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운영비 부담에 해외로 눈 돌린 빅테크들, ‘데이터센터’ 부지 확보 각축전

운영비 부담에 해외로 눈 돌린 빅테크들, ‘데이터센터’ 부지 확보 각축전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아마존웹서비스, 영국 데이터센터 건립에 2.8조원 투자
MS도 전기요금 저렴한 스페인에 데이터센터 설립 추진
한국은 정부 규제·전력난 등 데이터센터 구축 강점 적어
MS_datacenter_20240923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데이터센터/사진=M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빅테크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지역을 물색하고 나섰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때 전기요금과 탄소배출권, 부동산 임대료 등의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美 빅테크들, 데이터센터 이전 박차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AWS는 지난 10일 영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기로 결정하고, 2028년까지 80억 파운드(약 14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늘어나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투자다. AWS는 2016년 영국에 처음으로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을 시작했고, 이후 점진적으로 투자 규모를 늘려가고 있다.

MS는 지난 6월 스페인 마드리드에 내년까지 21억 달러(약 2조8,200억원)를 투자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스페인 데이터센터는 현지 기업에 인공지능(AI)·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분석, 사이버 보안에도 활용될 방침이다. 구글은 베트남 호치민시에 5억 달러(약 6,700억원)를 투자해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 인구가 1억 명에 달한다는 점과 디지털 서비스 수요가 늘며 자회사인 유튜브가 급성장한 것이 이 같은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데이터센터 운영에 유리한 英·스페인·베트남 각광

이들 기업이 데이터센터를 이전하는 배경에는 막대한 운영 비용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탄소배출권 구매 부담이다. 구글이 지난 6월 발표한 연례 환경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구글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13% 늘어난 1,430만 톤에 달했다. MS도 지난 5월 보고서를 통해 2020년 이후 탄소배출량이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탄소배출량이 늘면 다른 기업이나 기관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데 이 비용이 지나치게 높다는 게 업계 지적이다.

두 번째는 전력 비용으로, 빅테크들이 앞다퉈 재생에너지 사용이 활발한 지역으로 옮기는 주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AWS가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는 영국은 유럽에서 가장 큰 재생에너지 시장 중 하나다. 2020년 기준으로 풍력, 태양열, 바이오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비중이 전체 전력 소비량의 43%를 차지했을 정도다. 지난해에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1조 킬로와트시(kWh)의 전력 생산에 성공하기도 했다. 이는 데스크톱을 2억 대 넘게 가동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일본도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늘리고 있다. 일본은 2022년 전체 전력 소비량에서 재생에너지 비율을 26%까지 확대했고, 2030년에는 38%까지 늘릴 방침이다. MS가 선택한 스페인 역시 연간 총 발전량의 50.3%인 13만4,321기가와트시(GWh)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정도로 관련 시장 규모가 크다. 다른 유럽 국가보다 전기요금이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올해 기준 스페인의 전기요금은 1kWh당 24.1유로센트(약 344.63원)로, 유럽 지역 평균(28.3유로센트)보다 낮은 수준이다.

KAKAO_datacenter_20240923_TE_
카카오 데이터센터/사진=카카오

데이터센터 유치, 국내는 지지부진

반면 우리나라는 후보군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는 모습이다. 한국의 데이터센터 투자 매력도가 떨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정부 규제가 지목된다. 한국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기 위해선 산업통상자원부의 ‘전력 계통 영향평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직접 정보통신시설보호 지침’ 등을 먼저 수행해야 하는데, 이것이 사업자 부담으로 작용해 투자 우선순위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여기에 국내 시장의 기형적인 망 사용료 구조로 인해 데이터센터 구축 이후 책정될 천문학적인 망 사용 비용에 대한 우려도 일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력수급이 불안정한 점도 매력을 상쇄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데이터센터는 일반 공장과 달리 고전압의 전기가 필요해 통상 154㎸(킬로볼트)나 345㎸를 사용한다. 데이터센터 1개소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40~100㎿(메가와트) 수준으로, 주택용(3㎾) 기준 1만3,000~3만3,000가구에 공급 가능한 용량이다.

그런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가 몰리면서 전력 확보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일례로 신덕은변전소와 신파주변전소 계통으로 345㎸ 전압을 송전하는 파주시에서는 지난 2022년 변전소 용량이 포화되면서 전기사용신청 전 단계인 전기사용예정통지를 접수한 고객 25명 대부분이 한전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다는 안내를 받았다. 최근까지도 예정 통지를 접수한 데이터센터 중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부지기수다.

이렇다 보니 국내 데이터센터 건립을 타진하다 다른 국가를 선택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구글이 대표적이다. 구글은 유튜브 서비스 등의 폭발적인 트래픽 증가를 이유로 국내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려고 했으나, 최종적으로는 국내 데이터센터 구축이 무산되고 데이터를 백업 및 관리하는 중개 서버만을 운영하기로 한다. 이후 구글은 아시아 다른 국가에서 데이터센터 부지를 찾았고, 최종적으로 지난해 일본에 데이터센터를 세우면서 아시아 지역의 데이터 관리 거점을 확보했다.

리전을 통해 데이터센터 구축 밑 작업을 진행했던 AWS 역시 구글과 비슷한 모습을 보여줬다. 2020년 이전까지는 데이터센터와 관련한 추가 인력 채용 및 본사 인원도 직접 배치됐으나, 최종적으로는 해당 인력들이 다시 다른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로 재배치되는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AWS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는 정상 운영되고 있지만, 추가 투자 등에 있어서는 후순위로 밀렸다는 평가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반도체 겨울 온다더니, 삼성·하이닉스 바로미터 '마이크론' 실적 전망치 상향

반도체 겨울 온다더니, 삼성·하이닉스 바로미터 '마이크론' 실적 전망치 상향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카빈 인베스트먼트 “올해 D램 가격 97.5% 상승”
마이크론 내년 실적 전망치도 상향 조정
“모건스탠리의 겨울론은 기우" 수요 견조 의견 팽배
samsungHBM_ve_20240402
삼성전자의 HBM3 '아이스볼트'/사진=삼성전자

미국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메모리 업황 비관론을 담은 보고서를 내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향후 실적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헤지펀드와 국내외 증권사들이 마이크론의 회계연도 4분기(6~9월)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실적 전망치를 대폭 높이고 있다. 모건스탠리가 ‘반도체 겨울’을 경고한 것과는 달리 메모리 시장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주요 반도체 기업들 역시 시장의 우호적 흐름을 타고 성장세를 기록할 것이라는 해석으로 읽힌다.

카빈 인베스트먼트, 마이크론 실적 전망 상향 조정

22일(현지시간) 미국 투자전문매체 시킹알파(Seeking Alpha)에 따르면 현지 헤지펀드 카빈 인베스트먼트(Khaveen Investments)는 마이크론이 지난 분기의 강력한 매출 성장을 바탕으로 33%가 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상승세도 올해 내내 지속될 것으로 관측했다. 이는 D램과 낸드 수요가 공급을 따라오지 못할 것으로 전망한 모건스탠리의 경고와는 다른 시각이다.

앞서 모건스탠리는 지난 15일 '겨울이 다가온다(Winter looms)-투자 등급 두 단계 하향 조정'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 확대(overweight)'에서 '비중 축소(underweight)'로 두 단계 내렸다. 뿐만 아니라 SK하이닉스의 목표 주가도 26만원에서 12만원으로 절반 이상 낮췄으며 삼성전자도 10만5,000원에서 7만6,000원으로 27.6% 하향 조정했다.

