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공지] 2025년 3월 The Economy Korea 지원자 과제

[공지] 2025년 3월 The Economy Korea 지원자 과제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GIAI Admin

아래는 지원자들에게 보내는 이메일입니다. 2023년 11월 지원부터 직접 이메일을 보내는 대신 일반에 과제를 공개하고 답안만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The Economy Korea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의 간단 과제를 [email protected] 로 보내주시면 내부 논의 후 다시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제 소개

간단 과제: 아래 보도자료로 뿌려진 기사를 바탕으로 요청 사항에 맞춰 재작성

*주의: 기사, 그것도 고급 기사를 작성해야 합니다. 기사 아닌 다른 보고서 형태의 글, 혹은 기사이지만 분석력이 없는 수준 낮은 글을 찾지 않습니다.

배경 지식 – 저희 내부 기사 예시

단순 정보 전달만 하는 보도자료에서 누락될만한 분석적인 부분을 추가한 기사들

과제 작업 중에는 보도자료 -> 자체제작기사처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팔로업 기사까지 추가해드립니다. 내부적으로는 소제목으로 추가되는 꼭지를 2-3개 뽑아드리는 총괄 관리, 편집인 및 인포그래픽 디자인 담당이 있습니다. 본 과제는 꼭지에 맞춘 논지를 끌어나갈 힘이 있는 분인지 판단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기사 작성 가이드

보도자료 요약

ㄴ보도자료 링크:  현실된 중국 D의 공포…내수진작에도 CPI 13개월 만에 마이너스 | 한국경제
ㄴLead-in: 이제 중국이 본격적으로 디플레이션에 들어갑니다. 일본이 1990년대부터 잃어버린 30년을 겪고 이제 겨우 물가 상승세로 돌아갔는데, 중국도 부동산 가격 폭락이 몇 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디플레이션이 쉽게 해결되진 않을 거에요.

디플레가 왜 문제가 되냐? 사람들이 내일되면 더 쌀 것 같으니까 소비를 미룹니다. 계속 미루면? 경제 시스템이 안 돌아갑니다. 다들 사업을 접어요. 더 저렴해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경제 규모가 쪼그라들고, 못 사는 나라로 전락하게 됩니다.

일본이 그렇게 30년 동안 정지 상태(?) 였습니다. 한국이 따라잡은거죠. 이제 중국이 딱 그런 상황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위의 Lead-in 부분을 바탕으로 짧게 2개 정도의 작은 문단으로 기사 전체를 요약한 기사 도입부를 작성하기 바랍니다. 아래에 뉴스와이어의 도입부 작성법을 참고하시고, 관련 기사들을 훑어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보도자료 작성법 - 뉴스와이어 (newswire.co.kr) – 6.도입부 해당 설명 참조

*Talking Point*

1.보도자료 요약
中 물가 1년여만 다시 마이너스, 특별 소비계획 언제쯤
중국 2월 소비자물가 0.7%하락…계속되는 디플레 우려 - 경향신문

2.일본보다 더 끔찍할거라는 이야기도 많고, 중국 정부가 엄청난 규모의 정부 지출을 해서 디플레이션을 제거해야된다는 이야기도 꾸준히 나옵니다
중국 ‘디플레 공포’…일본의 ‘잃어버린 30년’보다 끔찍하다?
모건스탠리 "중국, 디플레이션 방지 위해 2년 내 10조 위안 규모 개혁 필요" - 글로벌이코노믹

3.또 하나의 문제는 중국 애들이 가격이 자꾸 떨어지고 재고가 생기니까, 저렴한 가격에 글로벌 시장에 수출해버린단 말이죠? 그래서 중국이 디플레를 전세계에 수출한다는 표현도 나옵니다. 다들 물가 상승률이 떨어지니까 좋긴 한데, 그럼 중국의 저가 상품에 시장 뺏기는 나라들은 어떻게 되죠? 그 나라도 직장이 사라지고, 기업들이 망하겠죠?
중국의 구조적 디플레이션, 글로벌 경제 새로운 '불확실성' - 글로벌이코노믹
‘디플레이션’ 수출하는 중국... 내수 침체되자 헐값 공세

중국이 쬐끄만한 나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나라가 너무 커요. 이게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중국 디플레는 전세계 경제를 마비시킬 수도 있습니다

가이드 관련 설명

자체 Talking point들을 소제목 1개씩으로 뽑아서 원래의 보도자료를 Lead-in과 3-4개의 소제목이 추가된 기사로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각 소제목 별로 대략 3문단 정도의 논지 전개를 통해 기존 보도자료의 부족한 점을 메워넣으시면 됩니다. 위의 방식이 실제로 일하는 방식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일반 기사들이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되고 있기 때문에, 당사 다른 기사들을 참고하시면 결과물에 대한 저희의 기대치를 가늠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던져드리는 포인트들을 빠르게 읽고 소화해서 보도자료에 추가 정보를 붙인 고급 기사로 변형시키는 업무를 거의 대부분 못하시는데, 이유가

  • 1.내용을 이해 못하는 경우와
  • 2.기사 형태의 글로 작성하지 못하는 경우

로 구분됩니다. 대부분은 내용을 이해 못해서 기사 자체를 쓰지도 못하고, 시간을 들여 노력해도 이해를 못해서,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점검하기 위해 이런 테스트를 만들었습니다.

더불어 블로그가 아니라 언론사인만큼, 기사형 문체를 쓸 수 있는지도 확인 대상입니다.

거의 대부분은 1번에서 문제가 있어서 읽는 사람을 당황스럽게 만드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2번에 문제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원하는 사례들도 부쩍 늘었습니다. 저희 언론사들의 여러 기사를 꼼꼼히 읽어보고 2번에 좀 더 신경써서 작업 부탁드립니다.

과거 공지들을 참고하시면 위의 심사 절차를 마련하게 된 이유, 저희의 채용 기준, 불합격 메일 등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생해서 작성하신 과제는 MS Word나 아래아한글 파일로 보내주시면([email protected]) 확인 후 답변 드리겠습니다.

건투를 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e Economy Korea

기사 작업 게시판 (2024년 12월 9일 오전)

과거 과제들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GIAI Admin

Beyond Bootcamps – A Rigorous AI Education Rooted in Science and Business

Beyond Bootcamps – A Rigorous AI Education Rooted in Science and Business
Picture

Member for

5 months
Real name
Catherine Maguire
Bio
Founding member of GIAI
Professor of Data Science @ SIAI

Modified

Unlike typical AI bootcamps, SIAI offers in-depth AI education with a strong foundation in mathematics, statistics, and real-world business applications.
The MSc AI/Data Science program at SIAI emphasizes rigorous scientific studies, ensuring students mast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AI.
SIAI’s MBA AI programs incorporate extensive business case studies, with a new MBA AI/Finance track focusing on corporate finance and financial investments.

Beyond AI Bootcamp

AI bootcamps have become a popular way to enter the field, promising job-ready skills in a matter of months. However, these programs often emphasize coding without the necessary depth in mathematical reasoning, algorithmic theory, or real-world application complexities. While they may provide an entry point, they fall short in developing expertise necessary for advanced AI research, business strategy, and financial decision-making.

