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AI Bootcamp vs. SIAI’s AI MBA: The Future of AI Careers

AI Bootcamp vs. SIAI’s AI MBA: The Future of AI Careers
Picture

Member for

5 months
Real name
Catherine Maguire
Bio
Founding member of GIAI
Professor of Data Science @ SIAI

Modified

AI Bootcamps provide emotional satisfaction but no real AI knowledge.
SIAI’s AI MBA (Business & Tech Tracks) offers real AI project exposure and strategic thinking.
Basic software engineers will be obsolete by 2035, replaced by AI and offshore talent

After launching AI MBA's business track, we sometimes have questions about the value of the track. Most people, particularly, engineers think that's just a waste of time. Some of them even claim that AI Bootcamp is the better option, as it costs less money.

Do I and do all GIAI members agree? Far from it.

From our perspective, AI Bootcamp really has no value. It is designed in a way to make easy money from AI hype. Can they modify AI libraries for company's specific needs, just as an example? Sometimes we also have to sit down together to read mathematical logic from the libraries. We seriously doubt that any of bootcampers are capable.

On the contrary, in AI MBA's business track, you get to see what PreMSc and AI MBA's technical track students do. You can really see what true AI/Data Science is. This will not help you to become an AI engineer, unfortunately, but it will at least help you to make decisions like:

  • Stop hiring incompetent fake AI engineers (bootcamp level)
  • Stop spending $$$ for superfluous GPUs

Let's face to the reality. You are not good at math. Then, you can never be true AI/Data Science expert. Going to AI Bootcamp gives you still nothing. Nothing at all. AI MBA's business track? You can at least open your eyes to tell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That will help companies to save tons of money.

AI Bootcamp = Emotional Satisfaction, Not Real Knowledge

Bootcamps teach surface-level AI, focusing on short-term gratification rather than deep learning.
Most bootcamp grads can barely explain the math behind models, let alone build something from scratch.
Bootcamps are designed for quick "I-feel-like-an-expert" dopamine hits, not actual expertise.
Executives and engineers who take bootcamps walk away feeling like they "understand AI"—but they don’t.

Executives Who Attend AI Bootcamps

❌ Walk away with buzzwords, not knowledge.
❌ Think they can now "manage AI teams" but lack real understanding of AI costs, risks, and limitations.
Bleed money hiring the wrong people (bootcamp grads) or investing in the wrong infrastructure (GPU waste).

Engineers Who Attend AI Bootcamps

❌ Believe running pre-built models = AI expertise.
❌ Have no math foundation, so they can’t debug models or understand statistical failures.
❌ Are helpless without TensorFlow/PyTorch tutorials—they don’t actually understand what’s happening under the hood.

Conclusion: AI Bootcamps are a complete waste of time and money. They don’t teach anything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in real AI projects.

I am sorry to be bold but If you want a real career in AI, a structured, rigorous program like SIAI’s AI MBA is the only way forward.

SIAI’s AI MBA: Business Track vs. Bootcamp

If bootcamps don’t teach real AI, then what’s the better alternative?
For executives: SIAI’s AI MBA Business Track
For engineers: PreMSc Prep Courses (or switching tracks if they can’t handle it).

Why Executives Should Choose SIAI’s AI MBA Business Track Instead of a Bootcamp

✔ Instead of shallow AI knowledge, they get real AI project exposure.
✔ Learn how to hire the right AI engineers (and why bootcamp grads are useless).
✔ Understand where AI actually makes money instead of wasting money on GPU-heavy nonsense.
✔ Can even try technical track courses if they’re bold enough, ensuring they know what’s realistic and what’s hype.

💡 End Result?
Executives who actually understand AI decision-making—not just a list of buzzwords from a weekend bootcamp.

Why Engineers Should Avoid Bootcamps and Take the Prep Courses Instead

For engineers, bootcamps give them a false sense of competence—but when faced with real AI work, they collapse.

If they’re weak in math, they should start with the PreMSc Prep Courses.
If they can’t handle even that, they should switch to business track and accept reality.
If they stay in business track, they will feel self-deprecation watching smarter students do real AI work.

💡 End Result?
Engineers who can handle real AI will survive.
The rest should accept their limitations and pivot into AI strategy roles.

Again, sorry to sound too brual, but those who fail the prep courses (AI MBA's first two courses) should pivot, instead of forcing themselves into a field they’re not suited for. Why? Because your job will soon be replaced by offshore (Indian, for example) devs and ChatGPT like AI services.

Are Basic Software Engineers Becoming Obsolete?

Your prediction is largely correct—but with some nuances.

Basic coding (CRUD apps, simple web dev, basic scripting) is already being automated by AI.
Most entry-level programming tasks are now achievable with ChatGPT, Copilot, and other AI tools.
Large companies are offshoring low-to-mid-tier development to India and other countries with cheaper labor pools—Western developers are getting squeezed out.
Only the highest-end engineers—those with deep system knowledge, performance optimization expertise, and mathematical rigor—will remain indispensable.

In other words, mediocre software engineers will struggle in the next decade. Then, who will surive? We believe only the following two types.

1. High-End, Specialized Engineers (Unreplaceable by AI)

These are the software engineers who will still be valuable in 10+ years:
Systems Engineers – Experts in OS, networking, compilers, and embedded systems.
Algorithm & Optimization Experts – Those who can implement custom AI models, efficient algorithms, and numerical methods.
Mathematical & Scientific Programmers – People who develop scientific computing tools (e.g., Quant Finance, Computational Physics, Bioinformatics).
Cybersecurity & Cryptography ExpertsAI can’t fully replace defensive security strategies.
Edge AI & Hardware Engineers – Those who optimize AI models for real-time, low-power, embedded systems.

🚀 Survival Strategy:

  • Learn low-level engineering (C++, Rust, Embedded AI, OS internals).
  • Master computational methods, not just software frameworks.
  • Get into deep AI research, instead of just using AI models.

2. AI-Strategic Business Leaders (Who Use AI Instead of Competing With It)

For engineers who can’t reach the highest technical levels, there’s an alternative:
Pivot to AI strategy, business, and decision-making.

AI Product Managers – Experts who bridge the gap between AI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AI-Driven Entrepreneurs – People who build companies that leverage AI without being engineers themselves.
AI Finance & Investment Experts – Those who evaluate which AI startups are real vs. hype-driven scams.
AI Policy & Regulation Specialists – Governments need experts who understand AI risks, compliance, and governance.

🚀 Survival Strategy:

  • Stop fighting AI head-on and start using it strategically.
  • Understand where AI can be profitable, instead of just coding.
  • Develop decision-making skills that AI can’t replace.

This is where SIAI’s AI MBA Business Track becomes the smartest move.

Why? The industry will look very different by 2035—and those who fail to adapt will be completely obsolete. So, for you to better understand what will happen, we have created a fictional story about Adam, Brian, and Charlie.

AI Bootcamp vs. AI MBA: The Story of Three Paths in the AI Era

In the early 2020s, AI was the hottest trend in tech. Every company wanted an AI strategy, every engineer wanted to become an AI expert, and every business executive wanted to invest in AI-powered solutions.

Among those caught in the wave were three college friends: Adam, Brian, and Charlie. They had studied together, worked on projects together, and often spent sleepless nights debugging code. But when AI took over the world, their paths diverged—leading to three very different outcomes by the year 2035.

This is their story.

Adam—The AI/Data Science Expert Who Leads the Future

Adam had always been the analytical one. During his undergraduate studies in Economics, he had fallen in love with econometrics and mathematical modeling. Unlike his peers, who viewed math as a painful requirement, Adam saw it as the key to understanding complex systems.

When AI started disrupting industries, Adam knew that surface-level AI wasn’t enough. He saw countless self-proclaimed AI engineers who could train models but had no understanding of why those models worked.

Determined to build real expertise, Adam joined SIAI’s PreMSc program, where he was pushed to his intellectual limits. The curriculum was brutal—probability theory, optimization, deep learning architectures—but he thrived. He moved on to SIAI’s MSc in AI/Data Science, completing two years of rigorous training.

By 2035, Adam was leading an AI division in a Fortune 500 company, tackling some of the most challenging AI problems in the industry. Companies fought over him, offering contracts worth millions. He wasn’t just an engineer running pre-built models—he was an AI scientist designing the future.

