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틱톡 난민’ 대거 흡수한 샤오홍슈, 내친김에 상장 노리나

‘틱톡 난민’ 대거 흡수한 샤오홍슈, 내친김에 상장 노리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中 정부계 투자자 사오홍슈 출자 움직임
다국적 벤처캐피털 투자 유치로 존재감↑
‘틱톡 금지법’ 효과에 이용자 급증

‘중국판 인스타그램’으로 불리는 소셜미디어(SNS) 샤오홍슈(小红书)가 중국 당국의 투자를 등에 업고 증시 입성을 노린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글로벌 시장에서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하반기를 기점으로 분위기 반전에 성공하면서다. 미국의 틱톡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 또한 상장 추진에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국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업 줄줄이 상한가

17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당국이 최근 정부계 투자자에게 샤오홍슈에 대한 출자를 권유하고, 향후 상장 과정에서 승인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현재 비공개 협의가 논의 중이며, 샤오홍슈 측이 이 제안을 받아들일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마오쩌둥의 어록을 가리키는 ‘붉은 수첩’이라는 의미의 샤오홍슈는 2013년 여행 후기 플랫폼으로 출발했다. 이듬해에는 자체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고, 물류 창고까지 건설하고 나서는 등 몸집을 키웠다. 하지만 2018년부터는 플랫폼 사업에 집중하며 비주력 사업을 정리해 나갔다. 중국 정부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대부분 서방 소셜미디어를 차단하는 만큼 내수용 애플리케이션(앱)이 성장하기에 용이한 환경이라는 판단에서다.

완만한 성장세를 그려오던 샤오홍슈에 결정적 전환점이 된 사건은 미국 정부의 틱톡 금지 조치를 꼽을 수 있다. 미국이 안보상의 이유로 틱톡의 자국 내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금지하자, 틱톡 대체재로 불리는 샤오홍슈로 이용자들이 대거 이동한 것이다. 최근 샤오홍슈 시작 화면에서는 영어로 작성된 게시물이 전면에 배치됐으며, 스스로를 ‘틱톡 난민’이라고 지칭하는 이용자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샤오홍슈의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동종 업계에 있는 기업들도 주가 상승의 수혜를 입었다. 야오왕커지(遥望科技), 인리미디어(引力传媒), 아이머주식(爱慕股份) 등 멀티채널 네트워크(MCN) 기업들은 줄줄이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관련 기업 주가도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샤오홍슈의 상장 추진이 시장 내에서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배경이다.

자금 조달 범위도 확대 추세

일각에서는 샤오홍슈가 해외 상장을 추진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지난해 다국적 벤처캐피털 DST글로벌로부터 투자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등 세계 시장 내 존재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7월 샤오홍슈는 자금 조달을 위해 기존 및 신규 투자자를 상대로 회사 지분을 매각했는데, DST글로벌은 당시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를 두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기술기업에 대한 중국 당국의 탄압 이후 이례적인 외국인 투자 사례”라고 평가했다. 실제 샤오홍슈는 2018년 알리바바로부터 3억 달러 상당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긴 했지만, 해당 투자 건을 비롯해 자금 조달 전부를 중국 내수 자본에 의존해 왔다. DST글로벌은 이스라엘계 러시아인 유리 밀너가 2009년 창립한 벤처캐피털로, 정보기술(IT) 스타트업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샤오홍슈가 DST글로벌을 비롯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은 배경에는 꾸준한 실적 개선이 자리하고 있다. 샤오홍슈는 2022년 매출 20억 달러(약 2조8,700억원), 순손실 2억 달러에서 2023년 매출 37억 달러, 순이익 5억 달러로 흑자전환했다. 같은 기간 월간활성이용자 수도 20% 증가해 3억1,200만 명에 달했다.

샤오홍슈 이용화면 예시/사진=샤오홍슈 캡처

韓 기업 글로벌 유통 채널로도 낙점

샤오홍슈 국제 버전 ‘레드노트(RedNote)’의 미국 내 존재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도 해외 상장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모바일 앱 데이터 분석기관 센서타워에 의하면 1월 마지막 주 샤오홍슈의 미국 내 다운로드 수는 전년 동기 대비 200% 이상, 전주 대비 194% 급증했다. 틱톡의 대안으로 바이트댄스의 또 다른 앱 ‘레몬8(Lemon8)’ 역시 주목받고 있지만, 레드노트의 성장세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게 센서타워의 설명이다.

소비자들의 반응에 민감한 유통 기업들이 레드노트를 주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화장품을 전문 유통하는 청담글로벌이 대표적 사례다. 과거 틱톡에 대대적인 홍보와 판매를 전개했던 청담글로벌은 최근 샤오홍슈 등 또 다른 S2C(Social to Consumer) 플랫폼 비중을 늘리기로 가닥을 잡았다. 청담글로벌 관계자는 “기존 틱톡, 샤오홍슈, 콰이쇼우 등 거래 비중은 엇비슷했다”면서 “미국 내 틱톡 서비스 금지가 확정될 경우를 대비해 매출처 비중 이동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45% 벽' 붕괴된 韓 TV 점유율, 턱 밑까지 따라온 中에 속수무책

'45% 벽' 붕괴된 韓 TV 점유율, 턱 밑까지 따라온 中에 속수무책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거거익선' 트렌드, 韓 전유물 아닌 中 장점으로 
中 물량 공세에 삼성·LG 시장 점유율 하락세
OLED 등 프리미엄 제품으로 차별화 전략 강화

세계 TV 시장에서 ‘45%’의 벽이 깨졌다. 2018년 합산 41.1%를 기록한 이후 6년 만이다. 중저가 제품을 넘어 75인치 이상 초대형 TV까지 중국 기업의 침투가 가속화하면서 찾아온 위기다.

