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르드 ECB 총재 "트럼프 관세폭탄에 보복 아닌 협상해야"
입력
수정
혹독한 무역 전쟁, 세계 경제 붕괴 라가르드, EU에 美 제품 구매 확대 제언 "보복보다 더 나은 시나리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및 무역전쟁으로 세계 경제 성장세가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유럽 정치 지도자들이 트럼프의 관세 부과 방침에 맞서기보다 액화천연가스(LNG) 구매를 늘려 협상하는 '수표책 전략(chequebook strategy)'을 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ECB 총재 "단순 보복 아닌 협상 전략 필요"
28일(이하 현지시간) 라가르드 총재는 파이낸셜타임즈(FT)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특정 물건을 사겠다고 제안하고 테이블에 앉아서 함께 일할 준비가 돼있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에게 보복이 아니라 협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라가르드 총재는 "유럽은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LNG를 구매하는 안을 얘기할 수 있다"며 "유럽에서 생산할 수 없는 방산 물자 중 일부는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EU 차원에서 통합된 방식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고 구체적인 방안을 설명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러한 전략을 수표책 전략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자국 경제력을 활용해 외교적 성과를 달성하는 전략을 말한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이 언급하는 EU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10~20%인데 이 두 관세는 100% 차이가 난다"며 "범위를 제시했다는 것은 토론에 열려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당선인이 무역전쟁을 시작할 경우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 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무역전쟁을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고려하기 시작하면 곧 전쟁이 확대되는 것을 볼 수 있다"며 "이는 미국이나 유럽, 그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무기·에너지 구매를 카드로 미국과 협상 테이블에 앉는 것이 승자가 없는 관세전쟁보다 더 나은 대안이라는 게 라가르드 총재의 생각이다. 라가르드 총재는 미·중 무역전쟁 역시 EU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암시했다. 그는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 분명한 중국산 제품 중 일부는 다른 수출처를 찾으려고 할 것이며, 그곳은 분명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경제권(EU)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멕시코 "미국과 관세 전쟁 가능성 없어"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폭탄을 예고한 멕시코의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8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비야디가 멕시코에 공장을 설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멕시코는 확고한 프로젝트 제안을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전날 트럼프 당선인과의 통화와 관련해 다소 누그러진 어조로 언급하기도 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해당 통화에 대해 "좋은 대화였으며 우리는 계속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트럼프 당선인과 관세에 대해 직접적으로 논의하지는 않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이 '멕시코 25% 관세' 이유인 불법 이민과 펜타닐 밀매에 대해 언급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만간 미국 총기가 멕시코 범죄 조직으로 유입되는 문제에 대해서도 트럼프 당선인과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매우 우호적인 대화였고, 우리는 좋은 관계가 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면서 "관세 전쟁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관세 지켜만 보지 않을 것
반면 중국은 미국과의 대립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중국 전문가 주드 블랑셰트는 "무역전쟁 1.0 기간 동안엔 중국은 미국이 부과한 관세에 비교적 조심스럽게 대응했지만, 이제 중국은 고통을 감수하고 나눠 주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정치적 이유로 상당한 규모의 새로운 관세가 부과되는 것을 가만히 지켜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뉴욕타임스(NYT)도 중국이 지난 2019년 이후 △국익을 훼손하는 기업을 처벌하기 위한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 작성 △미국의 중국 기업 규제를 준수하는 기업을 처벌하는 규정 도입 △수출 통제법 확대 등을 통해 이미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는 중국이 희토류와 리튬과 같은 핵심 소재에 대한 전 세계의 접근을 잠재적으로 차단해 미국 기업들의 운영에 상당한 차질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이 같은 대응은 과거처럼 관세로 대응하던 것보다 미국 공급망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글로벌 리스크 분석기관 컨트롤리스크의 중국 전문가 앤드루 길홀름은 "그들(중국)은 기업들이 너무 열심히 미국 및 기타 규정을 준수하는 데 너무 열성적일 경우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알기를 원한다"며 "이러한 전략이 공급망 전쟁에 가까운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달 말 중국은 미국 드론 제조업체인 스카이디오를 제재 대상에 올렸다. 이에 드론에 탑재되던 중국산 배터리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스카이디오는 대체 공급업체를 찾게 됐고 보안 문제로 스카이디오의 드론을 사용하던 미군 등에 대한 배송이 지연됐다. 또한 중국은 지난 9월엔 캘빈클라인과 타미힐피거의 소유주인 PVH를 중국 신장 면 및 기타 제품 사용을 보이콧 한 혐의로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에 올렸다. 이 밖에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인 마이크론은 사이버 보안 검토를 받은 후 중국 시장에 대한 반도체 수출길이 상당 부분 막혔으며, 중국 사이버보안협회(CSAC)는 지난달 중국의 국가안보와 이익을 해치는 제품을 판매한 혐의로 인텔에 대한 보안 검토를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