When asked about his success, he simply said:

AI isn’t about running models. It’s about understanding the world mathematically. If you don’t get that, AI will replace you instead of you building AI.

Brian—The AI-Savvy Business Leader Who Saved Millions

Unlike Adam, Brian had never been a fan of math. He had majored in Computer Science, but whenever advanced calculus or probability theory appeared, he instinctively looked for ways to avoid it.

In the mid-2020s, AI hype was at its peak. Bootcamps promised fast-track careers in AI with no math required. Excited by the opportunity, Brian enrolled in two AI bootcamps.

But reality hit hard.

The bootcamps taught pre-built AI libraries but failed to explain how or why models worked. Brian started to realize that he wasn’t actually learning AI—he was just copy-pasting code.

Frustrated, he joined SIAI’s PreMSc Prep program, hoping to finally break into real AI. But after months of struggling with advanced mathematics, he admitted to himself: AI wasn’t for him.

But instead of quitting entirely, Brian made a smart pivot. He switched to SIAI’s AI MBA Business Track, where he learned how AI really works in companies, how to hire real AI talent, and how to avoid costly AI mistakes.

By 2035, Brian was a senior AI executive, overseeing AI projects and hiring top AI engineers. Unlike other managers who blindly approved AI budgets, Brian knew exactly what mattered.

He cut unnecessary GPU spending, refused to hire overpriced but incompetent AI engineers, and saved his company millions.

When his company needed a new AI leader, Brian didn’t waste time—he reached out to his old classmate, Adam.

I spent years watching AI managers burn money on useless projects, They hired the wrong people, bought too much hardware, and failed to ask if AI was even needed. I built my career by not making those mistakes.

Charlie—The Self-Taught Kaggle Expert Who Became Obsolete

If Brian had doubts about AI bootcamps, Charlie fully believed in them.

When the AI hype started, Charlie rejected traditional education.

AI is an open field. You don’t need a degree, just learn from Kaggle.

He spent years grinding Kaggle competitions, improving his ranking day by day. He became a well-known name in the AI community, praised for his leaderboard achievements.

But Kaggle rewards gaming the system, not solving real problems. Charlie mastered brute-force hyperparameter tuning, but he never learned how to build AI solutions for real-world business needs.

For years, he coasted on his reputation—until his old friend Brian returned from his AI MBA.

Brian, now an AI executive, quickly realized that Charlie’s Kaggle expertise was useless in production AI. His entire workflow could be automated with ChatGPT.

When Brian’s company needed to optimize AI operations, he hired Adam instead of Charlie.

Within months, Adam built an internal AI system that replaced Charlie’s entire team. By integrating ChatGPT-style automation, Adam achieved in hours what Charlie and his colleagues used to do in weeks.

By 2035, Charlie found himself in a dying industry.

Afterwords in 2035—The cost of right and wrong choices

After launching an internal version of ChatGPT for the company, Adam got numerous job offers from Fortune 500 companies desperately looking for internalizing and customizing the advanced AI algorithm. His salary got tripled and he became the team leader of the AI division.

Now, in every year, Brian, as an HR executive for AI brains, goes to SIAI's annual job fairs to hire a smart recent graduate who can be as effective as Adam. He also offers full scholarship for PreMSc graduates' study in next year's MSc on the condition that they will join after the graduation. Hunting brains in this field becomes more and more competitive.

Charlie could find jobs for a few years, but companies soon replaced him by offshore software engineers from India and ChatGPT. Charlie is no longer an AI expert, but more importantly, he is no longer an engineer. His Uber driver job got also replaced by self-driving services.

The Final Lesson—AI Bootcamps and Self-Teaching Are No Longer Enough

By 2035, the world of AI had sorted itself out:

  • The real experts (like Adam) were in high demand, leading cutting-edge AI innovations.
  • The AI-savvy business leaders (like Brian) were running AI projects efficiently, saving their companies millions.
  • The bootcamp-trained engineers and self-taught Kaggle competitors (like Charlie) were struggling to stay relevant.

AI Bootcamp Graduates:

❌ Learned only surface-level AI.
❌ Got outperformed by AI-powered automation.
❌ Became easily replaceable by cheaper offshore talent.

SIAI AI MBA Graduates (Business or Tech Track):

✔ Gained real-world AI knowledge and strategic thinking.
✔ Built careers in high-value AI roles that AI itself couldn’t replace.
✔ Had the option to switch tracks, ensuring they maximized their strengths.

Do you think the fictional story too fictional?

Picture

Member for

5 months
Real name
Catherine Maguire
Bio
Founding member of GIAI
Professor of Data Science @ SIAI

오프라인 점포 줄이는 은행들, 자산가용 'PB 센터'는 오히려 늘렸다

오프라인 점포 줄이는 은행들, 자산가용 'PB 센터'는 오히려 늘렸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은행 점포, 5년 만에 1,080개 사라졌다
PB 센터는 강남 3구 등 '부촌' 중심으로 활발히 영업
"자산 관리부터 상속까지" PB 센터 서비스 고도화

은행들이 오프라인 점포 수를 지속적으로 줄여 나가고 있다. 지방 중심으로 점포를 축소한 데 이어 서울 강남, 용산 등 인구 밀집 지역 점포마저 통폐합하는 추세다. 반면 고액 자산가들을 위한 프리미엄 점포인 프라이빗뱅커(PB) 센터는 강남 3구를 중심으로 그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은행 오프라인 점포 '급감'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은행들의 오프라인 점포 수가 대폭 축소됐다. 은행연합회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연말 기준 국내 17개 은행의 오프라인 영업점은 5,628개로 집계됐다. 이는 5년 전인 2019년 말(6,708개) 대비 1,080개 줄어든 수준이다. 전체 영업점 중 16.1%가 사라진 것이다. 한때 300개 안팎이었던 연간 영업점 감소 폭은 2023년 53개로 줄었다가 지난해 116개로 다시 늘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은행들이 지방 점포를 넘어 인구 밀집 지역의 점포마저도 줄이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 신한은행은 기업금융 점포를 리테일 공간과 합치는 방식의 통합 대형화를 진행했다. 대형화한 기업금융 점포는 27곳이며, 이 중 26곳이 서울이나 경기도, 광역시 등 점포 밀집 지역에 위치해 있다. 강남에 위치한 점포도 9곳에 달했다. 우리은행 역시 지난 1월 초 26곳의 점포를 통폐합했다. 이 중 여의도와 용산, 대치 등 주요 지역을 포함한 서울권 점포는 16곳이다.

PB 센터 수는 오히려 늘어

일반 고객을 상대로 운영되는 점포 수가 감소한 것과는 달리, 고액 자산가를 겨냥한 프리미엄 점포는 서울 곳곳에서 신설되고 있다. 이달 11일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PB 센터는 95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말(75곳)과 비교해 약 20%(20곳) 늘어난 수치다.

이들 PB 센터는 대부분 강남·서초·송파, 즉 강남 3구에 자리 잡고 있다. 고소득자가 모여 있는 '부촌'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 센터들이 들어선 것이다. 강남 3구 고객들의 평균 투자 규모는 약 10억원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지역의 평균 투자 규모가 2억~3억원 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은행권이 PB 센터 확장에 힘을 싣는 배경에는 '비이자 수익'이 있다. 비이자 수익이란 은행의 영업 이익 중 여·수신 금리에 따른 수익 등 이자 수익을 제외한 수익이다. 이와 관련해 한 은행권 관계자는 "라임 사태, 홍콩 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사태 등으로 은행권의 비이자 수익 전반이 감소한 상황"이라며 "PB 센터 영업을 확대하면 고액 자산가 유치를 통해 수수료를 늘려 비이자 수익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수 있고, 그룹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하나은행의 종로구 평창동 PB 센터/사진=하나은행

PB 센터는 '부자들의 만능 집사'?

은행권은 PB 센터 수를 늘리는 것은 물론, 서비스 질을 제고하는 데에도 공을 들이는 추세다. 관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하나은행의 경우 고객의 자산 규모에 따라 대응을 세분화하고 있다. 30억원 이상의 초고액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하나은행 클럽원(Club 1)은 현재 삼성동과 한남동에서 영업 중이며, 올해 도곡동에 3호점을 오픈할 예정이다.

