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막 내린 지방 부동산 시대 “거래량도 금액도 폭락”, 금융권도 촉각

막 내린 지방 부동산 시대 “거래량도 금액도 폭락”, 금융권도 촉각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대구 아파트 매매가 67주 연속 하락
수도권 내에서도 양극화 뚜렷
지방은행은 이미 ‘깡통대출’ 속출

지방 부동산 시장이 연일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다. 매매로 대표되는 일반 공급, 경매 및 미분양을 가리키는 악성 매물, 청약 등 주택 시장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가 모두 무너지면서 회복과는 정반대의 길을 걷는 양상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공급 과잉 문제가 해소되면 분위기가 달라질 것이라던 일각의 기대도 최근엔 종적을 감췄다. 나아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금융권 대규모 부실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대구·부산·광주 부동산 시장 일제히 먹구름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첫째 주 대구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11% 떨어지면서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 폭을 나타냈다. 2023년 11월 셋째 주(-0.01%)부터 시작된 내림세는 이로써 67주 연속 이어졌다. 매매가 하락은 북구(-0.24%) 태전동과 침산동, 남구(-0.18%) 이천동과 대명동, 서구(-0.15%) 내당동과 중리동에서 두드러졌다. 아파트 전셋값도 0.03% 떨어져 2023년 10월 셋째 주(-0.02%) 이후 72주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실거래가에서도 최고가 대비 30~40% 떨어진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수성구 범물동 범물영남보성(전용 134㎡)는 지난 1월 7일 3억7,000만원에 매매 계약이 이뤄졌다. 최고가(6억원·2021년 3월) 대비 38% 내린 수준이다. 수성구 만촌동 만촌화성파크드림3차(84㎡)는 역시 최고가 14억원(2020년 11월) 대비 5억원(35%) 가까이 떨어진 9억원에 새 주인을 만났다.

매서운 집값 하락세는 비단 대구만의 일이 아니다. 부산 해운대구 더샵센텀파크1차(151㎡)는 최근 16억6,000만원(41층)에 손바뀜했다. 해당 단지는 2021년 20층 매물이 24억원에 매매된 곳으로, 집값의 3분의 1이 4년여 만에 날아간 셈이다. 광주에서 가장 학군이 뛰어난 곳으로 평가받는 남구 봉선동 봉선한국아델리움3차(84㎡) 또한 2022년 3월 기록한 최고가 13억6,000만원보다 34% 넘게 하락한 8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실물 경기에 선행하는 경매 시장도 암울하기는 마찬가지다. 지지옥션에 의하면 지방 5대 광역시 아파트 경매낙찰가율(경매 가격 대비 낙찰 가격 비율)은 올해 1~2월 78.9%를 기록했다. 2020년과 2021년 각각 95.1%, 104.2%를 나타낸 것과 대조적이다. 강은현 법무법인 명도 경매연구소장은 “지방 광역시는 최근 지속적으로 감정 가격이 떨어지는 추세”라면서 “문제는 낙찰 가격도 함께 떨어진다는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대한 낮은 가격으로 접근하려는 수요자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성이 높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라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투기 세력 몰리던 인천 송도·경기 파주 거래 절벽

수도권의 경우에도 외곽 지역은 상황이 비슷하다. ‘인천의 강남’으로 불리는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더샵퍼스트파크F13-1BL(84㎡)은 지난달 9억4,500만원에 매매 계약서를 썼다. 지난해 9월 10억5,000만원까지 오르는 등 반등 기대감에 불을 지폈지만, 끝내 다시 10억원 선 아래로 미끄러졌다.

해당 면적대는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띠던 2021년 12월 13억1,000만원까지 가격이 치솟기도 했다. 하지만 2022년 금리가 급등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하자, 7억6,000만원까지 밀리면서 소위 ‘반토막’을 면치 못했다. 현재 시세는 저점에서는 상당 폭 회복했지만, 여전히 고점과 비교해선 4억원가량 낮은 수준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 노선 개통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장이 들썩였던 파주 운정신도시 일대에도 실망감이 가득하다. 파주시 목동동 운정화성파크드림시그니처(84㎡)는 지난달 4억9,800만원(23층)에 거래됐다. 한 달 전(4억8,500만원·12층)과 비교하면 소폭 오른 수준이지만, 교통 호재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이 상승하며 기록했던 최고가 9억5,000만원(25층)에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친다.

GTX 개통을 기다렸다가 매물을 내놓는 집주인이 몰리면서 매물 적체도 한층 심화했다. 부동산 데이터분석기관 아실의 조사에서 운정중앙역 개통일인 지난해 12월 28일 5,453건이던 파주시 아파트 매물은 이달 5일 6,329건으로 16% 늘어났다. 같은 기간 경기도 아파트 매물 증가율이 9.1%를 기록했단 점을 고려하면, 매우 큰 증가 폭이다.

업계에서는 GTX 호재가 가격에 선반영돼 개통 후 반응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됐고, GTX A노선을 공유하면서 파주보다 서울에 인접한 고양시 집값이 약세를 보이는 등 여러 요인이 맞물렸다는 분석이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이후 금리인하 시기와 GTX 착공 시점이 맞물리면서 운정신도시 일대 집값이 투기적으로 상승한 측면이 있다”고 짚으며 “올해와 내년 입주 물량도 1만 가구에 육박해 당분간 상승을 기대하긴 어려운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지방은행, 부실채권 증가-시중은행 지방 침투 ‘이중고’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금융권의 대규모 부실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특히 지방금융지주들의 경우 지방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재무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단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부산·경남·전북·광주은행·iM뱅크(구 대구은행) 등 5대 지방은행이 보유한 고정이하여신은 1조3,370억원으로 전년(1조258억원) 말과 비교해 30.3% 증가했다.

은행들은 여신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눠 관리한다. 이 중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여신을 합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한다. 이는 원리금 상환이 3개월 이상 연체돼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채권으로, 이들 대부분이 이자 상환도 되지 않는 무수익여신 즉 ‘깡통대출’이다.

부실화 직전 단계의 대출을 의미하는 요주의 여신 또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요주의 여신은 1~90일 동안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잠재 부실채권을 뜻한다. 지난해 말 5대 지방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2조1,145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5.8% 증가했다. 이 기간 4대 시중은행(KB국민·우리·신한·하나)의 요주의 여신은 7조1,143억원으로 13.1%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2배가 훌쩍 넘는 부실화 속도다.

금융권에선 지방은행의 영업 환경이 올해 더 악화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의 ‘지방·수도권 대출정책 이원화’ 정책에 따라 시중은행의 지방 침투가 더욱 거세질 것이란 예측이다. 지난해 11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건설업계 및 부동산 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해 “실수요자와 지방 가계대출 수요자들이 더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자금 공급을 원활히 하고 특히 지방의 경우 수요자가 더 여유를 느끼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는 금융당국이 은행 대출 연간계획에서 지역 총량을 조금 더 주거나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를 도입할 때 스트레스(가산) 금리를 조정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 같은 변화가 지방은행의 수혜가 아닌, 시중은행의 지방 영업에 힘을 싣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란 관측이다. 나아가 연내 출범이 예상되는 제4인터넷전문은행의 신규인가 심사기준 중 새로운 배점 항목으로 ‘지역 금융 공급’이 추가됐다는 사실 또한 지방은행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요소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금리 인하에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락, 건전성 사수 ‘비상’

금리 인하에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락, 건전성 사수 ‘비상’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금리 내리면 보험사 운용수익 타격
성장성 둔화 및 수익성·건전성 악화
건전성 방어·재무안정성 과제로 부상

금리 하락이 본격화하면서 보험사들이 건전성 방어에 진땀을 빼고 있다. 업계 1위 삼성생명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지급여력비율(킥스·K-ICS)’ 비율이 200% 아래를 밑돌았다. 새회계기준인 ‘IFRS17’ 도입 이후 금리 하락에 따른 부채 부담이 더 커진 영향이다. 특히 건전성 방어와 재무 안정성이 지상 과제로 부상하면서 신종자본증권 등 자본성 발행 규모는 역대 최대다.

