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韓 잠재성장률 내년 1%대 진입 전망, 구조개혁 없으면 2040년 0%대 추락

韓 잠재성장률 내년 1%대 진입 전망, 구조개혁 없으면 2040년 0%대 추락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2011년 이후 잠재성장률 한 차례 반등 없이 떨어져
올해 잠재성장률 2%, 2030년 1% 초중반까지 하락
저출생에 투자 부진 등으로 노동·자본 생산성 축소
한국의 잠재성장률 전망/출처=한국은행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내년부터 1%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가 모든 생산 요소를 활용해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으로 국가 경제의 기초 체력을 가늠하는 지표다. 한은은 노동시장 개편과 출생률 상승, 여성·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 등 적극적인 구조개혁 없이는 20년 안에 잠재성장률이 0%대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韓 잠재성장률, 2000년대 이후 하락 추세

19일 한은은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과 향후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변화 등을 고려한 잠재성장률을 재추정치를 발표했다. 한은이 잠재성장률 수치를 내놓은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이다. 한은은 기존의 추정 방식과 비교해 거시변수의 변동성을 모형 추정에 반영하고, 노동시장 참가자의 성·연령·학력 집단별 특성을 고려해 노동 투입 지표의 추정 방식을 수정하는 등 개선된 방법론을 이용해 잠재성장률을 추정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초반 5% 내외에서 2010년대 들어 3% 초중반으로 하락했고, 2016~2020년에는 2% 중반으로 낮아졌다. 팬데믹 이후 올해까지 2% 수준을 유지하던 잠재성장률은 내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1.8%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이처럼 잠재성장률이 추세적으로 낮아지는 것은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 구조적 요인과 함께 총요소생산성과 자본 투자 증가세가 둔화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한국 경제의 기초 체력이 약해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구조개혁이 없이 현재 추세가 지속된다면 2030년대 잠재성장률이 1% 초중반으로 떨어지고 2040년대 후반에는 연평균 0.6%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예상했다. 자본 투입·총요소생산성 기여도가 서서히 둔화하고, 노동 투입 기여도 역시 점차 하락한다고 가정한 결과다. 다만 연구진은 향후 구조개혁으로 대응할 경우 잠재성장률 하락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연구진은 "혁신 생태계 조성, 수도권 집중 완화,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 등 그간 논의돼 온 구조개혁이 성공적으로 시행될 경우 잠재성장률은 추가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총요소생산성 향상, 출산율 제고, 여성·고령층 노동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2040년대 후반 기준 전망 대비 각각 △0.7%포인트 △0.1~0.2%포인트 △0.1%포인트씩 오를 것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향후 잠재 성장률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 전반의 구조개혁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한편 미래 경제구조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기업투자 환경 개선, 혁신기업 육성 등으로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올리고,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 공급 둔화 속도를 완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美 잠재성장률 상승세, 지난해부터 韓 추월

한은에 앞서 지난 5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추정한 올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도 2.0%로 낮은 수준이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20~2021년 2.4%에서 2022년 2.3%, 2023년 2.0%로 최근 5년간 0.4%포인트 하락했다. 2013년 OECD 보고서가 제시한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3.5%임을 감안하면 10년 새 1.5% 하락한 것이다. OECD는 한국의 잠재성장률 하락의 원인으로 저출생·고령화로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든 점을 꼽았다. 실제로 한국처럼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심화하는 일본은 같은 기간 잠재성장률이 0.6%에서 0.3%로 반토막 났다.

이에 반해 미국은 반등했다. 미국의 잠재성장률은 2020~2021년 1.9%로 한국보다 낮았지만 2022년 2.0%, 2023년 2.1%로 높아지면서 지난해부터 한국을 추월했다. 올해도 2.1%로 전망돼 한국에 앞설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한국의 15배 이상에 달하는 미국에 역전당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낮은 경향이 있는데 이에 비춰보면 한국이 소득 수준이 더 높은 미국보다 잠재성장률이 낮아진 점은 이례적이다.

미국뿐 아니라 영국, 독일도 최근 잠재성장률이 오르는 추세다. 독일은 2020년 0.7%에서 올해 0.8%로, 영국은 같은 기간 0.9%에서 1.1%로 상승했다. 이제 막 선진국에 진입해 한참 더 성장해야 할 한국이 이미 완숙(完熟) 경제에 접어든 주요국보다 성장 잠재력이 뒤처진 것이다. 다만 한국 잠재성장률의 절대적인 수치는 주요 7개국(G7)과 비교하면 여전히 2위 수준이다. 미국(2.1%)을 제외하면 모두 한국(2.0%)보다 낮다. 캐나다(1.9%)가 미국 뒤를 이었고 프랑스·이탈리아·영국(1.1%), 독일(0.8%), 일본(0.3%)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미국을 비롯해 영국, 독일 등 주요국의 잠재성장률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경제 활성화에 총력전을 벌인 산업 정책의 성과가 나타난 결과라고 평가한다. 미국은 유연한 노동시장을 바탕으로 경제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고 AI, 디지털 등 신기술 개발이 지속되면서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졌다. 여기에 효과적인 거시경제 정책과 투자 촉진 정책이 경제 성장을 견인했다. 영국과 독일도 연구개발(R&D)과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노동시장 개혁, 규제 완화 등을 통해 경제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주력해 왔다.

韓 경제 활력 잃어, 주력산업 성장률도 하락

반면 한국 경제는 저출산·고령화에 혁신 부족과 불확실성 제고 등의 문제가 더해지면서 구조적 장기 침체가 이미 시작됐다는 평가다. 실제로 활력을 잃은 한국 경제는 잠재성장률이 2011년 3.8%를 기록한 이후 단 한 차례의 반등 없이 떨어지기만 했는데, OECD 38개 회원국 중 10년 넘게 잠재성장률이 하락한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여기에 실질GDP가 잠재GDP에 못 미치는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한국 경제가 퇴행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지난 1일 한은이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GDP갭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GDP갭은 '실질GDP-잠재GDP' 값으로 이 수치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특정 해의 실제 생산 수준(실질GDP)이 잠재GDP에 미치지 못했다는 뜻이다. 한은이 OECD 자료를 토대로 추산한 결과, 한국의 연도별 GDP갭율(실질GDP-잠재GDP/잠재GDP)은 △2020년 -2.5% △2021년 -0.6% △2022년 -0.3% △2023년 -1.0% △2024년 -0.4% △2025년 -0.3%로 전례 없는 음의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통상 실질GDP와 잠재GDP가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양 또는 음의 GDP갭율이 높지 않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상황을 이상적으로 보는데, G7국가 중에서도 이 기간 GDP갭율이 반등 없이 마이너스를 유지한 나라는 프랑스뿐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한국 경제의 퇴행이 OECD가 지적한 저출생·고령화의 탓도 있지만 더욱 큰 원인은 혁신 능력 저하와 투자 부진, 노동생산성 악화 등으로 경제 활력이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주력산업의 성장률 하락은 심각한 수준이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에 따르면 전자·화학·전기 장비 제조업 등 한국 주력 산업 성장률은 1970년대 19.3%에서 1990년대에 9.6%로, 2010~2022년엔 그 수치가 3.4%까지 뚝 떨어졌다. 20년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한 것이다. 제조업 가동률은 2010년 80.4%에서 지난해 71.3%까지 하락했다.

