동남아, 남미 등 중국 외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이에 반해 테슬라는 매출의 약 95%를 차지하는 모델3와 모델Y의 판매가 줄면서 전체 판매량이 감소했다.

이와 관련해 글로벌 금융기관 ING는 "미국과 EU가 내연기관차 규제를 지속하면서 전체 자동차 산업에 악영향을 미쳤다"며 "올해는 전기차 보조금까지 줄어 수요가 더욱 위축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글로벌 시장 침체가 지속되면서 중국이 서방국들을 앞서가고 있다"며 "올해도 전기차 캐즘이 지속돼 격차가 더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베터리 산업에 대해선 지리자동차, BYD 등이 전기차 시장에서 부상하는 데다 중국이 글로벌 배터리 생산량의 85%를 차지하는 등 공급망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어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대중국 의존도가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무역 전쟁 피해 커질라" 캐나다, 7번째 금리 인하 결정

"무역 전쟁 피해 커질라" 캐나다, 7번째 금리 인하 결정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캐나다, 7연속 기준금리 인하 단행
트럼프발 관세 충격에 선제 대응 차원
ECB·영국·멕시코 등도 금리인하 도미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맹도 예외 없는 ‘무차별 관세 전쟁’을 선포한 가운데, 세계 각국들이 경기침체를 우려해 금리를 인하하는 등 선제적 방어에 나섰다. 다만 트럼프 관세 위협이 장기화할 경우 돈을 풀어 물가만 오르고, 경기는 침체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 전 세계로 번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캐나다 기준금리 3.00%→2.75%

13일(이하 현지시각) CNBC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캐나다 중앙은행(BoC)은 전날 금융정책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종전 3.00%에서 0.25% 포인트 내렸다. BoC는 지난해 6월 첫 금리 인하 사이클을 개시한 뒤 이번 달까지 총 일곱 차례 연속해서 기준금리를 내렸다. 9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총 225bp(1bp=0.01%포인트) 인하, 전 세계에서 가장 공격적으로 금리를 내린 중앙은행 중 하나가 됐다. 지난해 6∼9월 회의에선 금리를 0.25%포인트씩 인하했지만 지난해 10월 및 12월 회의에선 두 번 연속으로 인하 폭을 0.50%포인트로 키운 바 있다.

BoC는 금리 인하를 결정하면서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제성장 둔화를 우려했다. 티프 맥클렘 BoC 총재는 “우리는 지금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장기적인 관세 전쟁이 국내총생산(GDP) 성장 둔화와 고물가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금리 인상이나 인하 여부를 결정하기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기 침체로 인한 인플레이션 하락 압력과 비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의 시기와 강도를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금리 결정에는 신중하겠다는 얘기다.

맥클렘 총재의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의 예측 불가능한 무역 정책에 직면한 각국 중앙은행의 고민을 여실히 보여준다는 평가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물가 상승 억제에 집중했던 중앙은행들은 이제 관세 부과금, 통화 변동성, 수요 둔화가 미칠 잠재적 영향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잦은 정책 변경은 경제 예측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BoC는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1분기 캐나다 GDP를 둔화시킬 수 있으며 고용시장의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3월 인플레이션율은 2.5%로, 지난 1월 1.9%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ECB·BoE도 금리 0.25%P 인하

BoC에 앞서 유럽중앙은행(ECB)도 6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통화정책위원회에서 예금금리를 2.75%에서 2.50%로 낮췄다. 기준금리는 2.90%에서 2.65%로, 한계대출금리도 3.15%에서 2.90%로 내리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6월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선 이후 5차례 연속 금리 인하다. 이날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대부분의 근원 인플레이션 지표가 우리의 중기 목표치인 2%로 계속해 내려오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며 무역 긴장 고조로 유럽 경제가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판단에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ECB의 이번 금리 인하 조치는 시장이 예상한 대로였다. 시장에서는 ECB가 이후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를 보일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발 무역전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유럽의 재무장 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 중앙은행(BoE)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렸고, 멕시코는 무려 0.5%포인트 내렸다. 멕시코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으로 경제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 중 하나인 만큼 다른 국가 대비 인하율이 컸다는 평가다. 호주 중앙은행도 지난달 18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2020년 11월 이후 4년 만에 금리를 내린 것이다.

한은 "추가 금리 인하 여지 있다"

한국은행도 새로 개발한 지표를 근거로 최근 국내 금융상황이 대체로 중립적 수준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경기부양 측면에서 아직 금리 인하의 여지가 있다는 입장이다. 13일 한은은 통화신용정책 보고서를 통해 새로 개발 금융상황지수(FCI-G)를 소개하면서 “지수로 보면 2023년 10월 이후 국내외 금리 인하 기대를 선반영한 장기금리 하락 등 영향으로 긴축 정도가 축소됐으며, 최근 금융상황은 대체로 중립적인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한은이 이번에 새로 도입한 FCI-G는 금융변수 경로 변화에 중점을 둔 지수다. 한은은 FCI-G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국내 금융상황은 지난해 7월까지 빠르게 완화되다가 8월 이후 다소 긴축적인 움직임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경기 둔화 우려, 불확실성 증대 등에 따른 주가·주택가격 하락, 리스크프리미엄 상승 등 영향이다.

한은은 지수 자체는 중립 상태지만, 기준금리 인하 여력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최창호 한은 통화정책국장은 “지수 기준으로는 현 금융 상황이 이미 중립적이나, 현재 금리는 중립 금리로 추정되는 범위의 상단에 있거나 중립금리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화정책은 금융상황지수뿐 아니라 중립금리와 기조적 물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데, 중립금리 상황이나 경기 부양 등의 측면에서 아직 금리 인하의 여지가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2월 한은이 발표한 올해와 내년 성장률(1.5%·1.8%)은 앞선 0.7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뿐 아니라 올해 2월을 포함한 두세 차례 추가 인하 전망이 반영된 결과”라고 밝혔다.

이 같은 각국의 행보는 일종의 ‘트럼프 효과’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으로 경제성장률이 후퇴할 것이라는 우려에 관세가 부과되기 전 선제적으로 성장 눈높이를 낮추고, 금리 인하를 통해 내수 경기 부양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금리 인하 등은 단기성 처방에 불과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이 길어질 경우 세계 경제를 송두리째 흔들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완만하게 둔화할 수 있다고 주요 증권사들이 전망하고 있다”며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켜 주요 중앙은행들의 통화 완화 정책을 제한할 수 있다”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