모건스탠리는 주가 조정 이유로 PC·모바일용 범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AI용 HBM 공급 과잉을 들었다. 내년 HBM 공급량이 2,500억 기가비트(Gb)에 달해 이 기간 수요(1,500억Gb)를 크게 초과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어 모건스탠리는 "올해 4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측면에서 사이클의 정점을 찍을 것"이라며 "메모리 상황이 악화되기 시작한 만큼 사이클 후반기를 지나면서 매출 성장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프랑스계 IB BNP파리바도 마이크론에 부정적 의견을 제시했다. BNP파리바는 13일(현지시간) 마이크론에 대한 의견을 매수(Outperform)에서 매도(Underperform)로 두 계단 하향 조정했고, 목표 주가도 140달러에서 67달러로 52%나 내렸다. 모건스탠리와 마찬가지로 HBM 공급 과잉이 이유다.

SKhynix_DRAM_20240923
SK하이닉스의 DDR5 D램 CXL 2.0 메모리/사진=SK하이닉스

‘반도체 겨울론'에 투자업계 반박

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모건스탠리가 밝힌 HBM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과장됐다는 반론이 거세다. 일본 노무라증권은 지난 2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내년 HBM 공급 과잉을 우려하기엔 이르다”며 “HBM 공급 과잉 우려는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무라증권은 내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D램 3사의 수요 대비 HBM 공급능력을 112%로 전망하면서 “일부 과잉 생산이 있더라도 재고를 통해 조정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국내 업계도 이 같은 반도체 피크아웃(정점 후 하락) 우려가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보고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보고서를 내고 “내년 D램 내 HBM은 수량 기준 7%, 매출 기준 27%를 차지하며 모바일, 서버에 이어 D램 내 주력 응용 분야가 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어 “일반 D램에 비해 공급 증가가 제한적이고, 가격 안정성이 높은 HBM 비중이 커질수록 D램 매출 변동성은 줄어들 것”이라며 “견조한 HBM 수요와 부족한 공급 상황을 고려할 때, D램 다운턴 진입을 말하기는 이른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채 연구원은 또 “HBM을 제외한 일반 D램 수요는 아직 과거 추세를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추산된다”며 “공급사들은 이를 고려해 아직 소극적인 공급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작년과 올해 대부분의 생산능력이 HBM 위주로 늘어났기 때문에 일반 D램 생산능력은 실질적으로 감소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도 “HBM이 공급 과잉이라면 왜 엔비디아가 삼성전자에서 추가로 공급을 받으려 하는지 설명되지 않는다”며 “범용 메모리 반도체 또한 공급 과잉 상황이라면 수출이 어려운 중국이 부진한 국내 소비에도 무리하게 관련 시설을 증설에 나서겠냐”고 강조했다. 모건스탠리 우려처럼 HBM과 범용 D램의 공급 과잉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얘기다. 이어 황 연구원은 “경기침체와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크면 시장은 항상 다운슈팅을 하기 때문에 적정한 주가 수준을 알기는 어렵다”며 “다만 12개월 선행 기준으로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16배로 주가는 과매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실적 개선 기대감도 높아져

이런 가운데 모건스탠리의 목표주가 하향 조정으로 촉발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주가 급락 사태도 진정되는 모습이다. 모건스탠리의 반도체 겨울론 여파로 지난 19일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가는 장 시작과 함께 급락했다. 당시 SK하이닉스는 장중 최대 11.12%까지 하락했다가 6.14% 내린 15만2,800원에 장을 마감했으며, 삼성전자 주가도 장중 52주 신저가를 경신하며 6만3,100원까지 주저앉았다. 하지만 20일 미국 증시가 연준의 빅컷(기준금리 0.50%p 인하)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며 급등한 영향 등과 맞물려 SK하이닉스 주가는 2.81% 상승, 삼성전자 주가는 1% 미만대로 오르다 막판에 0.16% 하락 마감했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겨울론 대신 훈풍론이 재점화하고 있다. 카빈 인베스트먼트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최대 매출처인 D램의 경우 97.5%, 낸드플래시는 18% 수준 가격이 뛸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D램은 올해 3분기 ASP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31% 높아졌는데 이는 이전 분기의 성장률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오랜 침체를 겪었던 D램 시장의 가격 회복이 본격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난 1년 내내 이어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D램 3강의 적극적인 감산으로 수급 균형이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전환됐고, 이 흐름이 완전하게 자리 잡았다는 얘기다.

지난해 ‘만들수록 손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생산원가 수준으로 떨어졌던 낸드 역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킹알파는 3분기 낸드의 평균판매가격(ASP) 성장률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102.5%의 증가율을 나타냈다고 강조했다. 기업용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를 중심으로 낸드 시장이 AI 투자 열풍에 완전히 흐름을 타기 시작하면서 모바일, PC 등 다른 수요처에서도 점점 주요 고객사들의 재고 수준이 낮아졌고, 삼성, SK하이닉스도 가격 재협상을 통해 올해 내내 판매 가격을 꾸준히 인상해 온 효과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중국 '애국 소비' 기조에 애플 점유율 하락세, 아이폰16도 화웨이 메이트 XT에 밀려

중국 '애국 소비' 기조에 애플 점유율 하락세, 아이폰16도 화웨이 메이트 XT에 밀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애플 매출 20% 담당하던 중국, '애국 소비' 심리에 화웨이 제품만 강세
'웃돈'까지 붙은 화웨이 메이트 XT, 아이폰16은 원가보다 10% 저렴하게 팔려
시장선 여전히 낙관적 전망, "할인 행사 기간 현지 아이폰 수요 회복세 포착"
china apple 20240621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아이폰16 출시일에 맞춰 친중 행보를 보였다. 최근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애국 소비' 심리가 확산하면서 아이폰 시리즈 매출이 급격히 줄자 직접 판촉에 나선 것이다.

애플 CEO "중국 고객들 애플 신제품 경험할 수 있게 돼 기쁘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쿡 CEO는 지난 21일 자신의 웨이보 계정에서 중국어로 "중국 고객들이 애플 신제품 시리즈를 경험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라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렸다. 아이폰 차세대 모델 출시일에 맞춰 친중 행보를 보임으로써 중국 내 아이폰 판매를 촉진하겠단 취지로 풀이된다. 아이폰16 시리즈는 앞선 20일 중국을 포함한 세계 1차 출시국에서 정식 판매가 시작됐다.

중국은 애플 전체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 중 하나지만, 최근엔 중국 내 애플의 인기가 다소 떨어진 분위기다. 미국의 기술 제재로 고전하던 중국 화웨이가 자체 기술력을 활용해 플래그십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을 내놓은 게 화근이었다. 화웨이는 올해 상반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7.5%(출하량 기준)로 애플을 누르고 1위 자리에 올랐다.

특히 화웨이는 아이폰16 시리즈 출시에 맞춰 트리폴드폰(두 번 접는 폴더블폰) 메이트 XT로 맞불을 놨는데, 자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초기 반응이 좋다. 반면 당초 애플의 첫 'AI 스마트폰'으로 알려졌던 아이폰16은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의 탑재가 늦어지면서 초반 흥행이 예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 이달 13일부터 시작된 사전 주문의 경우 첫 주말 사전 주문량이 전작 모델 대비 13%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다 보니 가격 측면에서도 아이폰16이 밀리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화웨이의 메이트 XT는 구매 수요가 몰리면서 중국 최대 전자상가인 광둥성 선전 화창베이에서 공식 가격(256GB 기준 1만9,999위안(보다 3배가량 뛴 6만~7만 위안(약 1,130만~1,320만원)까지 웃돈이 붙었다. 그러나 아이폰16은 저가 쇼핑 플랫폼 판둬둬에서 오히려 공식 판매가(아이폰16 플러스 512GB 기준 9,999위안)보다 10% 저렴한 8,999위안(약 169만원)에 판매됐다.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애플의 선호도가 그만큼 줄었단 방증이다.