신생 기업 수도 감소 추세다. 기업의 소멸과 생성이 계속돼야 산업 생산성이 올라가는데 한국은 이러한 선순환 구조가 약해진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기업생멸행정통계'에 따르면 2000년대 중반 국내 기업 신생률은 18%대였지만, 2022년 13.6%까지 떨어졌다. 신생기업의 수는 99만7,000개로 2년 연속 감소했고 신생기업의 36%는 1년 이상 사업을 이어가지 못하고 폐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산업구조의 변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Lilien Indicater)'에서도 한국은 1991~199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0위였지만 2014~2018년에는 30위까지 내려왔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결혼은 선택” 현실 됐다, 40대 미혼 비율 20년간 5배 이상 증가

“결혼은 선택” 현실 됐다, 40대 미혼 비율 20년간 5배 이상 증가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40대 남성 23%, 여성 11% 미혼
결혼 부정 인식 전 연령에서 증가
비전통적 가족 형태 대해선 긍정

20년간 40대 미혼자 비율이 5배 이상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대 미혼자 또한 50%에 육박하는 만큼 이와 같은 추세는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갈수록 감소세를 거듭 중인 미혼자의 결혼에 대한 긍정 인식은 최근 들어 10대 청소년 사이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 모습이다.

평생 한 번도 결혼하지 않는 ‘생애 미혼’ 늘어

19일 통계청이 발간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4’에 따르면 40대 미혼자 비율은 2020년 기준 남성 23.6%, 여성 11.9%로 집계됐다. 이는 20년 전인 2000년과 비교해 남성은 6.7배, 여성 5.7배로 증가한 수준이다. 통계청은 “혼인 시기가 전체적으로 미뤄졌을 뿐만 아니라 평생 한 번도 결혼하지 않는 ‘생애 미혼’이 늘어난 데 따른 결과”라고 설명했다.

교육 및 가치관 등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보다 선명히 드러났다. 미혼 남성은 배우자가 있는 남성보다 대졸자 비율 및 고용률(‘주로 일하였음’ 응답 비율)이 낮은 반면 여성은 미혼자일수록 대졸자 비율과 고용률이 높았다. 이 같은 대졸자 비율의 격차는 남성과 여성 모두 40대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34세 미혼자는 배우자가 있는 사람보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낮았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 또한 20대에서 40대로 갈수록 점차 낮아졌다. 다만 혼인하지 않고 동거 또는 출산을 하는 비전통적 가족 형태나 가사 분담에 대해서는 19~34세 미혼자들 대부분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런 비혼 동거 및 비혼 출산에 대해서는 40대 미혼자들의 긍정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후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한 19~34세 미혼자는 남성이 80.2%로 71.1%를 기록한 여성보다 9.1%p 높았다. 성별을 불문하고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교육 수준이 높고, 주관적 건강 상태가 양호할수록 결혼 의향이 컸다. 결혼 의향이 있는 미혼자는 결혼 의향이 없는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 및 행복감 지표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30대 ‘구직 활동·자산 형성’에 집중

전문가들은 40대 미혼자 비율 증가세가 향후 더 가팔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30대 미혼자 비율이 50%에 육박하는 만큼 5년 후, 10년 후 40대에 들어서는 이들 미혼자가 일부 이탈하더라도 전체 미혼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다. 이는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확대 공표 주요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조사에 의하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18세 이상 내국인 4,294만1,000명 중 미혼 인구는 1,267만5,000명으로 29.5%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30대 미혼율은 51.3%로 전체 미혼율의 1.7배에 달했다. 30대 내국인 2명 중 1명은 결혼을 하지 않은 셈이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의 30대 미혼율이 62.8%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은 34.4%로 미혼율이 가장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구직 활동과 자산 형성에 대한 고민 등으로 여유를 쉽게 갖지 못하는 30대의 실정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청소년 10명 중 7명 “결혼 필수 아냐”

문제는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10대 청소년 사이에서도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진행한 ‘2023 청소년 가치관 조사’에서는 설문에 참여한 초5∼고3 재학생 7,718명 중 29.5%만이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앞서 2010년과 2012년 진행된 동일 조사에서 각각 응답 청소년의 72.2%와 73.2%가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한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결혼은 필수가 아니라는 인식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짙게 드러났다. 결혼이 필수라고 답한 남학생은 39.5%, 여학생은 18.8%로 집계됐다. 결혼 후 여성에게 출산과 가사 및 돌봄 노동 부담이 전가되는 현실이 학생들의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결혼하면 자녀를 출산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 또한 전체의 19.8%에 그쳤다. 반면 응답 청소년의 60.6%는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출산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아울러 ‘우리나라도 동성 결혼을 법적으로 허용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 청소년은 절반이 넘는 52.0%를 기록했다. 설문을 진행한 연구진은 “최근의 청소년들은 ‘결혼은 필수’라는 생각에서 성인들보다 자유롭고, 비혼 출산이나 동성결혼 등에 대해서는 훨씬 더 수용적인 가치관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딥파이낸셜] 총수출 늘리려면 ‘슈퍼스타 기업’ 지원이 ‘답’

[딥파이낸셜] 총수출 늘리려면 ‘슈퍼스타 기업’ 지원이 ‘답’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국가 총수출, ‘슈퍼스타 수출업체’에 좌우
고생산성 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이 수출 증가에 ‘비대칭적 영향’
‘업계 생산성 분포’와 ‘수출 시장 현황’ 고려한 맞춤형 정책 필요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어느 나라나 수출은 ‘슈퍼스타 수출업체’(superstar exporters)로 불리는 소수 고생산성 기업들에 따라 움직이게 마련이다. 이들 업체는 국가 총수출에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물론 전체 경제 실적을 좌우하는 경우도 많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들 슈퍼스타 기업에 집중된 생산성 향상이 업계 전반적 생산성 개선보다 총수출 증가에 훨씬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 및 산업 정책 입안 시 반드시 참고해야 할 내용으로 보인다.

