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딥시크 쇼크에 네이버도 분주하지만 “AI 전쟁 치를 인재 없어”

딥시크 쇼크에 네이버도 분주하지만 “AI 전쟁 치를 인재 없어”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한경협, 네이버 신규 회원사로 가입 승인
국회 과방위, 네이버 본사 방문해 정책 지원 약속
AI 전문가 없는 네이버, 전략적 리스크 확대

그간 마이웨이를 고수해 온 네이버가 정·재계와 교류를 확대하고, 창업주가 일선에 복귀하는 등 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변화의 배경엔 오픈AI, 딥시크 같은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업들에 ‘뒤처졌다’는 위기감이 자리하는데, 당초 이런 위기감이 국내 시장 지위에 안주해 AI 기술 선점 골든타임을 놓친 데서 비롯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네이버, ‘규제 완화’ 지원 세력 확보

24일 IT업계에 따르면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지난 20일 정기총회를 열고 네이버의 신규 회원사 가입 안건을 승인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한경협으로부터 협회 가입 요청을 받았지만 이를 거절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자발적으로 한경협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다.

앞서 지난 19일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10여 명의 국회의원들이 네이버 본사를 방문하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이들은 ‘AI G3(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네이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여야 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에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국회 과방위 의원들에게 “(지난 11일 파리 AI 정상회의에서) 밴스 미국 부통령이 유럽연합(EU) 디지털 서비스법 같은 규제를 언급하며 미국 기업에 부담이 된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며 “기업인 입장에서 매우 절박하고 중차대한 시기에 서 있다고 생각한다.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도록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규제보다는 AI 산업 진흥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 IT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재계와 담을 쌓고, 정치권과도 교류가 없었던 네이버가 갑자기 달라진 것 같다”며 “다음 달 창업주인 이해진 전 의장의 복귀를 앞두고 네이버가 규제 해소를 위한 정·재계 지원 세력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GPU 부족하자 파라미터 줄인 고육지책

네이버는 지난 2021년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거대언어모델(LLM) AI 모델 ‘하이퍼클로바’를 공개했고, 이후 2023년 8월 업그레이드 버전인 ‘하이퍼클로바X’를 내놨다. 하지만 오픈AI의 챗GPT, 딥시크의 R1, 구글의 제미나이 같은 글로벌 생성형 AI 모델의 성능에는 한참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엔비디아의 H100 같은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부족으로, 막대한 파라미터(매개 변수) 데이터 처리가 불가능해 AI 성능 고도화에 뒤처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내기 위해선 10만 개 이상의 H100이 필요한데, 국내에 확보된 H100은 2,000개 정도에 불과하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1만 개 이상의 H100을 국내에 확보하겠다는 대책을 발표했지만, 오픈AI나 딥시크와 경쟁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여기에 인재 확보도 부족한 상황이다. 올해 국내 AI 분야 인재가 1만5,000여 명 부족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네이버 내부에서도 연구자들의 국내 복귀를 돕기 위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한계를 뒤집기 위해 네이버는 H100 의존도를 줄이는 쪽으로 하이퍼클로바X의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최근 업데이트된 AI 모델의 특징은 파라미터 수를 기존 대비 40% 수준으로 줄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처리량이 급감해 H100 같은 첨단 GPU 없이도 원활한 운영이 가능해졌다. 운영 비용도 기존 대비 50% 줄었고, 속도와 성능도 개선됐다.

이에 힘입어 네이버는 서비스 전반에 걸쳐 AI를 활용하는 ‘온서비스 AI(On-service AI)’를 본격 구현한다는 목표다. 최 대표는 지난 7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중국발 딥시크가 후발 주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투자로도 선도업체를 추격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줘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환경 변화와 사업 전개 속도가 빨라지는 흐름 속에서 네이버 역시 비용 효율 등에서 이점을 누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전체 변화의 속도가 앞당겨졌다고 생각하며 선도업체와 기술 격차가 벌어지지 않으면서 네이버만의 서비스에 최적화된 AI를 만들어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카카오

中 '딥시크'가 공개한 기술적 노하우 활용해 추격한다?

다만 네이버의 기술 격차 포부 속에는 자체 기술 개발에 대한 구상은 없고 딥시크 등 경쟁 기업의 기술 활용만 담겨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지난 18일 열린 ‘바람직한 인공지능 정책 대응 토론회’에서 자체 추론형 AI 모델을 준비해야만 독일·프랑스·일본 등 국가와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을 것이라며 투자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딥시크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기술적 노하우를 활용하면 수조원에서 십수조원 규모만 투자하더라도 ‘씽킹(추론 기반) AI’ 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파라미터 수를 줄이면 AI 성능 고도화 경쟁에서 글로벌 업체들과의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과기정통부 장관을 지낸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네이버의 최근 AI 모델 업데이트는 GPU 부족 속에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다만 파라미터 수를 줄이면 AI 성능 고도화 측면에선 오픈AI나 딥시크와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IT 전문가인 이 전 의장이 다음 달 경영 일선에 복귀할 예정이지만, AI 전문가가 없는 네이버 이사회도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총 7명의 등기이사 중에는 AI뿐 아니라 기술 전문가도 부재한 상황이다. 그나마 이 전 의장이 복귀하면 기술 분야에서 의사결정이 용이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AI 전문가가 없다는 점은 여전히 약점으로 꼽힌다.

AI 인재가 없기는 카카오도 마찬가지다. 이에 카카오는 아예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협업에 나섰다. 오픈AI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것은 국내에서 카카오가 처음이다. 카카오와 오픈AI는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AI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과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檢 '묻지마 기소'에 '기계적 상고' 늘어, 韓 기업 사법 리스크 장기화 우려

檢 '묻지마 기소'에 '기계적 상고' 늘어, 韓 기업 사법 리스크 장기화 우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이재용 회장 상고에 검찰 기소 관행 도마 위
검찰의 무리한 기소로 무죄율 2배가량 늘어
불필요한 구속수사 많고 형사보상금도 증가

검찰이 기소한 사건 중 1·2심 모두 무죄가 선고되는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속수사를 받았던 피의자가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가 선고돼 지급받는 형사보상금의 규모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는 검찰의 부실한 수사와 무리한 기소가 낳은 부작용이다. 실제 무죄율의 증가에도 검찰의 기계적 항소·상고 관행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검찰이 1·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 합병·회계 부정' 사건을 대법원에 상고를 결정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1·2심 무죄 건수, 최근 5년간 최대치 기록

24일 대검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심 전부 무죄가 선고된 건수가 3,823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1년 2,182건 △2022년 2,123건 △2023년 2,699건으로 특히 지난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무죄 건수는 △1심 5,732건 △2심 1,044건으로 최근 5년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무죄율은 1심과 2심이 각각 0.91%, 1.36%로 집계됐다.