huawei_apple_TE_20240923

중국 내 애플 매출 24% 감소, 화웨이는 64% '급증'

업계에선 중국 소비자들의 애플 외면이 이미 예견된 현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의 대중 제재로 중국과 서방과의 관계가 악화하면서 자국 제품을 소비해야 한다는 애국 소비 기조가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강화했기 때문이다. 실제 카운터포인트 리서치(Counterpoint Research)가 지난 3월 발표한 보고서를 봐도 올해 초 6주 간 중국 내 애플의 매출은 24% 감소했다. 같은 기간 화웨이 제품의 중국 내 판매량이 64% 급증한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일각에선 신제품 아이폰에 기존 세대 아이폰 이용자의 구매 욕구를 끌어올릴 만한 '유인 동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메멩 장(Mengmeng Zhang) 카운터포인트 선임 분석가는 "화웨이의 메이트 시리즈는 자국산 부품 비율을 18%에서 47%로 높이는 등 '중요한 업그레이드'를 이룬 반면, 아이폰은 이전 모델에서 크게 달라진 점이 없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기존 세대 아이폰을 계속 사용해도 무방하다'는 인식이 확산했다"고 짚었다.

할인 행사 기간 아이폰 수요 급증, "중국 소비자 가격 민감도 확인"

다만 이 같은 부정적 견해와는 별개로 대부분 시장 관계자들은 "장기적으로 중국 내 아이폰 수요가 급격히 하락하진 않을 것"이라고 보고, 애플에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하는 모양새다. 올해 초 한차례 아이폰 수요가 급등세를 보인 바 있어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중국정보통신기술원(CAICT)은 지난 4월 애플의 중국 내 아이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것으로 집계했다. 해당 집계에선 중국 내 4월 외국 브랜드 휴대전화 출하량이 이같이 증가해 총 349만5,000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사명이 명확히 언급되진 않았으나, 중국에서 판매되는 외국 휴대전화의 대부분이 아이폰이란 점에서 애플 실적으로 치환해 해석해도 무방하다는 게 로이터의 설명이다.

이 같은 애플의 단기간 중국 실적 회복 배경엔 아이폰 할인 행사가 있다. 애플은 지난 2월 중국에서 아이폰 할인 행사를 벌여 아이폰 가격을 최대 1,150위안(21만6,000원) 낮춰 판매한 바 있다. 할인 행사 기간 판매량이 급증했다는 건 중국 소비자들이 제품의 가격에 그만큼 민감하다는 방증이다. 쉽게 말해 아이폰이 '할인 공세'를 펼치면 애국 소비가 장려되는 중국 내 분위기 속에서도 아이폰이 일정한 수요를 창출해 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동아시아포럼] ‘디지털 패권 싸움터’로 변한 태평양 제도

[동아시아포럼] ‘디지털 패권 싸움터’로 변한 태평양 제도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태평양 지역, 디지털 인프라 투자 경쟁이 ‘디지털 패권’ 다툼으로
‘호주-미국-일본’ 진영과 ‘중국’ 진영 대결 격화
중국 영향력 확대 시 ‘검열과 통제’ 강화 우려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태평양 제도가 디지털 패권을 놓고 겨루는 열강들의 격전지가 되고 있다. 호주, 미국, 일본과 중국이 해당 지역 인터넷 케이블과 통신망을 포함한 전략적 디지털 인프라 투자에 박차를 가하면서 파푸아뉴기니(Papua New Guinea), 솔로몬제도(Solomon Islands), 피지(Fiji) 등의 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강대국들의 지정학적 주도권 다툼에 끼인 처지가 되고 말았다. 특히 중국이 개입을 본격화하면서 성장과 디지털 인프라 보강을 위한 기회의 장은 강대국 간 영향력 싸움의 전쟁터로 바뀌고 있다.

Solomon Islands Prime Minister Jeremiah Manele meets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in Beijing
사진=동아시아포럼

태평양 제도, 호주-미국-일본 대 중국 ‘디지털 패권’ 싸움터로

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전환은 호주, 미국, 일본이 주도하는 인프라 투자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데 이 중 핵심 프로젝트가 미크로네시아연방(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과 나우루(Nauru), 키리바시(Kiribati)를 연결하는 1,500만 달러(약 200억원) 규모의 ‘팔라우 해저 케이블’(Palau submarine cable), 그리고 ‘이스트 미크로네시아 케이블’(East Micronesia cable)이다. 호주가 미국 정부 및 구글과 연합해 작년에 출범시킨 8,000만 호주 달러(약 729억원) 규모의 ‘남태평양 연결 이니셔티브’(South Pacific Connect initiative)도 피지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French Polynesia), 호주, 북미 대륙을 잇는 야심 찬 프로젝트다. 올해 8월에는 피지 정부가 구글이 자국 내에 데이터 센터와 4개의 케이블 연결망을 구축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의 본거지는 파푸아뉴기니를 중심으로 하는데, 파푸아뉴기니는 화웨이(Huawei)를 비롯한 중국 기업들이 자국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 파푸아뉴기니 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7월 중국을 방문해 중국의 ‘스마트 시티’(smart city) 기술(IT를 활용해 도시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과 ‘디지털 거버넌스’(digital governance, 디지털 자원 관리 기술 및 시스템) 역량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차이나텔레콤(China Telecom)이 지역 최대 통신망 사업자인 디지셀(Digicel)을 인수할 것을 우려한 호주는 2021년 텔스트라(Telstra, 호주 최대 통신회사)가 해당 회사를 인수하는 계약을 승인했는데 이는 호주 정부가 이 지역에서 진행한 최대 투자 지원으로 기록됐다.

호주와 중국의 경쟁이 특히 두드러지는 지역은 솔로몬제도다. 화웨이가 2018년 솔로몬제도와 호주를 잇는 해저 케이블 공사를 시도하며 스파이 행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자 호주는 재빨리 ‘산호해 케이블’(Coral Sea Cable) 공사를 지원해 자국에 우호적인 업체들이 공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조치하기도 했다. 지금도 솔로몬제도에서는 양국이 각각 다른 통신망 개선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며 주도권 경쟁이 계속되고 있다.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 또 다른 경쟁자로

태평양 지역 디지털 인프라 구축은 해저 케이블이 대세를 이루는 상황이지만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스타링크(Starlink)가 경쟁 구도에 변수를 더하고 있다.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low-earth orbit satellite-based internet service)를 제공하는 스타링크가 케이블의 경쟁재가 될 수 있고 특히 케이블 공사가 불가능하거나 고비용이 드는 지역에서는 대체재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태평양 제도는 인터넷 이용 관련 접근성과 비용이 지역마다 큰 차이를 보이는데,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인터넷 이용료를 내야 하는 반면, 피지는 양호한 인프라와 시장 상황으로 더 낮은 가격에 이용이 가능하다. 스타링크가 도입된다면 지역 전반에 걸쳐 적정한 가격으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이 역시 실제 비용과 장기적인 서비스 품질, 정보 보안 등과 함께 스타링크가 현존 인프라와 통합을 택할지 경쟁을 택할지에 따라 유동적이다.