사진=CEPR

국가 총수출에 대한 소수 기업의 ‘비대칭적 기여’는 일반적

글로벌 무역에서 ‘슈퍼스타’들의 ‘비대칭적’(asymmetric) 역할은 그간의 연구들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소수 기업이 탁월한 생산성을 바탕으로 수출 시장을 지배하는 사례도 무수히 보고된 바 있다. 해당 연구를 위해 수출 시장 현황과 기업들의 평균 생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도 개발돼 있는데, 수출다양도(extensive margin, 특정 수출 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의 수)와 수출집약도(intensive margin, 동일 시장 내 기업들의 평균 수출 실적)가 그것이다. 하지만 평균 차원을 넘어 산업 내 기업들 간 다양한 생산성 분포가 총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았다.

최근 연구는 업체 간 생산성 격차(variance)와 생산성의 비대칭적 분포(skewness, 소수의 기업이 다수의 동종 기업을 압도하는 시장 상황) 정도가 생산성 변화가 어디에 집중됐는지와 맞물려 총수출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이렇게 다른 결과에서 생산성 분포 곡선상 오른쪽 끝에 몰려 있는 슈퍼스타 업체들의 지배적인 역할도 증명했다.

무역 및 산업 정책 최대 수혜자는 준비된 ‘고생산성 업체들’

다시 말해 교역 비용을 줄여 주거나 관세를 철폐하는 등 정책 개입의 효과가 업계 생산성 분포 곡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중 무역 전쟁에서 양국이 관세 조치를 철회하거나 브렉시트(Brexit) 이후 강화된 EU-영국 무역 장벽이 철폐되는 등의 조치는 슈퍼스타 기업들이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경우에 효과가 배가된다. 이들 업체는 높은 생산성 덕분에 해당 정책이 제공하는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 및 칩스법(CHIPS Act)과 같은 산업 정책(industrial policy)은 개별 기업의 생산성을 끌어 올려 산업 전체의 경쟁력 향상을 꾀하는 조치들이다. 하지만 해당 조치들 역시 슈퍼스타 수출업체에 비대칭적으로 작용해 이들의 총수출 기여도를 높인다. 특히 산업 내에서 수출업체들의 비중이 작고 이들 업체와 비수출업체들과의 생산성 격차가 클수록 총수출은 이들 소수정예 수출 기업들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

슈퍼스타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이 수출에 ‘가장 큰 파급효과’

이렇게 산업 내 생산성 증가가 총수출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습은 연구 결과에서도 입증된다. 같은 1%의 생산성 향상이라도 어느 기업들을 중심으로 일어나는지가 전체 수출 실적에 다르게 작용한다는 얘기다. 먼저 업계 내 가장 생산성이 높은 기업들 중심으로 1%의 생산성 증가가 있다면 총수출이 6.6% 늘어나는데 이는 생산성 분포 곡선 자체가 오른쪽으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반면 분포 곡선 가장 왼쪽에 자리한 저생산성 기업들이 1%의 생산성 향상을 경험한다면 이는 총수출 2% 상승이라는 결과에 그친다. 분포 곡선 왼쪽 끝부분이 조금 두꺼워지는 효과에 머물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 전반에 걸친 1%의 평균 생산성 향상도 2.5%의 수출 증가에 그쳐 분포 곡선 오른쪽 끝에 위치한 슈퍼스타들의 압도적인 영향력을 보여준다.

생산성 평균 1% 향상이 총수출에 미치는 영향 비교
주: 고생산성 기업 생산성 향상(좌측), 산업 전반 생산성 향상(중간), 저생산성 기업 생산성 향상(우측), 총수출 증가율(Y축), *2010년 이탈리아 자료 기반/출처=CEPR

해당 결과로 볼 때 앞으로 산업 및 무역 정책 수립을 놓고 입안자들이 물어야 하는 질문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예산과 자원이 산업 전반의 생산성 향상에 투입돼야 하는지, 슈퍼스타들에게 집중돼야 하는 지 여부다. 또 하나는 동일 조치에 각기 다르게 반응하는 업체들을 포용할 수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다.

결론은 해당 업계의 생산성 분포 곡선과 수출 시장 현황을 감안한 맞춤형 정책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고생산성 업체들의 효율 증가만 고려한 정책은 총수출 성장률을 더 높일 수 있지만, 산업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한 정책은 국가 경제를 더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 각기 다른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원문의 저자는 조르지오 바르바 나바레티(Giorgio Barba Navaretti) 밀라노 대학교(University Of Milan) 교수 외 3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High moments for superstar exporters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中 이어 日도 열연강판 덤핑, 韓 철강 생태계 붕괴 직전

中 이어 日도 열연강판 덤핑, 韓 철강 생태계 붕괴 직전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수요 감소에도 수입산 열연강판 유입 지속
中·日 열연강판, 올해 전체 수입량 96% 차지
수익성 악화에 중국산 후판 이어 반덤핑 카드

현대제철이 중국·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해 반덤핑(AD) 제소에 나섰다. 해외 저가 열연강판의 물량 공세로 국내 업황이 손쓸 수 없을 정도로 악화하자 마지막 카드를 꺼냈다는 평가다. 현재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에 이어 일본마저 덤핑식으로 물량을 밀어내면서 벼랑 끝에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철강 산업 '속수무책'

20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전날 산업통상자원부에 수입산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신청했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얇게 펴 만든 철판 형태의 반제품이다. 자동차 구조용, 강관용, 고압가스용기용 등으로 제조돼 자동차·건설·조선·파이프·산업기계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연간 철강재 수입량의 20~30%를 차지할 만큼 비중도 커 철강업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품목으로 꼽힌다.