차별화된 전문 인력도 하나은행 PB 센터의 특징으로 꼽힌다. 하나은행은 △리빙전문 PB △디지털 PB △글로벌 PB △융합형 PB △연금전문팀장 등 특화 업무별 전문 PB 및 직원을 양성하고 있다. 전문 역량을 갖춘 PB 직원들은 상속 설계를 위한 유언대용신탁 전문 상담, 비대면 채널을 통한 전문 자산 관리, 기업금융(IB)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여타 시중은행들도 경쟁적으로 PB 서비스 강화에 나서고 있다. KB국민은행 PB 센터는 2022년 8월부터 금융자산 30억원 이상 초고액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PB 브랜드 'KB골드앤와이즈 더 퍼스트 센터'를 운영 중이다. 신한은행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고액 자산가를 위한 '신한 프리미어 PWM'과 100억원 이상 초고액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한 '신한 프리미어 PIB 및 프리미어 패밀리오피스'를 앞세워 서비스를 차등화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10월부터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고액 자산가들을 타게팅한 특화 지점 '투체어스 W'와 '투체어스 익스클루시브'를 신설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트럼프발 경기침체 우려에 세계 경제 시계제로, 각국 성장률 줄하향

트럼프발 경기침체 우려에 세계 경제 시계제로, 각국 성장률 줄하향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무역 전쟁 확산, 세계 경제 직격탄
인플레 상승으로 경제 타격 우려
주요국들, 성장률 줄줄이 낮춰 잡아
사진=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엑스(X·옛 트위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쏘아 올린 무역 전쟁이 응징과 보복을 주고받는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는 가운데, 각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경제 전망을 일제히 하향 조정하며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이른바 ‘트럼프세션(트럼프와 침체를 뜻하는 리세션을 합친 말)’ 우려다.

올해 佛 성장률 '0.9→0.7%' 조정

13일(이하 현지시간) 프랑스 중앙은행(BdF)은 올해 프랑스의 경제 성장률을 기존 0.9%에서 0.7%로 낮췄다고 밝혔다. 0.7%의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저조한 수준이다. BdF는 내년 성장률도 1.3%에서 1.2%로 0.1%포인트 떨어뜨렸다.

성장률 하향 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 확대 속 세계 수요에 대한 추정치를 낮춘 데 따른 것이다. BdF는 “현재의 불확실성은 미국 관세와 관련된 국제적 차원의 불확실성”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발 무역 긴장과 유럽연합(EU)의 대응 방식 등에서 수많은 위험이 있다고 염려했다.

또한 BdF는 프랑스 경제가 최근 몇 달 동안 예상보다 부진했으며 예산을 둘러싼 정치적 위기로 기업의 신뢰가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올리비에 가르니에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2월에는 예산에 대한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달해 국내 불확실성이 있었고, 오늘날의 불확실성은 미국 관세와 관련된 국제적 차원의 불확실성"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대해 보복관세로 대응하는 EU를 지목하며 “우리는 쩐의 전쟁(Financial battle)서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캐나다, 멕시코 등과 유예된 관세 계획과 주요국을 상대로 포괄적 상호주의 관세 조치가 막을 올리는 4월 2일을 거론하며 “미국에 아주 중요한 날”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관세뿐 아니라 환율조작, 기업규제, 법인세와 부가가치세 등 무역 파트너국의 비관세 장벽까지 검토해 관세로 보복 대응하는 상호주의 관세가 가장 빨리 적용될 수 있는 날짜 역시 4월 2일이다.

유로존도 성장률 전망 하향

프랑스뿐 아니라 다른 주요국들도 관세 폭탄이 본격적으로 투하되기 전 성장률 눈높이를 낮추고 있다.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1%에서 0.9%, 내년은 1.4%에서 1.2%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ECB는 유럽 경제가 ‘지속적인 도전’에 직면했다는 점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이유로 꼽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과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 재점화 가능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EU는 인도, 브라질 등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일찌감치 상호관세 부과 대상으로 점찍은 국가 중 하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2기 집권 후 첫 각료회의에서 “EU는 미국을 이용하기 위한 조직”이라고 맹비난하며 25%의 관세를 곧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EU는 지난 4일 시행한 신규 관세 부과 국가 명단에는 오르지 않았지만, 4월 2일로 예정된 상호관세 부과 리스트에선 빠져나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대로 관세 부과를 현실화할 경우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EU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보인다. EU도 보복 관세로 대응하겠다는 메시지를 트럼프 행정부에 보낸 만큼 양측 무역전쟁이 본격화되면 수입물가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등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ECB는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은 무역 정책과 광범위한 정책 불확실성에서 비롯된 수출 감소와 지속적인 투자 둔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멕시코·대만 등도 성장률 낮춰

트럼프 행정부에서 25% 관세 중 상당 부분을 1개월간 유예받은 멕시코는 이미 직격탄을 맞았다. 멕시코 중앙은행은 지난달 21일 올해 경제 성장률이 0.6%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치 1.2%에서 반토막 난 수준이다. 멕시코 중앙은행은 최대 0.2%까지 위축하며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도 열어뒀다. 빅토리아 로드리게스 멕시코 중앙은행 총재는 “이 예측에는 미국이 무역 측면에서 발표할 조치들이 미칠 영향은 아직 포함되지 않았다”며 “멕시코 경제는 내부적인 측면과 가치 사슬의 구성을 바꿀 수 있는 미국 정책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고율 관세 등 강한 압박을 받고 있는 중국은 최근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3년 연속 ‘5% 안팎’으로 제시했다. 트럼프 관세라는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경제 성장에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다. 하지만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판단은 다르다. 골드만삭스와 HSBC는 4.5%, UBS는 4%로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했고, JP모건은 3.9%로 가장 낮춰 잡았다. IB들은 중국의 내수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과 무역갈등 심화로 수출이 타격을 입으며 민간기업도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밖에 한국은행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내렸고, 대만 통계청은 3.29%에서 3.14%로, 태국은 2.9%에서 2.5%로 하향 조정했다. 세계은행은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 세계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은 예상된 금리 인하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미국 역시 관세 전쟁으로 경제 성장률 하락이라는 부메랑을 맞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4분기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1.7%로 낮추고, 12개월 내 경기 침체 발생 확률을 15%에서 20%로 상향 조정했다. 모건스탠리는 올해 4분기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낮췄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1.3%에서 1.2%로 내렸다. 마이클 T 가펜이 이끄는 모건 스탠리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이전에는 주로 2026년에 성장에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했으나 (미국의) 더 빠르고 광범위한 관세 부과로 인해 올해 성장 둔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해외시장 선점 노린 전선업계 1·2위 특허 싸움, 2심도 LS전선 勝

해외시장 선점 노린 전선업계 1·2위 특허 싸움, 2심도 LS전선 勝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부스덕트용 조인트 키트 관련 2심 판결
LS전선 일부 승소, 법원 “15억원 배상”
본게임은 해저케이블 기술 탈취건
LS전선이 생산하는 버스덕트 제품/사진=LS전선

국내 전선업계 1, 2위인 LS전선과 대한전선의 특허침해 소송 2심에서 LS전선이 승소했다.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LS전선이 승소하며 특허 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했다. 이번 소송은 양사 간 지속적인 법적 분쟁의 일환으로, LS전선과 대한전선은 해저케이블 공장 설계 노하우 유출 의혹을 두고도 맞서고 있다. 대한전선이 LS전선이 독점해 온 해저케이블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형세다.

LS전선, 버스덕트 소송 2심도 승소

14일 법조계와 전선업계에 따르면 특허법원 제24부(부장판사 우성엽)는 전날 LS전선이 대한전선을 상대로 제기한 특허권침해금지 청구 소송에서 LS전선의 청구를 일부 인용하고, 피고 대한전선 청구는 기각했다. 재판부는 대한전선이 LS전선에 4억9,623만원을 배상하라는 1심 선고를 파기하고 배상액을 15억여원으로 높였다.

이번 소송은 2019년 8월 LS전선이 '대한전선이 제조·판매하는 버스덕트(Busduct)용 조인트 키트 제품이 자사의 특허권을 침해했다'고 소를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LS전선은 2007년 조립 정확성과 작업 효율성이 개선된 3세대 버스덕트를 출시해 특허를 취득했고, 이듬해 한 하청업체에 버스덕트용 조인트 키트 외주 제작을 맡겼다. 그런데 이 하청업체에 다니던 직원이 2011년 대한전선으로 이직한 뒤부터 대한전선이 비슷한 제품을 만들기 시작했다며 기술 유출 의혹을 제기했다.

