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FTC 제동이 치명타" 코치 모회사, 베르사체 인수 무산 위기

"FTC 제동이 치명타" 코치 모회사, 베르사체 인수 무산 위기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태피스트리의 카프리 인수 막아선 FTC
美 법원 FTC 가처분 신청 승인, 합병 무산 위기
"항소하겠다" 태피스트리, 법원 판결 불복
TAPESTRY_CAPRI_20241025

미국 패션 브랜드 코치의 모회사인 태피스트리의 카프리홀딩스(이하 카프리) 인수 계획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태피스트리의 카프리 인수를 막기 위해 제기한 가처분 소송이 승인되면서다. 태피스트리 측은 이 같은 법원 판결이 '실망스럽다'며 항소 의지를 내비치고 나섰다.

FTC 손 들어준 美 법원

24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뉴욕 남부연방법원의 제니퍼 로숀 판사는 태피스트리의 카프리 인수를 막아달라며 FTC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승인했다. 연방법원이 이 같은 판결을 내린 이유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자세한 의견서는 비공개로 제출돼 현재 공개되지 않았다고 CNBC는 전했다.

태피스트리는 코치 외 케이트 스페이드, 스튜어트와이츠먼 등을, 카프리는 마이클 코어스 외 베르사체, 지미추 등을 주요 브랜드로 두고 있는 패션 기업이다. 양사는 지난 4월 유럽연합(EU)과 일본 규제당국으로부터 합병 거래 승인을 받은 상태로, 당초 올해 말까지 85억 달러(약 11조7,000억원) 규모 인수 거래를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계획은 법원이 FTC의 손을 들어주며 거대한 암초에 부딪히게 됐다.

TAPESTRY_FTC_20241025

FTC, 합병 왜 막아섰나

FTC가 법원에 소를 제기한 것은 지난 4월이다. 양 사 합병이 초고가 명품 핸드백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고급 핸드백 시장에서 경쟁을 저해할 것이라고 판단, 법원에 합병을 막아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당시 헨리 리우 FTC 경쟁국장은 성명을 통해 “태피스트리와 카프리의 합병은 가격 경쟁, 할인, 디자인, 마케팅 등 양 사가 경쟁 관계에 있을 때 미국 소비자들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박탈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합병 후 회사 직원 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3만3,000명에 달하게 되면서 두 회사 직원들의 임금과 복지 혜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FTC가 명품 업계 인수합병(M&A)에 제동을 거는 경우는 이례적이라고 평가한다. 폴 레주에스 씨티그룹 분석가는 FTC가 핸드백 부문 경쟁에 주목하는 것과 관련해 “핸드백은 소비자가 가장 신중하게 구매하는 품목이고, 코치와 마이클 코어스가 시장 점유율은 높지만 경쟁이 상당한 편”이라며 “반경쟁을 이유로 인수합병 거래에 제동을 거는 것은 실익이 없다”고 지적했다.

태피스트리와 카프리 역시 "현재 매우 경쟁적인 시장 상황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유럽의 럭셔리 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해 합병이 필요하다"고 항변했다. 또 양 사가 합병할 시 시장의 트렌드를 더 빨리 따라잡고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해 더 많은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더 나은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같은 양 사의 주장은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법정 다툼 본격화 전망

이대로 합병이 무산될 경우 태피스트리와 카프리는 막대한 규모의 배상금·위약금을 지불해야 한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태피스트리는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지 못하거나 정부가 영구적이고 항소할 수 없는 금지 명령을 내려 거래가 무산되는 경우 카프리에 3,000만~5,000만 달러(약 416억3,400만원~ 693억9,000만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카프리는 합병 중단이 결정될 시 2억4,000만 달러(약 3,330억7,200만원)의 해산 위약금을 지불해야 한다.

이에 업계에서는 양 사가 법원 판결에 불복하며 법정 다툼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실제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승인한 이후 태피스트리는 성명을 통해 “FTC의 가처분 신청을 승인한 오늘 결정은 실망스럽고 법과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잘못된 결정이라고 생각한다”며 “합병 계약에 따른 의무에 따라 법원의 명령에 항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태피스트리와 카프리는 경쟁이 치열하고 역동적이며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기존 플레이어와 신규 진입자 사이에서 매우 세분화된 산업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저가 및 고가 제품 모두로부터 경쟁 압력에 직면해 있으며 이번 거래가 친경쟁적이고 친소비자적인 거래라고 계속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멈춰선 11번가 매각 논의, SK스퀘어 '콜옵션 재행사' 나서나

멈춰선 11번가 매각 논의, SK스퀘어 '콜옵션 재행사' 나서나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나인홀딩스컨소시엄 주도하에 M&A 시장 나온 11번가
인수 협상 줄줄이 결렬, SK스퀘어 협조에도 매각 '공회전'
"콜옵션 재행사인가 IPO 재도전인가" 선택의 기로 놓인 SK
11st 20240812

SK그룹이 이커머스 자회사 11번가 지분에 대한 콜옵션(주식 등 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재행사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11번가의 재무적 투자자(FI) 나인홀딩스컨소시엄의 지분 매각 논의가 잠정 중단된 가운데, 부담을 느낀 SK 측이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움직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11번가 매각 잠정 중단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재 11번가의 경영권 매각 작업은 잠정 중단된 상태다. 앞서 지난해 11번가는 투자자들과 약속한 기한 내 기업공개(IPO)에 나서지 못하며 FI들로부터 투자금 상환을 요구받은 바 있다.

지난 2018년 11번가 운영사였던 SK플래닛은 H&Q코리아와 국민연금, 새마을금고 등으로 구성된 나일홀딩스컨소시엄으로부터 5,000억원을 투자받았다. 국민연금이 단독 LP로 들어간 프로젝트 펀드가 3,500억원을, H&Q의 3호 블라인드펀드가 1,000억원을, MG새마을금고의 프로젝트 펀드가 500억원을 각각 나일홀딩스에 각각 출자했다. 당시 투자 계약에는 드래그앤콜 조항이 포함돼 있었다. 11번가가 2023년 9월 30일까지 IPO를 완료하지 못할 시 컨소시엄이 SK의 지분까지 강제 매각(드래그얼롱)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전에 SK가 지분을 다시 되살 수 있는 권한(콜옵션)을 부여한 것이다.

하지만 이후 11번가는 기한 내 상장에 실패했고, 최대주주인 SK스퀘어는 콜옵션 행사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11번가는 드래그얼롱 권한을 보유한 나인홀딩스 주도하에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오게 됐다.