무죄율이 높아졌음에도 2022년부터 2024년까지 1·2심 전부 무죄가 나온 사건을 검찰이 상고한 사례는 평균 257건으로 3년 연속 200건을 넘어섰다. 상고율은 △2022년 13.04% △2023년 10.26% △2024년 5.70%으로 하락했는데 이는 1·2심 전부 무죄가 선고된 건수가 늘어나 분모가 커진 데 따른 착시 효과다. 무죄율은 검찰의 수사 실력과 직결되는 지표로 평가된다. 1% 안팎의 무죄율은 얼핏 낮아 보이지만, 10년 전 1심 무죄율이 0.58%였음을 고려하면 2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2000년 이전에는 무죄율이 0.5%보다도 낮았다. 이웃 일본의 경우 형사사건 무죄율이 0.1%에 불과하다.

검찰의 기소·항소·상고에도 최종 무죄가 확정된 피의자에게 지급하는 형사보상금은 전년 대비 26억원 증가하며 90억원에 육박했다. 이에 대해 한 법조계 관계자는 "형사보상금이 늘었다는 것은 무죄율이 높아졌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검사의 공소 제기에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한다"며 "굳이 구속할 필요가 없는데도 검찰이 무리하게 구속수사를 한 사례도 많았다"고 지적했다.

檢, 심의위 열어 '1·2심 무죄' 이재용 상고

최근에는 검찰이 이재용 회장에 대한 '부당 합병·회계 부정' 사건을 대법원에 상고하기로 하면서 검찰의 무리한 기소와 기계적 상고에 대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지난 2020년 9월 검찰은 이 회장을 부정거래 행위·시세조종, 업무상 배임 등 19개 혐의로 기소했다. 이 사건은 지난해 2월 1심에서 무죄가 선고된 데 이어 지난 3일 2심에서도 무죄가 선고됐다. 그러나 지난 7일 서울중앙지검은 형사상고심의위원회를 열어 이 회장과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 등 14명의 피고인에 대한 상고를 결정했다.

형사상고심의위원회는 1심과 2심 모두 무죄가 선고된 형사사건에 대해 검찰이 상고를 진행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외부 전문가와 함께 검토·심의하는 제도다. 이날 심의위에는 변호사, 교수 등 전문가 등 외부위원 6명이 참석했으며, 해당 사건을 담당하는 검사 4명이 출석했다. 검찰 측은 "1·2심 간에도 주요 쟁점에 관해 판단을 달리했다"며 "지배권 승계 작업과 분식 회계를 인정한 이전의 판결과도 배치되며 관련 소송이 다수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상고 필요성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이 회장에 대한 상고 기한 만료를 앞두고 일각에서는 검찰이 상고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16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이 회장에 대한 수사와 구속, 재판이 장기간 이어지는 상황에서 재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산적한 경영 현안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검찰이 재판부 결정을 존중해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를 해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검찰이 상고를 결정하면서 삼성 역시 당혹스러운 모습이다. 다만 대법원 재판은 서류로 진행되는 법률심으로, 이 회장이 직접 재판장에 갈 필요는 없어 업무 공백은 최소화될 것으로 보인다.

공소권 남용으로 기업의 경영 활동 위축시켜

이 회장의 '부당 합병·회계 부정' 사건은 기소 단계에서부터 무리한 기소라는 비판이 있었다. 실제로 기소 3개월 전인 2020년 6월 대검찰청 수사심의위원회가 이 사건에 대한 수사 중단과 불기소를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수사를 담당했던 이복현 당시 경제범죄형사부 부장검사(현 금융감독원장)는 기소를 강행했다. 이 원장은 2심에서도 이 회장에 대한 무죄가 선고되자 지난 6일 "기소 논리가 법원을 설득할 만큼 충분하고 단단히 준비돼 있지 못했다는 점에서 국민께 사과드린다"며 입장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적극적 공소와 무리한 공소는 구분해야 한다"며 "검찰의 공소권 남용은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뿐 아니라 개인과 기업의 정상적인 활동을 위축시킨다"고 지적한다. 삼성의 경우, 검찰이 10년 가까이 이 회장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면서 기업의 정상적인 의사 결정이 지연됐고, 결국 반도체 등 핵심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는 원인이 됐다. 더욱이 피의자가 무죄를 선고받아도 검사는 사실상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이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무리한 기소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검사 평가제도 등의 견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검찰의 무리한 기소를 막기 위한 다양한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예비 청문 절차를 통해 기소의 타당성을 사전에 검토하며, 영국에서는 '풀 코드 테스트'라는 기준을 적용해 증거와 공익성을 모두 충족해야 기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일본의 경우 검찰심사회라는 기구를 통해 검찰의 기소 결정을 견제하는 제도를 운영 중이다. 한국도 이를 참고해 검찰의 기소 과정에 대한 객관적인 검토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 의견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 대통령직과 바꿀 수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 대통령직과 바꿀 수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 요구하며 '강수'
"우크라 나토 가입은 직접적 위협" 러는 반대 의견 고수
트럼프, 취임 전부터 러시아 손 들어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한다면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 러시아가 사실상 우크라이나를 배제하고 종전 협상을 시작한 가운데, 나토 가입을 '레드 라인'으로 내건 셈이다. 이에 러시아 측은 결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젤렌스키, 재차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 요구

23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 AFP 등 외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에 평화가 온다면, 내가 정말 이 자리에서 떠나기를 바란다면 나는 준비돼 있다"며 "조건이 즉시 제공된다면 나토와 그것(대통령직)을 바꿀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유럽을 사실상 배제한 채 러시아와 종전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 “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단순한 중재자가 아니라, 우크라이나를 위한 강력한 파트너가 돼주길 바란다”며 “중재 그 자체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언급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내 입장을 이해하기를 바란다“며 ”러시아로부터 스스로 방어할 수 있도록 안보를 보장해 달라”고 했다.