대한전선은 소송 과정에서 LS전선의 특허를 침해한 사실이 없고 자체 기술력만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전선 측은 “미국과 일본 등에는 조인트키트와 관련해 이미 많은 선행 특허가 존재하며, LS전선의 특허는 이 선행 발명을 단순 변경한 것에 불과해 신규성이 결여돼 있다. 또 특허는 특허청 공식 사이트에서 내용이 공개되기 때문에 대한전선이 협력업체 직원을 통해서 해당 기술을 취득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했다.

하지만 해당 사건을 맡은 서울중앙지법은 2022년 9월 1심에서 LS전선의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당시 재판부는 “대한전선의 제품 판매는 LS전선의 특허권을 침해하는 행위므로 보유 중인 해당 제품을 폐기하라”고 명시하면서 LS전선이 청구한 피해 금액 40억원 중 12%에 해당하는 금액(4억9,623만원)을 대한전선이 배상할 것을 명령했다. 그러나 LS전선은 배상금액이 적다는 이유로, 대한전선은 특허를 침해한 적이 없다며 1심 판결에 불복해 상급 법원에 항소했다.

LS전선 동해공장에서 해저케이블을 선적하는 모습/사진=LS전선

포화된 국내 시장, '글로벌 진출' 필수 과제로

양사의 갈등은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으로도 번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경찰은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공장 설계 노하우가 대한전선에 유출됐다는 제보를 받고 수사에 착수했고, 대한전선 본사를 압수수색 하기도 했다. 두 회사의 경쟁이 치열해진 가장 큰 원인은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시장에 있다. 국내 전선시장은 전력 및 통신망 설비구축이 대부분 완료되며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특히 전력선 시장은 이미 전력망 확충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 생산 능력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어 새로운 수요 창출이 어려운 상황이다.

전선 생산량은 전선 소재인 나동선의 생산량을 통해 시장 규모를 추정하는데 국내 나동선 생산량은 2004년 약 83만 MT(메트릭톤)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점차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국내 전선 산업의 성장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국내 시장에서의 판매 증가가 한계에 달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국내 시장의 정체는 결국 전선업체들이 해외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해외시장에서 중요한 사업 분야는 해저케이블이다.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이려는 유럽의 해상풍력 발전 증가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북미 해상풍력 산업이 성장하면서 해저케이블 수요가 늘고 있다. LS전선은 이탈리아의 프리즈미안(Prysmian), 프랑스의 넥상스(Nexans), 스위스의 ABB 등이 과점했던 해저케이블 시장에 국내 최초로 진입했다. 2009년 진도~제주 해저케이블 프로젝트를 수주한 후 카타르, 베네수엘라 등 해외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다.

대한전선은 2022년 충남 당진에 해저케이블 1공장을 착공하며 본격적으로 사업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1공장은 올 상반기 준공을 앞두고 있고, 2공장은 2027년 가동이 목표다. 그러나 대한전선이 공사 중인 이 해저케이블 1공장이 논란의 장소다. 대한전선은 1공장의 설계를 A건축사무소에 맡겼는데, A사무소는 2008~2023년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공장 1~4동의 건축 설계를 전담한 회사다. 1공장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LS전선의 기술자료가 대한전선에 넘어갔다는 것이 LS전선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현재까지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양측 모두 강경 태세다. LS전선은 "대한전선의 기술 탈취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내외에서 모든 법적 조처를 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대한전선은 "혐의가 없다고 판명되면 가능한 민·형사상의 모든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맞받았다. 혐의를 받고 있는 A건축사무소 역시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A사는 "당사는 공장 건축물 설계만 담당하는 건축설계사고, 해저케이블 설비나 생산설비의 설계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LS전선의 스마트폰용 무선충전 모듈/사진=미국 캘리포니아북부연방법원

LS전선-애플 특허소송, 합의로 가닥 잡나

한편 LS전선은 애플을 상대로도 특허분쟁을 제기한 상태다. LS전선이 침해당했다고 주장한 특허는 무선충전 특허로, 발명의 명칭은 '무 접점 충전 배터리 및 충전기, 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세트 및 충전제어 방법(이하 568 특허)'다. 해당 특허의 패밀리 특허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에 출원(신청)·등록됐다.

LS전선은 애플의 아이폰과 애플워치, 에어팟 등 여러 제품이 568 특허의 청구항(권리범위) 7항과 또 다른 청구항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특허 청구항은 모두 58개로, 해당 기술이 2011년 미국 특허로 등록될 당시에는 청구항이 24개였는데 2021년 LS전선이 보충심사(Supplemental Examination)를 신청하고 2023년 미국 특허상표청이 재심증명서(Reexamination Certificate)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청구항이 58개로 늘었다. 기존 청구항 24개도 내용이 일부 수정됐다. 재심증명서를 통해 특허 유효성을 다시 확인하고 권리범위를 구체화하기 때문에 이는 특허분쟁이나 라이선스 협상에 활용할 수 있다.

LS전선은 애플이 지난 2017년 무선충전 패드인 에어파워를 공개했지만 발열 문제 때문에 에어파워 출시 계획을 철회했는데, 이후 애플이 자체 기술을 개발하는 대신, LS전선의 568 특허를 무단 사용하는 방법을 택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LS전선은 2019년에 이미 애플에 공식 서한을 통해 침해 사실을 통보했으나 이후로도 문제가 지속돼 결국 법정 공방으로 번졌다.

현재 LS전선은 특허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 및 애플 제품 판매 금지 명령을 요구하고 있다. LS전선 측 변호인은 "애플이 LS전선의 무선 충전 기술을 사용하면서도 정당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다"며 "오랜 협의에도 불구하고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법적 대응에 나선 것"이라고 소장을 통해 밝혔다.

다만 양사는 지난달 '대체적 분쟁 해결 절차(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를 신청하며 합의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ADR은 정식 재판 없이 조정이나 중재 등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로, 양측이 합의할 경우 정식 재판으로 가기 전에 조기 종결될 수 있다. 특히 대형 IT 기업과의 특허 소송이 장기화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하면, ADR 절차가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딥폴리시] ‘부풀려진’ 미국의 우크라이나전 지원 규모

[딥폴리시] ‘부풀려진’ 미국의 우크라이나전 지원 규모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미국 우크라이나 지원 규모, 공식 발표보다 작아
융자금, 투자금 합산에 장비 감가상각은 누락
전체 지원 규모 유럽에 못 미쳐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미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규모가 공식 발표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경제학자들의 계산에 의해 밝혀졌다. 융자금, 투자금, 장비 지원 등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지원이 현금 예산으로 합산돼 알려졌기 때문이다. 미국은 여전히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최대 단일 지원국임이 분명하지만 지원 규모가 부풀려졌다는 사실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CEPR

미국, 대우크라이나 지원 규모 “알려진 것보다 적어”

당초 미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원조 규모는 누적 600억 달러(약 87조원)를 넘고 비군사적 지원까지 합하면 1,285억 달러(약 187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공식 발표됐었다. 하지만 최근 연구는 군사적, 비군사적 지원의 정확한 경제학적 가치가 3년간 509억 달러(74조원) 수준이라고 평가한다. 1년으로 따지면 평균 170억 달러(약 25조원)로 미국 연방 예산의 0.25%에 해당하며 좀 더 쉽게 예를 들면 연방 정부 소유 건물들에 대한 한 해 유지관리 및 에너지 예산 수준이다.

가치 산정상의 차이는 오래된 군사 장비의 재고 가치가 부풀려지고 융자 및 투자 등 포함해서는 안 되는 항목이 합산됐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에 감가상각 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교체로 계상된 금액까지 포함하면 순수한 군사 원조 규모는 183억 달러(약 27조원)에 해당한다. 여기에 세계은행을 통한 직접 예산 지원이 326억 달러(47조원)로 전체 원조 규모인 509억 달러(74조원)를 구성한다.