11ST_20241025

"이젠 원매자도 없다" 매각 논의 헛바퀴

나인홀딩스 측은 원리금을 보전하는 수준에서 11번가 경영권을 매각하기 위해 여러 차례 원매자들과 소통했지만, 유의미한 소득은 없었다. 지난 8월 오아시스와의 매각 협상이 무위로 돌아간 이후엔 시장에서 거론되는 원매자도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당시 오아시스는 자사 주식과 관계사 루트의 주식을 섞어 11번가 주식과 맞바꾸는 방식을 나일홀딩스 측에 제안했지만, 컨소시엄은 이를 거절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해 한 시장 관계자는 "엑시트(투자금 회수)가 필요한 시점에 지분 스왑을 통해 투자 기간을 연장하는 건 나인홀딩스 입장에서 반가운 일은 아니다"라며 "지분 교환 대상에 포함된 루트가 적자 기업이라는 점도 문제가 된 걸로 안다"고 전했다.

11번가 매각안이 암초에 부딪히자, SK스퀘어는 지난 9월 11번가 성장을 위해 지속해서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나섰다. 당시 SK스퀘어는 11번가 안정은 대표 명의의 공지를 통해 “11번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협의하고 있다”며 “쇼핑과 판매자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시장에서는 SK 측이 주도적으로 매각처를 모색하며 상황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기도 했다.

SK그룹의 선택은?

문제는 SK스퀘어가 협력 의사를 밝힌 이후로도 매각 논의에 이렇다 할 진전이 없었다는 점이다. 업계에서 SK 측이 콜옵션 재행사에 나서며 상황을 정리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나일홀딩스컨소시엄에서 11번가에 가장 많은 자금을 투자한 국민연금이 SK 측에 강력한 항의를 이어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부담을 느낀 SK가 콜옵션 재행사 여부를 검토하며 FI들과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계약 조건상 SK스퀘어는 내년 말 한 번 더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SK스퀘어가 FI와의 협상을 통해 11번가의 수익성을 고도화, 재차 IPO에 도전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11번가의 기업가치는 2018년 2조7,000억원에서 최근 5,000억원 수준까지 미끄러졌다"며 "11번가 매각은 FI가 먼저 자금을 회수하는 워터폴(Waterfall) 방식으로 진행되는 만큼, 매각 후 SK스퀘어에 돌아갈 이익은 사실상 적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1번가의 기업가치 하락 상황을 고려한 SK스퀘어가 FI와의 재협상을 통해 11번가의 사업성과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다시 IPO에 도전하는 방식을 채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강남은 완판, 지방은 청약자 제로" 심화하는 분양 시장 양극화

"강남은 완판, 지방은 청약자 제로" 심화하는 분양 시장 양극화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올해 강남·서초구서 분양한 5개 단지 '완판 행렬'
"입지 좋은 곳만 겨우 팔린다" 지방 분양 시장에 닥친 혹한기
부동산 시장 뒤덮은 양극화의 그림자, 원인은 인프라 차이?
apartment_up_and_down_PE_20241025

분양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주거 선호도가 높은 강남 3구에서 분양한 아파트들이 완판 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지방에서는 청약자가 아예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좀처럼 미분양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지 않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수도권과 지방의 근본적인 거주 여건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강남·서초구 청약 줄줄이 흥행

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강남·서초구에서 분양한 5개 단지는 모두 완판됐다. 2월 잠원동 ‘메이플자이’를 시작으로 △7월 반포동 ‘래미안원펜타스’ △8월 도곡동 ‘래미안레벤투스’, 방배동 ‘디에이치방배’ △9월 청담동 ‘청담 르엘’까지 100% 계약을 완료했다. 이들 단지는 청약 당시부터 눈에 띄게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담 르엘의 1~2순위 전체 청약 경쟁률은 667.3대 1, 래미안원펜타스는 527.3대 1 수준이었다.

지난 22일 1순위 청약이 시작된 ‘잠실래미안아이파크’ 역시 강남구 '완판 행렬'에 동참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단지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5,409만원,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40대 1로 확인됐다. 이처럼 강남 일대의 분양 단지들에 시장 수요가 집중되는 것은 공급 희소성과 분양가 상한제로 인한 차익 기대감 때문이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 중 역대 최고 분양가(3.3㎡당 평균 분양가 7,290만원)를 기록한 청담 르엘의 경우 시세 대비 차익이 10억원에 달했다.

apartment_PE_20240411

얼어붙은 지방 분양 시장

반면 지방 청약 시장에는 '찬바람'이 불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지방에서 분양한 단지는 총 112곳이며, 이 중 1순위 청약에서 마감된 단지는 △전주 에코시티더샵4차(경쟁률 191.21대 1) △청주 테크노폴리스 아테라(47.39대 1 △도안 푸르지오 디라델(28.3대 1) △진주 아너스웰가진주 (20.31대 1) 등 9.82%(11곳)에 불과했다. 이 단지들은 지역민들이 선호하는 지역 내 중심 입지에 공급됐거나, 주변 시세 대비 합리적인 분양가에 공급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입지가 좋지 못하거나 분양가가 비교적 높은 지방 청약 단지들은 '찬밥 신세'로 전락했다. 올해 1~9월 지방에서 청약을 진행한 단지 중 평균 경쟁률이 1대 1을 밑돈 단지는 60개에 달했다. 이달 부산시 사하구에 공급된 ‘사하경남아너스빌시그니처’의 경우 일반 분양 물량이 376가구임에도 불구, 청약자가 54명에 그쳤다. 경쟁률은 0.1대 1 수준이다. 대전시 서구 ‘둔산해링턴플레이스리버파크’는 0.6대 1, 광주시 북구 ‘운암산공원진아리채그랑뷰’는 0.9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청약자가 '0명'인 단지도 등장했다. 경북 울진군에서 분양된 ‘후포 라온하이츠’는 지난 1월 진행된 1·2순위 청약에서 총 60가구를 모집했지만, 단 한 명의 청약자도 모으지 못했다. 최근 120가구에 대한 1·2순위 청약을 실시한 강원 인제군 소재 ‘인제 라포레’ 역시 청약자를 찾지 못했다.

"'서울 공화국' 벗어나야"

전문가들은 이 같은 서울과 지방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극단적인 '주거 환경 차이'에서 기인했다고 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저출산 등으로 인구가 줄어들면 결국 인프라가 풍부한 주요 도시로 인구가 쏠리게 되는데, 우리나라는 소위 '서울 공화국'이라고 불릴 만큼 문화, 상업, 교통, 교육 등 대부분 인프라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며 "강남을 비롯한 수도권에 부동산 수요가 쏠리는 것은 단순 부동산 공급 등의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 전반의 구조적 문제가 얽히고설킨 결과"라고 진단했다. 부동산 양극화는 결국 지역 균형 발전과 연결되는 문제라는 분석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역 균형 발전을 통해 부동산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방의 '소멸 위기'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기관 이전을 통한 일자리 확보 △교통망 확충 △생활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해 각지의 거주 여건을 개선, 지방 지역의 인구 이탈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갈수록 심화하는 저출산 및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을 고려해 해외 인력 유치와 이민 정책 완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런가 하면 업계에서는 정부의 지방 부동산 정책에 '시장 논리'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지방 부동산 시장의 경우 무조건적인 규제보다는 시장의 논리와 흐름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다주택자 규제 완화, 악성 미분양 매물에 대한 취득세·양도세 감면 등 정부 차원에서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당근'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테슬라도 줄 섰다" eSSD 호황 힘입어 질주하는 SK하이닉스