금리 하락 따른 부채 부담↑

10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보험사들이 K-ICS 비율 하락에 대응해 보완자본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신영증권 분석을 보면 보험사의 신종자본증권과 후순위채 등 자본성증권 발행 규모는 올해 1분기 기준 2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보험사가 발행한 자본성증권은 7조5,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보험사에서 자본성증권 발행이 늘고 있는 것은 건전성 지표인 K-ICS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IFRS17에서는 이전과 달리 보험부채(준비금)를 시가(현재 가치로 재평가)로 평가하게 돼 있다. 즉, 금리가 하락하면 할인율이 낮아지고 보험부채가 증가하는 구조다. 부채 증가에 따라 킥스 비율 부담이 커지다 보니 보험사에서도 건전성 방어를 위해 자본확충이 불가피해진 셈이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무해지 보험 관련 해지 위험액 산출 방식을 개편하고 손해율 역시 연령에 따라 높은 손해율을 적용하도록 한 것도 자본확충 필요성을 키우고 있다.

삼성생명 본사/사진=삼성생명

삼성생명, 처음으로 200% 밑돌아

금리 하락에 따른 건전성 충격은 예상보다 더 강력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경과조치 전 K-ICS 비율이 150% 이하를 기록한 곳은 무려 6개사에 달한다. 푸본현대생명(경과조치 전 17.3%, 경과조치 후 200.9%)과 MG손해보험(35.9%, 43.4%), KDB생명(66.3%, 179.5%), ABL생명(113.1%, 152.5%), 롯데손해보험(128.7%, 159.8%), iM라이프(131.0%, 178.0%) 등 중소형사에서 특히 영향이 컸다.

일부 중소형사는 추가 자본 확보를 위한 발행 한도마저 넉넉지 않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KDB생명과 푸본현대생명 등 중소형 보험사들은 이미 한도를 모두 소진했다. NH농협손해보험도 한도가 대부분 소진됐으며, 롯데손해보험은 지난해 9월 말 자기자본 기준으로 약 3,000억원의 잔여 차입한도가 있었지만 4분기 중 자기자본 감소로 발행 여력이 저하됐을 걸로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삼성생명(193.5%)과 한화생명(164.1%), 교보생명(170.10%, 222.34%) 등 대형 보험사들도 K-ICS 비율이 하락하는 추세다. 삼성생명의 경우 작년 말 기준 K-ICS 비율이 180%로 더 떨어졌다.

보험사의 운용수익률이 악화하면 미리 약속한 보험금을 지급하기 어려워져 더 많은 보험금을 걷어야 한다. 예정이율이 3.0%인 보험을 예로 들면, 이 경우 고객이 100만원을 내면 30년 후에 250만원 지급이 가능하지만, 운용수익률 악화로 인해 예정이율이 2.5%로 낮아지면 이를 보장하기 어려워진다.

보험사 M&A 지지부진

이렇다 보니 매물로 나온 보험사들의 매각도 순탄치가 않다. 현재 보험사 M&A 시장에서 매물로 나와 있거나, 잠재 매물로 거론되는 곳은 △MG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동양생명 △ABL생명 △KDB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등 6곳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최종 성사는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KDB산업은행은 지난 2014년 이후 10년 동안 추진하던 KDB생명 매각을 잠정 중단하고 KDB생명을 자회사로 편입하기로했다. 산은은 KDB생명의 자본을 확충해 재무구조를 개선한 뒤 재매각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BNP파리바카디프생명도 잠재 매물로 분류되고 있다. 프랑스 BNP파리바가 국내 시장 철수를 추진하면서 자연히 M&A 시장 매물로 오르내리는 모습이다. 지난해에는 BNK금융지주가 사모펀드(PEF)와 투자를 검토했지만 최종적으로는 무산됐다.

손보사들 매각도 지지부진하다. 롯데손보의 경우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약률 가이드라인' 적용 여파로 실적이 크게 출렁였다. 실제 롯데손보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91%나 감소한 272억원으로 집계됐다. 킥스 비율도 하락이 우려된다. 롯데손보의 킥스 비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59.8%(경과조치 적용 후)로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간신히 넘었다. 건전성 우려 탓에 금감원은 지난달 5일부터 롯데손보에 대한 수시검사에 착수한 상태다.

무엇보다 금융지주가 M&A에 신중한 입장이란 점이 문제다.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지주사들은 무리한 M&A보다 본업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 단위의 롯데손보를 인수할 곳이 마땅찮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매물 중 비교적 우량하다고 평가받던 롯데손보의 경우에도 지난해 실적이 급감하면서 원하는 값을 받지 못하게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방치된 핵연료 잔해만 880톤, 일본인 60% "2051년 후쿠시마 원전 폐기 불가능"

방치된 핵연료 잔해만 880톤, 일본인 60% "2051년 후쿠시마 원전 폐기 불가능"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日 정부, 40년 내 후쿠시마 원전 폐기 공언
지난해 원전 핵연료 잔해 반출, 극소량에 그쳐
불어나는 폐로 비용, 결국 전력 소비자 부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터에 오염수 탱크가 가득 들어차 있다/사진=도쿄전력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를 오는 2051년까지 폐기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과 관련해 일본인 10명 중 6명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원전 폐기를 위해서는 원전 내 방치된 사용후핵연료봉을 제거해야 하는데 일본 정부는 파괴 정도가 심각한 1, 2호기에서 아직 연료봉을 꺼내지도 못했다. 게다가 방사능 수치가 높아 인간의 접근이 어려운 만큼 로봇을 이용해 핵연료 수거 작업에 착수했지만, 14년이 지난 현재까지 고작 3g을 긁어내는 데 그친 실정이다.

응답자 40%, 핵연료 안전 처분방법 찾을 수 없다

9일 일본 도쿄신문은 일본여론조사회가 동일본 대지진 14주년을 앞두고 올해 1월 21일부터 이달 3일까지 1,7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편 여론조사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이 계획대로 폐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란 질문에 60%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2051년까지 사고 원전 폐기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은 6%였고, 32%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도쿄전력이 원전 폐기를 위해 2023년 8월 시작한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이후 수산물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50%가 ‘우려한다’, 48%가 ‘우려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도쿄신문은 "정부와 도쿄전력이 소문 피해 대책에 힘쓰고 있지만, 우려한다는 응답은 작년 같은 기간의 이전 조사와 같은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와 같은 심각한 원전 사고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자는 83%였고,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86%였다. 앞으로의 원자력발전 정책에 대해서는 58%가 ‘단계적으로 줄여 미래에는 없앤다’고 했고, 30%는 ‘단계적으로 줄이되 새로운 원전을 만들어 일정한 수를 유지한다’고 응답했다.