At the Swiss Institu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I), we go beyond the standard bootcamp approach. Our programs are built on a foundation of rigorous academic principles, blending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rigor with AI-driven business applications. We train professionals to understand AI at its core, rather than just using pre-built libraries and models.

Recognizing the need for structured AI education, SIAI’s mother institution, the Global Institu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GIAI), offers a 'free' AI bootcamp course on GIAI LMS(https://lms.giai.org). This courseware serves as an introductory learning platform, providing accessible AI and data science fundamentals for beginners.

While the free bootcamp offers valuable foundational training, it is designed only as a stepping stone to more advanced studies. For those seeking deeper expertise, SIAI’s MSc and MBA AI programs provide the next level of education.

MSc AI/Data Science: The Scientific Approach

SIAI’s MSc AI/Data Science program is built on the pillars of mathematics, statistics, and scientific computing. Unlike bootcamps that focus mainly on coding skills, our MSc program ensures students develop a strong understanding of:

  • Advanced mathematical modeling for AI
  • Statistical inference and probability theory
  • Computational optimization and algorithmic design
  • Theoretical and applied machine learning
  • AI research methodologies and scientific experimentation

Graduates of this program are equipped not only to implement AI models but to develop new AI techniques and contribute to scientific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science.

MBA AI/Big Data: Business-Driven AI Case Studies

While the MSc program takes a research-oriented approach, SIAI’s MBA AI/Big Data program focuses on real-world business applications. This program is structured around in-depth AI and data science case studies, helping executives and business professionals understand:

  • How AI is applied in marketing, operations, and strategy
  • The role of data-driven decision-making in business transformation
  • Ethical and regulatory challenges of AI deployment in enterprises
  • Case studies of AI implementation across diverse industries

Unlike AI bootcamps that offer surface-level exposure to business analytics, SIAI’s MBA AI/Big Data program ensures professionals gain practical insights into AI’s role in corporate decision-making.

Introducing MBA AI/Finance: AI in Corporate Finance and Investment

Building upon the success of MBA AI/Big Data, SIAI is launching MBA AI/Finance, a specialized track integrating AI with corporate finance and financial investment strategies. This program provides:

  • AI-driven corporate financial analysis: Understanding how AI can optimize budgeting, forecasting, and risk management in enterprises.
  • AI applications in investment strategies: Learning how hedge funds, asset managers, and financial institutions leverage AI to enhance portfolio management, algorithmic trading, and risk assessment.
  • Case studies on AI in financial decision-making: Reviewing how major firms have successfully integrated AI into financial operations and strategic investments.

This program is designed for finance professionals, investment analysts, and corporate executives looking to harness AI in financial decision-making. Unlike bootcamp courses that barely scratch the surface, MBA AI/Finance provides deep, case-based learning tailored for real-world applications.

Why SIAI? A Path Beyond the Bootcamp Mentality

SIAI stands apart from standard AI bootcamps by emphasizing:

  • Scientific Depth: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foundations critical for true AI expertise.
  • Real-World Case Studies: Business-oriented applications that translate AI into tangible business results.
  • Specialized Tracks: Focused programs in AI/Data Science, AI/Big Data, and AI/Finance to meet diverse career needs.

For those looking to develop a genuine AI expertise beyond a crash course, SIAI offers a structured, rigorous, and research-driven educational experience. Whether through the MSc AI/Data Science track for scientific mastery or the MBA AI programs for business and finance applications, SIAI ensures that students receive an education that truly sets them apart in the AI industry.

Picture

Member for

5 months
Real name
Catherine Maguire
Bio
Founding member of GIAI
Professor of Data Science @ SIAI

지역 농·축협 부동산 PF 건전성 ‘비상’, 연체율 급증에 해결 방도 ‘막막’

지역 농·축협 부동산 PF 건전성 ‘비상’, 연체율 급증에 해결 방도 ‘막막’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공동대출 연체금액 3조원 상회
대구 연체율 24%로 가장 높아
부실 사업장 경·공매도 난항

전국 지역단위 농·축협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동대출 연체금이 불과 1년 사이 1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연체율 역시 13.62%에 달해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는 게 금융권의 진단이다. 이와 함께 부실 사업장 경·공매도 난항에 빠졌다. 매각 매물 가운데 절반 가까운 사업장이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단위 농·축협 공동대출 연체율 13.62% ‘경고등’

10일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농업협동조합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전국 지역단위 농·축협의 공동대출 연체 금액은 3조1,646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1월 말(2조1,328억원)과 비교하면 1조318억원 증가한 수치다. 연체율은 지난해 1월 말 9.38%에서 12월 말 13.62%로 4.24%포인트 뛰었다. 통상 상호금융권 연체율이 10%를 넘어설 경우, 부실 위험이 큰 금융기관으로 분류한다.

지역별로는 대구 지역 농·축협 연체율이 24.09%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경북이 18.52%로 뒤를 이었다. 두 지역 모두 지난해 아파트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면서 심각한 부동산 침체를 겪고 있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중론이다. 이어 △충북 17.24% △제주 15.56% △경기 15.11% △충남 14.62% △대전 14.60% △광주 14.32% 등 순을 보였다. 연체금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로 7,516억원이 연체됐다.

공동대출은 여러 지역 농·축협이 모여 공동으로 부동산 PF 브릿지론(토지매입 단계 PF)을 취급하는 방식이다. 이들 농·축협의 경우 자산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단독으로 수백억원대 대출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주를 이룬다. 이 때문에 농·축협들은 공동으로 브릿지론을 취급하는 우회로를 택하곤 하는데, 부동산 경기 악화로 대규모 부실이 발생한 것이다.

장기화한 경기 침체에 PF 사업장 매각도 애를 먹고 있다. 9일 기준 부동산 PF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369개 사업장 중 42%에 해당하는 155개 사업장이 입찰 개시조차 하지 못했다. 특히 경기 용인 한 다세대주택의 경우 최근까지 총 13회의 경·공매가 진행됐다. 해당 주택의 최초 감정평가액은 35억1,400만원이었지만, 마지막 최저입찰가는 16억원으로 45.5%나 깎였다.

이 같은 부실 PF 사업장 매각 지연은 금융권 전반의 재무부담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임미애 의원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개발이 어려워지자 본PF 단계에 들어가지 못한 사업들의 부실이 발생해 브릿지론 대출 역시 부실 단계로 접어드는 양상”이라고 짚으며 “지역 조합 부실 문제가 자칫 조합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농협의 깊어지는 내우외환

특히 농협의 경우 지난해부터 금융사고와 부실 여신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탓에 관계자들의 우려가 더 큰 실정이다. 농협은 지난 2020년 6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약 4년 동안 한 영업점에서만 117억원에 달하는 횡령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해 3월에는 한 지점 직원의 부동산 담보 대출 관련 배임 혐의가 적발되기도 했다. 이후 내부 감사에서는 비슷한 금융사고 두 건이 추가로 드러났다.