中 TCL·하이센스 점유율, 2020년 13.5%→2024년 22.9%

19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4년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합산 점유율(매출 기준)은 44.4%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TV 시장에서 점유율 28.3%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고LG전자는 16.1%로 2위를 지켰다.

삼성전자는 2006년 이후 19년간 연속 1위, LG전자는 12년 연속 OLED TV 1위를 기록하면서 위상이 건재해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합산 점유율은 2020년 48.4%를 찍은 후 차츰 하락하면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 TCL과 하이센스의 점유율 상승은 괄목상대 수준이다. 2020년 7.4%에 불과했던 TCL의 점유율은 2024년 12.4%로 뛰어올랐다. 하이센스도 같은 기간 6.1%에서 10.5%로 상승했다. 양사의 합산 점유율은 22.9%로 역대 최고다.

대형 LCD 인기 속 가성비 경쟁서 밀린 국산 TV

이는 TV는 크면 클수록 좋다는 ‘거거익선’ 트렌드가 더 이상 한국 기업의 전유물이 아닌 중국 기업의 장점으로 희석된 여파다. 실제로 LCD 패널의 인기를 떠받친 건 대형 TV의 인기몰이다. TV 시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큰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지만 대형 TV는 수요는 비교적 빠르게 늘고 있다.

옴디아는 전체 TV 제품 대비 30~59인치 제품의 경우 2027년 점유율이 2023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내다본 반면, 60~69인치는 13.8%에서 14.5%, 70인치 이상은 9.7%에서 14.9%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했다. 세계 최대 TV 시장인 북미 시장의 경우 지난해 1~9월까지 97인치 이상 TV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0배 이상 성장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TCL과 하이센스는 중국 정부의 대규모 지원과 중화권 기업의 LCD 패널 공급망 장악에 힘입어 삼성전자, LG전자 대비 낮은 원가로 초대형 TV를 생산하며 점유율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다. TCL과 하이센스의 80인치 이상 점유율은 2020년 각각 2.1%, 3.8%에 그쳤지만 2024년 17.2%, 14.0%로 치솟았다. 특히 하이센스는 최근 시장조사업체 AVC Revo(레보)의 보고서를 인용해 100인치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 47% 점유율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써카나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미국에서 판매된 98인치 TV의 평균 판매가격은 지난해 동기 대비 53% 하락했다. 가격 경쟁력으로 무장한 TCL, 하이센스의 초대형 TV가 내수 시장뿐 아니라 미국 시장에도 깊숙이 침투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다. 반면 80인치 이상 TV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급속도로 추락하는 양상이다. 2020년 47%에 달했던 삼성전자의 80인치 이상 점유율은 2023년 38.2%로 내려오더니 2024년 28.7%로 하락했다.

삼성전자 모델이 지난달 5일(현지시간)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5' 행사에서 2025년형 네오 QLED 8K를 소개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中 손 못뻗친 프리미엄 시장 집중 공략

이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중국 기업의 진입이 본격화하지 않은 프리미엄 시장 공략으로 위기 해법을 찾고 있다. OLED는 LCD와 달리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 소자를 사용해 가격이 비싸다. 대신 전력 소비가 적고, 명암비가 우수하며 색상도 더 생생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OLED TV 시장 규모는 약 607만 대로 전년 대비 8% 이상 성장했다. 경기 침체와 TV 수요 위축 여파로 지난 2023년 전년 대비 14% 가량 줄어든 560만 대를 기록했으나 올해 다시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특히 지난해 OLED TV 시장은 1,500달러(약 215만원) 이상 프리미엄 시장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OLED TV가 차지하는 출하량 비중은 45%로 전년 대비 8.5%p 증가했다.

수요 회복에 힘입어 OLED 시장 주도권을 쥔 LG전자와 삼성전자도 성장 흐름을 이어갔다. LG전자의 올레드 TV 출하량은 318만 대로 작년 296만 대에서 7.4% 증가했으며, 출하량 기준 점유율은 52.4%로 절반을 넘어섰다. LG전자보다 늦게 OLED TV 시장에 재진입한 삼성전자는 더 큰 성장폭을 보이며 시장 입지를 넓힌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삼성전자의 OLED TV 출하량은 144만 대로 전년 대비 42% 늘었다. 2022년 출하량 35만 대, 지난해 101만 대 이후 3년 연속 증가세다. 매출 기준 점유율도 2022년 6.1%에서 지난해 22.7%, 올해 27.3%로 성장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 글로벌 시장에 OLED TV를 출시하며 10년 만에 OLED TV 시장에 다시 진입했다. 올해 성장세는 전반적인 OLED TV 수요 회복과 더불어 삼성전자가 꾸준히 OLED TV 라인업을 확대한 효과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83인치 OLED TV를 출시하며 라인업을 4종(83·77·65·55)으로 늘린 데 이어 지난해는 미국과 캐나다에 42·48형 OLED TV를 선보였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현대차그룹, 美 연방정부 보조금 재적용 전망, 전기차 판매 확대 속도

현대차그룹, 美 연방정부 보조금 재적용 전망, 전기차 판매 확대 속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美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 HMGMA 가동
아이오닉5·아이오닉9 보조금 요건 맞춰
현대차·기아 배터리 기지로 변신한 SK온도 수혜
현대 아이오닉5/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가 다시 한번 미국 연방 보조금 적용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의 일부 모델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신규 공장 가동 등을 통해 요건을 충족하면서 다시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IRA '부품·광물' 세부 요건 충족

18일(현지시각)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부터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생산된 모델을 통해 최대 7,500달러(약 1,080만원)의 연방정부 보조금을 적용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올 초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가동하면서 북미 지역에서 생산된 2025년형 아이오닉5와 신규 모델 아이오닉9이 보조금 요건을 충족하게 됐다고 밝혔다.