그는 본인의 '대통령 자격'과 관련한 비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젤렌스키 대통령을 ‘선거를 거부하는 독재자(dictator without elections)’라고 비난했다. 우크라이나가 전시 계엄령으로 인해 대통령 선거를 치르지 못했다는 점을 문제 삼은 것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정식 임기는 지난해 5월 이미 종료된 상태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는 “(내가) 진짜 독재자였다면 기분이 상했겠지만, 나는 독재자가 아닌 합법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이라며 "개의치 않는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절대적으로 '가입 반대'

우크라이나 측이 자국의 나토 가입 필요성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가운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앞서 러시아는 2022년 2월 24일 우크라이나 침공을 감행했을 당시에도 나토의 동진(東進)과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저지를 ‘특별 군사작전’의 명분으로 삼은 바 있으며, 미국과의 종전 협상이 본격화한 최근까지도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가능성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지난 18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등 미 대표단과 회동한 뒤 기자회견에서 "나토의 확장과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러시아 연방의 이익과 주권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나토 회원국의 군이 배치되는 것은 그들이 어떤 국기를 달고 있더라도 러시아에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나토의 유럽 회원국 사이에서는 종전 뒤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해 안보를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종전 협상의 핵심 쟁점이 된 나토는 1949년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등 12개국이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전후 옛 소련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기 위해 출범했다. 1955년 옛 소련은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 군사 동맹체인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창설해 나토에 대응했으나, 1991년 소련 붕괴 후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 중 상당수는 나토 회원국이 됐다. 이와 관련해 한 외교 전문가는 "옛 소련 연방이 해체되기 직전까지만 해도 폴란드 등은 옛 소련과 동맹국이었다"며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할 경우, 러시아는 사실상 뒷마당 취급하던 우크라이나를 재차 나토에 '뺏기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러시아 입장에 공감한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아닌 러시아의 편에 섰다. 그는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었던 지난달 7일 자신의 저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가장 큰 문제는 러시아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이전부터 오랫동안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고 말해 왔다는 것”이라며 “(이 같은 주장은) 마치 돌에 새겨진 것과 같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런데 그 뒤로 어딘가에서 조 바이든이 ‘아냐, 우크라이나는 나토에 가입할 수 있어야 해’라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면) 러시아는 바로 문 앞에 누군가를 들이는 셈이 된다”며 “나는 그들이 느낄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러시아가 나토의 세력 확장을 자국에 대한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여기는 현 상황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에도 이 같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지난 13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푸틴 대통령이 취임하기 훨씬 전부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며 "사실 나는 그것(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과 관련한 이견)이 전쟁 시작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나는 (종전 협상을) 그러한 관점에서 시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더 나은 조건을 협상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 수 있다면 나도 좋다"며 "하지만 나는 정말로 (조건에) 상관하지 않고 그 유혈 전쟁이 멈추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협상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말하기는 아직 너무 이르며, 러시아가 많은 것을 포기할 수 있고 포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러시아는 결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수용할 수 없다고 들었다"고 짚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반도체 경기 재채기에 부동산 '감기몸살', 반세권 집값 뚝뚝

반도체 경기 재채기에 부동산 '감기몸살', 반세권 집값 뚝뚝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반세권' 뜨던 평택, 반도체 특수 어디로
입주 한참 됐는데 집집마다 텅텅
반도체 벨트마저 '빈집 벨트'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야경/사진=평택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으로 관련 산업 수혜 효과를 누리던 경기 평택시 등 남부지역 아파트값이 지속해서 내리고 있다. 반도체 업황 불황에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이 겹치면서 낙폭이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평택 아파트값, 한 주 새 0.25% 하락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평택시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주 대비 0.25% 하락하며 경기도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이전 주까지는 광명시보다 하락 폭이 덜했지만 한 주 새 낙폭이 더 벌어진 것이다. 지난해 평택 아파트값은 2.93% 하락했다. 2023년에도 4.89% 떨어진 것을 고려하면 가격 하락 폭이 이어지는 셈이다.

평택시 고덕동의 '고덕국제신도시파라곤에듀포레'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5억4,900만원(17층)에 손바뀜이 일어났다. 지난해 1월에는 같은 주택형이 5억9,000만원(4층)에 거래가 이뤄진 것을 고려하면 다소 조정된 가격이다. 2023년 8월 6억6,800만원(15층)에 최고가와 비교하면 1억원 넘게 내렸다.

같은 고덕동의 '호반써밋고덕신도시'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6억3,000만원(18층)에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같은 주택형이 지난해 4월 7억4,000만원(17층)에 거래된 것을 고려하면 역시 1억원 이상 내렸다. 지난 2023년 9월 8억2,500만원(15층)에 거래돼 최고가에 손바뀜된 사례와 비교할 때 약 2억원이나 낮은 가격이다.

반도체 불황에 직격탄

평택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반도체 공장이 위치해 실수요가 모일 것으로 기대됐던 곳이었다. 광역급행철도(GTX)가 지나면서 수혜가 예상된 지역이기도 하다. 더욱이 평택은 고덕국제신도시의 조성으로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고덕국제신도시는 평택시 고덕동 일대에 1,341만여㎡(약 406만 평) 규모로 첨단 산업, 주거, 상업, 교육이 융합된 도시로 조성하고 있다. 이에 아파트 공급이 줄을 이었지만,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실적 저조로 평택 반도체 공장이 일부 가동을 중단하고 부동산 경기가 침체로 돌아서면서 현재 공급 과잉으로 직격탄을 받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평택시의 아파트 분양 물량은 1만4,275가구다. 지난 2020년부터 매년 1만 가구 이상 공급하면서 지난해까지 5년간 누적 공급 물량은 6만1,418가구에 달한다. 분양이 늘면서 입주 물량도 꾸준해 지난해는 6,689가구가 입주를 완료했고 올해는 1만663가구가 입주 예정에 있다. 오는 2026년과 2027년에는 각각 7,581가구, 1만1,211가구가 입주할 것으로 추산된다.

경기도 평택 고덕산업단지 내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사진=평택시

미분양 적체 비명

이런 공급 과잉에 미분양도 치솟고 있다. 특히 평택의 미분양 규모는 경기도 내에서도 많은 편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평택시의 미분양주택은 지난 12월 말 기준 4,071가구로 전년 동월(430가구)보다 9.5배 가량 증가했다. 이에 지난해 말 기준 경기도 전체(1만2,954가구) 미분양 주택의 31.4%를 차지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평택은 반도체 산업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평택은 공급됐던 아파트의 분양가가 높아지면서 경기도 내에서 미분양이 많은 지역 중 하나가 됐다"며 "신축 아파트가 주인을 찾지 못한다는 것은 주택 수요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는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평택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마이너스 프리미엄(마피)이 붙은 분양권도 속속 나온다. 평택 현덕면에 있는 A공인중개소 대표는 “분양가보다 2,000만~4,000만원 낮춘 마피 물량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아직 최고가 대비 70%를 회복하지 못한 아파트 단지에서도 직전 실거래가보다 매도 호가를 낮춘 물량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향후 부동산 경기 회복 시점이 오면 경기도 남부에서도 호재가 많은 빅5 지역과 평택·이천·오산 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평택 내에서도 고덕·지제 지역은 상승하고 화양지구가 있는 서평택은 침체하는 등 반도체벨트 내에서도 지역별 세분화, 파편화 현상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동아시아포럼] 중국, 전면전 피해 ‘핵심 광물’ 통한 전략적 대응