日 전문가 "오염수 방류해도 2051년까지 폐기 불가능"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전문가들의 의견과도 일치한다. 미야노 히로시 일본원자력학회 폐로검토위원장은 일본 정부 계획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비판하며 "용융 핵연료 잔해가 없는 일반 원전도 폐기에 30∼40년이 걸리는데,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지금도 핵연료 잔해가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1년 3월 후쿠시마 제1원전 1~3호기에서 녹아내린 핵연료는 사고 십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곳에 그대로 있다. 녹아내린 핵연료에선 여전히 고열과 함께 치명적인 고선량 방사선이 방출되고 있다. 하지만 1호기와 3호기는 워낙 방사선량이 높아 작업자의 접근이 어렵다. 때문에 현재까지도 핵연료 잔해물 제거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분석은 지난해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 작업의 첫 단계로 미량의 핵연료를 수거하는 작업이 종료된 이후 더욱 힘이 실렸다. 도쿄전력은 작년 11월 2일 로봇 등 특수장비로 후쿠시마 원전 2호기의 핵연료 잔해를 꺼낸 뒤, 방사선량 등을 측정해 완전 회수가 가능하다고 확인했다. 이어 같은 달 7일 오전 잔해를 운반용 용기에 담아 전용 컨테이너로 옮기면서 반출 작업을 완료했는데, 당시 원자로에서 꺼낸 핵연료 잔해는 무게 3g도 채 되지 않았다. 원전 1∼3호기 내부에 모두 880톤(t) 규모의 핵연료 잔해가 남은 것을 감안하면 극소량이다.

핵연료 잔해 제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오염수 처리에만 100년이 걸릴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원자력안전위원을 지낸 김익중 전 동국대 의대 교수는 “지금까지 꺼낸 잔해가 3g도 채 안 되는 것을 보면 일본이 핵연료 잔해를 없앨 수 있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없는 듯하다”며 “잔해가 어디로 녹아들어서 어디까지 퍼져 있는지 몰라 처리에만 100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후쿠시마 원전을 방문해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 내부를 확인하고 있다/사진=도쿄전력

폐기물 3g 낚는 데 13년, 폐로 실행 방안 사실상 전무

더욱이 예정된 일정에도 번번이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2030년께부터 3호기의 핵연료 잔해 제거를 시작하고, 이어 1호기에서도 같은 작업을 한다는 방침이었다. 계획대로라면 2021년 시험인출 이후 30년 되는 시점인 2051년 최종 폐로를 끝내야 하지만, 원전 폭발 사고 뒤 13년이 지나도록 원전 내부가 어느 정도까지 붕괴됐을지 파악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핵연료 잔해가 원자로 바닥을 뚫고 녹아내린 것으로 추정돼 복잡한 구조물을 헤치고 800톤 넘는 분량을 모두 꺼낼 방법을 찾는 것도 현재로서는 마련돼 있지 않다.

폐로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에 따른 제염, 배상, 폐로에 들어가는 비용은 최신 추정치로 23조4,000억 엔(약 229조원) 규모다. 8조 엔이 폐로 비용, 이 가운데 핵심인 핵연료 잔해 제거에 6조 엔이 들어간다. 이후 원전에서 빼내게 되는 핵연료 잔해의 보관과 최종 처리 비용은 포함되지도 않은 금액이다.

일본 언론들은 “비용이 더 늘어날 게 확실하다”고 꼬집고 있다. 도쿄전력은 “그룹 전체의 경영합리화를 통해 비용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하지만 결국 전력 소비자들이 내는 전기세에 부담을 안기는 구조다. 실제 일본 정부는 우선 국가 예산으로 비용을 부담한 뒤 도쿄전력 측에 청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다른 전력 업체들도 비용을 일부 분담할 것으로 알려져 전기 이용요금 인상은 사실상 불가피하다. 더 큰 문제는 2051년 폐로를 한다는 계획만 있을 뿐 이를 실행할 방안도, 처분할 방법도 없다는 점이다. 미야노 위원장은 “2051년까지 폐로는 사실상 어렵다”며 “전체 계획 제시 없이 목표만 내놓은 것 자체가 잘못된 것 아니냐”고 일갈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중국 명품시장 쇠퇴 가속화, 중국인 지갑 닫자 매장 폐쇄 잇따라

중국 명품시장 쇠퇴 가속화, 중국인 지갑 닫자 매장 폐쇄 잇따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세계 럭셔리 브랜드 '중국 쇼크'
지난해 中 명품 판매 18~20% 감소
중국 소비 경제 위축에 직격탄
사진=LVMH

글로벌 명품 소매업체들이 주요 도시 고급 쇼핑몰에서 매장을 잇달아 폐쇄하며 중국 시장 철수를 가속하고 있다. 글로벌 명품업계는 중국 시장 비율이 30% 안팎에 달할 만큼 의존도가 컸지만, 중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실적 부진을 호소하는 양상이다.

명품 업체들, 중국 시장 철수

9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프랑스 케링그룹은 지난달 상하이의 랜드마크 징안사 근처 릴 백화점과 난징루의 신세계 다이마루 매장에서 10년 넘게 운영해 온 구찌 매장 두 곳을 폐쇄했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도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에서 2년간 운영하던 매장을 접었다. 이에 앞서 지난해 4분기에도 루이비통, 샤넬, 티파니앤코, 불가리 등 명품 소매업체들이 매장을 폐쇄했다.

케링그룹이나 LVMH 같은 명품 기업들은 그간 중국의 명품 수요를 잡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중국 시장에 쏟아부었다. 베인앤컴퍼니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사이 중국의 명품시장은 4배 이상 급성장해 660억 달러(약 95조7,000억원) 규모로 커졌다.

앞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했을 때 명품업계를 먹여살린 것도 중국이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화한 2020년 미국 내 명품 매출이 22%나 줄어든 반면, 중국 매출은 2020년에 전년 대비 48%, 2021년에 36% 늘어났다. 특히 LVMH는 코로나 시기 중국인들이 지갑을 활짝 열면서 급성장했다. 베르나르 아르노 LVMH 회장은 이때 자산이 세 배 가까이 늘며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의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와 세계 최고 부자 자리를 놓고 다툴 수 있었다.

경기 침체에 지갑 닫은 중국 소비자들

그러나 최근 명품 매장에 부는 찬바람은 매섭다. LVMH는 지난해 4분기 중국을 포함한 지역의 매출이 16% 감소했다고 보고했고, 케링그룹은 지난해 연간 수익이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위스 시계의 대중국 수출도 반토막이 됐으며, 화장품 업체 로레알은 지난해 4분기 북아시아 매출이 6.5% 줄어들었다.

제냐·톰 브라운 등을 보유한 에르메네질도 제냐도 잇따라 중국발 소비 부진에 마이너스 실적을 발표했다. 에르메네질도 제냐는 지난해 3분기 중국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8% 급감했다. 이와 관련해 모닝스타의 선임 주식 애널리스트 옐레나 소콜로바는 "대부분의 브랜드는 중국 본토에서 매출이 급격히 감소했는데, 이는 국내 소비자 심리 침체뿐만 아니라 중국인의 해외 쇼핑도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도 “중국 매출이 압도적인 아시아 시장에서 코로나 이후까지 이어진 흥청망청 쓰는 분위기가 확실히 바뀌었다”고 짚었다.

실제 중국은 지난해 3분기 경제성장률 4.6%를 기록했다. 2023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경제성장률이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길어지고 있고 취업난과 저임금, 소비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겹쳤다. 특히 그동안 명품 소비의 중심에 있던 중국 밀레니얼, Z세대 등 젊은 세대가 직격탄을 맞았다. 컨설팅회사 베인앤코는 1월 보고서에서 국내 지출 약화와 해외 쇼핑 증가로 지난해 중국의 명품 판매가 18~20%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보석과 시계는 소비자들이 가치 보존 자산으로 선호도를 옮기면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고 분석했다.