당초 현대차는 미국 IRA가 지난 2022년 통과된 이후 보조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리스 방식으로만 보조금을 적용해 왔다. 지난달에는 미국 에너지부가 발표한 보조금 대상 전기차 목록에서 현대차의 아이오닉5, 아이오닉9,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등 전기차 3개 모델을 제외하기도 했다. 애초 명단에는 이들 3개 모델과 기아의 EV6, EV9 2개 모델 등 총 5개 전기차 모델이 7,500달러의 보조금 지급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가 2개 모델(EV6, EV9)로 축소됐다.

구체적인 이유가 공개되진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가 강화한 배터리 원자재 조달 규정 때문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IRA 세부 지침에 따르면 북미에서 생산된 전기차 가운데 현지에서 제조·조립한 배터리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된다. 중국 등 해외우려기관(FEOC)에서 수출·가공·재활용한 핵심 광물을 사용한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도 마찬가지다. GV70 전동화 모델의 경우 2023년에도 요건을 갖추지 못해 보조금 지급 명단에서 제외된 바 있다. 현대차는 이를 해결할 방안을 마련했다. 아이오닉5·아이오닉9 등 주요 전기차들을 HMGMA에서 전량 공급하는 등 현지 생산을 강화하는 것도 요건 강화 일환이다.

제네시스 GV60/사진=현대차

현대차·기아 전용 전기차, 100만 대 판매 목전

현대차·기아 IR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두 브랜드의 전용 전기차의 글로벌 누적 판매 대수는 총 88만154대로 집계됐다. 현대차·기아 전용 전기차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탑재한 모델을 뜻한다. 현대차 아이오닉5·아이오닉6와 기아 EV3·EV6·EV9이 이에 해당한다. 현대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중에선 GV60이 전용 전기차다.

현대차·기아의 연도별 전용 전기차 판매는 2021년 9만6,602대, 2022년 20만8,990대, 2023년 31만2,668대, 지난해 26만1,890대를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를 고려하면 올해 상반기 누적 판매 100만 대 돌파가 유력하다. 현대차의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가 2021년 2월 출시된 이래 약 4년 만이다. 특히 현대차·기아의 전용 전기차 누적 판매 대수에서 해외 비중이 77%(67만8,048대)에 육박할 정도로 높은 점이 눈에 띈다. 현대차·기아가 만드는 전용 전기차 10대 중 8대는 해외에서 팔리고 있는 셈이다.

특히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는 테슬라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보다 미국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이 더 많다. 이런 상황 속에서 현대차그룹은 HMGMA를 짓는 데만 약 7조원을 투입했으나, 보조금 지급 명단에서 빠지면서 판매 마진을 대폭 줄였다. 하지만 전기차 보조금 적용 대상에 다시 포함됨에 따라 수익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보조금 대상 전기차 대부분에 SK온 배터리 탑재

SK온도 현대차 효과를 톡톡히 볼 것으로 관측된다. SK온은 지난해 조지아주 2공장 내 생산 라인 일부를 포드용에서 현대차용으로 전환했고, 같은 해 HMGMA에도 배터리를 공급 중이다. HMGMA는 연간 최대 30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인데 SK온의 라인 전환으로 배터리를 현지에서 즉각 조달할 수 있게 됐다.

업계에서는 적자 늪에 빠진 SK온이 올해 미국 생산량 확대에 힘입어 반등의 기회를 맞을 것으로 보고 있다. SK온은 조지아 공장에서 연간 약 16.5GWh(기가와트시)의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다. 전기차 약 20만 대에 탑재 가능한 규모다. 생산된 배터리는 육상 운송을 통해 4시간 안에 HMGMA에 공급될 수 있다. 기존에 한국과 유럽 공장 등에서 만든 배터리를 미국으로 옮겨와 공급하는 것에 비해 운송 시간과 물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셈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SK온 최대 고객사인 현대차·기아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미국 내 전기차 판매에서 신기록을 쓰고 있다”며 “SK온의 공장 가동률이 대폭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은 부담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기차와 배터리에 대해 세액공제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피력해왔다. 일각에서는 수입차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이 미국 생산 전기차 및 배터리에는 반사이익을 안겨줄 것으로 예상한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뉴발란스 한국 직진출 선언, ‘매출 1조원’ 일등공신 이랜드와 동행은 ‘일단 유지’

뉴발란스 한국 직진출 선언, ‘매출 1조원’ 일등공신 이랜드와 동행은 ‘일단 유지’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2027년 뉴발란스 한국 법인 설립
푸마·골든구스 직진출 ‘쓴맛’ 선례
시장 성장세 뚜렷, K-컬쳐 영향력↑