"테슬라도 줄 섰다" eSSD 호황 힘입어 질주하는 SK하이닉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HDD의 시대는 지났다" AI 열풍 속 각광받는 eSSD
SK하이닉스, eSSD·HBM 등 고부가가치 제품 호황에 호실적
'eSSD 점유율 1위' 삼성전자와의 경쟁 본격화할까
essd_20241025

SK하이닉스가 테슬라와 최대 1조원 규모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공급을 논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하며 글로벌 기업들의 eSSD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탄탄한 eSSD 제조 경쟁력을 갖춘 SK하이닉스의 수혜 규모가 확대되는 양상이다. 시장에서는 차후 글로벌 eSSD 시장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패권 경쟁을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급성장하는 eSSD 시장

25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최근 자체 인공지능(AI) 서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SK하이닉스에 최대 1조원 규모의 대규모 eSSD 장기 공급을 요청했다. 테슬라는 전기차, 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등에 적용하는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목표로 ‘도조(Dojo)’라고 불리는 AI 서버(슈퍼컴퓨터)를 직접 운용하고 있다.

테슬라가 주문한 eSSD는 AI 서버에 들어가는 대용량 저장장치로, AI 서비스 고도화에 필수적인 데이터 저장 부품으로 꼽힌다. 자기장 디스크를 활용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대비 크기가 작고 전력 소모량이 적으며, 처리 속도도 빠르다. SK하이닉스의 자회사 솔리다임에 따르면 eSSD를 사용하면 HDD를 쓸 때보다 전력 비용을 5년간 5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고, 총비용은 46% 감축할 수 있다. 최근 테슬라뿐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들이 줄줄이 eSSD 주문을 쏟아내는 이유다.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어 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1분기 37억5,795만 달러(약 5조원) 수준이던 글로벌 eSSD 매출은 3분기 68억8,608만 달러(약 9조5,000억원)까지 성장했다. 트렌드포스는 2027년 eSSD 시장 규모가 300억 달러(약 41조4,600억원) 수준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조사 업체 테크인사이츠도 eSSD 호황에 따라 SSD의 기반이 되는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 매출이 내년 사상 최초로 1,000억 달러(약 138조2,500억원)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SK하이닉스 실적 '청신호'

SK하이닉스와 SSD 전문 자회사 솔리다임은 글로벌 대용량 eSSD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꼽힌다. SK하이닉스는 기본 저장 단위인 ‘셀’에 4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쿼드러플레벨셀(QLC) 낸드플래시 기술을 필두로 업계 최대 용량인 60테라바이트(TB) eSSD를 최초 개발, 다수의 빅테크사에 적극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탄탄한 eSSD 부문 경쟁력은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SK하이닉스의 3분기 매출은 17조5,7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9%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7조30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이는 대체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실적 컨센서스(평균 전망치)는 매출 18조370억원, 영업이익 6조7,628억원이었다. 매출은 컨센서스를 소폭 밑돌았으나, 영업이익이 예상치를 뛰어넘었다.

3분기 호실적과 관련해 SK하이닉스 측은 “데이터센터 고객 중심으로 AI 메모리 수요 강세가 지속됐고, 이에 맞춰 HBM, eSSD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판매를 확대해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SK하이닉스의 3분기 HBM 매출은 직전 분기 대비 70% 이상, 전년 동기 대비 330% 이상 증가했으며, eSSD 매출의 경우 직전 분기보다 20%, 전년 동기보다 430% 이상 급성장했다. D램과 낸드플래시 평균판매단가(ASP)는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10% 이상 상승한 것으로 전해진다.

samsung_sk_20241025

'제2의 HBM 경쟁' 촉발 가능성

eSSD를 필두로 낸드플래시 시장이 호황을 맞이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국내 낸드플래시 제조 업체들의 점유율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글로벌 eSSD 시장의 75%를 점유하고 있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본격적으로 패권 경쟁을 벌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2분기 글로벌 eSSD 시장 매출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43.2%로 1위,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가 31.8%로 2위였다. 매출액 규모는 삼성전자가 24억8,000만 달러(약 3조3,130억원), SK하이닉스가 18억2,400만 달러(약 2조4,370억원) 수준이었다.

실제 이들 업체는 eSSD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 삼성전자는 지난달 6~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서 연 ‘플래시 메모리 서밋(FMS) 2024’에서 오는 11월 중 업계 최고 용량 eSSD인 128TB 모델 ‘BM1743’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BM1743은 7세대 QLC 낸드플래시를 활용해 제조된다. 삼성전자 128TB eSSD의 연속 읽기·쓰기 속도는 각각 초당 7.5GB, 3GB로, 전 세대 제품 대비 두 배가량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 역시 24일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낸드 시장에서 뚜렷한 수요 회복세를 보이는 eSSD와 같은 고수익 제품을 강화하고, 초고용량 eSSD 라인업을 확대해 포트폴리오를 더 고도화할 예정"이라며 낸드플래시 부문 미래 성장 계획을 밝혔다. SK하이닉스는 128TB eSSD 제품이 내년 1분기 출시될 것이라 밝힌 상태지만, 일각에서는 SK하이닉스가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출시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동아시아포럼] 강화된 ‘미일 군사 동맹’의 향방은?

[동아시아포럼] 강화된 ‘미일 군사 동맹’의 향방은?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연합 사령부 설치’로 미일 안보 동맹 강화
일본 ‘지역 안보 리더’ 역할, 미국이 인정한 결과
트럼프 2기 출범 시 미국 주도 군사 동맹 와해 우려도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안보 위협과 긴장 고조에 대응해 미국과 일본이 군사 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일본 내 연합 사령부(joint forces headquarters, JFHQ) 설치로 더욱 단단해진 미일 군사 동맹은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북한의 위협, 러시아-중국-북한 간 협력 강화에 대처하기 위한 양국 간 ‘통합 방어 전략’의 핵심 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미국의 인도-태평양 안보 전략의 근간을 이루는 동시에 일본이 지역 안보에서 주도적인 역할로 부상했음을 입증하는 성과기도 하다. 이제 동맹의 미래는 통합을 강화하고 지역 안정을 유지하려는 양국 새 정상들의 의지에 달려 있다.

US Japan Alliance_PE_20241024
사진=동아시아포럼

미-일 군사 동맹 강화, 주일 미군을 ‘연합 사령부’로 승격

올해 7월 열린 연례 ‘안보 협의 위원회’(Security Consultative Committee, '2+2' 외교 및 국방 장관급 회의)에서 미국과 일본은 새로운 국방 전략 실행에 합의한 바 있다. 이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조치는 주일 미군을 연합 사령부로 승격해 작전권 범위를 넓힌 것으로, 5만5,000여 명의 주일 미군 병력에 대한 작전 지휘권이 하와이의 인도-태평양 사령부(Indo-Pacific Command) 산하에서 새로 설립된 연합 사령부로 이관된다.