"일단 살고 보자" 줄줄이 가격 인하

명품 업계는 딜레마에 빠졌다. 중국만 바라보자니 상황이 여의치 않고, 중국의 대안을 찾자니 중국만큼 구매력이 큰 나라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세계 럭셔리 명품 브랜드 업체들은 중국 시장의 영업 부진 충격에 대해 생산 감소와 가격 할인으로 대응해 왔다. 오메가 티쏘 시계로 유명한 스와치는 주력 시장인 중국 매출이 줄어들자 생산을 20%~ 30% 줄였고 베르사체, 버버리 등 일부 명품 브랜드는 판매 촉진을 위해 중국 내 일부 제품 판매가격을 50%까지 할인하기도 했다. 또한 케링그룹도 생로랑의 상당수 중국 판매 제품에 대해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명품 브랜드의 중국 내 할인 경쟁은 전자상거래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까지 확전됐다. 일각에서 이러다 디올 백이 할인마트 매장에 진열되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올 정도였다. 알리바바 플랫폼에서는 모지에 브랜드의 핸드백 의류 신발 등이 50% 싸게 팔리고, 보테가베네타 브랜드는 24개월 무이자 할부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럭셔리 명품 제품의 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반영되면서 시장은 갈수록 더 움츠러드는 상황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멀티플렉스 대표 주자 CGV도 실적 악화 앞에선 ‘몸집 줄이기’, 4년 만의 희망퇴직

멀티플렉스 대표 주자 CGV도 실적 악화 앞에선 ‘몸집 줄이기’, 4년 만의 희망퇴직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2년 연속 흑자 이면엔 핵심사업 적자
줄줄이 폐점, 직영점도 예외 없어
치솟는 티켓값에도 경험은 축소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CJ CGV가 경영 효율화를 위해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2월 이후 정확히 4년 만의 일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영향력 확대와 내수 침체가 맞물린 데 대한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콘텐츠 유통업계에서는 CGV의 사례로 대표되는 영화관 산업의 위기가 단기간 내 끝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주를 이룬다.

자회사 실적에 묻어가는 주력 사업?

10일 영화업계에 따르면 CGV는 지난달 근속 7년 이상 대리급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했다. 이번 희망퇴직으로 80명가량의 직원이 회사를 떠났으며, 퇴직자들에게는 연차에 따라 월 기본급 100% 이상의 위로금이 차등 지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CJ CGV가 희망퇴직을 시행한 것은 4년 만이다. 당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극장 산업이 직격탄을 맞았던 것과 달리, 이번 희망퇴직은 국내 극장 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수익성 악화에 따른 조치로 해석된다.

지난해 CJ CGV의 전체 매출은 1조9,579억원으로 전년 대비 26.7% 증가했다. 영업이익 또한 759억원으로 54.6% 늘며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이는 베트남 등 해외법인 실적(686억원)과 자회사 CJ올리브네트웍스 편입 효과(4,833억원)가 반영된 결과다. 국내 사업만 보면 매출액은 7,588억원으로 전년보다 145억원(1.9%)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76억원의 손실을 기록해 적자로 돌아섰다.

국내 사업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OTT 확대로 인한 극장 관객 감소가 꼽힌다. 방송통신위원회에 의하면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왓챠 등 4개 구독형 OTT의 국내 매출 합계는 2019년 3,049억원에서 2023년 1조4,407억원으로 4년 사이 4배 넘게 급증했다. 같은 기간 OTT 이용률도 52.0%에서 77%로 치솟았다. 반면 극장 관객 수는 급감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집계한 지난해 국내 영화관 관객 수는 1억2,313만 명으로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절반 수준에 그쳤다.

텅 빈 객석에 문 닫는 극장 속출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보유한 CGV의 위기는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CGV는 2021년 대대적인 희망퇴직을 단행한 데 이어 2023년에는 큰 폭의 적자로 문을 닫을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결국 회사는 1조원 규모의 대규모 자본 확충에 나섰지만, 급한 불을 끄는 데 그쳤다. 결국 CGV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수익성 개선을 위해 부진한 사업을 정리하고, 일부 점포를 폐점하기로 결정했다.

가장 먼저 정리 대상이 된 사업은 온라인 굿즈(특정 인물 또는 작품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파생 상품) 전문점 ‘씨네샵’이었다. CGV는 지난해 3월 씨네샵 홈페이지를 통해 “씨네샵 온라인몰의 운영을 오는 31일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2023년 4월 서비스를 시작한 CGV 씨네샵은 1년도 채우지 못하고 문을 닫게 됐다.

직접 관객들을 맞이하던 영화관들도 줄줄이 영업을 종료했다. 지난해 1월 원주점이 폐점했고, 같은 해 3월에는 인천논현점도 같은 수순을 밟았다. 이 가운데 인천논현점은 과거 위탁 운영되던 지점을 2023 CGV가 직영점으로 전환하며 매출 상승을 꾀했으나, 결국 폐점이라는 씁쓸한 결말을 맞았다.

영화관업계 전체로 시야를 넓혀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한국 영화의 성지라 불리는 충무로 또한 마찬가지다. 충무로를 대표하는 극장이었던 대한극장은 66년간 이어져 온 운영을 끝내고 지난해 9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1958년 국내 최대 극장으로 문을 열어 2002년에는 250억원을 투입해 11개 상영관을 갖춘 영화관으로 재개관하는 등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왔지만, 계속되는 적자로 더는 버티기가 힘들다는 게 폐점의 이유였다.

업계는 이 같은 암울한 분위기가 단기간 내 뒤바뀔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데 전망이 일치했다. 한 콘텐츠 유통업계 관계자는 “과거 영화 제작 현장에서 일하던 인력들이 요즘에는 OTT 콘텐츠로 옮겨가는 추세”라면서 “아이디어와 인력을 흡수한 OTT 콘텐츠의 경쟁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는 반면, 영화관에 걸리는 작품의 경쟁력은 약화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시청을 넘어선 ‘경험’의 중요성

여기에 비싼 티켓값도 영화관 산업의 위기를 견인했다. 실제로 대다수 관객들은 영화표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고 입을 모은다. CGV 일반 2D 영화 기준 주말 요금은 15,000원이다. IMAX 3D 등 특수 상영관은 27,000원에 달한다. 이렇게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관객이 누릴 수 있는 건 영화뿐이다. 넷플릭스 한 달 구독료가 최저 5,500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단 한 편의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시간과 돈, 에너지를 쏟아 영화관을 찾을 이유가 없다는 게 영화 팬들의 주된 견해다.

일각에선 이 같은 영화관의 쇠퇴가 ‘공간의 힘’을 잃은 데서 초래됐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관객이 직접 영화관을 방문할 때만 얻을 수 있는 경험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례로 종이 티켓과 포스터를 꼽을 수 있다. 환경부가 합성수지 코팅 종이로 만든 광고 선전물 배포를 제한하면서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과거와 같이 스크랩북에 티켓을 모으고, 눈 닿는 곳에 포스터를 붙여 영화의 여운을 즐기던 경험은 사라진 지 오래다.

일부 극장이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변화를 꾀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CGV는 지난해 한국프로야구(KBO) 포스트 시즌과 e스포츠 리그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를 생중계로 시청할 수 있는 상영관을 운영했으며, 메가박스는 ‘씨네 도슨트’라는 미술 강연 프로그램을 통해 대형 스크린으로 예술 체험을 제공했다. 또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독립 영화관 무비랜드는 국내 OTT 왓챠와 손잡고 무료로 영화 상영회 ‘왓챠파티’를 진행한 바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전세사기 피해자 2개월 새 3천명 늘어, 2030 청년층이 75% 육박

전세사기 피해자 2개월 새 3천명 늘어, 2030 청년층이 75% 육박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국토부 집계한 전세사기 피해자 총 2만7,000명
피해 사례 중 비아파트가 70%, 2억원 이하 84%
전세사기 우려에 오피스텔 월세 수요는 늘어나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전세사기 피해자가 두 달 새 2,700명 증가하면서 총 2만7,000명을 넘어섰다. 특히 전체 피해자의 75%는 2030 세대로 나타나 청년층에 피해가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피해자의 70%는 아파트가 아닌 다세대·오피스텔·다가구 등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학교나 일자리 문제로 서울 등 수도권과 대도시에 거주할 수밖에 없는 청년층이 비교적 저렴한 빌라 전세 매물을 찾으면서 전세사기의 주요 타깃이 됐다고 분석한다.