이번 제소 대상에는 중국, 일본산 열연강판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된다. 당초 현대제철은 중국산 제품만 제소할 예정이었으나, 일본산 제품도 범람하자 양국 제품 모두 제소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11월 누적 열연강판 수입량은 약 343만 톤으로 이 중 중국이 153만 톤, 일본은 177만 톤으로 전체 물량의 96%를 차지했다. 2020~2022년만 해도 200만 톤 안팎을 유지하던 수입량이 두 배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자국 내 경기 침체로 소화되지 못한 열연 제품을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한국에 수출하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 국내로 수입되는 중국산 열연강판의 유통가는 톤당 50만원대를 보이고 있는데 약 80만원대에 거래되고 있는 포스코·현대제철 제품보다 30% 가까이 저렴하다. 국내 철강업계가 저가 수입산에 대한 관세 부과 필요성을 두고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높여온 이유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 등의 덤핑 행위는 알려진 지 오래지만 국내 철강업계는 관세 조치가 국가 간 분쟁으로 이어져 다른 사업에 피해를 줄까 봐 소극적으로 대처해 왔다”며 “하지만 국내 철강시장이 무너질 정도로 극단적인 상황이 오자 현대제철이 총대를 멘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현대제철은 지난 7월 산업부에 중국산 '후판'에 대해서도 반덤핑 제소를 제기한 바 있다. 후판은 컨테이너선, 유조선 등 배를 만들 때 사용하는 두꺼운 철판이다. 최근 조선업 호황으로 조선사들의 후판 수요는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값싼 중국산 수입제품이 밀려들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피해액이 불어나고 있다. 이에 산업부 산하 무역위원회도 현대제철의 제소를 받아들여 지난 10월부터 산업피해 조사에 돌입한 상태다. 산업부는 이르면 내년 1월 예비판정을 통해 잠정 덤핑방지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철강 산업에 불어닥친 차이나쇼크

글로벌 철강 산업도 중국산 저가 철강의 덤핑 공세에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은 내수 부진으로 과잉 생산된 철강이 소비되지 못하고 있음에도 실업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금 등을 지원하며 공장 폐쇄를 막고 있다. 세계 각국의 경쟁업체들이 문을 닫을 때까지 ‘버티기 작전’에 들어간 셈이다.

이에 각국 정부는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피해를 줄여가고 있다. 중국의 막대한 보조금과 정책 지원으로 인해 철강 분야에서 과잉생산 구조가 고착화되고, 저가 공세로 자국 기업들의 경쟁력이 약화돼 공장 폐쇄 및 대규모 실업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일각에서 관세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지만, 국가의 기간산업인 철강을 지키는 것이 우선이라는 여론이 우세했다.

미국만 봐도 조 바이든 정부는 지난 4월 중국 철강에 ‘슈퍼 301조’로 불리는 무역법 301조를 발동하고, 중국산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현행 7.5%에서 3배 수준인 25%까지 올리도록 조치했다. 중국산 저가 철강이 시장에 넘치면서 펜실베이니아와 오하이오의 철강 도시들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2000년에서 2010년 사이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만 1만4,000명에 달한다.

수입산 철강재에 무릎꿇은 US스틸, 구시대 거인으로 전락

미국 정부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에 반대 입장을 표명한 것도 같은 이유다. US스틸은 한때 세계 최초로 자본금 10억 달러(약 1조4,500억원)를 돌파한 가장 큰 기업(1901년 설립 당시), ‘강철왕’ 앤드루 카네기를 세계 최고 부자로 만든 기업, ‘미국 산업화의 상징’이란 수식어로 불렸지만, 지금은 경쟁력을 잃은 '구시대 거인' 취급을 받고 있다.

US스틸은 현재 조강생산량 기준 세계 24위로, 현대제철(18위)보다 작은 철강회사로 전락했다. 미국에서도 1위 자리를 내준 지 오래다. 중국과 일본 철강기업의 공세에 밀린 결과다. 전성기 당시 30만 명에 달했던 US스틸 미국 내 직원 수는 이제 1만5,000명 수준으로 쪼그라들었고, 그중에서도 피츠버그 본사에서 일하는 인원은 3,000명 정도에 불과하다.

일본제철이 이런 US스틸을 매수하겠다고 나선 건 지난해의 일이다. 일본제철은 인구 감소에 따른 내수 감소가 불가피함을 인식하고 해외 생산능력과 공급망 확충을 최우선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완성해 일본의 산업 성장력을 되찾겠다는 포부다.

일본제철은 특히 수요 성장 시장에서의 전기자동차 등 고급강재 시장 확보와 더불어 철광석 광산 및 직접환원철용 펠릿 제조설비, 전기로 미니밀 확보, 기술적 진보로 친환경 사회 구축에 기여 등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여기에 더해 미국 정부와 철강업계의 경제안전보장 차원에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입규제에 대응해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내 공급망 확보와 더불어 아세안, 인도 등지에서의 사업 강화 기반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US스틸은 한 세기가 넘도록 상징적인 미국 철강회사였으며 국내에서 소유하고 운영하는 미국 철강회사로 남는 게 필수적"이라고 밝히며 US스틸을 일본 기업에 매각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공화당 의원들도 제동을 건 상태다. 공화당 의원들은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문제”라며 재닛 옐런 재무장관에게 매각을 막아야 한다고 요청했고, 이에 민주당 의원들도 동조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역시 "우리는 일련의 세제 혜택과 관세 조치들로 US스틸을 다시 강하고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며 일본제철이 US스틸을 인수하는 것에 대한 반대 의지를 피력했다. 민간 기업의 해외 매각을 저지하기 위해 미국 정치권이 초당적으로 나선 것은 이례적이다.

인수 불확실성이 커지자 일본제철은 US스틸 인수를 위한 소송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일본제철은 1980년대부터 미국에서 사업을 진행해 왔기 때문에 US스틸 인수가 실현되지 않더라도 기존 사업을 강화해 미국 사업을 성장시키는 방법을 검토할 가능성도 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속도 늦춘 美 연준, 트럼프 '관세 장벽'에 관망세

기준금리 인하 속도 늦춘 美 연준, 트럼프 '관세 장벽'에 관망세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美 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 인하 두고 '신중'
트럼프의 관세 강화·감세 등 우려한 것으로 풀이
흔들리는 한국 금융 시장, 일부 전문가 "과민반응"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목전까지 다가온 가운데, '관세 장벽' 등에서 발생할 금융 시장 충격을 고려해 관망세를 유지하는 양상이다.

연준, 내년 기준금리 2차례 인하 전망

19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연준은 17~18일 올해 마지막으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기존보다 0.25%p 낮은 4.25~4.50%로 조정했다. 지난 9월 0.5%p 금리를 인하하며 4년 반 만에 통화정책을 전환한 후 3번 연속 인하다. 이에 따라 한국 기준금리(3.00%)과 미국 기준금리의 차이는 1.75%p에서 1.5%p로 좁혀졌다.

미 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인하 전망에도 변화가 있었다. 연준은 18일 공개한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나타낸 도표)를 통해 내년 말 기준금리가 연 3.9%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예정된 8차례의 FOMC에서 딱 2차례만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본 것이다. 앞서 지난 9월 연준 위원들은 점도표를 통해 내년 4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한 바 있다.