[동아시아포럼] 중국, 전면전 피해 ‘핵심 광물’ 통한 전략적 대응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중국, 핵심 광물 수출 규제로 미중 갈등 심화
압도적 보유량으로 미국 및 동맹국 공급망 위협
무역 규제가 ‘혁신과 적응’으로 이어지기도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중국이 갈륨과 게르마늄 등 핵심 광물에 대한 수출 규제를 시행한 것은 천연자원을 지정학적 갈등에 활용하는 오랜 전략의 일환이다.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국방 기술 등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 규제는 미중 무역 전쟁의 수위를 더욱 높이고 있다. 미국이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에 나서자 중국 역시 반도체 핵심 소재인 주요 광물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에서 존재감을 확인시키는 전략적 대응으로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동아시아포럼

중국, 미국 무역 규제에 핵심 광물 수출 금지로 ‘맞불’

각국 정부들이 자국 산업과 천연자원, 환경 보호를 내세워 수출 규제를 합리화하는 경우가 많지만 대부분은 전략적 목적하에 이뤄진다.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출 규제는 이제 강력한 지정학적 도구가 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백신과 의료 장비에 대한 규제나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에 대응해 에너지 수출을 제한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2021~2023년 기간 각국 정부들이 실시한 수출 규제는 연간 110건이 넘었다.

중국이 작년 12월 실시한 미국에 대한 핵심 광물 수출 규제는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이다. 현대 기술 산업에서의 필수불가결성으로 볼 때 해당 광물들은 미중 경제 대결의 핵심 협상 카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2009~2020년 기간 핵심 원자재에 대한 글로벌 수출 규제는 5배나 증가해 13,102건에 이르렀다. 어찌 됐든 이번 중국의 조치는 이미 수년간의 갈등으로 경색된 미중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중국 압도적 광물 보유량, “언제든 공급망 와해 가능”

중국이 핵심 광물의 본거지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전 세계 게르마늄의 60%, 갈륨의 80%, 안티몬(antimony)의 78%를 생산하는데, 모두 군사 장비부터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까지 필수 원료로 사용된다. 중국이 수출 규제로 글로벌 공급망을 흔들면 미국과 우방국들은 서둘러 대체재를 찾아 나설 수밖에 없다.

또한 중국이 핵심 광물을 활용해 무역 갈등에 전략적으로 대응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도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1기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했을 때 중국은 군사 장비, 정보기술, 청정에너지 생산 원료에 대한 수출 규제로 맞선 적이 있다. 2018년 미국이 중국 업체 화웨이와 ZTE의 통신 장비 수입을 금지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상호 제재는 두 나라에 경제적 부담과 함께 국가 안보상의 우려도 발생시킨다. 이에 바이든(Biden) 행정부는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생산 기지 우방국 이전 및 생산)으로 맞섰다. 핵심 광물에 대한 중국 공급망 의존을 줄이기 위해 우방국들과 힘을 합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이 핵심 자원을 독점하다시피 한 상황에서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2006년과 2010년의 상황을 되돌아보면 짐작할 수 있다. 당시 중국은 국방 기술과 청정에너지, 전자 제품 등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물(rare earth mineral) 수출 규제를 시행했는데 중국이 자원을 독점하던 상황에서 미국과 일본, EU는 공급망 차질에 대한 취약성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2012년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로 대응했고 2년 후 WTO 결정으로 중국은 수출 규제를 풀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서구 국가들에 비상 신호로 작용해 이후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중국 의존을 줄이게 된다.

하지만 2023년에도 중국은 24만 톤의 희토류를 생산해 압도적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당시 2위인 미국 생산량 43,000톤과 비교도 되지 않는다. 매장량 또한 2023년 말 기준 4,400만 톤으로 추정돼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서구와 우방국들이 채굴 및 정련 시설을 늘려 왔으나 중국의 공급망 장악은 굳건하다.

중국 얕잡아 보면 “큰코다칠 수도”

물론 무역 갈등과 규제는 혁신과 적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중국 공급망이 끊긴 미국 기업들은 대체 광물과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가격이 212%나 오른 갈륨 등의 광물 생산을 위해 신규업체들이 광업 분야에 뛰어들어 중국 독점에 도전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 수출을 규제하자 중국의 화웨이 역시 자체 부품을 개발해 ‘메이트 60 프로’(Mate 60 Pro) 스마트폰 모델을 만들기도 했다. 또한 2023년 애플의 iOS와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운영 체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자체 운영 체제를 개발하기도 했다.

향후 미중 무역 관계는 보다 큰 위험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전면적 관세를 예고한 후 이미 시행에 들어갔으며, 중국의 시진핑 주석도 중국의 경제적, 기술적 자주성을 내세우며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미국의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이 경제 성장 둔화와 인구 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중국은 지속적인 기술 발전으로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중국 기업 딥시크(DeepSeek)가 서구 기업들로서는 말도 안 되는 비용으로 개발한 인공지능만 봐도 알 수 있다. 중국을 얕잡아 보는 순간 오판이 시작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원문의 저자는 키스 M 록웰(Keith M Rockwell) 힌리치 재단(Hinrich Foundation) 선임 연구원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How China is weaponising its dominance in critical minerals trade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테크] 미국 기술 기업 근로자들, “연봉 깎여도 집에서 일할래요”

[딥테크] 미국 기술 기업 근로자들, “연봉 깎여도 집에서 일할래요”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미국 정규직 근로자 41% ‘원격 근무’
기술 기업 근로자, 원격 근무 위해 “연봉 25% 희생 가능”
인재 영입 위해 ‘부가 혜택’으로도 활용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중요성이 커진 원격 근무가 이제는 임금 협상 자리에서도 주인공이 되고 있다. 최근 미국 조사에 따르면 정규직 근로자의 41%가 부분적 또는 완전한 원격 근무 형태로 일하고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미국 기술 산업 전문 직종의 경우 원격 근무를 할 수 있다면 동일 조건의 대면 근무에 비해 25%까지 임금 삭감을 감수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작 기술 대기업들은 동급의 대면 업무보다 원격 근무에 연봉을 더 할애하고 있다.

사진=CEPR

원격 근무 위해 “연봉 25% 희생 가능”

최근 원격 근무 근로자들이 대폭 늘었다. 미국 정규직 근로자의 11.8%가 완전한 원격 근무로 일하고 있으며 29%는 원격 근무가 혼합된 형태로 근무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수치는 직원들이 얼마나 원격 근무를 원하며 이러한 선호도가 임금 책정에서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최근 1,396명의 기술 기업 근로자들의 채용 제안을 분석한 연구는 직원들의 직업 선택 양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평균 연령 32세에 7년의 경력을 지닌 이들이 고민하는 채용 제안에 포함된 평균 연봉은 239,000 달러(약 3억5천만원)에 이르며 구글, 메타, 애플 등 대기업의 소프트 엔지니어, 제품 관리자, 데이터 분석자를 포함한다. 또한 제안 중 81.7%가 원격 근무 일자리로 기술 산업 분야가 유연 근무제에 개방적임을 보여준다.