농협은 이 같은 이유로 1,700억원가량의 PF 대출 부실이 발생했다고 판단, 자체 감사에 착수했다. 여신 사후관리 차원의 해당 감사를 통해 대출 심사 과정에서 관련자들의 고의나 잘못이 있었는지를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에 나서겠다는 취지다. 농협 내부에서도 부실 여신 취급 과정에서 추가 금융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평이 우세하다. 한 농협 관계자는 “내부에서는 배임이나 유용 같은 금융사고가 발생했다는 의혹이 심심찮게 들리고 있다”고 전했다.

농협캐피탈 PF 자산 확대에 업계 예의주시

자회사인 농협캐피탈의 PF 자산 확대 또한 의혹에 힘을 싣는 요소다. 그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기업금융 자산을 축소했었던 농협캐피탈의 PF 자산 확대가 농협의 부실 위험을 나눠 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는 게 업계 일각의 해석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농협캐피탈의 부동산금융 잔액은 6,255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447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부동산 관련 대출이 전체 영업자산(7조5,508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7%에서 8.3%로 상승했다. 부동산금융에 대한 양적 부담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금융권에서는 부동산 금융 증가로 농협캐피탈의 기업금융 자산이 다시 증가세에 접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농협캐피탈의 기업금융 규모는 앞서 2021년 1조9,584억원에서 2022년 2조5,594억원으로 빠르게 성장했지만 2023년에는 2조3,104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3분기도 2조3,427억원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와 관련해 농협캐피탈 관계자는 “기업금융의 영업자산 확대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량차주 중심의 선별적 취급으로 리스크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동산 PF의 경우 사업성과 담보 가치, 시공사 리스크 등 전반적으로 보수적 심사 기조를 적용 중”이라면서 “사전에 설정한 PF 한도를 기준으로 운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호주 ACCC, 구글 픽셀4a 긴급 리콜 명령 "배터리 발열 위험"

호주 ACCC, 구글 픽셀4a 긴급 리콜 명령 "배터리 발열 위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배터리 과열로 화재·화상 위험 경고
안드로이드 13 업데이트 필수 안내
"미조치 시, 과열 위험 여전"
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으로 호주에서 긴급 리콜된 구글 픽셀4a/사진=호주 경쟁 및 소비자 위원회

호주에서 판매된 구글 픽셀4a 스마트폰이 배터리 과열 문제로 긴급 리콜된다. 배터리 발화나 화재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 조치다. 픽셀 디바이스에서는 이 같은 소프트웨어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전에 출시된 픽셀2 XL에서는 화면의 굽기 문제가 발생했고, 픽셀3에서는 마이크와 통화 성능 문제, 픽셀4 XL에서는 전원 문제가 발생한 바 있다.

호주 소비자위원회, 픽셀4a 모델 리콜 결정

9일(현지시각) 호주 경쟁 및 소비자 위원회(ACCC)는 성명을 통해 픽셀4a 모델에 대한 리콜을 발표하고, 사용자들에게 안드로이드 13 운영체제(OS) 업데이트를 긴급히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ACCC 측은 "문제의 픽셀4a 배터리가 과열될 경우 화재나 화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ACCC에 따르면 구글은 이미 지난 1월 8일 호주 내 픽셀4a 기기에 새로운 배터리 관리 기능이 담긴 안드로이드 13 자동 펌웨어 업데이트를 배포했다. 이 업데이트는 배터리 과열 위험을 낮추는 데 주안점을 뒀다. ACCC는 "기기 사용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완료했는지 자가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리콜은 모든 픽셀4a 기종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리콜 대상 기기는 구글 오스트레일리아, 텔스트라, JB 하이파이, 하비 노먼, 오피스웍스, 옵투스, TPG 텔레콤, 라이크와이즈 등 주요 판매 채널에서 판매된 것으로 전해진다. 모델 번호는 G025N이며, 판매 기간은 2020년 8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다. ACCC는 "만약 사용 중인 기기에 특이 사항이 없다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배터리 관리에 추가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으며 종전과 동일하게 작동한다"고 밝혔다.

"따뜻하다 못해 뜨겁다"

픽셀 폰의 과도한 배터리 소모와 과열 문제가 수면 위로 처음 오른 것은 2023년이다. 당시 한 유저는 사용하고 있던 픽셀6 프로가 과열되고 배터리를 지나치게 소모하는 문제를 겪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한 사용자만 겪은 문제가 아니었다. 미국 커뮤니티 사이트인 레딧, 트위터, 구글 포럼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일한 문제가 보고됐다.

처음 문제를 제기한 사용자가 지목한 원인은 구글 앱이었다. 그는 2023년 5월 구글 앱의 안드로이드 13 보안 패치 업데이트 후부터 기기가 뜨거워지고 배터리가 과도하게 소모됐다고 했다. 당시 그는 지난 1시간 동안 무선충전기에 둔 후 스마트폰을 만진 적이 없다고 설명하며, 기기가 지속적으로 발열되고 있어 구글 앱 업데이트를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지 않으면 배터리 문제가 지속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다른 사용자도 “나와 내 아내의 픽셀 폰이 과열된 상태로 많은 배터리를 소모하고 있다”면서 “따뜻한 정도가 아니라 뜨거울 정도며 사용하지 않아도 1시간 이내에 20% 배터리가 소모된다”고 지적했다. 배터리 발열과 관련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자 구글 측은 구글 앱에 대한 백엔드 변경으로 인해 일부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배터리 소모가 빨라지는 의도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했다고 공지했다.

구글 픽셀8/사진=구글

구글, 과열 방지 기능 개발

이후 구글은 픽셀 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 개발에 착수했다. 모바일 매체 폰아레나에 따르면 픽셀 폰에는 기기가 과열되면 자동으로 특정 기능을 제한하는 기능이 있다. 제한되는 기능에는 충전 속도, 카메라 플래시, 인터넷 연결 등이 있는데, 최근 픽셀의 기기 상태 서비스 앱(버전 1.27)에 대한 업데이트를 보면 과열 방지를 위한 기능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적응형 열 감지'(Adaptive Thermal) 기능으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온도를 모니터링해 과열이 일어날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기기 온도가 48도 정도에 도달하면 스마트폰을 식혀야 한다는 알림을 받게 된다. 또한 '관리 단계 보기' 버튼이 표시되는데, 해당 버튼을 누르면 직사광선을 피하거나 배터리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앱을 종료하는 등의 제안을 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을 식히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나아가 적응형 열 감지 기능이 5분마다 배터리 온도를 계속 확인해 기기가 위험할 정도로 높은 온도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면 곧 전원이 꺼질 것임을 경고한다. 다만 이 기능은 모든 기종에 적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국방비 증액에 유럽군 창설 논의까지, '안보 자강' 시동 거는 EU

국방비 증액에 유럽군 창설 논의까지, '안보 자강' 시동 거는 EU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트럼프 폭주에 대서양 동맹 균열
EU 1259조원 '재무장 계획' 합의
"방위비 막대하게 증액" 성명 채택

유럽연합(EU)이 자체 국방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재정 투입에 나서고 있다. 유럽의 이 같은 행보는 사실상 독자 노선 채비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러시아와 밀착 행보를 보이며 군사적 지원 없는 종전을 추진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탈퇴 가능성까지 시사하자 자강론이 힘을 얻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힘의 외교'가 우크라이나를 압박하는 가운데, 유럽도 미국 없이 독립적인 안보 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시험대에 올라 있다.