매출 1조원의 벽을 넘은 스포츠 의류·잡화 브랜드 뉴발란스가 2027년 한국 법인 설립 계획을 밝히면서 국내 직진출 의사를 드러냈다. 다만 국내 사업 전개를 맡고 있는 이랜드월드와는 라이선스 계약을 연장하며 2030년까지만 동행을 약속했다. 과거 국내 유통업체와의 협력을 끝내고 직진출로 선회 후 실적 악화를 거듭한 여타 수입 브랜드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거듭된 장기 계약, 매출 650억원→1조원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 뉴발란스는 이랜드월드와 라이선스 계약을 2030년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 연장은 이랜드가 뉴발란스의 핵심 파트너로서 역할을 계속할 뿐만 아니라 라이선스를 포함한 아동용 신발과 의류 영역에서도 2030년까지 함께 할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1906년 미국 보스턴에서 출발한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뉴발란스는 2008년 이랜드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 진출 1년 만인 2009년에는 65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한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한 뉴발란스는 이랜드와 11년(2010~2020년)의 초장기 계약을 체결했고, 이후 매출 또한 꾸준히 우상향을 그렸다. 특히 지난해에는 매출 1조원(추정치)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뉴발란스가 한국에 진출한 이후 수직 성장을 기록한 배경으로는 브랜드를 독점 유통·운영한 이랜드의 현지화 전략이 꼽힌다. 국내에서 지금까지 단일 브랜드로 매출 1조원을 달성한 브랜드는 나이키, 아디다스, 노스페이스뿐이다. 뉴발란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7위지만, 국내에선 나이키에 버금가는 스포츠 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뉴발란스 글로벌 전체 매출이 78억 달러(약 11조2,400억원)임을 고려하면, 한국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가깝다.

뉴발란스의 급성장으로 이랜드가 지급하는 브랜드 사용료(로열티)도 동반 상승했다. 이랜드가 뉴발란스 애슬레틱 슈에 지급하는 연간 로열티 규모는 2020년 296억원, 2021년 482억원, 2022년 378억원, 2023년 585억원으로 크게 뛰었다. 매출 1조원을 돌파한 지난해에는 600억원을 웃도는 로열티를 지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뉴발란스 본사가 2027년부터 한국에서 직접 영업을 시도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로 풀이된다. 실적이 좋은 한국 시장에서 충분한 인지도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만큼 직진출로 수익을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현재 한국 독점 유통·운영 권리를 가진 이랜드와의 계약을 2030년까지 연장하기로 하면서 2027~2030년까지는 직접 유통(뉴발란스)과 대행(이랜드)이 겹치게 된다.

현지화 전략 실패한 브랜드 직진출 성적표 ‘암울’

업계에서는 뉴발란스가 이랜드의 시장 맞춤 영업 노하우를 단번에 포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뉴발란스로서는 한국 시장 직진출 욕심이 날 수밖에 없지만, 오랜 시간 운영을 맡아 온 이랜드의 공을 외면하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만약 한국 법인 설립 후 상황이 불리해지면, 이랜드와의 재계약 가능성을 열어두는 등 안전장치 또한 필요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수 수입 브랜드가 한국 시장에 직진출했다가 고배를 마신 것도 뉴발란스가 이랜드와 완전 결별하기 부담스러운 요소로 지목된다. 또 다른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푸마가 대표적 사례다. 푸마는 1994년부터 13년간 이랜드와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국내에서 영업 활동을 전개했다. 연매출 2,000억원대 브랜드로 성장한 푸마는 2008년 한국 법인 설립했지만, 이후 실적은 내리막길을 걸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의하면 푸마코리아의 2023년 매출은 1,256억원을 기록, 전년(1,333억원) 대비 5.8%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94억원에서 97억원으로 적자 폭을 키웠다. 2022년에는 리복, 아디다스 등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에서 마케팅 노하우를 쌓아 온 이나영 대표를 선임하면서 분위기 반전을 노리기도 했지만, 여전히 실적 개선은 요원한 상태다.

글로벌 브랜드의 한국 시장 수난기는 비단 스포츠웨어에 국한하지 않는다. 국내 수입업체 듀오와 유통계약을 끝낸 뒤 2021년 직진출한 에트로코리아는 2023년까지 3년 연속 적자를 봤다. 2023년 매출은 163억원으로 전년보다 13%가량 줄었고, 영업손실은 85억원으로 20% 넘게 늘었다. 같은 해 돌체앤가바나도 17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전년 대비 적자 폭을 30% 가까이 키웠다. 골든구스 역시 영업이익이 14억원에서 12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들 브랜드는 지난해에도 뚜렷한 반등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패션업계에서는 이들 브랜드가 현지화 전략을 제대로 세우지 못해 직진출에 실패했다고 입을 모은다. 한 의류 브랜드 관계자는 “한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 부족으로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지 않는 스타일, 사이즈, 색상 등의 제품을 내놔 외면받는 측면이 있다”면서 “최근에는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같은 하이엔드 브랜드 아니면 무신사 같은 패스트패션 브랜드로 소비자들이 나뉘면서 타깃이 애매한 브랜드의 인기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시장 내 성공 여부, 글로벌 실적에도 영향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이 연이어 한국 시장 문을 두드린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무렵부터다. 전 세계적 소비 침체에도 국내 수입 의류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의 명품 시장 규모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명품 시장 규모는 141억6,500만 달러(약 18조7,000억원)로 전년 대비 약 4.6% 성장했다.