중국 디지털 패권 장악 시 ‘디지털 주권’ 상실 우려

중국이 태평양 지역 디지털 인프라 투자에 참여하면서 야기한 우방국들의 우려 사항은 기술적 우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중국이 프로젝트에 투자하면 소프트웨어 플랫폼(software platforms, 타 소프트웨어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앱 및 시스템)과 운영 체제, 거버넌스 모델 등을 포함한 ‘소프트 인프라’(soft infrastructure)가 따라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만리장성 방화벽’(Great Firewall)으로 불리는 중국의 검열 관행은 홍콩, 티베트, 신장 인권 문제 및 대만, 남중국해 등의 민감한 이슈들에 대한 정부 공식 입장에 반대하는 콘텐츠들을 차단하는 것으로 악명 높은데 중국의 태평양 지역에 대한 영향력이 높아갈수록 이러한 관행들을 가지고 올 것이라는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호주와 같은 자유 민주주의 국가들로서는 높아진 중국의 디지털 영향력 때문에 자유로운 정보 흐름이 차단될 가능성을 걱정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우려는 파푸아뉴기니에서 검열이 강화되면서 이미 현실이 되고 있다. 자유 진영 국가들로서는 중국 정부의 통제 위주 디지털 정책이 외부 투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태평양 국가들을 장악하는 것을 반드시 막아야 하는 것이다.

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또 다른 문제는 인프라 투자가 쏟아지는 상황에서도 디지털 관련 규제 제도와 사이버보안(cybersecurity)이 여전히 취약하다는 점이다. 호주 정부가 쿼드 이니셔티브(Quad initiative, 미국·인도·일본·호주 간 해저 케이블 안전을 위한 협력 강화 선언)의 일환으로 올해 7월 발표한 ‘케이블 연결 및 복원력센터’(Cable Connectivity and Resilience Centre)도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다. 이는 탄탄한 기술 정책과 온라인 안전 기준을 제공해 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디지털 주권(digital sovereignty)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우방국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해당 지역 국가들의 디지털 거버넌스 역량과 기술 정책, 적정 가격 인터넷 접근성은 초보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미약한 사이버보안과 관리 역량 부족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태평양 지역 디지털 전환은 인프라 구축 문제에서 시작해 지역에 대한 통제력과 영향력, 지배력을 선점하려는 열강들의 영역 다툼으로 변질된 지 오래다. 호주, 중국, 미국, 일본 등 강대국들의 투자가 증가할수록 해당 지역의 ‘디지털 미래’를 좌우할 원칙과 기준도 투자국들에 의해 정해질 것이고 지역 국가들이 어떤 파트너를 선택하느냐는 해당 국가의 미래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2010년부터 태평양 제도에 디지털 인프라 투자를 늘려온 호주가 디지털 역량과 거버넌스 구조, 보안 체계 제공을 약속하며 디지털 주권의 수호자 역할을 자임하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과 기술력에서 우위를 가진 중국은 만만치 않은 상대가 될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확대되는 지정학적 영향력하에서 자국의 미래를 위해 최선을 선택할 책임은 태평양 국가들에 있다.

원문의 저자는 미하이 소라(Mihai Sora) 로위 연구소(Lowy Institute) 태평양 제도 프로그램(Pacific Islands Program) 책임자입니다. 영어 원문은 Beneath the surface of Pacific digital infrastructure investments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동아시아포럼] 일본이 ‘국내’보다 ‘글로벌’ 디지털 화폐 도입에 관심 있는 이유

[동아시아포럼] 일본이 ‘국내’보다 ‘글로벌’ 디지털 화폐 도입에 관심 있는 이유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일본, ‘디지털 화폐’ 도입 놓고 낮은 ‘디지털 거래 성향’으로 고민
국내 대신 국가 간 거래 적용 가능성 주목
프랑스·미국과 블록체인 기반 거래 시스템 구축 참여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전 세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일본이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도입을 고민 중이다. 현금 사용이 많은 문화와 고령 인구 증가로 디지털 거래 확산이 지연되는 상황, 그리고 잘 갖춰진 전통 금융 시스템을 고려할 때, 일본 중앙은행이 CBDC의 국가 간 거래 적용 가능성에 주목하는 것은 현명한 접근으로 보인다. 특히 글로벌화된 금융 거래 환경하에서 일본이 국가 간 거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일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여겨진다.

Japan's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_PE_20240921
사진=동아시아포럼

일본, ‘현금 선호 경향’으로 디지털 화폐 도입 놓고 고민

그간 전 세계가 ‘비현금 결제’(cashless payment)를 향해 나아가고 있음에도 일본은 아직도 현금 사용을 선호하는 거의 유일한 경제 대국으로 자리해 왔다. 실제로 지난 수년간 명목 국내총생산(nominal GDP)에서 현금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로, 12%의 인도, 9%인 중국, 8%의 한국과 미국, 1% 이하인 스웨덴 등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물론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상쇄하기 위해 자동 결제 수단 도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신용 카드와 디지털 결제가 상용화되기는 했다. 작년 일본 국민 소비에서 비현금 결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40%로 2010년의 13%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도 현금 사용을 선호하는 고령층의 존재와 1%가 안 되는 실질 GDP 성장률로 많은 자영업자와 의원, 병원이 디지털 결제 시스템 설치를 꺼리고 있는 것이 분명한 현실이기도 하다.

일본의 디지털화가 늦어지는 현상은 다른 곳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한코’(hanko)라 불리는 도장이 공문서에 널리 사용되고 팩스가 주요 통신 수단으로 남아 있는가 하면, 세금 신고도 종이 서류로 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로 전인구의 1/3을 차지하는 노년층이 보이는 '변화'에 대한 저항은 일본에서 비현금 결제 시스템의 확산을 지연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익 없는 국내 도입보다는 국가 간 거래 시스템 구축에 관심

반면 100여 개가 넘는 전 세계 중앙은행은 CBDC 도입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유럽연합(EU) 화폐 통합 강화 차원에서 ‘디지털 유로’(digital euro)를 고려 중인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을 제외하면 금융 인프라가 부족하고 많은 인구가 은행을 이용할 수 없는 신흥국들은 CBDC를 금융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중 나이지리아(Nigeria)와 바하마(Bahamas)는 이미 금융 서비스에 접근이 어려운 격오지 주민들을 위해 CBDC 활용을 개시한 바 있다.

일본의 경우는 이와 대조적인데, 잘 갖춰진 은행 인프라와 인구 감소를 이유로 CBDC 도입이 비용 대비 실익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대신 CBDC가 국가 간 거래에서 혁신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합의가 이뤄지고 있는데, 현재 방식의 국제 결제는 복수의 외환 결제 제휴 은행(correspondent bank, 코레스 은행)과 현지 은행을 거쳐야 해 수수료가 비싸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불법 거래 방지 차원에서 코레스 은행을 줄여 나가는 추세로 인해 국가 간 거래는 더욱 불편해진 상황이기도 하다.

일본은행(BOJ)으로서는 이러한 비효율이 CBDC의 국가 간 거래 활용 가치에 주목하게 된 이유가 됐다. 더구나 보다 빠르고 저렴하고 안전한 국제 거래 시스템 구축에 일본이 일정 역할을 담당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 일본은 이미 국제결제은행 혁신 허브(The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Innovation Hub, BIS Hub, 글로벌 금융시스템 개선을 위한 기술 지원 제공 국제기구)가 주도하는 핵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거래 시스템 공헌’ 명분과 ‘국민 편의성 증대’ 실익 함께 노려