EU 국방비 지출 'GDP 0.5%' 수준 확대 전망

9일(이하 현지시각)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EU 회원국들은 2027년까지 연간 국방비 지출을 800억 유로(약 126조원)씩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 이는 EU GDP(국내총생산)의 약 0.5%에 해당하는 규모다. 국방에 100유로를 지출할 때마다 GDP가 약 50유로 증가한다는 의미다. 유로 지역의 국방비는 2024년 GDP의 1.8%를 차지했는데, 골드만삭스는 2027년까지 이 비율이 2.4%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했다.

앞서 EU 27개국 정상들은 지난 6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특별정상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유럽 안보와 방위에 대한 지출을 계속해서 막대하게 증가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정상들은 성명에서 “전략적 의존성을 줄이며 (회원국 간) 중요한 역량 격차를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략적 의존성을 줄이겠다는 건 현재 유럽 안보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에 기대는 걸 줄이자는 말이다. 트럼프 행정부 등장 후 미국이 유럽 안보에서 발을 뺄 가능성을 염두에 두자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위해 정상들은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에 모든 회원국 차원에서 국방비를 대폭 증액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조처를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지난 4일 ‘유럽 재무장 계획(REARM Europe Plan)’을 27개 회원국 정상에게 제안했다. 유럽 대륙 내 방위 투자를 위해 최대 8,000억 유로(약 1,259조원)를 동원해 재무장에 나선다는 계획이 골자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독일에서 나타나고 있다. 차기 총리인 프리드리히 메르츠 기독민주당(CDU) 대표는 최근 군비 확대 등을 위해 10년간 총 5,000억 유로(약 788조원) 규모의 특별기금을 조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정부의 부채 한도 규정에서 국방비는 예외를 인정하도록 헌법도 바꾸겠다고 했다. 독일 재무장을 막던 걸림돌이 제거되는 셈이다. 이 정책이 시행된다면 유럽 최대 경제국인 독일은 예상보다 빠른 GDP 성장률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토니오 코스타 EU 이사회 의장, 우르줄라 폰 데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EU 이사회

복지 예산 축소해 군사력 강화

러시아의 위협과 미국 고립주의 강화로 자강 안보가 절실해진 EU는 막대한 방위비를 복지 예산으로 충당할 전망이다. 지난 1월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은 EU 회원국을 향해 "복지 예산 일부를 국방 예산에 쓰자"고 제안했다.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 체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나토 회원국을 향해 GDP 대비 5%까지 국방비 지출을 늘리라고 요구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를 핑계로 나토 체제에서 이탈하거나 기존 질서를 뒤흔들 수 있는 만큼 미국에 어느 정도 보조를 맞추자는 취지다.

유럽은 전 세계 인구의 7%만을 차지하는 작은 대륙이지만, 세계 경제 생산량의 4분의 1(25%)을 만들어내면서 전 세계 사회복지 지출의 절반(50%)을 사용하는 불균형적 상황에 처해 있다. 이를 두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럽의 복지국가는 20세기 후반 특수한 역사적 조건에서 형성된 것으로, 나토를 통한 미국의 암묵적 보조금이 유럽 정부들이 복지에 더 많은 예산을 쓸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 속 유럽의 복지 지출 부담은 인구 고령화로 더욱 가중되고 있다. 1972년 영국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3%였던 것에 비해 현재는 약 20%로 증가했다. 프랑스도 비슷한 수준이며 독일은 이보다 더 높다. 이에 대해 FT는 "유럽이 알고 있는 복지국가는 어느 정도 후퇴해야 한다"며 "그것은 100세까지 사는 것이 진부한 세상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뤼터 사무총장은 나토와 EU를 더 긴밀하게 연결하자고도 제안했다. EU는 경제 동맹이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안보 상황이 바뀐 만큼 협력 분야를 더 확대하자는 것이다. 이는 EU 집행위원회가 국방 담당 집행위원을 신설하는 등 나토와의 업무 중복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더 효율적으로 일하자'는 뜻이기도 하다. 이미 양 기관의 군사 협력 규모는 커지고 있다. 앞서 안토니오 코스타 EU 이사회 의장은 2월 열린 유럽 방위 관련 비공식 회의에 뤼터 사무총장을 초청한 바 있다.

'유럽군 창설' 목소리 확산

유럽 내 자강론이 커지는 가운데 EU 회원국들은 다시 '유럽군' 출범 필요성을 강조하며 본격적인 홀로서기도 논의하고 있다. 유럽이 미국 등 다른 열강과 별도로 통합 상비군을 보유해야 한다는 주장은 19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나왔으나 자금 문제 등으로 계속 무산됐다. 또한 트럼프와 달리 이전 미국 행정부들은 유럽군 창설이 나토의 위축과 동시에 미국의 영향력 감소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던 만큼, 유럽군 창설 논의는 그야말로 지지부진했고 개념적 논의 차원에 머무르는 데 그쳤다. 하지만 유럽 각국은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불법 합병하면서 위기를 느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 각국에 나토 방위비 분담금을 늘리라고 거세게 압박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에 프랑스는 트럼프 1기 정부가 유럽 동맹과 거리를 두자 2018년 유럽군 창설을 다시금 촉구했으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직후인 2022년 3월에도 EU 군대를 만들자고 주장했다. 최근 들어서는 자국 핵무기로 다른 유럽 국가들도 지켜주는 '핵우산론'을 띄웠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5일 대국민 연설을 통해 “러시아가 북한과 이란을 우크라이나 침공에 끌어들이며 유럽에 심각한 안보 위협을 제기하고 있지만, 미국이 이 전쟁에 대한 입장을 바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줄이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점점 더 위험해지는 세계에서 프랑스는 방관자로 남아 있을 수 없다"며 "유럽의 미래가 미국과 러시아에 의해 결정돼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프랑스가 유럽 안전 보장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미다.

독일에서는 다수당인 기독민주당을 중심으로 징병제를 부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14년 만에 나왔다. 2011년 모병제로 전환한 뒤 국방력이 크게 약화된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주독 미군 철수까지 언급하자 대응책 모색에 나선 것이다. 독일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1,000억 유로(약 157조5,000억원)의 특별 국방 예산을 편성하고, 입대 장려 프로그램도 강화했지만 이것만으론 부족하다는 인식이 크다. 폴란드도 연말까지 남성 전체에 대한 군사훈련 의무화를 추진하면서 자체 핵무기를 보유하고 싶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는 7일 의회 연설에서 “15만 명 안팎 수준인 병력을 50만 명으로 늘리겠다”며 “자체 핵무기를 보유한다면 더 안전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소멸위험지역 부산 사하구, 만남 행사로 부부되면 최대 6,300만원 파격 지원

소멸위험지역 부산 사하구, 만남 행사로 부부되면 최대 6,300만원 파격 지원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사하구 '두근두근 사하 브리지' 개최
결혼축하금 2천, 전세보증금 3천 지원
지방 '세금 퍼주기' 경쟁, 결국 도루묵

부산 사하구가 젊은 신혼부부를 지역에 정착시키기 위해 최대 6,400만원을 주는 파격 혜택 지원에 나섰다.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지만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적지 않다. 앞선 정책들을 통해 돈만 푼다고 해결되는 일이 아님이 판명났음에도 또다시 세금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산 사하구판 '나는 솔로'

10일 사하구청에 따르면 사하구는 미혼남녀 만남 행사인 ‘두근두근 사하브릿지’를 열고 이를 통해 결혼하는 이들에게 파격적인 지원을 하기로 했다. 사하구는 올해 총 6차례의 만남 행사를 계획하고 있는데 이달 23일까지 1·2회차 참가자를 모집한다. 1회차는 가덕도에서 24명이, 2회차는 을숙도에서 20명이 참가해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하구는 공공기관 종사자,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한 행사도 계획하고 있다.