명품 시장 성장세와 더불어 K-컬처 영향력, MZ세대 구매력 증가 등 사회문화적 요소들도 많은 해외 브랜드를 한국으로 끌어들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이 동남아시아 등 신규 시장은 물론 북미, 유럽 등 기존 시장의 매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은 것이다. 많은 브랜드가 국내 배우 또는 아이돌 스타를 글로벌 홍보대사(앰버서더)로 기용하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현재 블랙핑크 멤버 제니는 샤넬, 로제는 생로랑의 앰버서더로 활동 중이다. 또 가수 아이유와 배우 이정재는 구찌, 뉴진스의 혜인은 루이뷔통, 에스파는 쇼파드의 앰버서더로 활동 중이다.

한국 시장 문을 두드리는 브랜드가 늘면서 이를 모시려는 백화점업계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수입 브랜드는 국내 브랜드 대비 작은 조직으로 인건비가 절감되는 데다, 신규 브랜드가 아닌 경우가 많아 인지도와 브랜딩 측면에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해외 브랜드 사이에서도 향후 실적 목표에 따라 한국 시장 공략 방법이 나뉜다”며 “한국 목표 매출이 100억원 정도 수준이면 중소기업과 손을 잡고, 300억원 정도면 중견·대기업이 운영, 그 이상이면 직진출을 고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통업계에서도 새로운 브랜드를 찾아 런칭하고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상장 전 영업익 45억 예상한 데이원컴퍼니, 실상은 3.5억 적자

상장 전 영업익 45억 예상한 데이원컴퍼니, 실상은 3.5억 적자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올해 1월 상장 데이원컴퍼니, 적자전환
상장 전 제시한 실적 추정치 밑돌아
투자자들 환매청구권 수요 확대 전망
이강민 데이원컴퍼니 대표/사진=데이원컴퍼니

상장 전 흑자를 자신했던 데이원컴퍼니가 지난해 연간 실적에서 영업 적자 전환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초 45억원 규모의 영업흑자를 낼 것이란 주관사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주가도 공모가를 하회하고 있어 환매청구권(풋백옵션)을 행사하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작년 매출 1,277억·영업손실 3.5억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데이원컴퍼니의 지난해 영업손실은 3억5,076만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2023년엔 11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지만 1년 만에 적자 전환한 것이다. 데이원컴퍼니는 영업이익 적자 전환 이유에 대해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법률, 회계수수료의 증가로 인해 일시적인 영업비용 증가 탓”이라고 설명했다. 또 당기순이익 변동 요인에 관해서는 “공정가치평가 대상 금융부채 평가액 감소로 인해 세전손실 및 당기순손실 감소 때문"이라고 밝혔다.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주관사 미래에셋증권은 데이원컴퍼니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45억7,2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데이원컴퍼니도 투자설명서를 통해 "4분기 실적이 개선돼 온기(연간) 기준으로는 3분기 누적치보다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데이원컴퍼니의 영업손실은 700만원이었다. 잠정 실적을 고려하면 4분기에만 3억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또 주관사 추정치에 부합하려면 4분기에만 45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냈어야 했다.

영업이익뿐 아니라 매출액 증가세도 꺾였다. 지난해 데이원컴퍼니의 매출액은 1,276억5,757만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2023년과 비교하면 9.5% 늘었지만, 2021년(전년비 103.09% 증가), 2022년(22.5%), 2023년(12%)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줄었다. 게다가 상장 전 주관사가 제시한 추정치(1,400억원)도 밑돌았다.

PSR 활용에 수요예측부터 부진

올해 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데이원컴퍼니는 상장 과정에서 고평가 논란에 시달렸다. 공모가를 정하기 전 이강민 대표는 공모가가 과하게 높지 않다는 의견을 피력했지만 기관 투자자 수요 예측에서도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결국 데이원컴퍼니는 공모가를 희망 범위(2만2,000~2만6,700원) 하단 대비 40.9% 낮춘 1만3,000원에 정했다. 의무보유 확약은 한 건도 없었다.

이 같은 수요예측 부진은 어느 정도 예견됐다는 평가다. 최근 공모주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예비 상장사를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시선이 까다로워진 상태여서다. 데이원컴퍼니와 비슷한 시기 수요예측을 진행한 미트박스글로벌과 와이즈넛도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았다. 올해 1호 상장사로 나선 미트박스글로벌은 지난달 23일 첫 거래에서 공모가에 견줘 25% 급락으로 거래를 마쳤다. 기관 자금이 풀리는 1월, 새해 첫 공모주는 흥행한다는 속설도 통하지 않은 셈이다.

기업가치를 두고 시장과 발행사 간 간극도 컸다는 후문이다. 데이원컴퍼니는 비교가치 평가법으로 주가매출비율(PSR)을 택했다. 매출 성장성이 높으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데이원컴퍼니는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 978억원을 연환산한 1,304억원에 비교기업 7곳의 평균 PSR 3.33배를 곱해 할인 전 가치 4,338억원을 도출했다. 그런데 그리드위즈와 블루엠텍 등 PSR 기반으로 몸값을 책정했던 기업들의 주가는 상장 후 내리막을 걸었다. 즉 데이원컴퍼니에도 보수적인 투자 기준을 적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공모가 대비 반토막 난 주가

상장 이후 시장 반응은 냉랭했다. 코스닥 상장 첫날인 지난달 24일 데이원컴퍼니는 공모가보다 40% 낮은 7,800원에 마감했다. 신규 상장 종목의 가격변동폭이 공모가의 60~400%로 확대된 후 하한가(동시호가 -10%+정규장 -30%)에 거래를 마친 회사는 현재까지 데이원컴퍼니가 유일하다.