미국의 대우크라이나 지원 내역
주: 실제 군사 원조(짙은 청색), 왜곡된 군사 원조(하늘색), 실제 예산 지원(짙은 녹색), 왜곡된 예산 지원(옅은 녹색) / 직접 예산 지원(Direct Budget Support), 수출입은행 융자금(Export Import Loan), 우크라이나 회복 지원/G7 융자금(SPUR/G7 Loans), 미 재무부 보조금(Treasury Account Grants), 대외군사금융 융자금(FMF Loans), 간접 장비 지원(Indirect Equipment Transfers), 직접 장비 지원(Direct Equipment Transfers), 공식 발표 지원 규모(Total Reported Aid)/출처=CEPR

융자금, 투자금 포함하고 장비 감가상각비는 누락

연구진은 해당 숫자를 산정하기 위해 수천 개의 정부 조달 계약과 우크라이나로 보내진 군사 장비들을 일일이 추적했다. 그 결과 미국의 대우크라이나 원조는 8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먼저 미국은 국제개발청(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과 계약한 딜로이트(Deloitte) 및 KPMG 관리하에 세계은행(World Bank)을 통해 310억 달러(약 46조원)를 지원했다. 해당 금액은 연금과 교사 및 의료진 급여 등 확인된 비용에 대한 정산금을 포함한다.

두 번째는 상환 의무가 있는 금융 상품으로 지원금에 포함되면 안 되는 항목에 속한다. 그중 하나가 디젤 기관차 40대를 구매하기 위한 1억 5,600만 달러(약 2,269억원)의 융자금으로 이는 미국 산업에도 도움이 됐다. 또한 미국은 16억 달러(약 2조3천억원) 규모의 러시아 동결 자산을 세계은행에 담보로 제공해 우크라이나와 몰도바에 대한 250억 달러(약 36조원) 규모의 융자를 지원했다.

여기에 미국은 무기 제공 및 유지보수 예산으로 121억 달러(약 18조원)를 배정했으나 얼마나 사용됐는지가 분명치 않다. 우크라이나는 지원 장비에 대해 시장 가격으로 값을 치르고 있기도 하다. 또한 미국은 대통령 인출 권한(Presidential Drawdown Authority, PDA)을 발동해 310억 달러(약 46조원) 상당의 무기와 탄약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했다고 발표했지만 감가상각비와 전투 중 고장률(battlefield failure rate)을 감안한 실제 가치는 125억 달러(약 18조원)로 산정됐다.

스트라이커 장갑차(Stryker armoured personnel carrier)의 생산 연도별 잔존가치
주: 생산 연도(X축), 가치(단위: 1억 달러, Y축), 감가상각액(청색), 잔존가치(하늘색)/출처=CEPR

이밖에 200억 달러(약 30조원) 규모로 알려진 폴란드 국방 사업 투자금 중 실제 우크라이나에 지원된 가치는 3억 4천만 달러(약 4,900억원)에 지나지 않았고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발의된 대여-임대 협정(lend-lease agreement)은 사용되지 않고 종료했다. 마지막으로 미국은 우크라이나와 전쟁 피해국들을 위한 융자금으로 92억 달러(약 13조원)를 배정한 바 있다.

미국 군사 원조 규모, 유럽과 동일한 수준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은 엄격한 회계 감사를 거쳐 매우 투명하고 철저하게 관리되는 해외 지원 프로그램으로 평가된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자금 지원의 대가로 구체적인 개혁 실행을 약속했으며 우크라이나의 전자 정부 시스템인 디아(Diia)를 통해 모든 정산 자료를 철저히 문서화하고 있어 관리 부실의 여지도 별로 없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최대 지원국이지만 전체 지원 규모는 유럽보다 적고 군사 원조로 따져도 유럽과 비슷한 수준에 속한다. 유럽과 미국의 경제 규모로 볼 때 서구를 대표하는 두 경제권이 비교적 공평한 기여를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세간에 알려진 미국의 우크라이나 원조 규모는 오해의 여지가 있다. 공식적으로 발표된 예산 규모와 실제 경제적 가치 사이에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미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비군사적 지원은 투명한 관리하에 있으며 유럽과 비교하면 공평하게 부담을 나눈 것으로 평가된다. 관리 가능한 규모로 글로벌 안보를 위한 나쁘지 않은 투자를 한 셈이다.

원문의 저자는 아나스타시아 페딕(Anastassia Fedyk) UC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하스 경영대학원(Haas School of Business) 조교수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New analysis from Economists for Ukraine: The cost of US aid to Ukraine is less than half the official figures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속도전’으로 혁신 앞당긴 中 기업들, 이번엔 ‘반부패’ 움직임

‘속도전’으로 혁신 앞당긴 中 기업들, 이번엔 ‘반부패’ 움직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화웨이 채용 비리 관련 대규모 해고
시장 입지 확보, 개방형 혁신에 방점
韓 경직된 규제에 ‘극과 극’ 성적표

중국 기업들이 채용이나 업무 수행 중 비리를 저지른 직원들을 상대로 칼을 빼 들었다. 최근 기업·국가 간 혁신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투명한 경영을 위해 부패 척결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구상이다. 이는 개인 간 관계에 기반한 ‘꽌시(关系)문화’가 사회의 한 축을 지탱했던 과거와 매우 대조적인 모습이다.

中 산업계 뒤덮은 반부패 물결

13일 차이신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화웨이는 10일 내부 공지를 통해 비정규직 채용 과정에서 비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일부 책임자가 직접 대리시험을 보거나 대리시험을 알선한 사례, 응시자에게 문제를 유출한 사례 등이 파악됐다”며 “관련자들을 해고하고, 이들에게 불법 이익 반환과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번 채용 비리에는 정규직 72명과 파견직 19명 등 최소 91명의 직원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났다. 부정 채용이 벌어진 곳 가운데 하나인 화웨이 청두연구소 관계자는 “연구소 내 데이터 저장 부서가 주요 타깃이었으며, 전체 직원 100여 명 가운데 퇴직이나 문책을 당한 사람이 62명에 달했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차이신은 “화웨이 역사상 가장 큰 집단 처벌”이라고 표현했다.

부패 척결에 열을 올리는 중국 기업은 비단 화웨이 만이 아니다. 틱톡 운영사 바이트댄스는 지난해 한 해에만 비리에 연루된 353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이 가운데 39명을 사법당국에 넘겼다. 바이트댄스는 해고된 직원들이 악의적으로 회사의 이익을 해친 것으로 판단해 업계 블랙리스트에 등재하고, 과거 부여한 스톡옵션까지 취소했다.

중국 최대 인터넷 서비스 업체 텐센트도 지난 1월 공금횡령과 뇌물수수 혐의가 드러난 직원 100명 이상을 해고했다. 또 해당 사안에 관련된 37개 기업을 ‘문제 있는 업체’로 특정해 향후 협력을 제한하기로 했다. 텐센트는 내부적으로 △사기 △허위사실 △뇌물수수 △기밀 유출 △부당경쟁 등 6가지를 금기하는 ‘텐센트고압선’이라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중국 산업계 전체로 범위를 넓혀 보면, 반부패 움직임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차이신에 의하면 중국 본토 증시에 상장한 시가총액 상위 800개 기업 중 반부패 제도 정보를 공개한 기업의 비율은 2020년 19.4%에서 지난해 67.1%로 47.7%p 증가했다. 반부패 제도 처리 결과를 공개한 기업 비율도 같은 기간 21.8%에서 85.1%로 63.3%p 늘었다.

산업계의 변화에 중국 사법당국도 반색을 드러냈다. 대표적인 경제도시인 상하이의 인민검찰원은 지난해 12월 말 ‘기업의 부패 방지 실무 가이드’를 발표하고 부패 방지 관리 및 예방, 위험 평가, 조사 및 처분, 교육, 형사 고발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많은 기업이 관련 법률과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 자체적으로 부패 방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단 판단에서다. 사법당국은 이를 통해 산업 전반의 반부패 시스템 표준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화웨이 ‘지속 가능한 변화’ 강조

시장에서는 시대의 변화를 주도하는 화웨이의 행보를 눈여겨보는 모양새다. 사법당국보다도 한발 앞선 화웨이의 움직임이 많은 개도국 기업에 롤모델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화웨이는 혁신에 방점을 찍은 2009년을 기점으로 매서운 상승세를 그렸고, 2012년에는 스웨덴 에릭슨을 제치고 세계 최대 통신장비 제조 업체로 우뚝 섰다. 매년 매출의 10%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등 경쟁력 강화에 힘쓴 결과다.