두근두근 사하브릿지는 저출산과 지방소멸 시대 위기 극복을 위한 인구정책의 한 방편이다. 지난해 시범 행사를 한 차례 개최해 총 7쌍을 탄생시켰으며 조만간 결혼 소식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가 자격은 1986~1996년생 미혼남녀로 남성은 사하구에 1년 이상 실제로 거주하거나 근무한 사람이며, 여성은 부산에서 1년 이상 거주하거나 근무한 사람이다.

참가자는 서류심사와 개별인터뷰를 거쳐 최종 선정된다. 행사 후 커플이 성사되면 1인당 50만원의 데이트 비용이 지원된다. 결혼으로 이어질 경우 상견례비용을 커플당 100만원 지원한다. 아울러 3년간 공공기관 주차장 이용요금을 50% 할인해 주고 문화예술이용요금도 지원한다. 소득에 따라 결혼축하금, 주거비, 출산축하금, 여행지원금 등도 차등 지급된다.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커플에게는 커플당 결혼축하금 2,000만원, 전세보증금 3,000만원, 출산축하금 1회 300만원, 여행지원금 1,000만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돈만으로 해결 안 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세금 퍼주기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앞서 2012년 전남 해남군은 자녀를 낳을 때 지급하는 출산장려금(첫째 기준)을 5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6배로 높였다. 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 빠르게 나선 것이다. 효력은 즉각 나타났다. 2010년 1.66명, 2011년 1.52명이던 해남의 합계출산율 2012년 2.47명으로 뛰어올랐다.

하지만 효과는 오래가지 않았다. 주변 지방자치단체에서 비슷한 정책을 들고나오면서 출산율이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기 때문이다. 통계청 출생통계에 따르면 해남의 출산율은 2018년부터 가파르게 하락했다. 2017년 2.10명이던 출산율은 2020년 1.67명으로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전남 영광군의 출산율은 1.54명에서 2.46명으로 급등했다. 영광군이 이 무렵 각종 지원금을 대폭 증액한 영향이다. 영광은 작년까지 5년간 출산율 전국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전국 각지에서 일어났다. 경북에선 영덕군이 2016년 두 자녀 가정에 약 1,800만원의 지원금을 주며 그해 1.23명이던 출산율을 이듬해 1.63명으로 끌어올렸고, 강원에선 젊은 군인 부부 대상 지원책을 쏟아낸 인제가 2016년 출산율을 2.16명까지 높였다.

그러나 해남과 마찬가지로 이들 지역의 출산율 제고 효과는 지속되지 못했다. 출산율 1위인 영광만 해도 지난해 출산율이 1.65명까지 낮아졌고, 인제는 출산율이 1.38명, 영덕은 0.87명으로 떨어졌다. 이와 관련해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자체 출산수당은 주변에 흩어져 있던 임신부를 일시적으로 모으는 효과에 그칠 뿐”이라며 “수당으로 출산율을 높인다는 것은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지방 인구 3년새 48만 명 줄었는데, 아산·세종은 6만 명 늘어

전문가들은 기초지자체 단위의 출혈 경쟁이 아닌 일자리 확충 등 지방 거점 육성에 집중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비수도권은 수도권에 비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일자리가 부족하다. 더군다나 지방은 기대 소득뿐만 아니라 생활 인프라 수준도 수도권과 비교해서 낮은 상황이라, 청년들은 학업과 일자리를 위해 수도권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지방은 생산가능인구와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고, 생산과 소비도 줄어들고 있다. 이는 산업·교육·교통·의료 등의 양과 질 저하로 이어지고 지방 재정을 악화시킨다. 비수도권과 수도권 간 격차를 확대하는 악순환의 배경이다. 정부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난 2022년부터 10년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매년 1조원 투입하고, 국고보조사업 혜택을 부여하는 등 집중적인 행정·재정적 지원을 시행하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방 소멸을 늦추려면 단기적인 결혼·출산 장려 정책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을 꾸준히 펼쳐야 한다고 제언한다. 단순한 결혼·출산율 반등만이 아닌, 지속 가능한 인구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자리가 대부분 지방 도시의 인구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음에도 대기업과 산업단지가 대거 들어서 있는 아산과 정부 기관이 몰려있는 세종은 오히려 인구가 늘었다. 세종은 2020년 이후 3만694명이 늘었고 아산은 2만9,667명이 증가했다. 이들 두 지역은 전국 시 단위 지역 인구 증가 순위에서 상위 10개 순위 내에 비수도권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아산은 통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충남에서 유일하게 15년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세종도 2012년 이래 가파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순손실 축소 위한 하이마트의 눈물겨운 다이어트, 금융비용 절감에 총력

순손실 축소 위한 하이마트의 눈물겨운 다이어트, 금융비용 절감에 총력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금융비용 1년 사이 25.7% 축소
미운영 자산 적극 매각 방침
지속적 주주환원정책 실천 주력

전자제품 유통 업체 롯데하이마트가 재무건전성 강화에 팔을 걷어붙였다. 저금리 차입으로 부채 구조를 재편하고, 자산 유동화를 통해 금융비용을 절감한다는 구상이다. 주력 사업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하는 가운데 비용 부담을 낮춰 투자자를 비롯한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고금리 CP→회사채,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차입금 상환

10일 투자금융업계에 따르면 하이마트의 지난해 금융비용은 361억원으로 전년(361억원) 대비 25.7% 줄었다. 회사채 발행을 통한 차입구조 조정과 투자 활동에서 유입된 현금을 활용한 차입금 상환에 따른 결과다. 지난해 연결 기준 3,05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하이마트는 고금리 차입금을 저금리 회사채로 대체하는 전략을 취해 왔다.

가장 최근의 사례로는 지난해 10월 발행된 1,3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꼽을 수 있다. 당시 하이마트는 고금리 기업어음(CP)을 대체할 목적으로 8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1,600억원 규모의 수요가 몰리면서 증액 발행으로 계획을 변경했고, 그 결과 당시 만기가 도래한 1,000억원 규모 CP는 물론 올해 1월 만기인 400억원 규모 CP까지 차환할 수 있었다. 기존 CP들은 각각 5.20%, 4.39%의 높은 금리가 적용됐지만, 신규 회사채는 3.784%, 3.954% 금리가 적용됐다. 이를 통해 하이마트는 연간 15억원가량의 이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주력 사업이 아닌 투자활동을 통해 확보한 현금도 차입금 상환에 적극 활용했다. 하이마트의 지난해 투자활동현금흐름은 904억원으로 전년 마이너스(-) 1,061억원에서 크게 늘었다. 주요 현금 유입내역은 △단기금융상품 감소(1,503억원) △보증금 감소(110억원) △공정가치 금융자산 처분(25억원) 등이다. 보유 중이던 주식, 채권, 펀드 등 금융자산과 일부 유형자산을 처분해 마련한 유동성이다. 하이마트는 이러한 자금 확보를 바탕으로 비유동부채 차입금 1,135억원을 전액 상환했다.