원격 근무의 가치를 수치화하기 위한 방법은 조사 대상자들이 일자리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고용주 평판, 기업 유형, 복리후생, 직장 위치 등의 중요도를 평가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특정 요소가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호 작용을 고려했다.

그렇게 해서 얻어진 결론은 직원들이 원격 근무를 위해 총연봉의 25%를 희생할 용의가 있다는 것이다. 해당 수치는 이전 연구들이 밝혀낸 5~10%보다 훨씬 높은 놀라운 결과다.

미국 기술 대기업은 원격 근무자 연봉이 “오히려 높아”

구체적으로 이전의 연구들은 주당 2~3일의 원격 근무가 주어진다면 7%의 연봉 삭감을 받아들일 수 있고 완전한 원격 근무 형태라면 10%까지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했었다. 차이 원인으로는 이번 조사 대상이 대부분 고연봉자이고 원격 근무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기술 산업 전문 직종에 근무한다는 점을 감안할 수 있다.

또한 조사 방법의 차이도 있을 수 있다. 기존 설문 조사에서는 조사 결과가 고용주들이 낮은 임금을 합리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될까 우려한 응답자들이 본인의 의사를 줄여 말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점을 감안한 조사 업체가 원격 근무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했을 수도 있다.

어쨌든 근로자들이 원격 근무를 위해 낮은 보상을 받아들일 용의가 있기 때문에 원격 근무를 동반하는 일자리는 임금을 적게 줘도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가정임은 확실하다. 하지만 레벨 파이(Levels.fyi, 기술 기업 보상 관련 정보 제공 플랫폼)의 임금 자료를 분석한 연구는 이에 대한 반론을 던진다.

동일 기업 내에서 직종, 위치, 경력 등이 비슷한 근로자들을 비교해 봐도 원격 근무자와 사무실 근무자 간 연봉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원격 근무자들의 연봉이 동일 조건의 사무실 근무자들보다 1.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대기업 영향력, 타 산업에도 미칠 듯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도 몇 가지가 있다. 먼저 기업들이 공정성 문제를 포함한 법적 이슈를 두려워해 원격 근로자와 사무실 근로자 간 임금 차이를 만들지 않았을 수 있다. 한편 여성들이 원격 근무를 더 많이 선호하는 경향으로 볼 때 원격 근무자 연봉을 줄일 경우 원치 않게 남녀 간 임금 격차가 벌어지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또 하나의 가정은 기업들이 원격 근무를 연봉의 대체재가 아닌 부가 혜택으로 인재 유치에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는 원격 근무제가 비교적 최근에 생긴 제도인 만큼 기업들의 임금 책정 방침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아 일시적인 차이가 생긴 것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아직은 회사들이 원격 근무 방침을 정비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보상 체계도 이에 맞추어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 직원들이 원격 근무에 지속적으로 높은 가치를 둔다면 고용주들이 이를 인재 영입의 수단으로 활용할 여지는 커진다. 더 많은 자료 분석이 가능해진다면 실제로는 원격 근무자들의 연봉이 더 낮은 것으로 밝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 알 수 있는 것은 기술 대기업들이 원격 근무의 가치를 인정하고 높은 보상 수준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의 영향력을 감안할 때 타 산업들의 근무 형태에 줄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원문의 저자는 조이 컬런(Zoe Cullen) 하버드 경영대학원(Harvard Business School) 조교수 외 2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Home sweet home: The value of remote work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딥폴리시] ‘미국 혁신’ 뒷받침한 연방정부 연구개발 지원

[딥폴리시] ‘미국 혁신’ 뒷받침한 연방정부 연구개발 지원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정부 지원 연구개발, ‘미국 혁신의 원천’
신규 자료 통해 정부 특허 및 연구개발 지원 현황 공개
정부 지원 결과물의 ‘공공성’ 대 ‘민간 활용’ 논쟁은 진행 중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미 연방정부가 자금 지원하는 연구개발은 수 세기간 혁신의 주춧돌 역할을 해 왔지만 지원 수준과 구성은 시대에 따라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최근 새롭게 편찬된 자료는 1900~2020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정부 자금에 의해 출원된 특허 정보를 추가로 제공해 미 정부의 특허 정책과 공공 부문 연구개발 지원의 양상을 자세히 들여다볼 기회를 제공한다.

사진=CEPR

미 정부 연구개발 지출,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 ‘주춧돌’

제2차세계대전 이후 미 정부의 연구개발 지출은 기술 발전의 중추로 기능해 왔다. 2022년 연방정부 지출은 2천억 달러(약 288조원)로 미국 전체 연구개발 투자의 20%를 차지한다. 역사적으로도 연방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은 국내총생산(GDP)의 0.5%에서 2%를 구성해 왔다. 연구자들과 정책당국은 이러한 자금 지원이 민간 부문 혁신과 경제 성장 및 국가 안보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왔다.

하지만 어려움 가운데 하나가 해당 분야의 자료 부족 문제였다. 이전의 연구들이 의지한 자료가 대부분 1976년 이후로 한정된 정부 지원 특허 자료여서 이전의 정부 지출이 혁신에 이바지한 정도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1981년의 ‘베이-돌 법’(Bayh-Dole Act, 연방 자금 지원을 통한 연구 결과를 민간 부문이 활용하도록 허용)을 비롯한 정책 변화 역시 현대화된 특허 기록 장치가 사용되기 전에 일어났다.

미국 ‘정부 특허 등록’ 자료 추가 공개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특허청(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 행정 기록에서 편찬된 정부 특허 등록(Government Patent Register, GPR) 자료가 대중에 공개됨으로써 연구에 획기적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자료 덕분에 연방 자금 지원 특허 전체의 30%와 1976년 이전 특허의 200%에 해당하는 정보가 새롭게 조명될 수 있었다.

해당 자료들은 1944년 프랭클린 루스벨트(Franklin Roosevelt) 대통령의 행정 명령으로 시작된 미 특허청의 정부 특허 등록부(Register of Government Interest in Patents)에 뿌리를 두고 있다. 당초 실물 카드 목록으로 존재하던 등록부는 이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에 보관됐다.

실물 카드 특허 등록부 모습/출처=CEPR

미국 특허 지원, ‘국방’에서 ‘에너지’, ‘보건’으로

이렇게 확장된 자료들은 연방정부 지원으로 출원된 특허에 대해 그동안 몰랐던 사실을 알려준다. 먼저 정부 지원 연구개발이 냉전 시대에 활발했을 것이라는 믿음과 다르게 해당 수치는 2차 대전 중 전체 특허 출원의 11%를 차지해 최고를 기록한다. 정작 냉전 초기에는 5~6%대로 떨어져 1990년대에는 2%까지 줄어든다.