화웨이는 다음 세대로의 이동을 위해 개방형 혁신과 기업 간 협업 확대를 강조했다.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디지털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만큼 협력적인 디지털 포용성 프로젝트가 소외된 지역 사회에 적절한 기술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달 11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25’에서 켄후 화웨이 순환 회장은 “디지털 기술과 파트너십이 사람과 지구를 위한 선순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다만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세계에서 아무도 소외되지 않도록 각국 정부와 ICT 업계가 협력 플랫폼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책 입안자들이 보다 포용적인 제도적 틀을 구축하고, 더 많은 기술 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를 위해 화웨이는 자체적으로 장기 이니셔티브 테크포올(TECH4ALL)을 추진 중이다. 디지털 세계에서 포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설계된 TECH4ALL을 통해 화웨이는 케냐 청소년 6,000여 명에게 교육을 제공했으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과 손잡고 11개국에서 진행된 13개 자연 보호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화웨이가 기술의 발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육과 자연 보호를 재정의하는 수준에 도달했다는 게 전문가 중론이다.

권위주의와 시장 경제의 이례적 공존

전문가들은 치열한 시장 경쟁이 중국 기업들의 혁신을 앞당겼다고 입을 모았다. 중국 자체는 공산당 체제의 권위주의를 유지하고 있지만, 시장 포화 상태에 놓인 기업들로선 생존을 위해 혁신을 미룰 수 없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혁신을 뒷받침할 만한 자원과 다양한 기업이 존재한다는 점도 권위주의 속 시장 경제의 활성화를 앞당겼다는 평가다.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겸 한국경제학회장은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예를 들며 “시장 후발 주자의 한계는 비슷한 성능의 제품을 내놔도 더 싸지 않으면 판매할 수 없다는 점”이라며 “그런데 딥시크는 성능은 끌어 올리고 가격은 낮추는 두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게 바로 파괴적 혁신의 사례”라며 “이미 중국에서는 딥시크와 비슷한 사례들이 제조업 분야에서 많이 나오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2010년대 이후 대기업의 생산성조차 정체되는 등 혁신 역량이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는 게 이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비율이 4%가 넘을 정도로 투자는 꾸준하지만, 그 성과는 미진한 게 사실”이라며 “최근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 같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짙은 만큼 섹터별·품목별 경쟁의 양상에 따라 세분화한 산업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기업의 생산성을 억제하는 과도한 규제가 산업 전체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 또한 이와 같은 맥락이다. 전 세계 유례없는 초강력 주 52시간제, 한 번 고용하면 해고는 사실상 불가능한 경직된 노동법 등이 혁신의 핵심과도 같은 속도전에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자본이 노동을 착취한다’는 낡은 이념과 경직된 규제가 한국과 중국 혁신의 격차를 더욱 벌려 놓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배경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지인까지 소개했는데” 잊을 만하면 반복되는 코인 폰지사기, 이번엔 퀀트바인

“지인까지 소개했는데” 잊을 만하면 반복되는 코인 폰지사기, 이번엔 퀀트바인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운영자 실체·수익구조 불투명
비슷한 수법 돌려막기에 피해자 속출
법적 싸움에도 손해 배상은 제한적

다단계 금융사기(폰지사기) 의혹에 휩싸였던 가상자산 플랫폼 퀀트바인(QuantVine)이 홈페이지를 폐쇄하고 돌연 종적을 감췄다. 과거 퀀트바인으로 수익을 올렸다는 인증 게시물이나 동영상 또한 대부분 삭제된 것으로 파악됐다. 퀀트바인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원금과 수익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약속으로 투자자들을 유인했지만, 현재는 출금이 모두 막힌 상태다.

해외 본사·인기 키워드 공통점

13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코빗 등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이달 4일부터 순차적으로 퀀트바인으로 출금을 할 수 없도록 조치에 나섰다. 해당 사이트에 대한 불법 다단계 우려가 있어 사실관계가 파악되기 전까지 투자 보호 차원에서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다는 게 이들 거래소의 일관된 설명이다. 이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던 퀀트바인은 12일 홈페이지를 폐쇄했다. 피해자들은 퀀트바인 운영자의 실체를 파악하지 못해 법적 대응조차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이다.

퀀트바인이 잠적한 후에도 유사 업체들은 소셜미디어 등에 버젓이 홍보를 전개 중이다. 대부분 업체가 해외에 본사를 두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가상자산 매매로 수익을 내고 있다고 주장하는 식이다. 영국판 퀀트바인, AI 양적거래, 암호화폐 채굴, 앱테크 등 간판은 다양하지만, 실체는 모두 폰지사기의 양상을 띤다.

A사의 경우 하루 6%의 수익률을 보장한다며 네티즌을 유혹하고 있다. 투자자가 다른 투자자를 유치하면 레벨이 올라가고, 레벨이 올라가면 투자 가능 금액도 높아져 더 많은 수익을 챙기게 되는 구조다. 홍보 게시물에는 투자자를 자처하며 “퀀트바인과는 다른 안전한 투자처” 등 옹호하는 댓글도 여럿 달렸다.

생성형 AI 챗GPT 콘셉트를 차용한 B사도 폰지사기 가능성이 농후하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B사에 3만원을 투자해 6개월 만에 300만원을 벌었다” 등 수익 인증 글이 단기간에 다수 게재됐다. 이 외에도 일본에 적을 두고 최근 한국에 진출했다는 C사, 가상자산 채굴을 통해 수익을 배분한다는 D사 등이 모두 폰지사기 의혹을 받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에 없던 새로운 수법까진 아니다”라면서도 “AI가 인기다 보니 AI 키워드를 활용한 사기 업체가 많아진 추세”라고 말했다.

약속한 수익 배분으로 반짝 신뢰도 쌓기

지난해 하반기 본격 이름을 알린 퀀트바인은 하루에 1.8~2.1%의 수익을 보장한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연간 수익률로 환산하면 13만%를 웃도는 수치다. 다만 투자는 테더(USDT)로만 받았다. USDT는 미국 달러와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1USDT는 1달러와 같은 가치를 지닌다. 투자 한도는 100~300테더USDT로, 최대 투자 가능 금액은 우리 돈 기준 약 43만원이다. 피해자들은 투자 가능 금액이 정해져 있다는 말에 안심하고 투자한 것으로 전해진다. 혹여 사고가 발생해 투자금을 모두 잃어도 일상생활에는 문제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렇게 투자금을 끌어모은 퀀트바인은 초기에는 약속한 수익을 배분했고, 수익을 얻은 일부 투자자는 퀀트바인에 믿음을 갖고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했다. 수익금으로 재투자하는 구조가 만들어진 만큼 손해 볼 것이 없다고 본 것이다. 퀀트바인은 여기에 또 다른 투자자를 유치하면 수익률을 높여주는 식으로 투자자 유치에 박차를 가했다. 전형적인 폰지사기 방식이다.

일부 투자자는 퀀드바인이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에 정식 등록되지 않은 앱을 사용하는 점, 창업자나 운영진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는 점 등을 문제 삼았다. 운영 주체와 정확한 수익구조 등 어떤 것도 투명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공시 홈페이지 내 팀 소개에 사용된 이미지들은 무료 사진 공유 플랫폼 프리픽(Freepik)에 올라온 것으로 밝혀지며 의혹에 힘을 보탰다.

퀀트바인은 자동화된 퀀트 트레이딩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주요 전략은 가상자산 거래소 간 시세 차이를 이용한 차익 거래(Arbitrage Trading)로 AI 알고리즘이 시장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적의 매매 타이밍을 찾아 자동으로 거래를 진행한다는 설명이다. 투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인간의 감정’이 배제된 만큼 꾸준한 수익률이 가능하다고도 덧붙였다. 사무실 등 운영진의 실체에 대한 질문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 본사가 있어 미국 금융 당국으로부터 영업 허가를 받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확한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파악된 바 없다.

책임 주체 특정해도 손해 배상 힘들어

가상자산을 둘러싼 대규모 피해 사건은 잊을 만하면 반복되는 일이다. 가장 최근의 사례로는 지난해 말 파산한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업체 하루인베스트를 꼽을 수 있다. 해당 업체는 2020년 3월부터 2023년 6월까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테더 등 코인을 예치하면 원금을 보장하고 최고 수익을 지급할 것처럼 투자자들을 속여 자금을 끌어모았고, 이후 돌연 출금을 중단한 채 소통을 끊었다.