이 중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중국, 홍콩, 태국, 아랍에미리트(UAE) 중앙은행이 함께 하고 있는 ‘프로젝트 엠브릿지’(Project mBridge)다. 이 프로젝트는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ledger technology, 다수의 거래 정보를 연결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CBDC와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지갑’(digital wallet)을 연결하는 공동 인프라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네트워크에 가입한 중앙은행들은 CBDC와 자국 결제 시스템을 그대로 연결해 대규모 외환 결제에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랫폼 구축에 성공한다면 엠브릿지는 현재 거래 방식보다 낮은 수수료로 신속한 외환 거래를 가능하게 해 국가 간 결제 시스템의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BIS 허브(BIS Hub)가 주도하는 ‘프로젝트 앙골라’(Project Angola)에도 프랑스 중앙은행, 뉴욕 연방준비은행을 비롯한 6개국과 함께 참여하고 있는데 토큰(token,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 화폐)화된 은행 예금을 CBDC와 통합해 대규모 국가 간 거래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하나의 가능성 있는 시도는 싱가포르 소재 BIS 허브 센터(BIS Innovation Hub Center)가 직접 개시한 ‘프로젝트 넥서스’(Project Nexus)로 동남아시아 국가 각각의 ‘즉시 결제 시스템’(instant payment system)을 넥서스 플랫폼과 연결해 가입국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신속 결제 시스템’(fast payment system)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일본이 국내 활용률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CBDC를 글로벌 거래 시스템에 적용하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국가 간 거래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줄여 국제 무역에 관여하는 기업과 금융 기관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얻는 실익이 국내 활용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아울러 더 많은 국가가 CBDC 프로젝트에 참여할수록 증가하는 네트워크 효과로 글로벌 금융 거래 양상이 다른 차원으로 탈바꿈할 수도 있다. 일본은 이를 통해 국제 금융 거래의 혁신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일본 기업과 국민들이 글로벌 거래에서 디지털 화폐 사용으로 더 많은 편리성과 혜택을 누리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은행이 CBDC의 국내 도입에 연연할 것이 아니라 글로벌 디지털 화폐 시스템 구축이라는 더 큰 그림에 매진해야 하는 이유다.

원문의 저자는 시라이 사유리(Sayuri Shirai) 게이오대학교(Keio University) 교수입니다. 영어 원문은 Japan’s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should go big, not go home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실적 부진' 롯데하이마트, PB 상품·경영 쇄신으로 돌파구 찾는다

'실적 부진' 롯데하이마트, PB 상품·경영 쇄신으로 돌파구 찾는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냉장고·청소기 등 PB 상품에 공들이는 롯데하이마트
유통 마진 높은 PB 상품, 실적 부진 해소할 열쇠 될까
"적자 벗어나자" 이사회 재정비하며 경영 쇄신에도 속도
himart_20240920
롯데하이마트의 자체 브랜드(PB) 상품 '싱글원 UV살균 스테이션 청소기'/사진=롯데하이마트

롯데하이마트가 ‘자체 브랜드(PB)’ 상품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냉장고, 청소기 등 가격 경쟁력을 갖춘 PB 가전 상품을 연이어 선보이며 시장 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는 양상이다. 이커머스·백화점 등의 참전으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며 가전 양판점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PB 상품이 불황을 타개할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PB 가전 상품 판매 확대

20일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롯데하이마트의 PB 상품 '싱글원 UV살균 스테이션 청소기'는 지난달 15일 출시 이후 약 한 달 만에 초도 물량(2,000대) 완판을 기록했다. 해당 상품을 구매한 고객들의 절반가량은 롯데하이마트 PB 상품을 처음 접한 2030세대였다. 1~2인 가구, 실용성을 중시하는 젊은 고객층을 타깃으로 한 PB 상품 개발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차후 롯데하이마트는 1~2인 가구 중심의 인구 구조 변화, 가성비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PB 상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냉장고, 청소기에 이어 연내에는 집밥 수요를 고려한 '싱글원 무연그릴'도 추가로 출시한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고객들이 스테이션 청소기 사용 시 실제로 겪는 다양한 불편 사항들을 고려해 제작한 결과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라며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PB 리뉴얼 작업을 연내 마무리해, 롯데하이마트만의 차별화된 PB 상품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himart_20240920
롯데하이마트의 자체 브랜드(PB) 상품 '하이메이드 싱글 원 냉장고'/사진=롯데하이마트

실적 부진, PB 상품으로 극복?

롯데하이마트는 차후 PB 상품 확대가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기업 브랜드 가전 대비 유통 마진이 높은 편이고, 롯데하이마트 외 여타 매장에선 판매하지 않아 소비자 유인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한 가전업계 관계자는 "롯데하이마트는 최근 이어진 가전 양판점 불황으로 인해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며 "앞으로 수익성이 높은 PB 상품 시장을 적극 공략해 실적 승부수를 띄울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실제 롯데하이마트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발발한 2020년부터 3년간 외형 축소와 순적자 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0년 4조517억원(별도 기준)에 달했던 롯데하이마트의 매출은 지난해 2조6,100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순이익 또한 2020년 287억원의 흑자를 끝으로 △2021년 -573억원 △2022년 -5,278억원 △2023년 -353억원으로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 역시 1조1,144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 줄었으며, 영업손실은 133억원 수준이었다. 가전 양판 시장이 중소형 가전 중심의 이커머스와 고급 가전제품 중심의 백화점으로 양분화하는 가운데, 롯데하이마트를 비롯한 가전 양판점의 경쟁력이 눈에 띄게 약화하며 성장 동력을 잃은 것은 결과로 분석된다.

롯데하이마트의 경영 쇄신 노력

롯데하이마트는 실적 개선을 위해 PB 상품 판매 확대 외로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이사회를 전면 재정비하며 수익성 개선과 가전양판점 본연 경쟁력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 전문 인력을 대거 선임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롯데하이마트 이사회 9명 중 올해 교체된 인원은 총 5명이다. 사내이사 4명 중 1명이 바뀌고, 사외이사는 5명 중 4명이 교체됐다. 이사회 의장은 남창희 롯데하이마트 대표이사가 맡고 있다.

사내 이사진을 보면 남창희 대표와 문병철 On-Off통합상품본부장 상무, 박상윤 재무부문장 상무 등 3명은 자리를 지켰으며, 김진성 롯데 유통군 HQ인사혁신본부 본부장이 새롭게 사내이사로 합류했다. 김 본부장은 그룹 내에서 인사와 조직 분야 전문가로 평가받는 인물로, 마트 부문에서 인력 효율화 작업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한 바 있다.

모두 5명인 사외이사는 최혜리 법무법인 산지 변호사를 제외하고 나머지 4명이 모두 교체됐다. 새롭게 이름을 올린 사외이사는 김일주 전 LG전자 글로벌마케팅센터 센터장 전무와 김진영 고려대 노동대학원 원장, 이강수 다산회계법인 부대표, 홍대식 공정거래위원회 공정거래정책자문단 위원이다. 이전 학계 인사 중심이었던 사외 이사진을 마케팅, 노동, 재무 등보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교체하며 시장 경쟁력 제고의 '발판'을 마련하는 양상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한-체코 정상회담에 두코바니 원전 사업 수주 기대감↑, 尹 "사업 수주 계기로 '원전 동맹' 구축될 것"

한-체코 정상회담에 두코바니 원전 사업 수주 기대감↑, 尹 "사업 수주 계기로 '원전 동맹' 구축될 것"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두코바니 원전사업 '세일즈 외교' 나선 윤 대통령, "수주 성공 시 원전 동맹 구축"
양국 정상 '전방위적 협력 방안' 약속, 우크라이나 인도적 지원도 합의
자본조달 모델 불안정한 체코, "재정 여건 및 지출 여력 투명하게 검증해야"
Czechia_YoonSukYeol_20240920
윤석열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각) 프라하성에서 열린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의 한-체코 정상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 수주를 위한 이정표 역할을 자처했다. 페트르 파벨(Petr Pavel)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원전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그널을 끌어낸 것이다.

한 자리 모인 한-체코 정상, 파벨 "한국 두코바니 사업 참여에 거는 기대 커"

19일(현지시각) 윤 대통령은 체코 프라하에서 파벨 체코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후 가진 공동기자회견 자리에서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계기로 체코와 전략적 공조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최종 계약 체결까지 남은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우리 정부도 관심을 갖고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힘줘 말했다.