여기엔 지금까지 미국의 지휘 통제하에 있었던 양국 군사 동맹이 보다 수평적이고 통합적인 안보 협력으로 변모하게 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새로운 연합 사령부는 미일 합동 군사작전의 일상적 협력과 조정을 강화해 미국이 지향하는 ‘통합 억지 전략(integrated deterrence strategy)을 더욱 진전시킬 전망이다. 아울러 일본 자위대(Japan’s Self-Defense Forces)와의 협조 체계를 간략화해 ‘미국-일본 상호 협력 및 안보 조약’(US–Japan Treaty of Mutual Cooperation and Security) 하의 군사 작전에 대한 우선적 책임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조 전환은 지역 안보에서 점차 책임 있고 중추적인 역할을 맡으려 하는 일본에도 상징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미일 군사 동맹의 진전은 지난 4월 초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Kishida Fumio) 일본 총리가 양국 간 협력을 ‘글로벌 안보 협력’(global security partnership)으로 선언하면서 예상된 결과였는데, 일본으로서는 미국 군사력에 대한 의존 입장에서 보다 수평적인 국방 동맹으로 옮겨가는 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평화주의 정책 내려놓고 ‘지역 안보 책임자’ 자임

일본의 방위 전략은 기시다 총리 책임하에서 제2차세계대전 이후 견지하던 평화주의 정책을 점차 누그러뜨리는 모습을 보였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의 관계 강화, 국내총생산(GDP) 대비 2%로 국방 예산 증액, 2022년 국가 안보 전략에 명시된 장거리 미사일 도입 등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여기에 일본은 국내 생산 무기 체계의 수출까지 개시했는데, 우크라이나 군사 원조로 줄어든 비축량을 채워주기 위해 미쓰비시(Mitsubishi)사가 만든 패트리어트(Patriot) PAC-3 미사일 시스템을 미국에 제공한 것이 대표적이다.

강화된 군사 협력의 단면을 더욱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는 첨단 ‘공대공 미사일’의 공동 개발이다. F-35 전투기 무기 체계 강화를 위한 이 개발 시스템은 양국 간 협력이 국방 산업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양국은 중국, 북한, 러시아로 인한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상황 변화에 대응해 미국의 ‘핵우산’(nuclear umbrella)까지 포함한 전쟁 억지력 확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더해 일본은 다양한 다자간 협력 체제 참여를 통해 지역 안보 협력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고(故) 아베 신조(Abe Shinzo) 전 총리 산하에서 시작된 아시아 안보 역할 강화 방침에 따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공고히 하고 쿼드(Quad, 미국·일본·인도·호주로 구성된 안보 협의체)에서도 적극적 역할을 수행 중이다. 아울러 한국, 미국과 함께하는 3자 간 안보 협력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오커스(AUKUS, 호주·영국·미국 안보 동맹)와 국방 기술 협력을 진행함으로써 지역 안보 네트워크의 중심 국가로 거듭나고 있다.

‘미국 군사 작전 들러리’, ‘미군에 대한 지나친 의존’ 우려 목소리도

미일 군사 동맹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지역 군사 전략의 중추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협력 관계의 방향성에 대한 우려도 일본 내에 있다. 특히 대만 및 북한 관련 비상 상황 발생 시 일본이 미국의 군사 작전에 휘말려 원치 않는 개입에 이를 위험성을 지적하는 목소리와, 미국 군사력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일본의 지역 안보 중심 역할에 장애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정치권을 중심으로 존재한다.

이에 이시바 시게루(Ishiba Shigeru) 신임 일본 총리는 미국과의 ‘비대칭적 양자 관계(asymmetric bilateral relationship)의 개선을 촉구하고 나선 상황이다. 미일 동맹에서 일본을 보다 동등한 파트너로 인정해 줄 것과 미일 동맹과 AUKUS를 NATO와 같은 아시아 지역 집단 안보 체제로 확대 전환하고 일본이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이시바 총리의 기대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데, 일본의 군사 작전이 대부분 미군과 분리되어 있는 데다, 주한 미군과 같은 연합 사령부로의 완전한 통합은 요원해 보이기 때문이다.

‘해리스냐, 트럼프냐’에 군사 동맹 향방 달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강화된 미일 군사 동맹은 중국을 비롯한 지역 적대국들에 양국의 지역 안보 수호 및 안보 위협 대응의 의지를 명확하게 전달했을 것으로 예상한다. 연합 사령부 신설이 상징하는 양국 간 군사협력 시스템 강화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중국, 북한, 러시아의 도발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할 것임에 틀림없다.

동시에 일본은 지속적인 군비 증강과 지역 안보 협력에서의 역할을 통해 동아시아 및 남중국해의 평화 유지와 대만 자주권 수호를 위한 핵심 위치에 올라서는 성과를 거뒀지만 동시에 대만 해협 갈등과 북한 미사일 도발 등 돌발 상황 발생 시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부담 역시 떠맡게 됐다.

이제 군사 동맹의 향방은 양국의 새로운 지도자와 그들의 의지에 달려 있다. 특히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통해 선출될 새로운 대통령이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카멀라 해리스(Kamala Harris) 부통령이 당선된다면 바이든 행정부가 기초를 놓은 통합과 협력의 방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미국 군사동맹 와해 우려를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원문의 저자는 세바스찬 매슬로우(Sebastian Maslow) 도쿄대학교(University of Tokyo) 부교수입니다. 영어 원문은 What the upgraded US–Japan alliance means for Indo-Pacific security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테크] 직장인 필수템 ‘생성형 AI’,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

[딥테크] 직장인 필수템 ‘생성형 AI’,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웅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흥미로운 데이터 사이언스 이야기를 정확한 분석과 함께 전하겠습니다.

수정

직장인 3명 중 1명 업무에서 생성형 AI 도움 받아
챗GPT 출시 2년 만에 생성형 AI 도입률 39% 달성
만능기계 생성형 AI, 업무에서 광범위하게 활용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생성형 AI가 업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도구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연구진은 설문조사를 통해 생성형 AI가 업무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사용되며 어떻게 활용되는지 밝혀냈다. 또한 생성형 AI는 다른 혁신적인 기술에 비해 빠르게 도입됐으며 다양한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는 특징을 알아냈다.

Adoption_AI_TE_20241024
사진=CEPR

직장인 10명 중 1명, 생성형 AI 매일 사용

2022년 11월 챗GPT(ChatGPT)가 출시되자 전 세계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챗GPT는 두 달 만에 1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했으며 △클로드(Claude) △라마(Llama) △제미나이(Gemini) 등 여러 생성형 AI가 쏟아져 나왔다. 이러한 현상은 치열한 경쟁으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생성형 AI의 성능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 또한 크게 높아졌다. 뛰어난 성능과 편의성을 무기로 생성형 AI는 직장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빠르게 도입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생성형 AI가 업무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간극을 메워 넣고자 알렉산더 빅(Alexander Bick)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경제 정책 고문(Economic Policy Advisor at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을 비롯한 연구진은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로 생성형 AI가 업무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했다.