19일 오전 10시 50분 현재 주가도 6,880원으로 공모가의 절반 이하까지 밀렸다. 공모주 투자자들이 차익을 낼 기회가 없었다는 의미다. 업계에선 국내 증시에서 주목받는 섹터가 아닌 신규 상장 기업이 고평가 논란까지 겪을 경우 주가 폭락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모주는 테마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이에 투자자들은 환매청구권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데이원컴퍼니는 이익미실현 기업 특례(테슬라 요건)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테슬라 요건은 적자 기업에 상장 기회를 주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주관사의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공모 청약에 참여해 주관사로부터 배정받은 공모주에 환매청구권을 두고 있다.

환매청구권은 상장 후 주가가 일정 기간 안에 공모가 아래로 내려갈 경우 투자자들이 공모가의 90% 가격으로 주관사에 되팔 수 있는 권리다. 예컨대 1만원짜리 공모주를 배정받았다면 해당 주식의 주가가 5,000원으로 떨어져도 이를 9,000원에 팔 수 있다. 데이원컴퍼니 환매청구권 가격은 주당 1만1,700원이다. 미래에셋증권의 일반 청약자 물량은 23만8,175주, 삼성증권의 물량은 10만2,075주다.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데이원컴퍼니 공모주를 받은 일반 청약자 모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면 미래에셋증권은 27억8,664만원을 떠안게 된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트럼프 국방예산 삭감에 요동친 방산주, 유럽은 상승하고 미국은 하락

트럼프 국방예산 삭감에 요동친 방산주, 유럽은 상승하고 미국은 하락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트럼프 행정부 '유럽 패싱'에 유럽 정상들 '자강론' 강조
유럽 주요국 방위비 증액 움직임에 유럽 방산주 급상승
미국 최대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은 올해 들어 13% 하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방예산 삭감 발언에 이어 우크라이나 종전을 위한 러시아와의 평화 협상 추진 움직임이 방산업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유럽 패싱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에 대한 방위비 증액 압박이 맞물리면서 유럽 방산업체의 주가는 급등한 반면, 미국 방산업체들은 내림세로 전환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NATO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행보가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 군비 증강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면서 유럽 방산주의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독일 라인메탈, 8.8%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 기록

17일(이하 현지시각) 유럽 방산업체의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배런스, 유로뉴스, 마켓인사이드 등은 트럼프 대통령의 국방예산 삭감 발언과 러시아와의 평화 협상 추진, 유럽 지도자들의 국방비 지출 확대 움직임이 맞물리면서 유럽 방산업체에 대한 투자 심리를 자극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날 독일의 헨솔트는 전 거래일 대비 14%, 티센크루프는 18% 상승했고 라인메탈의 주가는 8.8%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100유로 미만이었던 주가는 900유로에 육박했다. 라인메탈은 155mm 포탄을 포함한 대규모 포병 탄약을 생산하는 독일의 방산업체다.

이 외에도 영국 BAE시스템스는 전 거래일 대비 7%, 이탈리아 레오나르도는 5.27%, 프랑스 탈레스는 4.72%, 스웨덴 사브는 10.34%, 노르웨이 콩스베르그 그루펜은 6% 상승했다. 프랑스 다쏘항공도 5% 가까이 상승하는 등 유럽 전역의 방산주가 국적을 가리지 않고 상승했다. 반면 미국 방산업체의 주가는 하락했다. 미국 최대 방산업체인 록히드마틴은 올해 들어 13% 하락했고 같은 기간 제너럴다이내믹스는 8%, 노스롭그루먼은 6.5%, L3해리스테크놀로지스는 6%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유럽 방산주의 상승을 이끈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가 자국의 방산업체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하락세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방위비 관련 상반된 발언으로 시장 혼란

자국 방산주의 하락을 이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중국·러시아와의 국방 지출 회담 가능성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지난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든 것이 정리되면 가장 먼저 하고 싶은 회담 중 하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만남"이라며 "그 자리에서 3국의 군사 예산을 절반으로 줄이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세 나라는 이미 세상을 50번, 100번 넘게 파괴할 수 있는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어 추가 핵무기 제조는 불필요하다"며 "이러한 합의가 이뤄진다면 언젠가는 국방예산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이 2024년 대선 캠페인부터 취임 이후까지 국방예산에 대해 상반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조속히 끝내길 원한다면서도 전쟁으로 인해 미국 무기 구매가 증가한 점을 강조했다. 정부효율부(DOGE)를 조직해 예산 절감 방안을 모색하는 중에도 강력한 군사력을 강조하며 '미국판 아이언돔(Iron Dome of America)'으로 불리는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기도 했다. CNBC는 애널리스트의 분석을 인용해 "현재 국방 예산과 관련해 상충하는 흐름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시장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 국가에 대한 방위비 증액 압박을 두고도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국내총생산(GDP)의 2%'인 NATO의 방위비 목표치를 'GDP의 5%'까지 증액할 것을 요구해 왔다. 지난해 2월에는 대선 유세 중 'NATO 동맹국이 방위비를 늘리지 않으면 러시아가 이들을 침공하도록 독려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런 강경 기조는 취임 후에도 이어졌다. 지난 13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유럽의 안보는 유럽이 직접 책임져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호구(Uncle Sucker)로 만들도록 내버려두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에서는 유럽 방산업계의 미국 의존도가 높은 만큼 유럽 국가들의 국방예산 증액이 미국의 무기 수출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2023년 6월부터 12개월 동안 유럽 국가들의 방위비 지출액 750억 유로(약 113조원)의 78%가 유럽 외 지역으로 흘러갔으며, 그중 63%는 미국 제조업체에 돌아갔다. 국방 기술을 가늠하는 R&D(연구개발) 지출 규모에도 격차가 크다. 2022년 기준 유럽의 방위 R&D 지출은 전체 방위비의 약 4.5%인 107억 유로(약 16조원)에 불과했지만, 미국은 전체 방위비의 16%인 1,400억 달러(약 201조원)를 R&D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위비 'GDP 5%' 요구에 유럽 재정 시험대 올라