외환시장·증시 나란히 '출렁'

이 같은 연준의 전망이 공개된 이후 국내 외환시장은 눈에 띄게 출렁였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6.4원 오른 1,451.9원 선에서 마감됐다. 종가 기준 환율이 달러당 1,450원을 넘긴 것은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15년 9개월 만이다. 국내 증시도 충격을 받았다. 같은 날 코스피는 전날 대비 48.50포인트(1.95%) 하락한 2435.93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이 8,005억원을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이 4,343억원, 기관이 5,041억원을 각각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21포인트(1.89%) 내린 684.36으로 마감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시장의 반응이 '과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연준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며, 이번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매파(긴축 선호)적' 신호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시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금융 전문가는 "시장은 이미 연준의 0.25%p 인하도, 금리 인하 속도 조절도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다"며 "연준은 차후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이 금융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상황을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사진=Pixabay

트럼프 정책이 금리 좌우한다

연준이 트럼프 당선인의 움직임을 주시하는 것은 그가 금리 인상을 부추길 수 있는 공약을 다수 제시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과정에서 미국으로 오는 모든 수입품에 10%의 보편 관세를 매기고, 중국산 수입품에는 60%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당선 이후에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시카고 부스 경영대학이 주요 경제학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관세 정책이 미국 물가를 0.5~2.5%가량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향후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 인상 압박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트럼프 당선인의 '감세와 일자리법(TCJA)' 관련 공약도 금리를 자극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2017년 트럼프 1기 행정부와 의회가 통과시킨 TCJA는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소득세 최고세율을 39.6%에서 37%로 낮추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트럼프 당선인은 2025년 만료를 앞둔 해당 법안을 연장하고 법인세율을 15%까지 낮추겠다고 공약한 상태다. 공약에 따라 세금이 감면될 시 세수가 줄고 재정 적자가 커지며 국채 발행이 늘어나게 되는데, 금리 역시 이에 맞춰 상승할 확률이 높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수준, 외환당국 ‘외환 스왑 한도 증액’으로 즉각 대응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수준, 외환당국 ‘외환 스왑 한도 증액’으로 즉각 대응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원달러 환율, 1,450원 돌파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
국민연금 외환 스왑 확대

외환당국이 국민연금공단과의 외환 스왑(FX Swap) 한도를 확대했다. 미국 정책 변화와 국내 경기 우려 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급등하는 환율을 잡기 위한 조처다.

현물환매입 수요 흡수로 외환시장 안정

20일 외환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 외환당국은 전날 국민연금공단과 외환 스왑 거래 한도를 기존 50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약 94조3,000억원)로 증액하기로 합의했다. 거래 기한은 내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양 기관이 외환 스왑을 맺게 되면 국민연금이 해외 주식을 사는 등 달러를 매수해야 할 때 시장 대신 한은을 통해 달러를 조달하게 된다. 한은이 국민연금으로부터 원화를 받고 달러를 내주는 것이다. 외환 시장의 ‘큰손’인 국민연금의 달러 매수 수요를 당국이 흡수함으로써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을 줄일 수 있다.

앞서 외환당국은 지난 2022년 9월 23일 국민연금과 100억 달러 규모의 외환 스왑 계약을 맺었으나 이후 환율 상황 변동이 커지면서 그 규모를 지속적으로 키워왔다. 지난해 4월 13일엔 350억 달러로 늘렸고, 올해 6월 21일엔 500억 달러까지 확대했다. 그리고 약 6개월 만에 다시 150억 달러 증액을 결정한 것이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외환 스왑거래가 외환시장 불안정 시 국민연금의 달러 매입 수요를 흡수할 수 있어 외환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어 “스왑 거래 기간 중 외환보유액이 거래금액만큼 줄어들지만, 만기 시 자금이 전액 환원되기 때문에 외환보유액 감소는 일시적”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연금 측도 "환율 급등 시 외환 스왑을 통한 해외 자산 환헤지는 해외 투자에 수반되는 환율 변동 리스크를 완화해 기금 수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한다"고 밝혔다.

계엄 사태 이후 원화 가치 불안정

이번 결정은 가파르게 상승하는 환율 여파에 따른 것이다. 최근 글로벌 달러 강세 기조에 국내 자산 전반에 대한 불안 심리가 겹치면서 원화 가치가 속절없이 추락하고 있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주간거래 종가(1,435.5원)보다 17.5원 오른 1,453.0원에 거래를 시작해 등락을 반복하다 오후 3시 30분 기준 1,451.9원을 나타냈다.

환율이 1,450원선을 돌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13일(1,483.5원)이후 15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국내 정치 불안과 경제 체력 약화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다. 이달 3일까지만 해도 1,400원 아래에 머물렀던 환율은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4일 새벽 1,440원을 돌파했다. 이후 환율은 1,410원대에서 움직이다가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정족수 미달로 폐기되며 불확실성이 증폭되자 1,430원대까지 고점을 높였다. 지난 14일 탄핵소추안이 가결됐지만 떨어지기는커녕 1,450원대 후반에서 움직이는 모습이다.

강달러에 각국 환율도 비상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더뎌질 수 있다는 소식도 환율 급등에 영향을 미쳤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금리인하’를 단행했다. 기준금리를 추가로 25bp(1bp=0.01%포인트) 내리면서 세 차례 연속 금리 인하를 이어갔지만, 내년 금리인하 폭은 기존 100bp에서 50bp 수준으로 대폭 줄여 잡았다. 시장의 예상보다 더 매파적이었다는 평가다.

이후 시장에서는 FOMC 결과에 따른 달러 강세가 이어졌다. 연준의 금리 인하는 시장 전망에 부합했으나, 앞으로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예고에 달러가 강세를 보였고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도 일제히 급락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8일(현지시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4% 오른 108.17을 기록했다.

미국 주식과 채권 등 달러화 자산이 블랙홀처럼 해외 자금을 흡수하고 있는 것도 강달러를 부추기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의 환율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18일 브라질 헤알화 환율이 장중 달러당 6.21헤알까지 상승(헤알 가치 하락)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브라질중앙은행(BCB)이 긴급 개입해 환율을 6.10헤알대까지 끌어내렸으나 달러 대비 환율은 여전히 연초에 비해 26% 급등한 수준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분석에 따르면 BCB는 이번 주에만 60억 달러(약 8조7,000억원)를 외환시장에 쏟았다.