연구진은 18~64세를 대상으로 지난 한 주 동안 생성형 AI를 사용한 빈도에 관해 물었다. 응답자 중 32%가 한 번 이상 생성형 AI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했으며, 24%가 직장에서 생성형 AI를 사용했고 심지어 11%는 매일 사용했다고 답했다. 더불어 업무 외 시간에도 생성형 AI를 사용한다고 답한 사람은 3명 중 1명꼴로 적지 않은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업무 외 시간에 매일 사용하는 사람은 6.4%에 불과했다.

Adoption_AI__figure1_TE_20241024
생성형 AI 사용 빈도/출처=CEPR

생성형 AI, PC와 인터넷과 비교해 빠른 속도로 도입돼

다음으로 연구진이 확인한 것은 생성형 AI의 도입 속도다. 체감상 생성형 AI는 삶에 빠르게 녹아들었으며 실제 데이터로도 생성형 AI가 다른 기술에 비해 빠르게 도입됐음이 확인됐다. 연구진은 다른 혁신적인 기술인 개인용 컴퓨터(PC)와 인터넷을 생성형 AI의 비교 대상으로 삼고 각 기술의 채택 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생성형 AI가 PC나 인터넷보다 더 빠른 속도로 도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1981년 최초의 대중 컴퓨터인 IBM PC가 출시된 지 3년 후에도, 인터넷이 상업용으로 개방된 지 2년 후에도 도입률은 20%에 불과했다. 반면 생성형 AI는 챗GPT가 출시된 지 2년 만에 도입률이 무려 39%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생성형 AI가 이토록 빠르게 도입될 수 있었던 이유로 뛰어난 휴대성과 낮은 비용을 꼽았다.

Adoption_AI__figure2_TE_20241024
PC, 인터넷, 생성형 AI 도입률/출처=CEPR

한편 직장에서는 생성형 AI와 PC의 도입 속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성형 AI와 PC의 도입 패턴이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PC가 출시된 초기에는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혹은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생성형 AI도 어떻게 질문하면 좋은 답변을 얻을 수 있는지, 이를 통해 어떻게 사업과 연관시킬지에 대한 고민을 한 후 생성형 AI가 도입됐다.

도입 패턴이 비슷한 만큼 노동 시장에서도 PC와 생성형 AI가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PC가 도입된 이후 생산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처럼 생성형 AI도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임금 격차가 있다. 인터넷의 등장은 저숙련 근로자와 고숙련 근로자 간의 임금 격차를 벌렸고, 생성형 AI의 등장도 같은 길을 걸어가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나온다.

다양한 업무에서 활용되고 있는 생성형 AI

다음으로 연구진은 업무에서 AI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물었다. 아래 그림에 표시된 업무 목록을 제시하고 응답자에게 지난 한 주 동안 직장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업무를 선택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생성형 AI로 가장 많이 활용한 업무는 글쓰기와 정보 수집이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생성형 AI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글쓰기와 정보 수집에서 생성형 AI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맞으나, 가장 활용이 적은 교육 업무에서도 활용도가 20%를 넘어간다. 즉, 특정 업무에서만 사용되는 게 아니라 다양한 업무에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Adoption_AI__figure3_TE_20241024
생성형 AI를 활용한 업무/출처=CEPR

연구진 "생성형 AI는 아직 초기 단계, 앞으로가 더 기대돼"

마지막으로 연구진은 업무 시간 중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시간을 조사했다. 조사한 결과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는 비중은 전체 업무 시간 중 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진은 아직 생성형 AI가 업무 시간에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생성형 AI는 아직 초기 단계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다른 기술에 비해 더 혁신적인 기술인지는 현재로서 알 수 없지만, 생성형 AI의 폭발적인 성장 곡선을 고려하면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고 밝혔다. 더불어 연구진은 "느낌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실제 데이터로 받아들이는 것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을 수 있다"며 실증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원문의 저자는 알렉산더 빅(Alexander Bick)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경제 정책 고문(Economic Policy Advisor at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외 2명입니다. 영어 원문은 The rapid adoption of generative AI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웅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흥미로운 데이터 사이언스 이야기를 정확한 분석과 함께 전하겠습니다.

우크라 "북한군 투항 땐 하루 세끼 고기 지급" 한국어 심리전 착수

우크라 "북한군 투항 땐 하루 세끼 고기 지급" 한국어 심리전 착수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우크라이나 당국, 파병된 북한군에 투항 촉구
“항복하면 세끼 고기와 빵 제공하겠다”
우크라, '가상의 영웅' 만들어 러시아 사기 꺾은 전례도
Ukraine_NorthKorea_PE_20241024
우크라이나 당국이 23일 텔레그램 '나는 살고 싶다' 채널에 공개한 북한군 포로수용시설 소개 영상/사진=텔레그램 '나는 살고 싶다' 캡처

우크라이나와 한국 정부에 이어 미국 백악관까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을 확인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당국이 조만간 전선 투입이 예상되는 북한군을 상대로 본격적인 심리전에 착수했다. 타국의 전쟁에 뛰어들어 괜한 희생을 치르지 말고, 투항하거나 귀순해 목숨을 건지라는 내용이다.

우크라 "무의미하게 죽지 말라" 투항 독려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현지 매체인 키이우인디펜던트, 키이우포스트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GUR)은 이날 ‘나는 살고 싶다(Хочу жить)’라는 이름으로 운영 중인 투항 채널 텔레그램에 한국어로 제작한 1분 14초 분량의 홍보 동영상을 올렸다. 우크라이나 정보총국은 2022년 9월부터 해당 채널을 운영하면서 러시아 군인의 투항을 독려해 왔다.

정보총국은 영상에서 “우크라이나 포로수용소는 국적과 종교, 이념과 관계없이 모든 군인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며 “투항하라! 우크라이나가 쉼터와 음식, 따뜻함을 제공할 것이다. 이미 항복한 러시아 군인 수천 명도 하루 세끼 따뜻한 식사와 의료 서비스를 받으면서 종전을 기다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보총국 측은 포로 수용 시설을 보여주는 별도의 동영상을 통해 “전쟁 포로들은 별도의 수면 공간을 갖춘 크고 따뜻하고 밝은 방에 수용된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면서 “수용소의 포로들은 하루 세끼 식사를 받으며 식단에는 고기와 신선한 야채, 빵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해당 영상 말미에는 투항을 위한 메신저 및 전화 연락처와 QR코드도 나왔다.

앞서 키릴로 부다노우 정보총국장은 22일 미국 군사매체 더워존(TWZ)과의 인터뷰에서 “약 1만1,000명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주둔하고 있으며 11월 1일까지 전투 준비를 완료할 것”이라며 “우리는 내일(23일) 쿠르스크 방면에 (북한군) 첫 부대가 오길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쿠르스크는 지난 8월 우크라이나군이 진격해 약 20여 개 소도시와 마을을 점령한 곳이다.