'두코바니 원전 수주가 양국 관계에서 어떤 의미 갖는지'를 묻는 질문엔 "원전 동맹이 구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바라카 원전을 처음 수주했을 때 UAE 현지에 원전 엔지니어가 3명에 불과했는데 15년이 지나 2,000명까지 늘었다"며 "두코바니 원전은 체결이 된다면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든 절차에 있어서 체코와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새로운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인력 양성 문제까지 협력할 것이라 그야말로 원전 동맹이란 것이 구축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원전을 함께 짓는다는 것은 양국의 전략적 협력이 한 단계 도약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첨단과학 기술 분야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체코 측도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한국 컨소시엄이 수주할 것이라는 데 낙관적인 전망을 전했다. 파벨 대통령은 "체코도 한국 두코바니 원전 사업 참여에 거는 기대가 크다. 한국수력원자력의 최종 수주에 낙관적이며 이 사업이 양국 관계 발전의 새로운 기반이 되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프로젝트가 얼마나 성공하는지에 따라 테멜린 신규 원전 사업이 고려될 것"이라며 "폴란드, 슬롭키아 등에서 원전 개발 계획이 있다. 우리가 한국과 협력할 잠재력이 크고 제3국 시장 진출을 같이 도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korea_Czechia_PE_20240920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MOU 체결도

윤 대통령의 이번 체코 방문은 한국이 지난 7월 두코바니 건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데 따른 세일즈 외교 차원이다. 내년 3월 사업 수주를 확정 짓기 위해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선 것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양국이 단순 원전 협력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약속했단 점이다. 우리 정부는 이번 원전 협력을 계기로 바이오, 디지털, 교통 인프라 분야에서 체코 정부와 함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양국 정부는 수교 35주년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을 맞는 내년도를 기점으로 정치, 경제, 문화, 과학기술과 외교안보, 국방, 방산과 같은 제반 분야에서의 협력을 전면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협력 사업에 양국 정부가 지원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과 파벨 대통령이 임석한 가운데 양국 외교부 장관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개발 협력과 인도적 지원 등 분야에서 협력 지지를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이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강력한 연대와 지지를 바탕으로 우크라이나 국민이 평화와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실효적인 지원 방안을 함께 강구하기로 한 것"이라며 "재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양국 기업들이 사업정보 공유, 프로젝트 공동개발, 투자 공동유치 등의 구체적인 협력을 추진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가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안전 규제 높은 체코, 한수원 사업 역량에 우려 확산

업계에선 두코바니 원전 건설 사업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윤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쏟아진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이후 침체한 국내 원전 업계가 두코바니 원전 사업을 계기로 재차 빛을 발할 수 있단 기대감이 나온 것이다.

다만 일각에선 사업 수주를 마냥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란 의견도 적잖이 나온다. 체코의 원전안전 규제가 상당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체코 국가핵안전청(SUJB)은 20년 넘게 서유럽의 원전 안전규제 표준을 활용해 왔다. 결국 두코바니 원전 사업을 수주할 시 유럽의 신규원전 표준이 된 코어캐처(사고로 용융한 핵연료가 원자로 외부로 유출될 경우 격납건물 외부로 추가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저장시설)와 이중 격납설계를 건설해야 한다는 건데, 한수원은 관련 분야의 시설을 건설해 본 경험이 전무하다. SUJB의 엄격한 안전 규제 아래 한 번도 경험해 본 적 없는 설비들의 안전성을 입증하며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은 한수원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두코바니 원전 사업의 자본조달 모델이 다소 불안정하단 점도 문제다. 체코 정부는 이번에 원전 2기 건설사업에 대한 우협을 한수원으로 선정했으면서도 건설에 필요한 자금 계획은 두코바니 원전 1기에 한정했다. 민간 투자자를 찾을 수 없어 정부의 재정 부담이 지나치게 커진 탓이다.

체코는 유럽연합(EU)으로부터 원전 1기 건설을 위한 정부 지원 저리 장기대출 총 75억 유로(약 11조5,000억원)를 받았다. 이는 체코 정부의 2024년 예산 대비 8.6%가량으로, 국방(6.4%)이나 보건(7.5%) 부문 비중보다 더 많은 수준이다. 여기서 원전 2기 건설에 대한 자금을 모두 대출받으면 예산 대비 원전 건설 비용이 17.3%까지 치솟는다. 체코 정부의 자금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란 의미다. 정부 차원에서 체코 정부의 재정 여건과 지출 여력을 투명하게 검증해 예상치 못한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업계를 중심으로 쏟아진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성장 부진에 허덕이는 디즈니+, '오리지널 콘텐츠'가 돌파구 될까

성장 부진에 허덕이는 디즈니+, '오리지널 콘텐츠'가 돌파구 될까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디즈니+ 월간 활성 이용자 수, 1년 만에 '반토막'
요금 할인·오리지널 콘텐츠 확충 등으로 활로 모색 나서
"양질의 콘텐츠만으론 경쟁 안 된다" OTT 시장의 새로운 흐름
disney_+_20240920

디즈니플러스(+)의 국내 시장 입지가 눈에 띄게 좁아지고 있다. 올해 선보인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줄줄이 흥행에 실패하며 이용자 수 이탈이 가속화한 결과다. 이에 디즈니+는 요금 할인, 오리지널 콘텐츠 라인업 강화 등 각종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디즈니+가 국내 OTT 시장의 본질적인 '흐름'을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미끄러지는 디즈니+

20일 시장분석업체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8월 디즈니+의 국내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285만 명에 그쳤다. 이는 업계 1위 넷플릭스(1,121만 명)는 물론 △티빙(783만 명) △쿠팡플레이(685만 명) △웨이브(441만 명) 등 여타 토종 OTT와 비교해도 상당히 부진한 수치다. 지난해 9월 ‘무빙’ 흥행으로 434만 명까지 증가했던 이용자 수가 1년 만에 절반 가까이 축소된 것이다.

디즈니+ 성장세 부진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킬러 콘텐츠'의 부재가 지목된다. 디즈니+는 지난해 하반기 오리지널(자체 제작) 드라마 무빙의 흥행으로 반짝 성장세를 보인 이후 △킬러들의 쇼핑몰(2024년 1월) △지배종(2024년 4월) △삼식이 삼촌(2024년 5월) △폭군(2024년 8월) 등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였다. 하지만 야심 차게 내놓은 오리지널 콘텐츠들은 줄줄이 흥행에 실패했다. 최근 공개한 코미디 드라마 강매강(2024년 9월) 역시 이렇다 할 시장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disney+_20240920
사진=디즈니+ 홈페이지

디즈니+의 '이용자 붙잡기'

수세에 몰린 디즈니+는 '반값 요금제' 등 파격적인 혜택을 앞세워 소비자를 유인하고 나섰다. 기존 9만9,000원에 판매하던 연간 요금제를 5만9,500원에 이용할 수 있게 한 대대적 할인이다. 월 요금 기준으로 환산하면 5,000원이 채 되지 않는 가격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 이는 넷플릭스·티빙의 광고 요금제(5,500원)보다도 저렴한 수준이다.

이용자의 발길을 붙잡기 위해 오리지널 콘텐츠 라인업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연내 무빙 작가 강풀의 차기작인 ‘조명가게’, 강남 이면의 사건을 쫓는 추격 범죄 드라마 ‘강남 비-사이드' 등이 대표적이다. 내년에는 △트리거 △넉오프 △하이퍼나이프 △나인 퍼즐 △파인 △북극성 △메이드 인 코리아 등 '스타 캐스팅'을 앞세운 다수의 신작이 줄줄이 공개될 예정이다.