서울·30대 이하·다가구 주택, 전세사기 피해 많아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전세사기 피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세사기구제특별법'에 따라 주거 안정 등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피해 사례가 지난달 19일 기준 2만7,37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23일 국토부가 집계해 국토교통위에 보고한 피해 사례 2만4,668건에 비해 3,000건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399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 5,902건, 인천 3,189건, 부산 2,962건, 대전 2,276건으로 수도권과 대도시에 피해가 집중됐다.

피해자 연령별로는 30대가 1만3,350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7,082명, 40대 3,873명, 50대 1,881명, 60대 이상 1,173명 순이었다. 특히 청년층으로 분류되는 20~30대의 비중이 74.7%(2만442명)에 달했다. 30대 이하 피해자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서울 5,866명 △경기 4,122명 △대전 2,845명 △부산 2,496명 △인천 2,038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과 부산은 청년층 비중이 각각 86.8%, 84.3%로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학교나 일자리 문제로 대도시로 몰릴 수밖에 없는 청년층이 전세사기의 최대 피해자가 된 셈이다.

피해 규모로는 '1억원 초과~2억원 이하'가 전체의 41.8%, '1억원 이하'가 42%로 나타났다. 주택 유형별로는 △다세대주택 30.5% △오피스텔 20.9% △다가구주택 17.9% 등 비아파트 거래가 전체 70%에 육박했다. 앞서 여야는 지난해 9월 전세사기 피해자의 주거 안정 강화를 위해 전세사기특별법 개정안을 처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전입신고 등 대항력 보유, 보증금 5억원 이하, 다수 임차인 피해 등의 조건이 충족할 경우 주거 안정을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 다만 전세사기특별법은 오는 5월로 시효가 만료된다.

전세사기 풍선효과, 오피스텔 시장 월세 보증금 올라

특히 전세사기 사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립·다세대주택(빌라)의 경우, 시장의 신뢰가 크게 하락하며 '빌라포비아' 현상이 확산했다.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지역 빌라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평균 65.4%로 1년 새 3.1%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빌라 전세가율은 2022년 12월 78.6%까지 높아졌다가 2023년 12월 68.5%로 떨어졌다. 지난해 반등하며 5월에는 72%까지 올랐다가 6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오피스텔 시장은 전세사기 사태로 반사이익을 얻었다. 빌라의 전세 수요가 오피스텔로 이동하면서 서울 오피스텔 전세금과 월세 보증금이 크게 오른 것이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서울의 오피스텔 평균 전세보증금은 2억4,713만원으로 전년 대비 11.9% 상승했다. △2021년 2억1,602만원 △2022년 2억2,497만원 △2023년 2억286만원으로 최근 몇 년간 소폭 범위에서 오르내렸으나 지난해에는 2,027만원이나 오르며 가파르게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 오피스텔의 평균 월세 보증금은 전년 대비 42% 오른 5,751만원을 기록했다. 평균 월세 보증금은 △2021년 3,261만원 △2022년 3,614만원 △2023년 4,051만원으로 연간 오름폭이 350~430만원 수준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700만원이나 오르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런 흐름은 한국부동산원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월간 오피스텔 전세가격지수를 보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은 △5월 99.69 △6월 99.71 △7월 99.73 △8월 99.75 △9월 99.78 △10월 99.80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이에 대해 다방 측은 "전세사기가 피해가 집중된 빌라의 전세 수요가 급감했다"며 "상대적으로 안전해 보이는 오피스텔 전세나 반전세를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전세금과 보증금이 모두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통상 월세와 전세금은 비슷한 상승폭을 보이는데 지난해 오피스텔 시장은 월세보다 전세금 상승폭이 훨씬 가팔랐다"며 "빌라 전세를 찾거나 현재 빌라 전세로 있는 사람들이 아파트로 옮기자니 부담이 커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많이 선택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월세 수요 몰린 오피스텔 시장, 지난해 수익률 '껑충'

이 같은 흐름 속 업계에서는 올해 오피스텔 시장이 바닥을 다지고 회복세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작년 말부터 대출 규제 강화로 매매와 전세시장은 상승폭이 둔화한 반면, 오피스텔 월세는 고공 행진 중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1.69% 상승했다. 분기별로는 1분기 0.40%, 2분기 0.45%, 3분기 0.49%, 4분기 0.35%를 기록하며 1년 내내 오름세를 유지했다. 전국(0.4%)은 물론 수도권(0.51%)이나 서울(0.35%)의 월세와 비교해도 뚜렷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월세 상승 속에 거래량이 늘면서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오피스텔 월세 거래량은 1만3,672건으로 전월(1만2,386건) 대비 10.4% 상승했다. 서울은 같은 기간 4,584건에서 4,820건으로 5.1% 증가했다. 수익성 지표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KB부동산 자료를 보면 전국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올해 1월 5.13%로 2018년 3월(5.13%) 이후 6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임대수익률도 2021년 11월 이후 3년 2개월 동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세 수요 상승 속에 오피스텔 시장의 물량 감소도 이 같은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오피스텔 분양 물량은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1년(5만6,704실)의 29.1% 수준인 1만6,522실로 급감했다. 지난해 입주 물량도 2021년(7만7,018실)의 41.8% 수준인 3만2,214실(41.82%)에 그쳤다. 분양에서 입주까지 3년 정도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입주 예정 물량은 소폭 감소한 3만여 실에 그치고 2026년 이후에는 연간 1만 실 이내로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중국, 캐나다에 ‘최대 100% 추가 관세’ 경고 “미국 동조 우려 견제구”

중국, 캐나다에 ‘최대 100% 추가 관세’ 경고 “미국 동조 우려 견제구”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中, 캐나다가 부과한 관세 대응안 발표
캐나다 농식품에 추가 관세 부과
미국 관세 정책에 동조 말라는 경고

중국이 캐나다산 농산품과 식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캐나다가 지난해 10월 중국산 전기차에 100%포인트(P)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은 물론 같은 달 중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P 관세를 추가 부과한 것에 대한 대응이다. 이에 캐나다는 미국은 물론 중국과도 관세 전쟁을 벌이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중국, 캐나다 농수산물에 최대 100% 관세 부과

9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오는 20일부터 캐나다산 농·수산물 등에 최대 100%P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산 유채씨오일·오일케이크·완두콩(10억 달러 규모)에는100%P, 캐나다산 수산물과 돼지고기(16억 달러 규모)에는 25%P의 추가 관세가 부과된다. 중국 상부무는 “캐나다의 (대중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전형적인 보호무역주의 행위”라며 “중국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차별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선 중국이 지난해 10월 캐나다가 부과한 대중 관세에 대한 보복 관세 정책을 지금 내놓은 것이 관세 정책을 벌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의식한 조치라고 분석한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캐나다가 또 한 번 미국의 관세 정책에 동조하지 말라는 의미의 ‘경고 관세’를 부과했다는 것이다.

앞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지난해 8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세금을 부과하자, 이에 동조한 전략이었다. 이후 중국은 지난해 9월 캐나다산 카놀라유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다. 캐나다가 카놀라유의 절반 이상을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는 것을 감안한 조치였다.