‘심리전’ 효과 입증한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의 심리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러시아 침공 사흘째였던 2022년 2월 27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트위터(현 엑스)에 자국의 미그-29기가 러시아 전투기를 연이어 격추하는 영상을 올렸다. 이에 '30시간 동안 6대를 격추했다', '격추된 러시아 전투기가 40대를 넘는다'는 소문이 돌면서 극적인 영웅담이 만들어졌다.

이후 영상이 컴퓨터로 만들어졌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조종사 사망설까지 돌자 우크라이나군은 두 달 만에 '가상의 영웅'이라는 답을 내놨다. 우크라이나군의 사기 진작을 위해 만들어진 존재로, 실존 인물이 아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미 '키이우의 영웅' 신화는 우크라이나인은 물론 각국의 누리꾼들에게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이미지를 충분히 전달한 터였다. 이에 냉전을 거치며 선전 기술을 연마해 온 러시아를 상대로, 우크라이나가 심리전에서 승리를 거뒀다는 평이 쏟아졌다. 실제로 심리전에서 밀린 러시아는 자국민의 반전 여론에 부딪혔고, 군과 정보기관·정치권 내부 불화를 겪어야 했다.

Ukraine_NorthKorea_PE_002_20241024
군사 경계선 일대의 대북 확성기/사진=국방부

북한, 韓 심리전에도 쉽게 동요

8년 전인 2014년 크림반도 합병 당시만 해도 상황은 정반대였다. 당시 러시아가 소셜 미디어에 "우크라이나는 극우 극단주의로 인해 분열됐으며 다시 러시아의 영향권으로 들어와야 한다"는 메시지를 대량으로 유포했는데, 합병 전후로 우크라이나는 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온라인 심리전을 동원한 러시아의 하이브리드 전략은 이후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서방국가가 사이버전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를 잃은 후인 2015년 초 우크라이나 투데이(Ukraine Today)', '스톱 페이크(StopFake)' 같은 팩트체크 사이트를 열고 러시아 관영매체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또한 2021년 발간한 국방백서에선 러시아의 심리전을 상세히 묘사하며 철저한 대비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 결과 우크라이나는 전쟁 초기부터 강력한 심리전을 펼 수 있었다. 정부가 직접 텔레그램 채널을 운영하며 정보를 퍼뜨리는가 하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라이브를 수시로 열어 전 세계에 육성을 전달했다. 관영매체를 통해서만 입장을 전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신기술도 적극 활용했다. 우크라이나 내무부는 AI(인공지능)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해 러시아 군인 8,600여 명의 안면 정보를 수집, 이를 텔레그램에 올렸다. 러시아인들에게 가족이 징집됐다는 점을 알려 사기를 꺾고 러시아 내 반전 여론에 불을 붙이기 위해서였다. 이를 두고 포로 모욕 등을 금지한 제네바협약 위반이란 지적이 제기됐지만, 우크라이나 입장에선 역사상 가장 큰 효과를 본 심리전 작전이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당국이 북한군을 상대로 벌이고 있는 심리전 또한 상당한 성과를 거둘 것으로 점치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의 대북 심리전을 통해서도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분단 이후 남북한은 휴전선 일대에서 확성기를 통한 심리전 방송을 전개했는데 북한의 방송 내용은 우리 병사들에게는 시끄러운 소음 외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한국의 대북 방송은 북한 병사들에게 남한의 자유로운 모습을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북한 병사들이 남한을 동경하게 만드는 효과를 거뒀다. 민심의 동요에 위협을 느낀 북한이 먼저 우리 측에 휴전선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자고 제의했을 정도다. 이에 지난 2000년 개최된 남북정상회담에서 상호 비방 중단에 합의하면서 국가 차원의 확성기 방송이 중단됐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HBM 독주' SK하이닉스,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하며 삼성과 격차 벌려

'HBM 독주' SK하이닉스,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하며 삼성과 격차 벌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3분기 매출 17.5조원·영업익 7조원, 슈퍼 호황기 넘어서
HBM3E 12단 세계 최초로 양산, AI 칩 1위 엔비디아 납품
SK하이닉스 "AI용 HBM·낸드 등 고부가 제품 주력할 것"
sk hynix samsung hbm 20240716

SK하이닉스가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인공지능(AI) 메모리 수요 강세로 고대역폭메모리(HBM)의 판매가 확대되면서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벌리며 1위 자리를 수성한 가운데, 최근에는 HBM 최대 용량인 36GB(기가바이트)를 구현한 HBM3E 12단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하는 데도 성공했다. 해당 제품은 글로벌 AI 칩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에 납품할 예정으로, 당분간 SK하이닉스의 독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

24일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이 17조5,731억원, 영업이익은 7조300억원, 순이익 5조7,53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으로 시장 전망치를 큰 폭으로 웃돈 어닝 서프라이즈다. 매출은 직전 분기 기록한 16조4,233억원을 1조원 이상 넘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반도체 슈퍼 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실적(영업이익 6조4,724억 원, 순이익 4조6,922억 원)을 크게 상회하는 규모다.

SK하이닉스는 "데이터센터 고객 중심으로 AI 메모리 수요 강세가 지속됨에 따라 이에 대응해 HBM,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등 고부가 제품의 판매를 확대했다"며 "특히 HBM의 매출이 직전 분기 대비 70% 이상, 전년 동기 대비 330% 이상 급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수익성 높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늘며 D램과 낸드 모두 평균 판매단가(ASP)가 직전 분기 대비 10%대 중반 올라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내년 전망도 긍정적이다. SK하이닉스는 "생성형 AI가 멀티모달 형태로 발전하고 있고 범용인공지능(AGI) 개발을 위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며 "올해 들어 HBM, eSSD 등 AI 서버용 메모리 수요 성장세가 뚜렷해진 가운데 내년에도 이런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AI 서버용 메모리에 비해 수요 회복이 더뎠던 PC와 모바일용 제품 시장도 각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AI 메모리가 출시되면서 안정적인 성장세에 접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sk hynix hbm 20240528

SK 인수 후 지속적인 AI 투자로 HBM 시장 선점

이런 가운데 시장은 올해 SK하이닉스의 연간 영업이익이 삼성전자 DS부문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23조5,743억원이다. 반면 삼성전자 DS부문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평균 18조원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후발주자였던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추월한 상황을 두고 AI 산업의 미래를 내다본 안목과 뚝심 있는 투자가 AI 메모리 1등 기업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SK그룹은 2012년 반도체 불황으로 생존의 기로에 있던 하이닉스를 인수했다. 당시 하이닉스는 채권단 관리를 받으며 연간 2,000억원대 적자를 내던 부실기업으로 일각에서는 인수를 중도 포기했던 효성, 현대중공업, STX 등이 승자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SK그룹은 하이닉스 인수 직후부터 HBM을 비롯한 전 분야에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했다. 매년 조 단위의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입했고 신규 공장도 잇따라 건설했다. 메모리 업황이 좋지 않았던 2012년부터 대부분 반도체 기업이 투자를 10% 이상 줄였지만, SK그룹은 투자를 늘리며 기술 개발에 몰입했다.