캐나다달러의 미국 달러화 대비 환율 역시 같은 날 달러당 1.43캐나다달러로 치솟았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글로벌 금융시장 쇼크가 발생한 2020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여기엔 전날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부총리 겸 재무장관이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주도한 재정 지출 확대를 거부하며 전격 사임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부동산 PF 사업장 10곳 중 1곳은 구조조정 대상, 저축은행 시름 깊어져

부동산 PF 사업장 10곳 중 1곳은 구조조정 대상, 저축은행 시름 깊어져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정리·재구조화 완료 PF 사업장 4.5조원
가장 위험 등급 ‘부실우려’ 7% 그쳐
고위험 PF 집중된 저축은행만 먹구름

금융당국이 210조원 상당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을 대상으로 2차 사업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가장 위험 수준인 ‘부실 우려’ 등급을 받은 사업장 규모가 14조7,00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위원회는 연내 9조3,000억원, 내년 상반기까지 16조2,000억원 규모의 부실 사업장 구조조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상호금융과 저축은행에 대한 금융당국의 압박 수위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의·부실우려’ 사업장 규모 10.9%

금감원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위원회 등과 ‘부동산 PF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결과 및 재구조화·정리 이행 현황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9월 말 진행된 2차 사업성 평가에서 부동산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22조9,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이 중 유의 등급을 받은 사업장의 익스포저는 8조2,000억원, 부실우려 등급은 14조7,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사업성 평가기준은 △양호 △보통 △유의 △부실우려 등 네 등급으로 나뉘는데, 양호 및 보통 등급은 정상 사업장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유의 등급은 재구조화 또는 자율 매각을 추진해야 하며, 가장 위험 등급인 부실우려는 경·공매 방식으로 정리해야 한다. 이번 평가에서 위험 또는 부실우려 등급을 받은 사업장은 전체 사업장(210조4,000억원)의 10.9%로, 전체 PF 사업장 10곳 중 1곳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셈이다. 유형별 구조조정 대상은 토지담보대출이 13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본PF와 브릿지론은 각각 4조6,000억원, 4조8,000억원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PF 충당금 적립액과 자본비율 등을 감안했을 때 금융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다만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전년 말 대비 상승함에 따라 부실채권 정리 및 연체율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신기준을 적용한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말 5.2%에서 올 9월 말 11.3%로 6.1%p 증가했다. 은행 등의 전체 여신 중 회수에 문제가 생긴 여신 비중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지난 10월 말까지 정리 및 재구조화가 완료된 PF 사업장은 4조5,000억원 규모다. 금융당국은 올해 말까지 9조3,000억원의 사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후관리 이행 실적 점검을 통해 문제가 있는 사업장의 신속한 정리를 독려할 방침이다. 또 지난달 발표한 책임준공 합리화 방안에 따라 PF 수수료 관행 개선 등을 적극 지원하고, 신디케이트론 등을 통해 자금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상호금융·저축은행 향하는 칼날

금융당국이 기존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평가에 나서면서 부실 사업장이 급증할 것을 우려했던 금융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6월 진행된 1차 평가에서는 유의 사업장이 7조4,000억원, 부실 우려 사업장이 13조5,000억원으로 집계된 바 있다. 2차 평가에서 유의 등급은 8,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고, 부실 우려 등급은 1조2,000억원 증가했다. 대부분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이 1차 평가에 반영된 만큼 이번 평가에서 추가로 발견된 부분이 크지 않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다만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경우 금융당국의 압박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금융기관은 고위험 PF인 브릿지론과 토지담보대출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업권별 구조조정 대상 PF에서는 새마을금고(상호금융)가 10조9,000억원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이어 저축은행(4조4,000억원), 증권사(3조8,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2조7,000억원), 보험사(7,000억원), 은행(4,000억) 순을 보였다.

특히 부실위험 사업장에 PF를 제공한 금융기관의 재무적 부담이 막대하다. 금융기관은 문제가 된 대출액의 75%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9월 말 PF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총 11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조4,000억원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이 4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증권사(2조6,000억원), 저축은행(2조원), 여신전문금융사(1조2,000억원), 은행 (1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저축은행 ‘손해 최소화’에 방점

가뜩이나 적자의 늪에 빠진 저축은행 업계는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금융당국은 올해 들어서만 여러 차례 저축은행업계에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신속한 정리를 당부해 왔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업계가 다른 업권에 비해 건전성 강화에 소극적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지적이다. 지난달에는 금감원이 PF 대출 규모가 큰 일부 저축은행의 대표이사를 소집해 “건설경기 부진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큰 만큼 PF 정리 대상 사업장은 신속히 경·공매, 상각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사업장 구조조정이 느린 상황에 대해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는 입장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 사업장은 상호금융을 비롯한 다른 업권에 비해 규모가 크고, 이 때문에 대주단 사이 협의가 쉽지 않다”고 짚으며 “주주들 또한 부동산 시장이 살아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낮은 가격에 구조조정을 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고 전했다.

수익성도 큰 고민거리다. 경·공매는 빠른 구조조정에 목적이 있는 탓에 낮은 가격에 해당 사업장을 넘겨야 하고, 그 과정에 손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실적이 공개된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인 신한·KB·우리금융·하나저축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손실 합계는 394억원으로 전년 동기(207억원)와 비교해 190%로 뛰었다. 업계 전반이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는 조금이라도 대출 원금에 가깝게 매각해야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게 저축은행 관계자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부실 PF 정리를 둘러싼 저축은행과 금융당국의 견해차를 좁히기 쉽지 않으리라고 예상되는 대목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美 코먼웰스퓨전시스템 "세계 최초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짓는다"

美 코먼웰스퓨전시스템 "세계 최초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짓는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건립, 첫 주자는 미국?
핵융합 에너지, 안전성·효율 높아 '꿈의 기술'로 꼽혀
한국도 KSTAR·ITER 등 앞세워 기술 개발 속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소재 코먼웰스퓨전시스템 본사/사진=코먼웰스퓨전시스템

미국의 핵융합 발전 전문 스타트업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이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자체 소형 핵융합 장치 '스파크(SPARC)'를 활용,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건설 계획

19일(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미국의 핵융합 발전 전문 스타트업인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은 최근 낸 보도자료에서 “오는 2030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상용화를 전제로 한 핵융합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은 해당 발전소를 건설한 뒤 오는 2050년까지 수천 개의 핵융합 발전소를 전력망에 연결해 상업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CNN에 따르면 실제 전력망에 연결해 전력을 실제로 공급하는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의 건설 계획이 발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분사한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은 고온 초전도 자석 기술을 활용한 실험용 소형 핵융합 장치인 ‘스파크(SPARC)’를 개발 중인 기업이다.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은 “스파크를 기반으로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인 ‘아크(ARC)’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스파크는 고온 초전도 자석을 활용해 기존 핵융합 장치 대비 강력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로,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개발을 위한 주요 발판으로 알려졌다.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의 소형 핵융합 장치 '스파크'의 완성 모습을 묘사한 일러스트/사진=코먼웰스퓨전시스템

핵융합 발전이란?