이러한 흐름 속에 유럽 정상들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와 유럽이 배제되는 것을 우려하면서, 관내 안보 보장에 있어 유럽 국가들의 역할 확대와 국방비 지출 증가 등을 포함한 이른바 '유럽 자강론'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째 이어지는 상황에서 미국 없이 유럽 국가만으로 러시아를 견제하고 안보를 책임져야 한다면 방위비 부담이 대폭 증가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최근 유럽연합(EU)의 양대 산맥인 독일과 프랑스가 침체기에 접어들어 당장 방위비 지출을 올릴 여력이 없어 보인다.

이 때문에 무리한 방위비 지출 확대가 유럽 국가들의 국가 신용도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장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부 장관은 최근 뮌헨안보회의에서 "안보 보장을 위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으며 복잡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며 "지금까지 예상하지 못했던 희생도 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평가기관 S&P 글로벌은 "유럽 국가들이 국방예산을 GDP의 5%까지 늘리면 연간 8,750억 달러(약 1,258조원)가 들 것으로 추산한다"며 "다른 지출을 줄여 상쇄하거나 신용도에 부담을 주지 않고는 개별 국가가 감당할 수 있는 금액을 훨씬 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정치적 갈등도 장애 요인으로 꼽힌다. 국방예산을 늘리기 위해서는 복지 예산 삭감이 불가피해 정치적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부 장관은 14일 "복지 예산을 줄여 국방 예산을 늘리면 사회가 분열되고 이로 인해 이익을 얻는 사람은 극우 정당뿐"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외신들은 오는 23일 치러지는 독일 총선이 정치적 의지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유력한 차기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프리드리히 메르츠 기독민주당(CDU) 대표는 뮌헨안보회의에서 "지금 경각심을 갖지 않는다면 EU 전체가 너무 늦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재정적자 수준으로 볼 때 유럽 재정이 방위비 확대를 감당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EU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GDP의 약 120%에 달하는 국가 부채를 지고 있으며 연간 재정 적자는 6% 수준이다. 반면 EU 회원국의 평균 부채는 GDP의 약 81.5%, 연간 재정 적자는 2.9% 수준으로 미국보다 낮다. 이에 대해 유럽 경제 싱크탱크인 브뤼겔연구소는 "미국은 2009년 이후 미국이 적자를 이용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국가들보다 5배 더 많은 자금을 경제에 투입한 결과"라며 "대부분의 EU 국가는 더 높은 공공부채를 감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반도체법 무산 두고 여야 공방, '화이트칼라 이그잼션' 도입 위한 균형점 찾아야

반도체법 무산 두고 여야 공방, '화이트칼라 이그잼션' 도입 위한 균형점 찾아야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반도체법, 여야 이견에 산자위 소위 문턱서 좌절
민주당, 노동계 반발 의식해 기존 당론으로 회귀
과기장관 "선진국 중 한국만 국가 R&D 근로 제한"

고소득·고학력 근로자에 대해 주 52시간 근로제 적용을 제외하는, 이른바 '화이트칼라 이그젬션(White-Collar Exemption)'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반도체특별법에 해당 예외 규정을 포함할지를 두고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소위원회 논의는 결국 무산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이 장시간 근로를 조장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데 반해 국민의힘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위해 유연한 제도 적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권성동 "민주당이 반도체 업계 요청 묵살해"

18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에 열린 원내 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이 반도체법에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조항을 반대하는 데 대해 "육상선수 발목에 족쇄를 채워 놓고 열심히 뛰라고 응원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전날 국회 산자위 법안소위에서 여야는 '반도체특별법 제정안'을 심사했지만, 민주당이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에 반대하며 처리가 무산됐다. 법안 통과가 무산된 직후 권 원내대표는 "경쟁국보다 더 많은 지원은 못 해줄 망정 방해는 하지 말아야 한다"며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절실한 요청을 묵살해 버렸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을 두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한때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가 철회한 것에 대해서도 공세를 펼쳤다. 권 원내대표는 "이재명 대표는 지난 3일 반도체법 토론회에 참석해 '몰아서 일하기가 왜 안 되느냐고 묻는데 할 말이 없었다'며 사실상 유연성 확보에 동의해 놓고 불과 2주 만에 입장을 바꿨다"고 지적했다. 최근 조기 대선을 겨냥한 이 대표의 우클릭·친기업 행보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요즘 들어 성장을 외치는데 정작 성장하는 것은 이 대표의 거짓말 리스트뿐"이라고 말했다.