특히 투자의 방향이 탁월했다. AI 산업의 미래를 내다보고 HBM, eSSD 등 AI 메모리를 제때 내놓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HBM 성공 신화는 인수 이듬해인 2013년 세계 최초로 실리콘관통전극(TSV)과 웨이퍼 레벨 패키지(WLP) 기술을 적용한 1세대 HBM이 나오면서 시작됐다. 당시에는 고성능 컴퓨팅 시장이 무르익지 않아 큰 반응은 없었지만 멈추지 않고 후속 기술 개발에 힘썼고 2022년 생성형 AI 등장 이후 IT 산업 중심이 AI로 옮겨가면서 10년 만에 대박을 터뜨렸다. 이후 SK하이닉스는 4세대 HBM3를 엔비디아에 공급하면서 AI 메모리 1위 업체로 발돋움했다.

각 분야 1위 '엔비디아·SK·TSMC' 동맹 막강

파운드리 1위 TSMC도 SK하이닉스의 든든한 우군이다. SK하이닉스는 TSMC와 내년 출시 목표로 6세대 HBM4를 개발 중인데, TSMC는 HBM 전담팀을 꾸리고 초기 단계에서부터 수율과 성능 개선에 매달릴 정도로 열정적이다.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 TSMC의 3자 동맹도 이점이다. AI 가속기 시장 1위 엔비디아는 엄격한 품질 테스트를 통과한 소수 기업에 주문을 몰아주는데, HBM3E 8단과 12단 모두 SK하이닉스가 독점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어 A100, H200 등 AI 가속기 성능이 향상될수록 SK하이닉스의 물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의 우위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최근 M7(매그니피센트7,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닷컴·엔비디아·테슬라·메타)이 모두 SK하이닉스에 커스텀 HBM 관련 요청을 넣었고,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블랙웰도 4분기 출시를 앞두고 있어서다. HBM4부터 커스텀 제품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M7의 주문이 예상을 웃돌 것이라는 관측에도 힘이 실린다. 레거시 D램보다 웨이퍼 투입량이 3배 이상 많고, 적층 과정이 복잡한 HBM 특성상 비용이 최대 3~4배 이상 비싼 탓에 검증된 기업이 아니고서는 HBM 주문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메모리 1위의 왕좌를 내어줄 가능성이 커진 삼성전자는 뒤숭숭한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1993년 이후 30년 넘게 세계 메모리반도체(D램·낸드플래시) 시장에서 1위를 지켜왔다. 대부분의 신제품을 삼성전자가 가장 먼저 만들어 양산에 성공했다. 통상 D램은 전 세계 시장에 판매되기 전에 CPU 세계 1위 미국 인텔의 인증이 필요한데 이 과정도 삼성전자가 늘 첫 번째였다. 이러한 구조로 당시 후발 주자들은 삼성전자와 인텔이라는 메모리-CPU의 강자가 만들어 놓은 틀을 맞추기에 급급했다.

그러나 최근의 HBM 시장은 다르다. 매번 인증을 주도했던 삼성전자가 엔비디아 동맹을 뒤따라가는 형국이다. 문제는 이 같은 흐름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삼성전자는 HBM3E 제품이 수율 등 성능 문제로 여전히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HBM4로 승부수를 띄운다는 전략이지만 HBM뿐만 아니라 D램 전반에서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어 업계 안팎에서도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한 메모리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30년간 1위만 해오던 삼성전자의 입장에서는 경쟁사의 틀에 맞추는 것은 상당히 고통스러운 과정"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2030년까지 7조원 투자하겠다" 롯데백화점, 미래형 쇼핑몰 사업에 박차

"2030년까지 7조원 투자하겠다" 롯데백화점, 미래형 쇼핑몰 사업에 박차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롯데백화점, 미래형 쇼핑몰로 중장기 성장 동력 마련
다양한 경험 앞세운 '타임빌라스' 브랜드로 문화적 도전
2030년엔 백화점보다 쇼핑몰, 유통업계 트렌드 변화 조짐
timevillas_20241024
롯데백화점의 미래형 쇼핑몰 타임빌라스 수원/사진=롯데쇼핑

롯데백화점이 중장기적 성장을 위해 미래형 쇼핑몰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기존 백화점과 아울렛으로 양분돼 있던 국내 리테일 산업을 환기하고, 소비 주축인 25~35세대를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쇼핑몰 사업에 힘 쏟는 롯데백화점

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전날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타임빌라스(TIMEVILLAS)'로 명명된 미래형 복합쇼핑몰의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를 비롯해 이호설 롯데백화점 기획관리본부장, 이승희 롯데백화점 쇼핑몰사업본부장이 참석했다.

롯데백화점은 이날 2030년까지 7조원을 투입해 국내 쇼핑몰 사업장을 13개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백화점과 아울렛으로 양분해 성장해 오던 국내 리테일 시장의 판도를 뒤바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미래형 쇼핑몰을 택한 것이다. 정 대표는 “2030년이 되면 백화점 부문이 전체 롯데백화점 매출의 60%, 쇼핑몰이 30% 수준의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며 “(쇼핑몰은) 롯데백화점의 핵심 사업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통업계에서는 롯데백화점이 미래형 쇼핑몰 사업이 유통업의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다는 평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롯데백화점 측은 타임빌라스를 쇼핑 외에도 엔터테인먼트, 숙박, 주거, 업무, 문화생활 등 다양한 경험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힌 상태다"라며 "쇼핑몰을 프리미엄화해 단순한 쇼핑 공간이 아닌 복합 생활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전략인데, (이는) 유통업의 범주를 넘어 문화적인 도전"이라고 평가했다.

timevillas_20241024
타임빌라스 송도 조감도/사진=롯데쇼핑

베일 벗은 '타임빌라스 수원'

롯데백화점 미래형 쇼핑몰 사업의 첫 결과물은 24일 오픈한 ‘타임빌라스 수원’이다. 타임빌라스 수원은 기존 면적의 약 70%를 바꾸는 롯데백화점 역사상 최대 규모의 리뉴얼 프로젝트 중 하나다.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11월 영 테넌트 재단장을 시작으로 캠핑 및 직수입 아웃도어 확대, 지역 최대 프리미엄 키즈 및 스포츠관 조성 등 타임빌라스 수원의 경쟁력 강화에 힘썼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뷰티, 명품 등 럭셔리 컨텐츠를 선보이며 객단가 제고에 힘을 싣기도 했다.