하이마트는 올해도 금융비용 절감에 고삐를 죈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하이마트의 매각 예정 비유동자산은 110억원 규모로, 회사는 해당 매각 대금 역시 차입금 상환에 활용할 계획이다. 하이마트 관계자는 “일부 유휴부지 및 미운영 자산을 선정해 매각을 검토 중이며, 해당 내용을 재무제표에 반영했다”면서 “앞으로도 재무 안정화를 위한 차입금 상환과 부채비율 개선을 지속해 신뢰도 제고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잉여금 전입으로 배당 재원 확보

시장의 신뢰를 되찾겠다는 하이마트의 의지는 2년 연속 자본잉여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는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하이마트는 지난해 3,000억원의 이익잉여금을 전입한 데 이어 올해도 같은 규모의 이익잉여금을 전입하기로 결정했다. 통상 자본준비금은 결손 보전 목적 등으로 사용되나, 이익잉여금으로 처리할 경우 배당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주주환원책 강화 신호로 읽힌다.

2년 연속 전입으로 하이마트의 이익잉여금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 초까지만 해도 7,000억원을 넘었던 하이마트의 이익잉여금은 2022년 말 1,396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그로 인해 배당액도 이전보다 큰 폭 줄었다. 이익잉여금이 상대적으로 여유로웠던 2020년 1,200원을 기록한 주당배당액은 2022년 300원으로 대폭 축소됐다.

이익잉여금 전입으로 시장에서는 배당 확대에 대한 기대 역시 커지는 분위기다. 일반 배당 소득에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되지만, 잉여금을 활용한 배당은 비과세 대상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하이마트는 아직 4,454억원의 주식발행초과금이 남아 있다.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범위 내에서 주식발행초과금을 자본으로 전입할 수 있다는 상법의 규정에 따라 하이마트는 2,600억원 상당의 배당 재원을 추가 마련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상황에도 하이마트의 배당은 3년째 동결 중이다. 이번 2024년 결산 배당 역시 1주당 300원으로 2022년과 같은 수준이다. 투자자들이 기대하는 부분은 정관에 명시된 중간 배당에 관한 내용이다. 하이마트 역시 지난해 7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으로 30%의 배당성향을 지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이마트는 오는 3월 20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자본잉여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을 비롯해 △재무제표 승인 △사내이사 선임 △이사 보수 한도 등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하이마트 관계자는 “중장기 배당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실천할 기반을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안건을 상정했다”고 설명했다.

롯데하이마트 본사 사옥/사진=롯데하이마트

안방 내주고 월세살이? 연 75억원 임대 수익 기대

비용 절감을 위한 눈물겨운 다이어트도 계속됐다. 남창희 하이마트 대표는 지난해 8월 사내 소통 프로그램 ‘하트톡’에서 임직원들에게 본사 이전 계획을 밝혔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본사 사옥을 임대로 전환하고, 상대적으로 임차료가 낮은 건물을 빌려 경영 효율화를 앞당기겠다는 설명이다.

이 자리에서 남 대표는 수용 인원 규모나 업무 효율성 등을 고려해 보라매역 인근의 건물을 임차하는 방안을 비중 있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 지하철 7호선 보라매역은 동작구 대방동과 영등포구 신길동 경계에 위치해 있다. 업계는 이 같은 구상이 현실화하면, 하이마트가 연간 최대 75억원의 임대 수익을 올릴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관련해 하이마트 관계자는 “사옥 임대 전환과 본사 이전을 검토 중인 것은 맞지만, 아직 구체적인 이전 장소와 시기가 확정되진 않은 상황”이라며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성장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 규모가 큰 자산인 대치 본사 사옥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끝이 안 보이는 내수 부진, 두 달 새 자영업자 20만 명 감소

끝이 안 보이는 내수 부진, 두 달 새 자영업자 20만 명 감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1월 자영업자 수, IMF 위기 때보다 40만 명 적어
자영업자 10명 중 7명, 매출·순익 모두 감소
올해도 소비 위축으로 자영업자 부담 가중될 듯

최근 두 달간 자영업자 수가 20만 명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감소했던 자영업자 수는 2023년 이후 회복세를 보였으나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지난해 말부터 하락세로 돌아섰다. 올해도 20대와 40대 일자리 감소와 민간 소비 위축 등으로 내수 시장의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매출 감소로 연체 사업자·부채 규모도 늘어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자영업자 수는 550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1월 이후 최저치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590만 명)보다도 적다. 2008년 600만 명에 달했던 자영업자는 2009년부터 500만 명대로 감소한 뒤 560만∼570만 명 수준을 유지하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550만 명대로 내려앉았다. 엔데믹 직전인 2023년 1월 549만 명까지 줄어든 뒤 회복세를 보이다가 2023년 11월 570만 명, 12월 557만 명에 이어 올해 1월까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빚을 진 자영업자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개인사업자(자영업자·기업대출을 보유한 개인) 335만8,956명의 금융기관 대출 총액은 1,122조7,919억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 사업자는 전년 대비 4만204명 늘어난 15만5,060명으로 나타났다. 연체된 부채 규모는 7조804억원 늘어난 30조7,248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도 큰 폭으로 줄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6.2%가 지난해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평균 감소 폭은 12.8%였으며, 순이익이 줄었다는 응답도 72%에 달했다.

지난해 소비심리 위축되며 내수 침체 장기화

통계청은 자영업자 감소의 원인으로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와 폐업 증가를 꼽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소매판매액은 전년 대비 2.2% 감소했다. 신용카드 대란으로 신용불량자가 372만 명까지 불어났던 2003년(-3.2%) 이후 21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0.1% 감소했던 소매 판매는 이듬해 5.8%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고금리·고물가로 2022년 다시 0.3% 감소했고 2023년에는 수출 부진까지 겹치면서 감소 폭이 1.5%로 확대됐다.

정부는 지난해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낮추기 시작하고 수출이 증가세로 들어선 데다, 물가도 2%대로 안정세를 되찾으면서 소비가 되살아날 것이라고 기대했으나, 소비자들은 지갑을 열지 않았다.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이 원인으로, 통계청이 산업활동 동향 조사를 시작한 1995년 이후 소매 판매가 3년 연속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품목별로 보면 고가 소비재 품목인 승용차와 가전제품의 소비자 각각 7%), 3.3% 감소하며 소비 부진이 두드러졌다. 화장품(-3.9%)과 의복(-3.3%), 가방(-2.9%) 등 생활·패션 관련 품목의 판매도 위축됐다.