OTT 업체들의 생존 전략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이 같은 디즈니+의 성장 전략에 대한 의문 어린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한 콘텐츠 업계 관계자는 "디즈니+가 오리지널 콘텐츠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과는 반대로, 최근 대다수 OTT 업체들은 오히려 오리지널 콘텐츠에서 힘을 빼는 추세"라며 "스포츠 중계 번들링(묶음 판매), 콘텐츠 다양화 등으로 경쟁력을 강화한 여타 OTT와 디즈니+가 동등한 입장에서 경쟁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디즈니+가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근 OTT 시장의 흐름을 보다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최근 다수의 국내 OTT 업체들은 '차별화' 전략을 앞세워 치열한 생존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일례로 쿠팡플레이는 2022년 한국프로축구(K리그) 온라인 중계권을 확보, 2025년까지 K리그 전 경기 중계 유치에 성공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MLB(메이저리그) 월드투어 서울 시리즈’와 ‘NFL(미국프로미식축구리그) 슈퍼볼’, ‘마스터스 토너먼트’ 등 다양한 종목의 스포츠 콘텐츠를 선보이며 스포츠 팬들의 이목을 사로잡기도 했다.

티빙은 지난 3월 2024~2026년 한국프로야구(KBO)의 모든 리그를 디지털에서 생중계할 수 있는 독점 권한을 확보했다. 탄탄한 국내 야구 팬덤을 이용자층으로 끌어들이며 스포츠 중계 경쟁에 본격 참전한 것이다. 차후 티빙은 올해 10월 개막하는 2024-2025 시즌부터 2027-2028 시즌까지 4년간 프로농구(KBL)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스포츠 중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웨이브는 △‘피의게임’ 시리즈 △‘남의 연애’ 시리즈 △국가수사본부 △악인취재기 △사상검증구역: 더 커뮤니티 △연애남매 등 화제성 높은 예능 프로그램들을 필두로 시장 영향력을 키워 나가고 있다. 중계권 확보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는 스포츠 중계 대신 비교적 비용 장벽이 낮은 예능 콘텐츠를 통해 경쟁력과 수익성을 확보하는 양상이다. 한 OTT 업계 관계자는 "스포츠와 예능 콘텐츠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는 드라마·영화보다 부담이 적고, 수요층이 비교적 탄탄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오리지널 작품 제작 경쟁은 끝물에 접어들었고, 콘텐츠 다변화 경쟁이 국내 OTT 시장에서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외식 업체 '이중 가격제' 논란 확산, "무분별한 수수료 인상 감행하는 배달 앱부터 규제해야"

외식 업체 '이중 가격제' 논란 확산, "무분별한 수수료 인상 감행하는 배달 앱부터 규제해야"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이중 가격제에 볼멘소리 쏟아내는 소비자들, 업체는 "어쩔 수 없다"
해외선 수수료율 제한하는데, 국내 배달 앱은 자의적으로 수수료 인상
무료배달 서비스 두고 플랫폼 간 '출혈 경쟁' 확대, 정작 비용 부담은 업주·소비자 몫
franchise_delivery PE_20240920

같은 메뉴라도 배달 앱 판매 가격을 매장 가격보다 비싸게 책정하는 '이중 가격제'를 도입하는 외식 업체가 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 업체들이 이중 가격제 적용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은 탓에 합리적인 소비 기회를 박탈당했다는 비판이다.

'이중 가격제' 도입 업체 확대 양상

20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최근 프랜차이즈·외식 업체를 중심으로 이중 가격제를 적용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를 살펴보면 현재 맥도날드의 대표 메뉴 빅맥세트의 배달 앱 판매 가격은 매장 판매 가격보다 1,300원 더 비싸다. 버거킹의 와퍼세트도 배달 앱과 매장 간 메뉴 가격 차이가 1,400원에 달하며, KFC 징거세트는 500원, 파파이스 클래식 치킨샌드위치세트는 800원 정도다. 커피 브랜드 중에서도 이중 가격제를 적용하는 업체가 늘었다. 대표적으로 메가MGC커피와 컴포즈커피의 마에리카노 배달 제품 가격은 2,000원으로, 매장 제품 가격 대비 500원 더 비싸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이중 가격제 운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배달 앱의 중개 수수료 인상 등으로 배달비 부담이 커진 탓이다. 현재 배달 앱 3사(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의 중개 수수료는 주문 금액의 9.7~9.8%에 달하며, 배달비는 1,900~2,900원 선이다. 업계 관계자는 "배달의민족 앱을 통해 2만원의 음식을 판매하면 가맹 점주는 중개 이용료(9.8%) 1,960원, 배달비 2,900원, 결제 정산 수수료(3%) 600원, 부가세 546원 등 6,006원을 지불해야 한다"고 구체적인 비용을 설명했다. 배달 앱을 이용하면 수수료만 판매가의 약 30%에 달하는 셈이다.

"이중 가격은 소비자 선택권 침해하는 것"

물론 가격 결정권은 프랜차이즈 업체나 점주에게 있다. 문제는 이중 가격제 시행을 사전에 알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볼멘소리가 거듭 쏟아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전 공지 없이 음식 가격에 배달비를 포함해 매장과 다른 가격에 판매한 것 자체가 소비자들의 '알권리'와 '선택권'을 침해한 행위란 것이다.

일부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업체의 경우 이중 가격제를 공지하고 있긴 하나, 여기서도 소비자의 불만이 적지 않다. 쉽게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의 작은 글씨로 '딜리버리 서비스 메뉴의 가격은 매장 가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라고 알리거나 앱 내 공지사항 버튼을 직접 클릭해야만 이중 가격제 시행 사실을 알 수 있게 해두는 경우가 많아서다. 일부 업체의 경우 이미 인상된 가격이 적힌 메뉴판을 올리기도 했는데, 이는 소비자원 권고를 제외하면 이중 가격제에 대한 법적 규제가 전무한 탓이다. SNS나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이중 가격제에 대한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BaedalMinjok_charge_PE_20240920

규제 사각지대 놓인 배달 앱, 수수료 인상도 제한 없어

논란이 커지자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선 "이중 가격제 자체를 규제하는 것보단 배달 플랫폼의 무분별한 가격 경쟁 및 수수료 인상부터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진다. 외식 업체가 이중 가격제를 채택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배달 플랫폼에 먼저 '핀포인트 규제'를 가해야 한단 것이다.

현행법상 배달 앱 수수료 인상은 규제가 없다. 배달 앱 3사가 수수료 인상 정책을 추진하고 적용하면 끝나는 구조다. 지난 8월 배달의민족이 아무런 제지 없이 수수료를 인상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해외에서 배달 플랫폼 수수료율 상한제를 통해 주문 가격의 일정 비율 이상은 배달 수수료로 책정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과 비교되는 지점이다.

배달 플랫폼의 과도한 '배달비 무료' 전략도 규제해야 할 폐단으로 지적됐다. 앞서 지난 3월 쿠팡이츠가 유료 멤버십인 와우회원을 대상으로 무료 배달 서비스를 개시하자, 요기요와 배달의민족도 덩달아 무료 배달 서비스를 내놓기 시작했다. 요기요는 앱 내 '요기배달'로 최소 1만5,000원 이상을 주문하면 음식을 무료 배송하겠다고 밝혔고, 배달의민족은 구독제 멤버십인 '배민클럽' 도입을 선언하며 맞불을 놨다.