캐나다 경제 성장 0%대로 떨어질 수도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 부과가 캐나다 경제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교역에서 대미·대중 무역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캐나다의 경제성장이 '제로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제임스 올랜도 TD 이코노믹스의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몇 가지 수치를 계산해 본 결과 캐나다에 25% 관세가 부과되고 보복하지 않는다면 인플레이션 상승과 함께 캐나다의 경제 성장은 사실상 제로에 가까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복 조치를 한다면 캐나다의 경제 성장은 마이너스로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며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TD 이코노믹스의 분석에 따르면 캐나다가 보복 조치에 나서 10% 관세를 부과할 경우 캐나다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망치 대비 2.4% 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와 관련해 올랜도는 캐나다 중앙은행이 관세가 부과될 경우 경제를 떠받치기 위해 현재 수준보다 더 금리를 낮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캐나다는 수출에 있어 미국과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커 수출업계가 받을 타격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캐나다는 지난 2018년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체결한 후 대미 수출이 더욱 늘어난 상황이다. 트레이딩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지난해 캐나다의 대미 수출액은 약 4,500억 캐나다 달러(약 453조원)로 이는 전체 수출액의 약 76%를 차지했다. 올랜도는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이 부문들(수출품)은 이전에도 관세에 취약했지만 지난 몇 년 동안 무역이 늘어나면서 더 취약해졌다"며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런 산업들은 더 큰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새 총리에 정통 경제학자 택한 캐나다

트뤼도 총리의 뒤를 이어 캐나다를 이끌 차기 총리 겸 자유당 대표에 정통 경제학자 출신 마크 카니 전 캐나다 중앙은행 및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 총재가 선출된 것도 이 같은 우려와 무관치 않다. 9일 집권당인 캐나다 자유당은 자유당 당원 15만 명 이상이 무기명 투표를 한 결과 카니가 85% 이상의 득표율로 당선됐다고 밝혔다.

카니 당선인은 글로벌 무대에서 경제학자로 잘 알려졌지만 중앙 정치 무대에는 몸담아 본 적이 없다. 로이터는 “정치적 배경이 없는 외부인이 캐나다 총리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불붙은 양국 간 관세 전쟁을 경험한 캐나다인들이 경제에 강한 카니를 택해 현재 불어닥친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를 원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카니 당선인의 앞에는 해결 과제가 산적해 있다. 당장 다음 달 2일로 연기된 미국 정부의 25% 관세와 야당의 정치적 공세를 감당해야 한다. 트럼프는 캐나다에 대한 관세 유예 방침을 밝힌 뒤에도 “캐나다가 목재와 유제품에 대한 관세를 없애지 않으면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는 등 긴장은 계속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카니 당선인은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면 그에 대응해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는 트뤼도 정부의 입장에 서 있다. 이 때문에 양국 간 관세 전쟁이 쉽게 끝나지는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는 지난달 CNN과 인터뷰에서 “자랑스러운 독립국인 캐나다가 미 행정부 고위 인사들로부터 여러 차례 모욕을 당했다”고 불쾌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경기침체돼도 '관세 강행' 트럼프의 마이웨이, 전문가 비관론 확산

경기침체돼도 '관세 강행' 트럼프의 마이웨이, 전문가 비관론 확산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트럼프 "관세는 미래 위한 기반 닦는 일"
단기적 경기침체 가능성 인정, ‘성장통’ 강조
전문가들 "무역흑자가 반드시 경제성장 이끌진 않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백악관 홈페이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경제를 뒤흔들고 있다. 이는 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행보로 볼 수 있지만 미국에 반드시 큰 이득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통해 의도했던 전리품을 얻기보다는 미국 경제에 심각한 내상을 입힐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경기침체 불사하고 관세 정책 밀어붙이겠다

9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 ‘선데이 모닝 퓨처스’ 인터뷰에서 ‘올해 경기침체(recession)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나는 그런 예측을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경제 정책을 실현하는 과정에 ‘성장통’이 있을 거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가 추진하는 변화는 매우 크다. 미국으로 부를 되돌려 오고 있다”며 “항상 그런 (힘든) 기간이 있다. 시간이 좀 걸린다. 하지만 우리에게 굉장히 좋은 일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결국에는 엄청나게 좋은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언급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경기침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평가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미국 경제 회복력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짚었다. 소비 지출이 둔화하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이 높아지면서 기업에 부담을 주고 경제에 부정적인 초기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트럼프 2기 행정부 초기, 긍정적이던 경제 전망은 최근 급격히 어두워지고 있다. 지난달 미국 실업률은 공공 부문 대규모 감원의 영향으로 4.1%로 상승했고, 소비자 신뢰 지수는 2021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나스닥 종합지수 모두 지난 7일 종가 기준으로 트럼프 대통령 취임 날보다 내려갔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미국 경제가 경제 전환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7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시장과 경제가 정부 지출에 중독된 상태”라며 “우리는 정부 지출에 의존하는 구조가 됐으며 이제 (이를 벗어나기 위한) 해독 기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상황이 좋지는 않지만 관세정책은 밀고 나간다는 방침이다. 러트닉 장관은 9일 NBC 인터뷰에서 오는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가 시행되는지 ‘예나 아니오’로 답해 달라는 질문에 “예”라고 말했다.

美 싱크탱크 “결국 소비자와 기업에 피해”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런 접근방식이 주요 교역국의 경기침체와 세계 경제 둔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인 기업연구소(AEI)는 최근 ‘트럼프의 무역적자 미신’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경제 성장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역적자 개선보다 내실 있는 경제정책 마련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AEI는 무역적자를 ‘해외 자본 유입과 미국 경제 성장의 결과물’로 봤다. 이 단체는 “외국인 투자 유입은 장기적으로 고용 창출, 기술혁신, 생산성 향상을 통해 미국 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킨다”며 “단기적 무역수지 개선이 아닌 장기 성장 전략과 미래 투자, 기술혁신 등을 통한 경제 성장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 역시 관세 정책이 장기적으로 기업 혁신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고 꼬집었다. PIIE는 “외부 경쟁 압력이 줄어들수록 기업의 기술 개발 및 생산성 향상 동기가 약화된다”며 “경제성장 둔화 및 노동시장 정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은 △임금 정체 및 소비자 선택권 제한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 상승 △가처분 소득 감소로 인한 소비 위축 등을 유발해 결국 가계 생활수준이 하락할 우려가 있다는 분석이다.

싱크탱크들뿐 아니라 미국 무역대표부(USTR) 출신 인사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제니퍼 힐만 전 USTR 법률 고문은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수치를 선별적으로 꼽아 무역 불균형을 과장한다”며 “보호무역주의를 정당화하려는 수단으로 활용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존 베로노 전 USTR 부대표도 “상호관세 부과가 실질적으로 교역대상국 무역장벽 제거가 아닌 미국 경제를 보호하려는 성격이 강하다”며 “현 정책은 미국의 요새화, 즉 고립주의 접근법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1기, 관세 부과에도 무역적자 확대