핵융합 발전의 기틀이 되는 '핵융합'은 중수소, 삼중수소 등 가벼운 원소의 원소핵들이 결합해 무거운 원자핵으로 변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으로, 우라늄과 플루토늄 등 무거운 원소를 쪼개 에너지를 내는 핵분열을 통한 원자력 발전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꼽힌다. 핵융합 발전은 핵융합 반응을 인공적으로 구현하고, 원소핵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발전 방식이다. 이 같은 발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는 일절 발생하지 않는다. 핵융합 발전이 기후 변화와 에너지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꿈의 기술'로 꼽히는 이유다. 

핵융합 발전은 발전 효율도 여타 에너지 대비 높다. 화력 발전이 300만 톤의 석탄을 이용해 만드는 에너지를 핵융합 발전은 100kg의 중수소와 3톤의 리튬만으로 생산할 수 있다. 핵분열을 이용한 원자력 발전과 비교해도 효율이 월등하다. 일반적으로 우라늄 1kg이 핵분열을 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는 200억kcal 정도인 반면, 수소 1kg이 핵융합을 할 때 내놓는 에너지는 약 1,500억kcal로 7배 이상 차이가 난다.

안전성에 있어서도 우수하다는 평가다. 원전의 경우 몇 년간 사용할 연료를 연료봉 형태로 원자로에 주입하며, 예상치 못한 사고 발생 시 핵분열 반응을 제어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핵융합은 지속적으로 소량의 연료를 주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연료 주입을 멈추거나 전기를 차단하면 바로 핵융합 반응이 멈추게 된다.

한국의 핵융합 발전 기술 개발 노력

우리나라도 이 같은 핵융합 에너지의 가능성에 주목해 핵융합 발전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현시점 한국 핵융합 기술 개발의 주축으로는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 한국이 참여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등이 꼽힌다.

정부는 2030년대에 핵융합실증로(DEMO)를 건설하고 2050년대에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수립, 민관 전방위에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9월에는 20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통해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안)’을 의결, 융합에너지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1조2,000억원 규모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정부는 핵융합 연구·실증 엔지니어링 시장 선도를 목표로 ‘Fusion 엔지니어링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민간의 우수한 엔지니어링 역량과 공공의 핵융합 기술 역량을 결합해 민·관 공동 기술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또한 민간의 창의적 기술 연구를 지원하고 민간의 연구 성과를 핵융합로 소형화 기술로 연결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 ‘플러그인(Plug-in)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민간의 컨소시엄이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공공기관은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기술을 핵융합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핵심 부품·장치가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수출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핵융합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과 확산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산업 수요에 맞춰 중성자 및 저온 플라스마 기술 분야 등 핵융합 관련 기술의 산업적 활용을 다양화하고, 관련 신산업을 적극적으로 창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민·관 협력 기반의 대형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기획·추진해 핵융합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및 확산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기술 독립 속도 높이는 중국, 이번엔 BYD “로봇 전문가 모십니다”

기술 독립 속도 높이는 중국, 이번엔 BYD “로봇 전문가 모십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로봇 관련 10개 분야 선임 엔지니어 채용
AI·자동차 기술 통합에 18조원 투자 계획
용접 공정 자동화율 87%, 폭스바겐 앞서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로봇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자체 설립한 로봇공학 연구소에 배치할 전문 인력 영입에 팔을 걷어붙이면서다. 이는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 비슷한 행보로, BYD는 관련 분야에서 이미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파악됐다. 전기차에 이어 로봇까지 중국 기업들이 산업을 선도할지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는 모습이다.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기술 개발 박차

19일(현지 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BYD는 최근 공식 소셜미디어(SNS) 위챗을 통해 글로벌 채용 공고를 냈다. 채용 분야는 △감각 알고리즘 △로봇 공학 △소프트웨어 등 로봇 관련 10개 분야의 선임 엔지니어며, 모집 대상은 △기계 △자동화 △전산 △수학 △전자정보 분야의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소지자다. 채용 인원은 미정이다.

2022년 엣지 인텔리전스(Edge Intelligence, EI) 전담팀을 출범한 BYD는 해당 팀을 통해 로봇의 의사 결정 능력 제고 및 산업용 EI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해 왔다. EI 팀은 출범 이후 협업 로봇과 모바일 로봇, 2족 보행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등 여러 유형의 제품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EI는 기계 시스템이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미래 제조업의 핵심으로 꼽힌다.

BYD는 중국 빅테크 기업 가운데서도 로봇 분야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왕촨푸 BYD 설립자가 AI와 자동차 기술 통합에 1,000억 위안(약 18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으며, 같은 달 물류 업무를 수행할 로봇팀을 모집하기도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 정부의 로봇산업 육성 정책과도 맞물리는 것으로, 국제로봇연맹에 의하면 중국은 지난 수년간 제조업에서 자동화 사용 확대를 추진해 온 결과 산업용 로봇 도입률에서 독일과 일본을 앞지른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기술 투자 확대가 BYD의 장기적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AI와 로봇 기술의 결합이 미래 제조업의 핵심으로 떠오른 만큼 단순 전기차 제조업체에서 첨단 기술 기업으로 거듭나려는 BYD의 전략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BYD 관계자는 “우리의 목표는 첨단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AI와 로봇공학을 제품에 통합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우수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옵티머스' 2세대/사진=테슬라

한발 빠른 테슬라? 한 톤 높은 테슬라!