해당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투자자는 1만6,000여 명에 달하며, 피해 규모는 1조4,000억원대로 집계됐다. 서울회생법원은 지난해 11월 하루인베스트 운영사인 하루매니지먼트리미티드에 파산을 선고했다. 업체는 영국령인 버진아일랜드에 설립된 법인이라는 점을 강조했으나, 재판부는 국내에 사무실을 두고 운영한 점 등을 감안해 국내 법원에 관할권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루인베스트 파산 선고 직전 피해자들은 투자금을 돌려받기 위해 형사 고소와 함께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지만, 법원은 회생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로 이를 기각했다. 파산 선고로 피해 복구가 가능할 것이란 추측도 나왔으나, 경영진이 보유한 자산이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한 데다 가상자산의 특성상 자금 흐름을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실질적 배상이 이뤄질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예산 쏟아부어도 소용 없네" 청년층 '쉬었음' 인구 50만 명 돌파

"예산 쏟아부어도 소용 없네" 청년층 '쉬었음' 인구 50만 명 돌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15~29세 쉬었음 인구 사상 최대치 기록
정부 예산 수조원 투입해도 고용 시장 '줄이탈'
일자리 미스매치 등 근본적 문제에 주목해야

일할 능력이 있지만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50만 명을 넘어섰다. 정부가 청년 고용 안정을 위해 조(兆) 단위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되레 상황이 악화하는 양상이다.

청년층 고용 지표 줄줄이 악화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관련 고용 지표가 지난달 모두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1년 전과 비교해 23만5,000명 감소했으며, 실업자 수는 5,000명 증가했다. 전체 인구를 고려한 고용률은 44.3%로 1.7%p 하락했고, 실업률은 7%로 0.5%p 상승했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50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6만1,000명 늘었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청년 쉬었음 인구가 50만 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쉬었음 인구는 실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인구에서 일할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으나, 막연히 쉬고 싶어 하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다.

정부의 문제 해결 노력

정부는 청년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힘을 쏟고 있다. 장주성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취직 계획이 있는 쉬었음 청년 60%에 대해선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나머지 구직 의욕이 없는 40%를 위해서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을 3월부터 가동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은 대학을 졸업한 뒤 4개월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미취업’ 상태인 청년들을 찾아가 1대1로 직업 훈련, 인턴 알선 등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플랫폼이다. 이에 더해 정부는 최근 신규 채용을 늘리기 위해 경제 단체와 일자리 창출 협약을 맺기도 했다.

청년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도 매년 확대하고 있다. 정부는 청년 취업 관련 예산을 지난해 1조9,689억원에서 올해 2조2,922억원으로 확대했다. 사업별 책정 예산은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175억원 △일 경험(인턴 연계) 프로그램 2,141억원 △K디지털 트레이닝(디지털 산업 현장 실무 경험·교육) 4,781억원 △일자리 도약 장려금(청년 채용 기업 지원) 7,772억원 △청년 도전 지원(구직단념자 대상 상담·자신감 회복·진로상담 프로그램) 717억원 등이다.

청년들은 '왜' 쉬나

하지만 이 같은 정부의 지원책은 고용 시장을 이탈하는 청년들을 좀처럼 붙잡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보다 '근본적인'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한 시장 전문가는 "결국 구직 포기 청년이 늘어나는 핵심 원인은 일자리 미스매치"라며 "청년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선발 인원을 줄이며 취업 문턱이 높아지자, 무력감과 좌절감을 느낀 청년들이 속속 구직을 포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한국은행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쉬는(자발적 쉬었음) 인구의 비중은 핵심 연령층(35~39살, 20.1%)보다 청년층(32.4%)에서 높았으며, 비자발적 사유로 쉬는 청년층 인구도 주로 선호도가 낮은 300인 미만 중소기업, 대면 서비스업 등에 종사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다른 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1년 이상 쉬었음 경험이 있는 청년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38.1%의 응답자가 적합한 일자리가 부족해 쉬었음을 택했다고 답했다. 이어 △교육·자기 계발(35.0%) △번아웃 27.7% △심리적·정신적 문제 25.0% 순이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美 교육부 인력 절반 내쫓은 트럼프, 부처 해체 '신호탄'

美 교육부 인력 절반 내쫓은 트럼프, 부처 해체 '신호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트럼프 두 달, 美 연방 교육부 ‘반토막’
연방 공무원 포함해 총 1,950명 감원
교육부 장관 “행정적 낭비 없앨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백악관

미국 연방 교육부(Department of Education)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앞두고 인력을 절반가량 줄이는 개편안을 단행했다. 거침없이 계속된 칼질에 연방 교육부 인력 규모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뒤 두 달 만에 반토막이 났다. 교육부는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와 더불어 공화당과 미국 보수주의자들이 없애야 한다고 보는 각료급 부서로, 연방 정부에 대한 대대적 구조조정에 돌입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공약이었던 교육부 폐지에도 드라이브를 거는 양상이다.

교육부 직원 1,950명, 하루 만에 해고

12일(이하 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미 연방 교육부는 전날 감원 절차를 통해 1,315명의 연방 공무원을 포함, 총 1,950명의 직원을 감원한다고 밝혔다. 이날 해고된 1,315명 외에도 572명이 자발적인 조기 퇴직 프로그램을 수용했고, 지난달에는 수습 직원 63명이 해고됐다.

이에 따라 올해 초 직원이 4,133명이었던 교육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불과 두 달 만에 절반 수준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가장 타격을 입은 곳은 교육부 내 시민권(Civil Rights)국과 지역 사무소들로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보스턴 등에서 사무실이 폐쇄되거나 겨우 최소 인력만 남게 됐다.

교육부는 이번 해고 조처가 보다 효율적인 업무를 위한 것이며 학자금 대출 및 연방정부 학자금 보조금(펠 그랜트)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은 "오늘의 인력 감축은 효율성, 책임, 자원이 가장 중요한 곳, 즉 학생 학부모 교사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교육부의 노력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맥마흔 장관은 상원 인준을 받은 지난 3일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교육부가 앞으로 대대적인 감축을 겪게 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비효율적 관료주의·과도한 간섭이 교육 자율성 저해

이번 조치는 연방정부 규모를 축소하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교육부를 폐지하고 각 주와 지역 학교들이 그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겠다고 주장해 왔다. 교육에 대한 연방 개입을 제한해, 주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겠다는 복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입장을 취한 데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미국 내 학교들의 휴교 조치 등 각종 제한에 반발하며 몸집을 키운 ‘부모 권리 운동(parents’ rights movement)’ 세력을 끌어들이기 위한 정치적인 배경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특히 성 소수자와 인종 문제에 대한 반대를 중심으로 커리큘럼의 좌편향을 지적하며 조직화했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교육부가 급진주의자, 광신도,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장악됐다”고 꼬집기도 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교육부가 비효율적인 관료주의와 불필요한 개입을 초래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미국의 공립학교 운영 예산의 대부분은 주 정부 및 지방 정부에서 충당하며, 교육부는 일부 보조금을 지원 및 정책 조율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교육부가 교육에 대한 과도한 간섭을 하며, 지역별 교육 자율성을 저해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교육부 예산의 가장 큰 비중(약 680억 달러·약 99조원)은 대학 학자금대출 지원에 사용되는데, 트럼프 행정부는 이러한 보조금이 대학 등록금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연방정부가 대학에 대한 막대한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학비가 인위적으로 높아졌고, 결과적으로 대학 교육이 필수적인 것처럼 부풀려졌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트럼프 2.0 공약집’으로 불리는 헤리티지 재단의 정책 제언 ‘프로젝트 2025’도 교육부 폐지를 촉구해 왔으며, 미국 보수 세력 역시 이전 행정부들의 교육부 조치에 날을 세우고 있다. 미국 보수주의자들은 민주당 정권이 임기 중 취한 교육 관련 각종 조치가 큰 문제를 일으킨다고 주장한다. 특히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대학생 학자금대출을 연방 예산으로 탕감해 준 것과 성소수자 권익 강화를 명분으로 각급 학교에서 행한 조치들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이다.

한국도 대선마다 '교육부 해체론' 되풀이

우리나라에서도 교육부는 개혁의 대상으로 지목돼 대선 때마다 교육부 해체 또는 권한 분산 등의 주장이 나오고 있다. 다만 그 이유가 미국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학생과 학부모가 혼란스러울 정도로 교육정책이 조변석개하고, 불필요한 규제가 많으며, 교육 본질보다는 평등과 복지에 중점을 둔 정책들을 추진하는 점이 주요 원인이다.