현재까지 각종 글로벌 매체와 기관들의 분석을 종합해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이 전반적으로 미국 경제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은 미국의 물가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신용 평가 회사 S&P 글로벌 레이팅스의 분석에 따르면 관세가 올해 유지될 경우 미국 소비자 물가가 일시적으로 50~70bp(1bp=0.0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올해 4분기까지 물가 상승률이 3%에 근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문디 리서치센터의 시뮬레이션에서도 관세로 인해 소비자 물가가 약 0.3%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관세 부과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S&P 글로벌 레이팅스는 향후 12개월 동안 미국의 실질 GDP가 현재 예측보다 0.6% 낮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아문디 리서치센터의 분석에서는 관세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0.2-0.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의 세금 정책 연구기관 세금 재단(Tax Foundation)의 추정에 따르면 20%의 보편적 관세와 60%의 중국 관세를 매긴다는 전제의 시나리오에서 장기적으로 미국의 GDP가 1.3%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이 미국의 제조업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일 것으로 관측된다. 단기적으로는 보호받는 미국의 일부 제조업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다른 분야에서 일자리 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자동차 산업의 경우 수입 차량에 대한 100% 관세는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해 전기차 보급을 늦추고 운송 부문의 배출량 감소 노력을 저해할 수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시에도 관세를 무기로 MAGA 재건에 나섰지만, 전반적 평가는 부정적이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중국과의 무역적자를 일부 줄이는 데는 성공했지만, 미국 제조업 부흥이라는 목표 달성에는 실패했다는 평이 많다. 실제 당시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적자가 증가하면서 전체 무역적자는 더욱 커졌다. 2017년과 비교해 2024년 미국의 대중국 무역적자는 약 20% 줄어든 2,954억 달러(약 433조원)를 기록했으나 중국을 제외한 다른 주요 교역국들과의 무역적자가 급증했다. 유럽연합(EU)과의 무역적자는 50%, 한국, 베트남, 대만과의 무역적자는 각각 3배가량 증가했다.

또한 트럼프의 관세 부과 정책으로 관세 수입은 늘었지만 무역 불균형은 해소되지 못했다. 2024년 미국 정부의 관세 수입은 2017년 대비 2.2배 증가한 829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미국의 무역적자는 2016년 7,350억 달러에서 2020년 9,000억 달러로 23% 증가했다. 특히 중국과의 1단계 무역 협정은 양국 간 구조적 불균형을 해결하지 못했고, 미국의 중국 상품 수입을 제3국 중개자들에 전환하는 결과를 낳았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미국 지원 끊긴 우크라 맹폭하는 러시아, 우크라 점령 영토 3분의 2 되찾아

미국 지원 끊긴 우크라 맹폭하는 러시아, 우크라 점령 영토 3분의 2 되찾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쿠르스크 일대, 러·北 맹공에 속수무책 잃어
美, 무기·정보 지원 중단 및 위성사진 접근권 제한
"유럽 제때 지원 안 하면 우크라군 괴멸할 수도"

전쟁 격전지인 러시아 북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군 공세가 강화되고 있다. 북한군과의 합동 작전으로 우크라이나가 차지했던 쿠르스크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는 데 성공한 것이다. 미국의 군사·정보 지원이 끊겨 우크라이나군이 전황 파악에 어려움을 겪자 그 틈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러, 빼앗긴 영토 일부 탈환

9일(이하 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도네츠크 시에서 서쪽으로 약 50㎞ 떨어진 코스티안티노필 마을을 점령했으며 중부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방향으로 진군 중이라고 밝혔다.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주는 우크라이나 내륙과 남부 항구 도시(오데사, 미콜라이우)로 연결되는 주요 도로망이 연결된 전략적 요충지로, 우크라이나군의 중요한 군사적 거점이자 방어선이라고 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한국·서방 정보당국에 의하면 러시아군은 북한군의 합동 작전으로 우크라이나군에 빼앗겼던 쿠르스크 영토의 3분의 2를 수복했다. 지난 7일에는 자국 쿠르스크주의 수드자에서 국경을 넘어 우크라이나 영토인 수미주 북쪽으로 진군하는 데도 성공했다. 러시아군이 수미주 북부에 진출한 건 전쟁이 시작된 원년인 2022년 이후 처음이다.

현재 북한 보병들은 자국 포병대와 러시아의 엘리트 드론 부대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의 최전선에서 작전을 펼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복수의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인용해 “북한군은 드론이 활약하는 전장에 더 잘 적응하고 있다”며 “북한 포병대와 러시아 드론 부대의 지원 아래 전술 적용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쿠르스크에서 완전히 철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을 고립시키기 위해 쿠르스크와 인접한 우크라이나 영토인 수미주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드론과 북한군을 투입해 보급로를 차단하고 쿠르스크에 있는 우크라이나군을 포위하는 작전이다. 우크라이나 군사 블로그 딥스테이트의 분석에 따르면 쿠르스크에 남은 우크라이나군의 75%는 이미 포위됐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8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회담하고 있다/사진=백악관 유튜브

우크라이나군 손발 묶은 美

러시아군의 공세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정보 지원을 잇따라 중단하면서 더욱 가열되는 양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군사 지원 중단을 시작으로 정보 공유와 위성 영상 제공도 끊기로 했다. 우크라이나가 적극적으로 종전 협상에 나서도록 하는 한편 그동안의 지원을 대가로 희토류 등 광물자원에 대한 이권을 보장하라는 압박성 움직임이다.

우크라이나로서는 수세로 몰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가 지난주 동안 우크라이나에 2,100건 이상의 공습을 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소셜미디어(SNS)에 글을 올려 러시아군이 유도 공중 폭탄 1,200개, 공격용 드론 870여 대, 다양한 유형의 미사일 80여 개를 배치했다고 전하며 동맹국들에게 러시아 제재 조치를 강화해 줄 것을 호소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에 따르면 미사일 공격 건수는 지난주보다 4배 증가했다.

이런 상황 속 우크라이나군이 자국이 확보한 쿠르스크 영토에서 철수하면 향후 평화 협상 국면에서 러시아에 대항할 강력한 카드가 사라지게 된다. 또 미국의 무기 지원이 중단되고 전장 정보까지 받아볼 수 없는 상황이 길어지면 재반격은커녕 현재 전황을 유지하는 것도 힘들어진다. 전방뿐 아니라 후방에서도 불리하다. 우크라이나 영공 방어에 활용되고 있는 패트리어트 방공미사일 포대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데다 정보 부족으로 방공망을 제대로 가능하는 것도 어려워질 수 있다.

러 "유럽의 우크라 지원, 전쟁 장기화하는 것"

이에 외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유럽이 제때 우크라이나를 지원하지 않으면 우크라이나 군대가 사실상 괴멸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현재 영국은 우크라이나 평화 유지를 보장하거나 보장할 의향이 있는 국가들을 느슨하게 묶는, 이른바 '의지의 연합'을 구성 중인데 지금까지 약 20개 국가가 관심을 표명한 상태다. 프랑스는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을 할 준비가 된 유럽연합(EU) 국가의 군 참모총장들을 불러모아 11일 회의를 열 계획이며, 미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프랑스 보유 핵무기로 유럽을 보호하는 '핵우산' 카드도 꺼내 들었다.

EU도 우크라이나의 후원군으로 나섰다. 6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특별정상회의에서 친(親)트럼프·친러시아 성향 헝가리를 제외한 26개 회원국은 "유사 입장국 및 동맹들과 협력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치·금융·경제·인도·군사·외교적 지원을 강화하고 방공체계, 탄약, 미사일 등 우크라이나의 시급한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결의했다. EU 행정부인 집행위원회가 추진하는 '최고 8,000억 유로(약 1,250조원) 규모 방위비 확대 방안'에 대해서도 잠정 합의가 이뤄졌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EU 방위비 일부를 우크라이나 방위 산업에 써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러시아는 즉각 비난에 나섰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유럽 국가들의 회의는 적대 행위를 지속하도록 하는 일”이라며 “젤렌스키는 평화를 원하지 않는다. 누군가 그가 평화를 원하도록 만들어야 하며, 유럽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칭찬받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회의 후 영국 수출금융 16억 파운드(약 2조9,000억원)를 활용해 우크라이나에 방공 미사일 5,000기를 공급하겠다고 밝힌 점을 언급하며 “그렇게 하면 전쟁을 장기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MSc Research topic 2025-2026] Shapley value with graph models for HR

[MSc Research topic 2025-2026] Shapley value with graph models for HR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

Modified

GIAI's primary research objective with the coming cycle's of MSc AI/Data Science is to build a graph-based Shapley Value for HR contribution analysis. In case you are not familiar with Shapley Value, it is a game-theory concept for properly allocating group project's gains/costs,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1951 and awarded Nobel Prize in 2012.