송년회 등 연말 특수가 실종된 점도 소비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6% 감소해, 9월(-0.3%)·10월(-0.7%)·11월(보합)에 이어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숙박·음식업 분야 서비스업 생산도 3.1% 감소해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했던 2022년 2월(-6%)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여기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추모 분위기가 확산하며 골프장·스키장·테마파크 등의 영업 실적을 집계한 예술·스포츠·여가 분야 생산 지수도 6.9% 감소했다.

줄폐업에 일자리·소비 감소로 악순환 이어져

특히 내수를 뒷받침하는 일자리 지표가 부정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올해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경기 침체로 폐업이 늘어나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어서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24만6,000개 증가했다. 이는 2018년 3분기(21만3,000개) 이후 3분기 기준 6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로 수입을 목적으로 일정시간 이상 일한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등과는 다른 개념이다.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2022년 3분기 59만7,000개, 2023년 3분기 34만6,000개에 이어 3년 연속 둔화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에서 14만6,000개, 40대에서 6만7,000개가 줄었는데, 두 연령대 모두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반면 일자리가 증가한 연령대는 60대 이상(27만4,000개), 50대(11만9,000개), 30대(6만6,000개)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인구 감소와 제조업·건설업 등 주요 산업의 고용 둔화가 겹치면서 20대 이하와 40대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13만8,000개)와 협회·수리·개인(3만2,000개), 운수·창고(3만1,000개) 부문의 일자리가 증가했다. 특히 보건·사회복지는 고령화로 돌봄 수요가 늘면서 통계 작성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건설업은 4만7,000개 일자리가 줄면서 4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2018년 3분기 11만3,000개 감소한 이후 3분기 기준 가장 큰 폭이다. 전체 산업 중 일자리 비중이 가장 높은 제조업 일자리도 2만1,000개 늘어나는 데 그치며 1년 전(5만 개)보다 증가 폭이 둔화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막 내린 지방 부동산 시대 “거래량도 금액도 폭락”, 금융권도 촉각

막 내린 지방 부동산 시대 “거래량도 금액도 폭락”, 금융권도 촉각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대구 아파트 매매가 67주 연속 하락
수도권 내에서도 양극화 뚜렷
지방은행은 이미 ‘깡통대출’ 속출

지방 부동산 시장이 연일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다. 매매로 대표되는 일반 공급, 경매 및 미분양을 가리키는 악성 매물, 청약 등 주택 시장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가 모두 무너지면서 회복과는 정반대의 길을 걷는 양상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공급 과잉 문제가 해소되면 분위기가 달라질 것이라던 일각의 기대도 최근엔 종적을 감췄다. 나아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금융권 대규모 부실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대구·부산·광주 부동산 시장 일제히 먹구름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첫째 주 대구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11% 떨어지면서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 폭을 나타냈다. 2023년 11월 셋째 주(-0.01%)부터 시작된 내림세는 이로써 67주 연속 이어졌다. 매매가 하락은 북구(-0.24%) 태전동과 침산동, 남구(-0.18%) 이천동과 대명동, 서구(-0.15%) 내당동과 중리동에서 두드러졌다. 아파트 전셋값도 0.03% 떨어져 2023년 10월 셋째 주(-0.02%) 이후 72주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실거래가에서도 최고가 대비 30~40% 떨어진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수성구 범물동 범물영남보성(전용 134㎡)는 지난 1월 7일 3억7,000만원에 매매 계약이 이뤄졌다. 최고가(6억원·2021년 3월) 대비 38% 내린 수준이다. 수성구 만촌동 만촌화성파크드림3차(84㎡)는 역시 최고가 14억원(2020년 11월) 대비 5억원(35%) 가까이 떨어진 9억원에 새 주인을 만났다.

매서운 집값 하락세는 비단 대구만의 일이 아니다. 부산 해운대구 더샵센텀파크1차(151㎡)는 최근 16억6,000만원(41층)에 손바뀜했다. 해당 단지는 2021년 20층 매물이 24억원에 매매된 곳으로, 집값의 3분의 1이 4년여 만에 날아간 셈이다. 광주에서 가장 학군이 뛰어난 곳으로 평가받는 남구 봉선동 봉선한국아델리움3차(84㎡) 또한 2022년 3월 기록한 최고가 13억6,000만원보다 34% 넘게 하락한 8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실물 경기에 선행하는 경매 시장도 암울하기는 마찬가지다. 지지옥션에 의하면 지방 5대 광역시 아파트 경매낙찰가율(경매 가격 대비 낙찰 가격 비율)은 올해 1~2월 78.9%를 기록했다. 2020년과 2021년 각각 95.1%, 104.2%를 나타낸 것과 대조적이다. 강은현 법무법인 명도 경매연구소장은 “지방 광역시는 최근 지속적으로 감정 가격이 떨어지는 추세”라면서 “문제는 낙찰 가격도 함께 떨어진다는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대한 낮은 가격으로 접근하려는 수요자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성이 높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라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투기 세력 몰리던 인천 송도·경기 파주 거래 절벽

수도권의 경우에도 외곽 지역은 상황이 비슷하다. ‘인천의 강남’으로 불리는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더샵퍼스트파크F13-1BL(84㎡)은 지난달 9억4,500만원에 매매 계약서를 썼다. 지난해 9월 10억5,000만원까지 오르는 등 반등 기대감에 불을 지폈지만, 끝내 다시 10억원 선 아래로 미끄러졌다.

해당 면적대는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띠던 2021년 12월 13억1,000만원까지 가격이 치솟기도 했다. 하지만 2022년 금리가 급등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하자, 7억6,000만원까지 밀리면서 소위 ‘반토막’을 면치 못했다. 현재 시세는 저점에서는 상당 폭 회복했지만, 여전히 고점과 비교해선 4억원가량 낮은 수준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 노선 개통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장이 들썩였던 파주 운정신도시 일대에도 실망감이 가득하다. 파주시 목동동 운정화성파크드림시그니처(84㎡)는 지난달 4억9,800만원(23층)에 거래됐다. 한 달 전(4억8,500만원·12층)과 비교하면 소폭 오른 수준이지만, 교통 호재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이 상승하며 기록했던 최고가 9억5,000만원(25층)에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친다.

GTX 개통을 기다렸다가 매물을 내놓는 집주인이 몰리면서 매물 적체도 한층 심화했다. 부동산 데이터분석기관 아실의 조사에서 운정중앙역 개통일인 지난해 12월 28일 5,453건이던 파주시 아파트 매물은 이달 5일 6,329건으로 16% 늘어났다. 같은 기간 경기도 아파트 매물 증가율이 9.1%를 기록했단 점을 고려하면, 매우 큰 증가 폭이다.

업계에서는 GTX 호재가 가격에 선반영돼 개통 후 반응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됐고, GTX A노선을 공유하면서 파주보다 서울에 인접한 고양시 집값이 약세를 보이는 등 여러 요인이 맞물렸다는 분석이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이후 금리인하 시기와 GTX 착공 시점이 맞물리면서 운정신도시 일대 집값이 투기적으로 상승한 측면이 있다”고 짚으며 “올해와 내년 입주 물량도 1만 가구에 육박해 당분간 상승을 기대하긴 어려운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지방은행, 부실채권 증가-시중은행 지방 침투 ‘이중고’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금융권의 대규모 부실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특히 지방금융지주들의 경우 지방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재무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단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부산·경남·전북·광주은행·iM뱅크(구 대구은행) 등 5대 지방은행이 보유한 고정이하여신은 1조3,370억원으로 전년(1조258억원) 말과 비교해 30.3% 증가했다.