롯데백화점은 타임빌라스 1호점의 성공을 발판 삼아 타임빌라스 매장을 전국 각지에 배치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송도·수성·상암·전주에 4개의 신규 쇼핑몰을 세우고, 군산·수완·동부산·김해 등 기존 7개 매장을 증축 및 리뉴얼해 쇼핑몰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이다. 해외에서는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의 성공 전례를 토대로 쇼핑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쇼핑몰로 몰리는 MZ세대 발걸음

롯데백화점이 미래 먹거리로 '쇼핑몰'을 낙점한 배경에는 최근 유통 시장 트렌드의 변화가 있다. 최근 유통 시장의 주력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MZ세대는 체험 콘텐츠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며 △넓은 동선 △높은 층고 △여유 있는 주차장 등을 갖춘 개방감 있는 쇼핑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잠실의 롯데월드몰, 여의도의 더현대서울 등 체험형 매장 및 대형 이벤트 등에 최적화돼 있는 쇼핑몰이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다.

한국과 리테일 산업 성장 구조가 비슷한 일본에서도 뚜렷한 쇼핑몰 선호 기조가 관측되고 있다. 일본 쇼핑몰 시장은 2000년대 들어 시장 규모 면에서 이미 백화점을 추월한 상태다. 지난해 기준 일본 쇼핑몰 시장 규모는 약 117조원으로 10년 전 대비 13% 성장했다. 반면 작년 일본의 백화점 시장 규모는 51조원으로 2013년 대비 15% 축소됐다. 아울렛 시장의 경우 2013년 이후 신규 출점 자체가 없을 정도로 정체돼 있다.

한국의 경우 일본과 달리 여전히 백화점이 유통 시장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국내 백화점 시장 규모는 약 39조원인 반면, 쇼핑몰 시장 규모는 아직 5조원 수준이다. 다만 백화점 시장의 성장세는 시간이 지날수록 둔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백화점은 2030년까지 국내 백화점은 매년 2% 성장하는 데 그치는 반면, 쇼핑몰은 매년 17%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 내다봤다. 쇼핑몰 시장 규모 역시 13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2금융권 보이스피싱 피해 급증” 금융당국, 증권사에 연내 FDS 고도화 요구

“2금융권 보이스피싱 피해 급증” 금융당국, 증권사에 연내 FDS 고도화 요구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금융당국, 증권사 대상 보이스피싱 사전 방지책 강화
2금융권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확산한 영향
영상 통화 의무화 등 비대면 계좌 개설 사전 차단 서비스 구축도
voice phishing_PE_20241024

금융당국이 은행에 이어 2금융권에도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 작업을 요구하면서 중소형 증권사들에 비상이 걸렸다. 자체 전산 시스템이 아닌 코스콤(KOSCOM)을 이용하고 있는 탓에 연내 시스템 개발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금융권도 보이스피싱 예방책 고도화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금융당국으로부터 올해 안으로 FDS를 고도화할 것을 요구받은 상태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은행권에서 2금융권으로 옮겨붙는 사례가 늘자 당국이 이를 막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요구한 것이다. 현재 증권사들은 자체 FDS를 운영하고 있지만 금융당국이 마련한 가이드라인(51개룰)이 적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금융감독원은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들과 직접 관련 업무협약(MOU)도 체결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권에서는 증권사들이 내년부터 고도화한 FDS를 운영하면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 분담 기준도 적용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의 핵심은 금융사도 ‘피해를 예방하지 못한 책임’에 따라 피해자에게 일부 피해 금액을 배상하는 것이다. 스미싱(문자메시지 피싱) 예방을 위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탐지 체계를 도입했는지, 인증서를 발급할 때 본인 확인을 충분히 거쳤는지, 이상 거래 모니터링을 빈틈없이 했는지 등을 따져 금융사의 책임 비율을 정한다. 금융사는 피해 금액 중 책임 비율만큼을 피해자에게 배상해야 한다.

모든 비대면 금융사고에 대해 금융사가 책임을 나눠지는 것은 아니다. 제3자가 개인정보를 알아내 자금을 송금·이체해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적용된다. 문자 URL(인터넷주소)을 통해 은행 앱을 해킹하는 방식으로 돈을 빼가는 등의 사고가 이에 해당한다. 피해자가 피싱범에 속아 신분증 정보나 계좌 비밀번호를 제3자에게 자발적으로 노출한 경우는 배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voice phishing_PE_001_20241024

보이스피싱, 시중銀보다 2금융권 더 많이 이용

FDS는 금융 거래 과정에서 부정 결제나 갑작스러운 대규모 입출금 등 이상거래 징후를 사전에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이미 은행권에서는 지난해부터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고도화된 FDS가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보이스피싱 피해가 증권사 등 다른 업권까지 옮겨붙으면서 관련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보이스피싱에 이용된 계좌의 상당수는 은행 계좌였으나, 2금융권 계좌가 악용되는 피해 사례도 늘고 있는 추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사기이용계좌를 기준으로 집계한 비은행(증권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농협, 신협 등 상호금융)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2,175건으로 전년 동기(1,735건) 대비 25% 늘었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은행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8,998건에서 6,177건으로 줄었다.

2금융권의 사기이용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2금융권의 지급정지 계좌는 3만7,937건(63%)으로 은행권(2만2,485건, 37%)보다 많았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2금융권의 지급정지 계좌 비중은 시중은행과 엇비슷했지만 2020년부터 시중은행을 앞서기 시작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비대면 대출을 받을 경우 영상통화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조직이 피해자 모르게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하는 것을 막으려는 취지다. 소비자가 금융사 영업점에서 해당 서비스를 신청하면 신청자 명의로 비대면 계좌 개설 요청이 접수돼도 자동 차단하게 된다. 금융위원회와 금감원, 금융결제원 등이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꾸린 상태로 이르면 이달부터 본격적인 시스템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간편송금 악용한 범죄 차단 길도 열려

금융당국은 간편송금을 악용한 보이스피싱 피해 차단에도 나섰다.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2월 통신사기피해환급법 통과에 이어, 금융회사와 선불업자 간 사기이용계좌 관련 정보 공유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 등 세부사항을 규정한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8월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개정안에 의하면 금융회사는 피해금이 선불업자로 이전된 사실을 확인한 경우 선불업자에 피해금 이전 내역 등 정보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선불업자는 피해금이 최종 이전된 사기이용계좌 등을 확인 후 이를 금융회사 등에 통지해야 한다. 이로써 간편송금 서비스를 이용해 피해금을 편취하는 경우에도 개정 법령에 따라 신속하게 피해금의 흐름을 파악해 피해구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

개정안은 고객의 금융거래 목적 확인에 필요한 증빙서류와 제출 방법에 대해서도 명시했다. 고객이 계좌 개설 등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금융회사가 고객의 금융거래 목적을 확인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는 고객이 제출한 증빙서류가 금융거래의 목적을 확인하는 데 충분치 않은 경우 등에는 한도제한계좌로 개설할 수 있고, 고객이 정보 제공을 거부하거나 거래 목적이 보이스피싱 등 금융 사기와 관련된 경우 계좌 개설을 거절하거나 기존 계좌를 해지할 수 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