The idea for this model originally came from one of the business case study classes(BUS501) in the MBA AI/Big Data program. In the class, students were given the task of testing a model to measure each student's contribution to group projects. Some students wanted to extend the model by incorporating participation in forum discussions as an additional metric.

This idea gained traction and has since been integrated into all course evaluations at the Swiss Institu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I). Now, we aim to take this model beyond the classroom and make it more general and business-friendly. The goal is to refine it into a structured, scalable framework that can address a key challenge in corporate HR analytics: how to accurately measure multi-stage and indirect contributions in large organizations.

Understanding Team Contribution in Multi-Staged Work Environments

Traditional regression-based mode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ssign proportional credit based on direct contributions. While useful, they assume that all contributions are immediate and directly observable within a single stage of work. However, in real-world workplaces:

  • Projects are multi-staged and often take months or years to complete.
  • Some contributions emerge over time, rather than being immediately visible.
  • Key individuals may act as connectors or enablers, rather than direct output producer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I am developing a new model that leverages graph-based Shapley value calculations. Unlike conventional models, this approach:

  • Captures contributions that unfold over multiple project cycles.
  • Identifies knowledge-sharing roles that support long-term success.
  • Quantifies the impact of ‘helpers’ who enable others to succeed without always producing measurable outputs themselves.

Leveraging Communication Data to Measure Contribution

To make this model applicable in business settings, I plan to incorporate email and chat data as key sources of information. Thes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s serve as vital indicators of:

  • How knowledge flows within an organization.
  • Who provides critical insights, guidance, and solutions.
  • Which employees are silent contributors who strengthen a team’s efficiency over time.

This naturally raises concerns about privacy, and I want to emphasize that ethical implementation is a key priority. While companies may find it reasonable to analyze work-related communication, employees must also have the right to:

  • Opt out if they do not wish to be evaluated using this model.
  • Maintain separate communication channels—one strictly for business, another for personal interactions.

Building on Traditional Contribution Models

This model does not aim to replace existing HR analytics but rather to complement them.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s already track:

Task completion and project logs (Jira, Trello, Asana) ✅ Document collaboration (Google Docs, Notion, Confluence) ✅ Meeting participation and scheduling (Google Calendar, Outlook) ✅ Code commits and technical contributions (GitHub, GitLab)

However, these approaches primarily measure direct, immediate contributions. By integrating a graph-based structure, this model adds an extra rung on the ladder, allowing us to:

  • Identify individuals whose contributions emerge across multiple projects.
  • Detect key connectors and enablers within an organization.
  • Assign Shapley value-based credit to those who facilitate success beyond direct outputs.

Why Does This Matter? The Role of 'Helpers' in Teams

Many workplaces unintentionally overlook contributors who are not direct project leaders. These individuals—whom I call 'helpers'—are vital in ensuring long-term efficiency, knowledge-sharing, and problem-solving.

  • Traditional performance metrics reward project leaders, often missing those who facilitate success behind the scenes.
  • A graph-based evaluation helps reveal these hidden contributors, ensuring fair recognition.
  • Large-scale organizations rely on cross-team knowledge flow, which is difficult to quantify with traditional models.

By refining this methodology, we aim to provide a more balanced and fair assessment of who truly drives organizational success.

A Practical Application: Fairer Bonus Allocation

A major ap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in corporate HR, where annual bonus allocation is often based on direct deliverables. However:

❌ Employees who create long-term strategic advantages often go unnoticed. ❌ Those who enable cross-team collaboration are rarely rewarded. ❌ Many companies struggle to identify silent contributors who significantly impact multiple projects.

Our model seeks to address this by providing data-driven, fairer evaluations that recognize both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s. This could help businesses:

  • Improve bonus distribution fairness.
  • Identify emerging leaders within the company.
  • Strengthen team efficiency and collaboration.

Next steps after computational multi-stage cooperative game ― Auto driving and squadron drones

Game theory models are often hard to solve, but it is much harder to design a set-up for closed form solutions as well as desired equilibrium paths. After all, this is why not 'mathematical' but 'computational' approach is expected to be much more industry-friendly and we also expect to solve it within a reasonable amount of time and effort, if we can be free from theoretically robust mathematical model.

One other reason SIAI is focused on this topic is to extend the model for coordinated group behaviors in response to counterparties. Current self-driving mechanism only passively updates information from surrounding cars on the road, to the best of my knowledge. But when other cars move around with erratic behavior, for example if the driver is drunk, then evasive driving will perform far better off if the algorithm can confirm that the erratic driving is not a mistake by a sober driver but a failure of correction by a drunk driver. The same intuition becomes more pronounced if it is a drone war, especially when not a single but more than dozens of drones move together.

For one side, the algorithm has to solve a cooperative game for two drones and a coordination game for a group of drones on my side. On top of that, in the presence of enemies, now the algorithm has to take into account enemy drones strategies. So, it becomes a double-sided coordination problem. And lastly, the game does not end in a single stage, if evasive movement works.

Exactly the same logic can be applied to AI units in video games like Football. With current AI, unless the algorithm has a pre-mapped options like Alpha-Go, it cannot dynamically update the optimal responses. The game theory augmented by computational science, therefore, is another challenge that will make current AI more close to real AI.

Join the Research: MSc AI/Data Science at SIAI

This project is one of the key research opportunities in the MSc AI/Data Science program for the 2025-2026 cycle. This project demands more than just enthusiasm for AI—it requires the ability to navigate complex, multi-layered problems where business reality meets mathematical precision.

If you are passionate about:

🔹 Applying cutting-edg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real-world business challenges. 🔹 Exploring AI-driven approaches to performance evaluation. 🔹 Using graph theory, game theory (Shapley value), and NLP for corporate applications.

Then this could be the perfect research opportunity for you.

💡 Exceptional students who demonstrate strong analytical skills and a commitment to AI-driven research may be considered for scholarships and funding opportunities.

However, I want to be clear—this is not a program for those seeking an easy credential. The MSc AI/Data Science at SIAI is for students who:

✔️ Want to work on serious, high-impact AI research. ✔️ Are ready to challenge traditional methods with new AI-driven approaches. ✔️ Aspire to develop solutions that companies can implement in real-world settings.

I welcome smart, ambitious, and research-driven students to join me in pushing the boundaries of AI for business.

Not sure if a year work will be enough to build a fully robust, easily modifiable, and conceptually intuitive model, but application of the work-in-progress model will be periodically shared as a form of case studies.

Necessary knowledge

  • Game Theory
  • Network Theory
  • Machine Learning
  • Large Language Model
  • (Some level of) Panel data

Key concepts are discussed in PreMSc (or MBA AI), and deeper ones to come in MSc AI/Data Science.

Most AI-driven HR analytics focus on traditional models. We are developing an advanced, multi-stage contribution evaluation framework—something that could redefine how businesses measure and reward employees' true impact. This is not about minor improvements; this is about setting a new industry standard. Likely mind-set is also strongly emphasized.

If interested, feel free to ask questions in comments through GIAI Square.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Keith Lee
Bio
Head of GIAI Korea
Professor of AI/Data Science @ SI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