시간이 지나며 정부 지원 특허의 구성도 달라졌다. 1950년대에는 미 국방성이 정부 지원 특허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에너지부와 보건복지부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 연구개발 중심이 에너지와 생명과학으로 변경됐음을 보여준다.

미국 정부 자금 지원 특허 비중(전체 특허 대비)
주: 전체(좌측), 정부 기관별(우측), 연도(X축), 정부 지원 특허 비중(Y축), 국방성(청색), 에너지부(갈색), 보건복지부(녹색), 항공우주국(노랑), 농무부(회색), 기타(적색)/출처=CEPR

정부 기관별, 시대별 특허 정책 변화 “한눈에”

또 하나의 중요한 발견은 정부 연구개발 지원금 대비 특허 수가 크게 줄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50년대 이후 연방 지원금 1천만 달러(약 144억원)당 특허 수가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도 10배 가까이 줄었다. 이는 연구 생산성의 감소와 함께 특허 출원 관행 등 다른 요소들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부문을 기관별로 보면 에너지부가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보건복지부는 한참 처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정부 지원금 대비 특허 수
주: 전체(좌측), 정부 기관별(우측), 연도(X축), 1천만 달러당 특허 수(Y축), 국방성, 에너지부, 보건복지부, 항공우주국, 농무부(좌측부터), *인플레이션 효과 반영/출처=CEPR

한편 새로운 자료는 미국 정부의 특허 정책 효과를 들여다볼 기회도 제공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공공 자금 지원에 의한 특허를 활용하는 방식은 연방 기관마다 달랐다. 소유권을 유지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민간 부문에 넘겨주고 정부가 무료 사용권만 얻는 경우도 있었다. 1981년 ‘베이-돌 법’이 실행 기관으로의 정부 소유권 이전을 표준화한 법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베이-돌 법’의 장기적 영향에 대한 분석 역시 포괄적인 역사 자료 분석을 통해 이뤄진 바가 없다. 그런 점에서 새로운 정부 특허 등록 자료를 통해 정부 기관과 시대에 따른 정책 변화와 혁신에 미친 영향을 상세히 연구할 수 있게 된 점은 의미가 크다.

정부 투자 특허권 민간 활용 방식 두고 “아직도 논쟁”

당초 정부 등록부는 정부 소유 특허의 민간 분야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물론 현재도 정부가 개입권(march-in rights, 연방정부가 자금을 지원한 특허에 대해 제3자에게 사용 허가할 권리) 발동을 통해 의약품 가격 인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논쟁을 통해 해당 목적이 유효함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도 새 자료로 인해 발표에서 누락된 정부 소유 특허 현황이 확인된 점은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정부 특허 등록 자료도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연구개발 지출이나 발명이 아닌 특허에 국한된 기록이기 때문에 연방정부가 실제로 지원한 혁신의 결과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한다. 정부 기관과 분야, 시대에 따라 달라진 특허 관행도 복잡성을 더하는 요소다. 여기에 다양한 출처를 교차 검토한다고 해도 자료 부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 연구개발의 장기적 영향을 풍부해지고 개선된 자료를 통해 연구할 수 있게 된 점은 다행스럽다.

원문의 저자는 다니엘 P. 그로스(Daniel P. Gross) 듀크 대학교(Duke University) 퓨쿠아 경영대학원(Fuqua School of Business) 부교수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New data, old debates: US government-funded R&D and patent policy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스포츠 중계권 ‘큰손’ 쿠팡플레이, K리그 AI 중계 도입으로 색다른 시도

스포츠 중계권 ‘큰손’ 쿠팡플레이, K리그 AI 중계 도입으로 색다른 시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AI 실시간 경기 분석 데이터 제공
편집 시간 대폭 단축, 비용 절감 효과
성장 둔화 스카이라이프도 스포츠 눈독
사진=쿠팡플레이

쿠팡이 선보인 OTT 쿠팡플레이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스포츠 중계에 적용한다. 단순히 시합을 중계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볼거리와 즐길 거리 등 소비자들의 경험을 확대해 TV 등 여타 매체와는 차원이 다른 즐거움을 선사하겠다는 포부다. AI 중계 첫 적용 대상으로는 한국프로축구(K리그)가 낙점됐다.

빅리그 독점 중계권 다수 보유

22일 OTT업계에 따르면 쿠팡플레이는 올해 K리그 중계에 처음으로 AI 기술을 도입한다. 이달 15일 개막한 K리그 경기를 중계하면서 AI로 실시간 경기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나아가 쿠팡플레이는 향후 AI로 선수들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추적하면서 해설하는 형태의 첨단 중계 시스템도 도입할 방침이다.

쿠팡플레이는 수년 전부터 스포츠 콘텐츠에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 중이다. 특히 축구에서는 해외 유명 리그의 중계권 매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3년에는 스페인 프로축구 1부 리그 ‘프리메라리가’(라리가)의 5년 국내 독점 중계권을 확보했으며, 이듬해에는 독일 프로축구 1부 리그 ‘분데스리가’ 4년 국내 독점 중계권을 따냈다. 프랑스 프로축구 1부 리그인 ‘리그앙’ 전 경기도 쿠팡플레이에서 중계한다.

이처럼 쟁쟁한 해외 유명 리그의 중계권을 확보하고도 쿠팡플레이가 K리그에 공들이는 것은 최근 K리그를 둘러싼 이용자들의 관심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쿠팡플레이의 지난해 K리그2 시청 시간은 2023년보다 16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부터 3년간 중계한 기록을 통틀어 최대 기록이다. 같은 기간 K리그1 시청 시간도 65%가량 뛰었다.

비인기 종목 활성화 가능성에 스포츠계도 반색

스포츠 중계에 AI를 활용하려는 사례는 여타 플랫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시청자들이 가장 쉽게 접하는 기능은 ‘AI 하이라이트’ 영상이다. 네이버는 2021년 한국프로야구(KBO)에 해당 기술을 도입해 수동으로 30분 넘게 걸리던 편집 시간을 3분으로 단축했다. 적시타와 홈런, 삼진과 호수비 등 주요 장면을 분류하고 리플레이 영상 같은 불필요한 부분은 알아서 삭제하는 식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경기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야구, 골프 같은 종목에 특히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LG유플러스는 스포츠 플랫폼 ‘스포키’에서 축구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득점 후 3분 안에 제작해 보여준다. LG유플러스는 “스코어보드 숫자가 변하면 득점으로 인식하고, 이를 기준으로 장면 전환이나 볼 터치 횟수 같은 데이터를 통해 중요 순간을 찾아 영상을 제작한다”고 설명했다.