일각에서는 BYD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 중인 테슬라를 벤치마킹하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경쟁력이 저렴한 가격에서 기인하는 만큼 단순 반복 작업에 투입되는 인건비를 절감해 제조 원가를 최대한 절감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미국 경제 전문지 비즈니스인사이더는 “테슬라의 중국 전기차 경쟁사(BYD)도 옵티머스와 같은 자체 휴머노이드 경주에 뛰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테슬라는 주력 사업인 전기차뿐만 아니라 로봇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휴머노이드 옵티머스(Optimus)를 2025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해 테슬라 공장에 1,000대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공언해 왔으며, 지난해 12월에는 테슬라 공식 SNS를 통해 옵티머스 2세대 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의 웨이저자 회장의 발언도 화제가 됐다. 그는 16일 한 행사에 참석해 “며칠 전 세계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람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앞으로 힘써야 할 분야는 자동차가 아닌 다기능 로봇이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웨이 회장이 말한 ‘세계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람’은 머스크 CEO로 밝혀졌다. 머스크 CEO가 테슬라의 미래를 로봇에서 찾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조용히 내실 다진 BYD

다만 BYD의 행보를 테슬라에 대한 견제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평이 비등하다. BYD는 이미 생산 시설 곳곳에 자동화를 도입하는 등 로봇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룬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는 BYD의 심장부로 불리는 선전시 선산 공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공장의 가장 큰 특징은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차종을 생산하는 혼류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시장 상황을 점검한 후 판매량이 높은 차량의 생산을 늘려 효율성을 높이는 식이다.

24시간 가동되는 선산 공장에서는 현재 10개 차종을 혼류 생산하고 있다. 이는 혼류 생산의 원조 격인 도요타(일본 모토마치 공장 9개)보다 많다. 용접 공정 자동화율 또한 폭스바겐(독일 츠비카우 공장 90%·76초에 한 대)과 비슷하거나 조금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 부지 면적만 40만㎡에 달하는 선산 공장의 용접 라인에는 로봇 1,740대가 설치돼 있다. 용접 자동화율은 87% 이상이며, 자동차 한 대를 용접하는 데는 58초가 걸린다.

비교적 단기간에 가파른 기술력 향상을 이룬 BYD는 지난 9월 ‘선진기술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고, 초거대 모델과 자율주행을 포함한 AI 기술 개발를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선진기술연구개발센터는 △AI 실험실 △AI 슈퍼컴퓨팅 개발 부문 △빅데이터 플랫폼 부문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약 500명의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다. BYD는 향후 선진기술연구개발센터 인력을 1,000명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반도체 자립 속도 붙은 中, 첨단 D램도 양산 “韓 기술 턱밑 추격”

반도체 자립 속도 붙은 中, 첨단 D램도 양산 “韓 기술 턱밑 추격”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中 모듈 업체, CXMT칩 사용한 DDR5 판매
韓 메모리 업계, 4년 만에 DDR5 추격 허용
삼성전자·SK하이닉스 타격 불가피
중국 저장장치 제조사 킹뱅크의 DDR5 판매 페이지에 '국산(중국) 메모리, 거침없는 혁신으로 앞으로 나아가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다/사진=킹뱅크

범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발 저가 공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첨단 제품 개발에도 중국이 박차를 가하며 국내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가 대표적이다. CXMT는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력하는 첨단 D램 ‘DDR(더블데이터레이트)5’ 양산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량 밀어내기에 이어 중국의 발빠른 기술 추격에 국내 기업들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中서 첨단 D램 'DDR5' 온라인 출시

20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저장장치 제조사 킹뱅크(KIngbank)와 글로웨이(Gloway)는 17일부터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32GB(기가바이트) 용량의 DDR5 D램 판매를 시작했다. 16G 용량 2개가 한 세트인 이 제품의 예약 구매 가격은 499위안(약 9만8,000원)이다.

킹뱅크와 글로웨이는 메모리 업체에서 D램을 구매해 PC나 서버에 꽂을 수 있도록 패키징(조립)을 하는 곳이다. 두 제조사 모두 공급업체와 제작 공정 등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상품 설명에 ‘국산 DDR5칩’이라고 기재했다. 이들 업체가 내놓은 광고 속에도 ‘중국산 칩, 거침없는 기세’라거나 ‘중국산 DDR5 칩을 넣은 D램’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CXMT가 DDR5 양산에 성공한 것이라는 데 무게를 싣고 있다. 실제 CXMT는 이미 중국 최초로 고성능 모바일 D램인 LP(저전력)DDR5 생산을 시작했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성능 측면의 비교는 어렵겠지만, 중국산 첨단 D램의 등장 자체만을 놓고 보면 미국의 제재 속 중국이 어떤 돌파구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中 공세에 이미 DDR4 가격 폭락

현재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1위 삼성전자, 2위 SK하이닉스, 3위 마이크론으로 3강 구도를 이루고 있다. 이 중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이 70%가량으로 압도적이지만, 중국이 범용 D램에서 저가공세를 펼치며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미 중국이 DDR4의 대량 생산에 돌입하면서 D램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은 급격히 하락한 상태다.

시장조사업체 D램 익스페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 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 거래가격은 지난 7월 2.1달러에서 11월 1.35달러로 넉 달 새 35.7% 떨어졌다. 특히 지난달 가격은 전달보다 20.59% 급락해 올해 들어 낙폭이 가장 컸다. 여기엔 IT 기기 수요가 부진한 탓도 있지만, 중국 D램 제조사의 생산능력 확대가 D램 가격 하락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CXMT와 푸젠진화(JHICC)는 DDR4 8Gb D램을 시중 가격의 절반 수준인 0.75∼1달러에 팔아치우며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

글로벌 게임 체인저로 부상

이에 업계에서는 그동안 DDR4에 머물렀던 중국 업체들이 시장 주류가 된 고부가 제품 DDR5 생산에도 나선 것을 두고 긴장하는 모습이다. 중국 업체들의 물량 공세로 DDR4 같은 범용 제품에서 나타난 가격 하락세가 DDR5로도 빠르게 번질 수 있고, 중국 정부의 막강한 지원을 등에 업고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삼성과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을 뺏어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더 큰 문제는 중국의 추격 속도다. 업계에선 대규모 정부 지원금의 등에 업은 중국 업체들의 추격 속도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평가가 비등하다. 실제 CXMT는 지난 2019년 중국 최초의 DDR4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는데, 한국 업체들보다 6년 늦었지만 올해 들어 급격하게 생산량을 늘리고 있다. 이어 DDR5는 불과 4년 만에 추격에 성공했다. DDR5는 SK하이닉스가 2020년 세계 최초로 제품을 출시한 제품이다. 중국 업체들의 약진이 당장 국내 기업의 위협이 될 수준은 아니라는 업계의 평가가 무색하게 턱밑까지 쫓아온 것이다.

이에 메모리 업계 3위 미국 마이크론은 최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 현지 업체 제품과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고, 글로벌 IT업계 내에서는 TSMC의 경쟁사는 삼성이 아닌 중국 업체란 말까지 나돌고 있다. 일각에서는 CXMT가 DDR4에 이어 DDR5 생산 능력을 확대할 경우, 세계 최대 메모리 시장인 중국 시장이 자국 업체 제품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