은행들은 여신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눠 관리한다. 이 중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여신을 합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한다. 이는 원리금 상환이 3개월 이상 연체돼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채권으로, 이들 대부분이 이자 상환도 되지 않는 무수익여신 즉 ‘깡통대출’이다.

부실화 직전 단계의 대출을 의미하는 요주의 여신 또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요주의 여신은 1~90일 동안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잠재 부실채권을 뜻한다. 지난해 말 5대 지방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2조1,145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5.8% 증가했다. 이 기간 4대 시중은행(KB국민·우리·신한·하나)의 요주의 여신은 7조1,143억원으로 13.1%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2배가 훌쩍 넘는 부실화 속도다.

금융권에선 지방은행의 영업 환경이 올해 더 악화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의 ‘지방·수도권 대출정책 이원화’ 정책에 따라 시중은행의 지방 침투가 더욱 거세질 것이란 예측이다. 지난해 11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건설업계 및 부동산 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해 “실수요자와 지방 가계대출 수요자들이 더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자금 공급을 원활히 하고 특히 지방의 경우 수요자가 더 여유를 느끼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는 금융당국이 은행 대출 연간계획에서 지역 총량을 조금 더 주거나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를 도입할 때 스트레스(가산) 금리를 조정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 같은 변화가 지방은행의 수혜가 아닌, 시중은행의 지방 영업에 힘을 싣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란 관측이다. 나아가 연내 출범이 예상되는 제4인터넷전문은행의 신규인가 심사기준 중 새로운 배점 항목으로 ‘지역 금융 공급’이 추가됐다는 사실 또한 지방은행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요소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금리 인하에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락, 건전성 사수 ‘비상’

금리 인하에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락, 건전성 사수 ‘비상’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금리 내리면 보험사 운용수익 타격
성장성 둔화 및 수익성·건전성 악화
건전성 방어·재무안정성 과제로 부상

금리 하락이 본격화하면서 보험사들이 건전성 방어에 진땀을 빼고 있다. 업계 1위 삼성생명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지급여력비율(킥스·K-ICS)’ 비율이 200% 아래를 밑돌았다. 새회계기준인 ‘IFRS17’ 도입 이후 금리 하락에 따른 부채 부담이 더 커진 영향이다. 특히 건전성 방어와 재무 안정성이 지상 과제로 부상하면서 신종자본증권 등 자본성 발행 규모는 역대 최대다.

금리 하락 따른 부채 부담↑

10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보험사들이 K-ICS 비율 하락에 대응해 보완자본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신영증권 분석을 보면 보험사의 신종자본증권과 후순위채 등 자본성증권 발행 규모는 올해 1분기 기준 2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보험사가 발행한 자본성증권은 7조5,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보험사에서 자본성증권 발행이 늘고 있는 것은 건전성 지표인 K-ICS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IFRS17에서는 이전과 달리 보험부채(준비금)를 시가(현재 가치로 재평가)로 평가하게 돼 있다. 즉, 금리가 하락하면 할인율이 낮아지고 보험부채가 증가하는 구조다. 부채 증가에 따라 킥스 비율 부담이 커지다 보니 보험사에서도 건전성 방어를 위해 자본확충이 불가피해진 셈이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무해지 보험 관련 해지 위험액 산출 방식을 개편하고 손해율 역시 연령에 따라 높은 손해율을 적용하도록 한 것도 자본확충 필요성을 키우고 있다.

삼성생명 본사/사진=삼성생명

삼성생명, 처음으로 200% 밑돌아

금리 하락에 따른 건전성 충격은 예상보다 더 강력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경과조치 전 K-ICS 비율이 150% 이하를 기록한 곳은 무려 6개사에 달한다. 푸본현대생명(경과조치 전 17.3%, 경과조치 후 200.9%)과 MG손해보험(35.9%, 43.4%), KDB생명(66.3%, 179.5%), ABL생명(113.1%, 152.5%), 롯데손해보험(128.7%, 159.8%), iM라이프(131.0%, 178.0%) 등 중소형사에서 특히 영향이 컸다.

일부 중소형사는 추가 자본 확보를 위한 발행 한도마저 넉넉지 않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KDB생명과 푸본현대생명 등 중소형 보험사들은 이미 한도를 모두 소진했다. NH농협손해보험도 한도가 대부분 소진됐으며, 롯데손해보험은 지난해 9월 말 자기자본 기준으로 약 3,000억원의 잔여 차입한도가 있었지만 4분기 중 자기자본 감소로 발행 여력이 저하됐을 걸로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삼성생명(193.5%)과 한화생명(164.1%), 교보생명(170.10%, 222.34%) 등 대형 보험사들도 K-ICS 비율이 하락하는 추세다. 삼성생명의 경우 작년 말 기준 K-ICS 비율이 180%로 더 떨어졌다.

보험사의 운용수익률이 악화하면 미리 약속한 보험금을 지급하기 어려워져 더 많은 보험금을 걷어야 한다. 예정이율이 3.0%인 보험을 예로 들면, 이 경우 고객이 100만원을 내면 30년 후에 250만원 지급이 가능하지만, 운용수익률 악화로 인해 예정이율이 2.5%로 낮아지면 이를 보장하기 어려워진다.

보험사 M&A 지지부진

이렇다 보니 매물로 나온 보험사들의 매각도 순탄치가 않다. 현재 보험사 M&A 시장에서 매물로 나와 있거나, 잠재 매물로 거론되는 곳은 △MG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동양생명 △ABL생명 △KDB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등 6곳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최종 성사는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KDB산업은행은 지난 2014년 이후 10년 동안 추진하던 KDB생명 매각을 잠정 중단하고 KDB생명을 자회사로 편입하기로했다. 산은은 KDB생명의 자본을 확충해 재무구조를 개선한 뒤 재매각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BNP파리바카디프생명도 잠재 매물로 분류되고 있다. 프랑스 BNP파리바가 국내 시장 철수를 추진하면서 자연히 M&A 시장 매물로 오르내리는 모습이다. 지난해에는 BNK금융지주가 사모펀드(PEF)와 투자를 검토했지만 최종적으로는 무산됐다.

손보사들 매각도 지지부진하다. 롯데손보의 경우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약률 가이드라인' 적용 여파로 실적이 크게 출렁였다. 실제 롯데손보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91%나 감소한 272억원으로 집계됐다. 킥스 비율도 하락이 우려된다. 롯데손보의 킥스 비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59.8%(경과조치 적용 후)로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간신히 넘었다. 건전성 우려 탓에 금감원은 지난달 5일부터 롯데손보에 대한 수시검사에 착수한 상태다.

무엇보다 금융지주가 M&A에 신중한 입장이란 점이 문제다.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지주사들은 무리한 M&A보다 본업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 단위의 롯데손보를 인수할 곳이 마땅찮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매물 중 비교적 우량하다고 평가받던 롯데손보의 경우에도 지난해 실적이 급감하면서 원하는 값을 받지 못하게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