무인 중계 시스템도 확대되는 추세다. AI 기반 무인 카메라가 선수나 공 움직임을 자동으로 추적하고 상황에 따라 줌인·줌아웃을 선택하고, 경기 흐름에 맞춰 화면도 바꾼다. 예컨대 야구 중계의 경우 투수가 타자에게 공을 던지는 상황에선 줌인된 화면을 보여주고, 타자가 공을 치면 그라운드 전체를 비추는 줌아웃으로 전환하는 식이다. 미국과 영국, 포르투갈, 프랑스 등 주요국들도 10개 넘는 스포츠 종목에 무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포츠계에서도 이 같은 무인 중계가 비인기 종목이나 청소년·유소년 스포츠 활성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아일랜드 여자축구협회 리그는 2021년 무인 중계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관중 수와 언론 보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누린 바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픽셀롯 기반 AI 중계 서비스를 운영하는 와이에스티가 대한핸드볼협회, 대한배구협회, 한국리틀야구연맹 등과 계약을 맺고 무인 중계를 제공 중이다.

사진=KT스카이라이프

유료방송 가입자 확대 방안으로 스포츠 주목

국내 최대 위성방송 사업자 KT스카이라이프도 AI를 통한 아마추어 스포츠 중계의 혁신을 꿈꾸고 있다. 비용 감축을 통해 아마추어 스포츠 시장을 보다 활성화하고, 나아가 스포츠 콘텐츠를 확대해 자사 유료방송 가입자를 늘려간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7월에는 이 같은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해 AI 중계 솔루션 전문 기업 ‘호각’과 손을 잡았다.

같은 해 9월 열린 ‘2024 홈리스 월드컵’은 두 회사의 AI 중계 기술 시험대가 됐다. 전 세계 38개국 52개 팀(남성 36개 팀, 여성 16개 팀)이 참가해 일주일 동안 진행된 이번 대회에서는 약 390경기에 모두 AI 카메라가 투입됐다. 애초 스카이라이프와 호각은 AI 카메라로만 중계를 진행하려 했으나, 주최 측의 요청으로 주요 경기에는 일반 카메라도 함께 활용됐다.

국제축구연맹(FIFA)이 공식 후원한 이번 대회는 OTT ‘FIFA+’를 통해 중계됐고, 전 세계 약 6,000만 명의 FIFA+ 이용자는 AI가 촬영한 경기 영상을 시청했다. 스카이라이프는 이번 대회 중계 경험을 토대로 스포츠 중계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스포츠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충성도가 높은 시청자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매튜 윌리엄스 홈리스 월드컵 마케팅PR 책임자는 “AI를 활용해 홈리스 월드컵 경기를 중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스카이라이프와 호각의 AI 기술 덕분에 전 세계 축구 팬들을 만날 수 있었다”며 “스카이라이프와 호각의 노력 덕분에 이번 대회가 성공적으로 막을 내릴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현재 스카이라이프는 호각에 68억원을 투자해 경기 분석, 개인 영상 편집, 스포츠 교육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AI 격전지 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중국 앤트그룹도 출사표 “전문가 모십니다”

AI 격전지 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중국 앤트그룹도 출사표 “전문가 모십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하드웨어 전문가 월급 1,400만원 수준
사회구조 변화에 휴머노이드 활용도↑
실용성 면에서는 의문점, 대안은?

전기차와 인공지능(AI) 등 여러 첨단 산업에서 놀라운 기술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는 중국이 이번에는 2족 보행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팔을 걷어붙였다.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4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 중인 만큼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서 빠른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메타와 애플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성장세를 눈여겨보는 모습이다.

환경 인식·상호작용 물리적 시스템에 AI 적용

21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은 중국 알리바바 계열 핀테크 기업 앤트그룹이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을 공식화 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말 자회사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를 설립한 데 이어 최근에는 전기 엔지니어, 하드웨어 전문가, 알고리즘 엔지니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채용 중이라는 전언이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의 외형 설계를 담당할 하드웨어 구조 전문가에게는 월 7만 위안(약 1,400만원)의 높은 급여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바바와 앤트그룹은 해당 자회사를 통해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 기술과 제품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체화 지능은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물리적 시스템에 AI를 적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앞서 마윈 앤트그룹 설립자는 지난해 12월 공식 행사에 참석해 “향후 20년간 AI가 가져올 변화는 모든 인류의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며 AI 기술 고도화를 강조한 바 있다.

앤트그룹 외에도 다수의 중국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뛰어들었다. 먼저 유니트리는 지난 1월 중국 음력 설 전야제 방송인 춘제완후이(春节晚会)에 춤추는 휴머노이드 로봇 ‘H1’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당시 H1 로봇 16대는 인간 무용수 16명과 짝을 맞춰 군무를 소화했고, 이는 “중국에서 본격적인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의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로 이어졌다.

이 밖에도 유비테크, 샤오미, 메이퇀, 텅쉰 등 여러 IT 기업이 속속 로봇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2010년대부터 로봇을 주요 미래 산업으로 주목해 온 중국 당국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을 전기차 산업처럼 중국 주도 시장으로 구축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글로벌 점유율 42%를 기록 중인 만큼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서도 빠른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해석된다.

2023년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인간형 로봇 혁신 발전에 관한 지도 의견’을 내고 2025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의 기본 체계를 구축하고, 이후 2027년까지 전반적 역량을 세계 선진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세계적 영향력을 가진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2~3개를 집중 육성하고, 다수의 혁신 중소기업 또한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나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클러스터 조성 계획도 밝혔다.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연평균 45%↑

오랜 시간 ‘연구 대상’에만 머물렀던 휴머노이드 로봇은 AI 기술 발전으로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가속, 베이비붐 숙련 노동자 세대의 은퇴, 기피 직업의 노동력 부족 등 다양한 사회구조적 변화가 휴머노이드 로봇의 도입을 촉진한 것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에 의하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2023년 24억3,000만 달러(약 3조5,000억원)에서 2032년 660억 달러(약 94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중국은 물론 전 세계 빅테크 기업들이 앞다퉈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진출을 서두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는 생성형 AI ‘라마’ 플랫폼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소비자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오픈AI는 지난달 말 당국에 제출한 상표 등록 신청서에 ‘로봇’ 분야를 포함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의도를 명시했다. 또 애플은 미래 스마트홈 생태계 구축을 위해 휴머노이드, 비휴머노이드 로봇을 모두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서비스로봇은 휴머노이드 로봇보다 한 걸음 빨리 상용화에 다가서고 있다. 현재 서비스로봇은 물류, 배송, 푸드테크 현장에서 주로 활용 중이지만, 고령 인구 증가 등으로 돌봄 수요가 늘면서 개인 서비스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이란 관측이다. 프리시던스 리서치의 연구에서 글로벌 서비스로봇 시장은 2023년 472억7,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15%의 성장해 2034년에는 2,127억7,000만 달러(약 304조6,800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흥미’의 휴머노이드, ‘실용’의 협동로봇