이들 배달 플랫폼 간 배달비 경쟁은 고스란히 입점 업체들의 부담으로 이어졌다. 업계에 따르면 배달 플랫폼에서 '무료 배달' 가게가 되려면 가맹점주들이 각 배달 플랫폼을 대상으로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더 내는 새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 배민은 6.8%의 수수료에 더해 점주 부담 배달비 2,500~3,300원을 덧붙이는 '배민1 플러스'에 가입해야 하고, 쿠팡이츠는 9.8%의 수수료에 배달비 2,900원을 부담해야 하는 '스마트 요금제'에 들어야 한다. 요기요 역시 무료 배달 시 수수료율이 12.5%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이중 가격제는 배달 앱 중개 수수료 인상과 배달비 부담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라며 "경쟁 비용을 점주들에게 전가하는 배달 플랫폼의 악습을 뿌리 뽑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동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애플 제친 샤오미, 삼성전자 이어 스마트폰 판매량 2위 올라

애플 제친 샤오미, 삼성전자 이어 스마트폰 판매량 2위 올라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스마트폰 시장 부진 속 꾸준한 판매량 증가
중남미 등 주력 시장 경제 회복에 실적 호조
중저가폰 이어 프리미엄폰으로 영향력 확대
20240920_china_mi

샤오미가 삼성전자에 이어 월간 판매량 세계 2위에 올랐다. 애플은 샤오미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고 삼성전자는 1위를 수성했다.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중국 스마트폰의 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아이폰16 시리즈 출시 전 계절적 요인이 반영된 데다 샤오미가 '레드미'를 앞세워 판매량을 끌어올린 영향이 맞물린 결과다.

꾸준한 성장세, 올해 상반기 판매량 22% 급증

20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샤오미는 지난달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을 제치고 월간 판매량 2위를 차지했다. 샤오미가 월간 판매량을 기준으로 2위에 오른 것은 2021년 8월 이후 3년 만이다. 애플은 계절적 요인으로 판매량이 하락하며 2위에서 3위로 한 단계 내려앉았고 폴더블폰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강세를 보인 삼성전자는 1위를 유지했다.

애플은 통상 9월에 신제품을 내놓는 만큼 전달인 8월에는 연중 판매량이 가장 부진한 실적을 나타낸다. 올해도 아이폰16 시리즈 출시를 앞두고 계절적 침체를 겪은 영향이 크다. 이에 반해 샤오미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샤오미 역시 계절적 요인의 영향으로 주요 시장에서 판매량이 하락했지만, 중남미 등에서의 프로모션 전략이 판매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시장 대비 높은 실적을 달성했다.

샤오미는 올해 상반기까지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공급망의 문제를 겪었으나, 상품과 판매, 유통 전략을 수정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공격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에 최근 1년간 샤오미의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샤오미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2%나 급증하며 유일하게 점유율을 늘렸다. 해당 기간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5% 증가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세다. 

가격 경쟁력 갖춘 중저가폰으로 신흥시장 공략

전문가들은 샤오미의 성공 배경으로 가격대별 플래그십 모델을 구축하는 간결한 제품 전략을 꼽는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프리미엄폰과 보급형폰으로 양분된 상황에서 지역과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과 제품을 출시해 기존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면서도 새로운 시장으로의 확장을 지속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20만~30만원대 저가형 스마트폰의 매출이 꾸준한 성장하는 가운데 샤오미가 최대 수혜를 입은 것으로 분석한다. 2분기 저가형 스마트폰 시장은 판매량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성장하면서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 37%의 비중을 차지했다. 모델별 판매량을 보면 샤오미의 스마트폰이 각각 1위, 4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2위와 3위는 삼성전자가 차지했다.

이렇게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중저가폰 시장의 강자로 등극한 샤오미는 나아가 신흥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그동안 샤오미는 인도, 라틴아메리카,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MENA)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높여왔는데 해당 지역 대부분이 지난해부터 경제가 회복하면서 중저가폰 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올해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지역은 중남미로 2분기 샤오미의 중남미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 늘었다.

프리미엄 시장 공략에도 적극적이다. 중국 내수 시장에서는 애국 소비의 열풍 속에 자국 업체들과의 경쟁하며 성장하고 있고 중저가폰의 수요가 강세를 보이는 신흥시장에서도 최근 고가의 스마트폰 매출이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스마트폰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올해 초에는 AI 기능을 포함한 '샤오미14 울트라'를 글로벌 시장에 공개한 데 이어 7월에는 최신 폴더블 스마트폰 '믹스 폴드4'와 '믹스 플립'을 공개했는데 폴드4는 접었을 때 두께가 9.47㎜로 삼성의 최신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6'보다 얇은 것으로 전해진다.

그간 애플과 삼성전자의 유사 제품을 내놓으며 쫓아오는 입장이던 샤오미가 중저가 보급형 모델에 이어 프리미엄 모델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애플은 물론 1위 삼성전자의 턱밑까지 따라왔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 일본에서는 2분기 삼성전자를 제치고 점유율 3위에 올랐다. 2분기 샤오미의 일본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359% 증가한 데 반해 삼성전자는 출하량이 39% 급감하며 5위에 그쳤다. 

20240922_iphonepro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6/사진=애플

아이폰16, 사전 주문 13% 감소하며 저조한 실적

반면 애플은 신제품 아이폰16이 저조한 사전 판매 실적을 보이면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18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은 대만 티에프(TF)인터내셔널증권의 보고서를 인용해 아이폰16 시리즈의 사전 주문 판매량이 약 3,700만 대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이는 사전 주문 시작 이후 첫 주말까지 포함한 지난 13~15일 실적으로,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15의 같은 기간 판매량보다 13%가량 적다.

특히 고가 모델인 프로 시리즈의 판매량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 인텔리전스'가 제공되지 않은 것이 판매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올해 공개된 애플의 자체 AI 시스템으로, 완성된 버전은 내년에나 아이폰에 적용될 전망이다.

이 같은 애플의 부진은 이미 올해 초부터 지표로 드러나고 있다. 올해 1분기 애플의 매출과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 2% 감소했다. 전체 매출에서 절반가량의 비중을 차지하는 아이폰의 부진이 실적 하락의 원인이 됐다. 이 기간 아이폰 매출은 459억6,000만 달러(약 61조원)로 10% 이상 감소했다. 중국 시장에서 현지 업체와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판매량이 19.1% 급감한 영향이다. 애플은 이어진 2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선전했지만, 아이폰의 매출 감소와 중국 시장에서 부진은 여전했다.

20240922_hawei
세계 최초 삼단 폴더블폰 화웨이의 메이트XT/사진=화웨이

1위 삼성전자는 AI·폴더블폰 시장 수성에 주력

한편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수성한 삼성전자는 AI폰과 폴더블폰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초 '세계 최초 AI폰'으로 갤럭시 시리즈를 출시한 삼성전자는 지난 7월 출시된 갤럭시 Z폴드·플립6 시리즈에도 갤럭시AI를 적용하면서 AI 스마트폰 시장의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연말까지 2억 대의 갤럭시 모바일 기기에 AI 기능을 탑재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하지만 폴더블폰 시장에서는 중국에 무서운 속도로 추격당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의 점유율 1위는 화웨이(35%)로 삼성전자(23%)보다 12%포인트 높았다.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폴더블폰 점유율 1위를 내준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적인 면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성과를 보이며 삼성전자를 위협하고 있다. 세계 최초의 삼단 폴더플폰도 중국에서 나왔다. 지난 10일 출시한 화웨이의 트리플폴드폰 '메이트XT'는 4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임에도 자국 기업의 신기술을 사용하려는 내수 소비만으로 500만 명의 고객을 끌어모았다.

양쪽으로 조여오는 경쟁 상대에 맞서 삼성전자는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 간격을 점점 좁히고 있다. 삼성전자는 일반적으로 1분기 갤럭시 S시리즈, 3분기 갤럭시 Z시리즈를 선보이며 1년에 두 번 플래그십 모델을 출시했지만, 올해는 10월 중 플래그십 모델과 준플래그십 모델을 한 가지씩 더 추가할 예정이다. 전작인 갤럭시 S23 FE가 지난해 12월에 출시됐던 것과 비교하면 일정이 약 두 달 앞당겨진 셈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