우리나라 교육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담당하고 있는데, 교육부는 초·중·고 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정책 전반을 관장하고, 시도교육청은 초·중·고 교육을 담당한다. 2022년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국가교육발전계획 수립(교육비전, 중장기 정책 방향 및 교육제도 개선 등)과 국가교육과정의 기준과 내용 고시,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 의견 수렴·조정 등을 수행하도록 정리됐다.

하지만 교육부가 추진해 온 정책 중 고교학점제와 늘봄학교 정책처럼 공론화 과정과 단계적 준비를 거쳐 순조롭게 진행된 정책도 있는 반면, 미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변화가 긴요한데도 착수도 못하거나 며칠 만에 철회하는 정책들도 다수다. 학제, 교원정책, 대학입학정책 등을 정부가 손을 대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정권·교육감 교체기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사건 때문에 교육정책이 변하는 것도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다.

오락가락 교육정책의 대표적 사례는 현장실습 중 학생이 사망한 사고로 인해 1년 만에 뒤집힌 특성화고 현장실습 정책과 사교육 억제 명목으로 기재 항목을 변경해 오다 2024학년도 대입부터 폐지가 결정된 자기소개서 정책 등 수두룩하다.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폐지, AI 디지털 교과서(AIDT) 도입, 고교 무상교육 등도 같은 사례로 꼽힌다.

교육부의 또 다른 비판 요소는 각종 규제가 많다는 점이다. 중앙부처 중 교육부는 조직과 구성원이 가장 많은 부서로, 일거리를 창출하기 위해 각종 규제를 만들어낸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대학 홍보 금지 조처가 단적인 예다. 대학 입학 자원이 부족해 미충원 인원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대학은 홍보에 적극적일 수밖에 없음에도, 교육부는 대학에 입시정보업체의 유튜브 채널이나 사교육 기관을 통한 입시설명회를 금지하고, 직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홍보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또한 교육부는 2009년부터 ‘반값 등록금’ 명목으로 17년째 대학 등록금 동결을 강요하고, 인상하면 국가장학금 지원 중단과 정부 재정지원 사업 선정에서 탈락시키는 등 불이익을 줬다. 이 같은 조처는 대학 재정을 고갈시켰고, 궁극적으로 대학 교육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자금 회수 열 올리는 홈플러스 단기채 투자자들, 기업회생은 뒷전? “뭣이 중헌디”

자금 회수 열 올리는 홈플러스 단기채 투자자들, 기업회생은 뒷전? “뭣이 중헌디”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신용등급 강등 이후 단기물 수요 예측
자금 이슈 발생 가능성 인지 후 회생절차
4,000억원 단기물에 발목 잡힌 유통 공룡

기업회생(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와 관련해 채권 손실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짙어지는 모습이다. 특히 3개월 전자단기사채(ABSTB) 투자자들은 해당 채권을 상거래 채권으로 분류해 우선 변제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ABSTB를 상거래 채권으로 분류하더라도 홈플러스가 물품 대금을 지급해야 자금이 순환하는 만큼 기업회생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는 시각이 주를 이룬다.

“매월 운전자본 용도 단기자금 조달” 해명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재무 담당자와 신영증권 기업금융(IB) 실무자는 홈플러스의 회생 신청 전 마지막 영업일이자 홈플러스의 단기신용등급이 하락한 지난달 28일 미팅을 진행했다. 당시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등 신용평가사들은 홈플러스의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강등했다.

단기자금 운영 수정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신영증권 담당자를 만난 홈플러스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 CP, ABSTB 등 단기물에 대한 시장 수요를 문의했다. 홈플러스에 의하면 신영증권 담당자는 “A3- 등급 단기채는 인수자 규모가 작아 기존 발행 규모를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시장 조사 후에 다시 답변을 주겠다”고 했고, 이후 “최대한 발행 가능한 규모가 기존 발행 금액의 4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전달했다.

단기자금 확보 규모가 크게 줄어들어 자금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홈플러스는 결국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등급 강등을 고지받은 이후 발행사로서 주관사를 만나 수요 변동 가능성에 대해 문의하는 건 당연한 절차”라고 말했다. 이 같은 증언은 홈플러스가 이번 기업회생 결정의 계기가 된 신용등급 강등 내지 강등 가능성을 사전에 알고도 직전까지 채권을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끼쳤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한 해명으로 풀이된다.

신용평가사들의 고지 전까지 신용등급 강등을 예상하지 못했으며,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기로 결정한 시점은 신용등급 하향 조정 이후라는 게 홈플러스와 주주사 MBK파트너스의 일관된 입장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MBK에 인수되기 전부 운전자본 용도로 최대 7,000억원 규모의 CP, 전단채 및 ABSTB 등 단기 대출자금을 활용해 왔다”며 “이는 수년간 매월 주기적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갑자기 기획하고 발행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신영증권은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ABSTB 시장은 신용보강 가능성, 유동성, 금리 등을 고려해 평가되는 시장인 탓에 신용등급 변동 한 가지 요소만으로 수요 변동을 예측하기는 어렵다는 주장이다. 다만 그러면서도 홈플러스에 대한 법적 고발을 준비 중이라는 항간의 소문에 대해서는 “고발보다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최우선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고금리 상품에 저위험 강요?

이 같은 적극 해명에도 불구하고 ABSTB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호소하며 자신들의 채권을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홈플러스 ABSTB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12일 금융감독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와 주주사 MBK파트너스, 카드사들이 짜고 친 판에 속아 넘어갔다”며 “홈플러스 ABSTB는 물품 구입을 위해 판매하는 채권인 만큼 상거래채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는 국내 2위 대형할인매장인데, 이렇게 큰 대기업이 하루아침에 회생신청을 한다는 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주주사 MBK의 고의성 부도행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통 업체의 ABSTB는 특정 업체가 구매전용카드로 물품을 구입함으로써 카드사가 갖게 된 카드대금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유동화증권이다. 발행 주관사가 카드대금채권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수령할 권리를 기초로 유동화 전단채를 발행하고, 이를 통해 카드사는 유통업체가 내야 할 카드대금을 일찍 수령하는 구조다. 홈플러스 ABSTB는 낮은 신용등급만큼 연 6∼7% 고금리를 제공하는 만기 3개월 상품으로, 현재 미상환 잔액은 4,019억원이다. 홈플러스는 이번 회생절차 개시로 금융채권 상환이 유예되면서 변제 의무는 사라졌지만, 상거래 채권은 정상적으로 상환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ABSTB 투자자들이 상거래 채권 분류에 열을 올리는 배경이다.

증권업계도 이번 사태를 엄중히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채권 판매 과정에서 개인 투자자에게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불완전 판매 논란으로 이어질 공산이 큰 탓이다. 지난 10일에는 신영증권 주도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후 신영증권 관계자는 “홈플러스 ABSTB 발행에 대해 많은 시장 참여자가 의구심을 가진 상황”이라면서도 “형사고소 등 강경한 대응을 진행해달라고 요청하는 투자자도 있지만, 원만한 해결이 우선이라는 기조는 변함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상거래 채권도 상환 일정 차질 불가피

홈플러스는 유동화 상품 분류와 관련해 내부 논의가 한창이다. 이를 두고 법무법인·회계법인과 소통 중이라는 전언이다. 아직 회생계획안에 대한 인가 결정이 나오기 전인 만큼 실제 향방은 인가 결정 이후 정해질 전망이다. 만약 ABSTB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면, 자금은 기약 없이 묶여 있게 된다. 다만 채권 자체가 사라지는 게 아닌 만큼 홈플러스 회생에 총력을 기울이는 편이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나아가 상거래 채무로 분류되더라도 자금 회수 일정엔 일부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란 예측 또한 제기된다. 지금과 같이 유동화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홈플러스가 유형자산을 활용해 담보대출을 받거나 혹은 자체로 갚아야 하기 때문이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11월 기준 매입채무만 4,680억원을 들고 있는 반면 현금성 자산은 1,500억원가량에 불과하다.

IB업계 관계자는 “초유의 상황이라 시장 참여자 사이에서도 여러 의견이 오가고 있다”면서 “ABSTB 상품 성격으로 보면 상거래성이 짙긴 한데, 카드사는 이를 금융상품으로 분류하고 있을 것이므로 아무래도 회생채권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쪽이든 결국 홈플러스가 카드사에 카드값을 내야 자금이 순환하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