다만 일각에선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두고 ‘시기상조’라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사람과 유사한 외형을 갖췄다는 데서 흥미를 느낄 수는 있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도리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킴 포블슨 유니버설로봇 최고경영자(CEO)는 “휴머노이드 기술은 전방적으로 아직 미성숙하다”며 “특히 산업 환경에서는 다리가 달린 로봇보다 바퀴로 움직이는 로봇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포블슨 CEO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안으로 협동로봇 모델을 제시했다. 상당한 기술 진전을 이룬 협동로봇들이 생산 현장의 자동화를 앞당기고, 인간 근로자와 나란히 일하면서 경제를 성장시킬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는 이미 협동로봇이 공장과 창고를 벗어나 카페와 건설 현장 등 사회로 ‘탈출’하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고 진단하며 “AI는 카메라 비전과 결합해 가변성을 처리하는 등 협동로봇을 덜 통제된 환경으로 이동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봇과 AI의 결합이 휴머노이드의 형태에 갇히지 않고 더 안정적이면서도 경제적인 형태로 현실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IT 전문 시장조사기관 ABI리서치도 비슷한 해석을 내놨다. 조지 초두리 ABI 리서치 로봇 산업 분석가는 “협동로봇은 로봇 혁명의 최전선에 있다”며 협동로봇의 저렴한 비용과 안전성은 중소기업(SME)이 로봇을 도입해 광범위한 경제 부문에서 주요 생산성의 이점을 얻을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ABI리서치는 협동로봇 시장이 향후 매년 28%씩 성장해 5년 후인 2030년에는 72억 달러(약 10조4,000억원) 규모로 팽창할 것으로 내다봤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내리고, 또 내리고’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1.0%까지 밀렸다

‘내리고, 또 내리고’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1.0%까지 밀렸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韓 경제성장률 전망치 1.1%→1.0%
정치적 위기 및 부동산 업황 침체
세계 경제 장기 저성장 국면 진입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 수준까지 내려앉을 수 있다는 해외 연구기관의 전망이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올 한 해 1%p의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예측이다. 국내외 기관들은 글로벌 경제가 ‘L자형 장기 저성장’에 접었다는 진단과 함께 우리 경기 또한 그 여파에 놓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경제 성장 제한 요소 산적”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영국 금융분석기관 캐피털이코노믹스(CE)는 지난 19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1%에서 1.0%로 낮춰 잡았다. 이는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1.7%)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자, IB 중 최저치를 제시한 JP모건의 1.3%보다 0.3%p 낮은 수치다.

CE는 한국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한 이유로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로 확산한 국내 정치적 위기와 부동산 업황 침체를 꼽았다. CE는 “이 같은 경기 둔화로 한국은행은 올해 기준금리를 1.00%p 인하할 것”이라며 “이는 여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보다 큰 폭”이라고 짚었다. 한은이 경기 부양을 위해 현재 연 3.00% 수준인 금리를 2.00%로 크게 낮출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한 번에 0.25%p씩 인하한다고 가정하면, 올해 네 차례의 금리 인하를 점친 셈이다.

앞서 지난달 말에도 CE는 한국의 정치적 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가 경제 성장을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당시 CE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한국의 소비지출 둔화는 정치적 위기가 경제 성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부동산 거래가 부진하고, 미판매 주택 재고도 많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건설 고용, 허가, 주택 착공에 관한 데이터를 보면 건설 경기는 한층 약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JP모건 ‘내수 부문 취약성 확대’ 지적

계속되는 정국 불안에 한국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은 건 비단 CE만이 아니다. 한국은행과 정부가 이미 올해 1%대 경제성장률을 제시한 가운데, 시장 상황에 민감한 IB들도 ‘성장률 쇼크’를 경고하고 나섰다. 1%대 초반대까지 성장률 전망을 떨어뜨린 IB도 속속 눈에 띄었다.

국제금융센터에 의하면 지난해 12월 말 글로벌 IB 8곳(바클레이스·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씨티·골드만삭스·JP모건·HSBC·노무라·UBS)이 예상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실질 GDP 기준)은 평균 1.7%로 전월(1.8%) 대비 0.1%p 낮아졌다. 이는 지난해 11월 한은이 발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1.9%)나 올해 초 발표한 정부 예상치(1.8%)와 비교해도 상당 폭 밑도는 수준이다.

이들 IB는 지난해 9월만 해도 한국의 경제성장률로 2.1%를 제시했다. 하지만 수출 둔화세가 본격화한 지난해 10월 2%로 내린 뒤, 12월까지 3개월 연속으로 전망치를 낮췄다. 가장 큰 이유는 단연 계엄 사태에서 비롯된 국내 정세 불안이다. 특히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1.3%로 0.4%p 떨어뜨린 JP모건은 국내 정치 불확실성에 소비자심리지수가 급락하는 등 내수 부문의 취약성이 커졌다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JP모건의 예상치 1.3%는 주요 기관 전망치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정부는 경제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걷히는 1분기까지 일단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정치 문제가 일단락되고,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방향이 분명해지면, 대응 방향을 잡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같은 국제기구의 분석도 받아본 뒤 대응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며 “현재 예산과 공공기관 투자 조기 집행으로 경기 하강을 최대한 방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고물가·고금리 악영향, 시차 두고 본격화

국내 경제 싱크탱크 사이에서도 경제 전반이 일찌감치 ‘L자형 장기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주를 이룬다. 먼저 LG경영연구원은 애초 2023년으로 예상했던 경기침체가 1년가량 미뤄져 지난해 중반부터 현실화했다는 진단을 내놨다. 세계 경제성장률이 2023년 2.9%에서 2024년 2.4%로 낮아지면서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악영향이 시차를 두고 본격화했다는 설명이다.

나아가 한국도 세계 경제의 침체 여파에 놓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LG경영연구원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2023년 1.3%보다는 소폭 높아졌지만, 여전히 잠재성장률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여기에 소비와 투자 등 내수가 부진해 경기 회복을 체감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짚었다. 이어 “올해 역시 통화당국이 목표로 하는 2% 물가상승률 달성이 불확실한 만큼 경기 회복은 요원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진행한 ‘기업환경 전망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에서도 응답자의 26.7%가 한국경제의 경기 추세에 대해 ‘L자형의 상고하저(上高下低)’를 전망했고, 현대경제연구원 역시 작년 9월 발표한 경기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의 경기 침체와 선진국 통화 긴축이 누적돼 경기 회복은 미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말 ‘경제·산업 전망’에서 “고물가·고금리의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함에 따라 소비 성장세 둔화와 건설투자 위축으로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