주 52시간제 예외 규정만 제외한 채 법안을 통과시키자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 국민의힘은 "반도체법의 핵심은 집중 연구를 위한 근로시간 확보"라며 협의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획일적인 주 52시간제의 폐해가 드러났음에도 민주당은 강성 노조와 일부 의원의 반발에 밀려 반도체법 처리를 반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어느 선진국도 연구·개발(R&D) 인력에게 주 52시간제를 적용하지 않는다"며 "반도체뿐 아니라 어떤 연구자도 제한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 3일 양대 노총(한국노총·민주노총)이 국회 앞에서 '반도체특별법 노동시간 적용 제외 시도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주52시간제 예외 적용과 관련한 논의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사진=한국노총

민주당 "다른 산업과의 형평성 등 고려해야"

여당의 공세에 이재명 대표도 맞대응했다. 이 대표는 18일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조항 없이 어떤 것도 합의할 수 없다는 무책임한 몽니로 국가의 미래가 걸린 산업 경쟁력이 발목 잡히고 말았다"며 "국민의힘은 도대체 무슨 생각인가"라고 일갈했다. 이어 "계엄으로 국가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반도체 산업이 망가지더라도 민주당이 하자는 것은 기어코 발목 잡아야겠다는 것인가"라며 "부디 더는 조건 붙이지 말고 합의 가능한 반도체법부터 우선 처리하자"고 촉구했다.

애초 민주당은 반도체법에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을 담기보다는 근로기준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이 대표가 이달 3일 반도체법 토론회를 주재하면서 주 52시간제 예외 필요성을 언급한 뒤로 반도체법에 관련 조항을 추가하는 쪽으로 무게가 실렸다. 이를 두고 양대 노총 등 기존 지지층은 "노동 조건을 후퇴시키는 우클릭"이라며 거세게 반발했고, 당내에서도 이인영 의원 등이 "실용이 아니라 퇴행"이라며 비판했다. 결국 민주당은 최종 예외 조항을 신설하지 않는 방향으로 입장을 정리하며 기존 당론으로 회귀했다.

특히 민주당은 반도체법상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을 신설할 경우,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예외 적용 요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의 산자위 핵심 관계자는 "노동시간 연장 문제는 당사자 간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에 일방 처리가 불가능하다"며 "충분한 소통을 통해 타협하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전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근로기준법상 탄력근로제나 재량근로제로도 충분히 주 52시간제 예외 효과를 낼 수 있는 만큼 노동시간 추가 연장에 동의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R&D 몰입 높여 노동생산성 제고에 초점 둬야

여야의 남 탓 공방 속에 반도체업계는 법안 처리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국 등 선진국과 추격자인 중국 사이에 끼인 한국 반도체 산업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R&D에 집중해야 한다"며 "현행 주 52시간제가 혁신 기술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등 선진국처럼 R&D 연구자에 대해서는 근무시간 제한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산업 현장에서 일하는 실무 엔지니어들도 큰 테두리에서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의 취지에는 공감하는 분위기다. 

한편 반도체 업계의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 논의를 계기로 다른 산업계에서도 근로기준법 개정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17일 중소기업중앙회와 벤처기업협회는 민주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을 공식 요구했다. 중기중앙회는 "수출 기업 56%, 중소 제조기업의 28.3%가 주 52시간제로 인해 수주, 납기 준수, 생산성 등 문제를 겪고 있다"며 "기업 상황에 맞게 노사 자율로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해 달라"고 건의했다. 벤처기업협회도 "R&D 등 핵심 인력에 대해 계약 자유의 원칙을 적용해 근로시간 제한을 완화하는 대신 보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무작정 근로시간만 늘린다고 능사가 아니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R&D 업무의 특성상 '몰입'이 중요한데 최근 MZ세대 근로자의 등장으로 산업 현장의 업무 마인드가 '목표 지향적'에서 '시간 지향적'으로 변화하면서 충분한 몰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우려다. 제도의 취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는 목소리가 높다. 화이트칼라 이그젬션는 장시간 근로를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가 아니다. 오히려 고연봉 관리·전문직은 근로시간이 아니라 일의 성과가 중요하다는 전제에서 도입되는 만큼 2차 산업 중심의 시간급제를 탈피해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는 설명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미·중 통상전쟁 격화에 '중국 엑소더스' 가속화, 동남아·인도 반사 이익

미·중 통상전쟁 격화에 '중국 엑소더스' 가속화, 동남아·인도 반사 이익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글로벌 기업들 '굿바이 차이나'
미·중 무역 갈등 격화하자 '脫중국' 행렬
생산공장 옮기고 사업 원점 재검토

미·중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다국적 기술기업의 ‘탈(脫)중국’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말고는 어디든’(anything but China)을 뜻하는 ‘ABC’가 새로운 전략으로 떠오른 양상이다.

美 기업 30% "공장 이전 시작"

1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기존에 중국 외의 보완 공급망을 확보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추진했던 다국적 기업들은 최근 아예 중국을 떠나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중국 주재 미국상공회의소의 연례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360명 중 30%는 생산 기지 이전을 고려하거나 이미 시작했다고 답했고, 기술 및 연구개발( R&D) 기업의 약 4분의 1은 공급망을 이전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부품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앞서 기업들이 제품 조립만 중국 외 지역으로 이전했던 것과 달리, 현재는 센서와 인쇄회로기판(PCB), 전력 전자장치와 같은 부품을 만드는 공장도 이전하고 있다.

엑소더스 경향이 가장 뚜렷한 분야는 미·중 간 기술 경쟁의 핵심인 반도체다. 미국은 지난 2년간 중국이 최첨단 칩과 장비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했고, 이에 중국은 자체 칩 개발을 추진해 왔다. 중국은 세계 서버 생산의 가장 큰 허브 중 하나였지만, 미국이 2022년 10월 인공지능(AI)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한 이후 AI 서버는 멕시코와 말레이시아 등에서 점점 더 많이 조립되고 있다.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들도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움직임에 가세하고 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램 리서치는 지난해 미 정부의 압력으로 중국 기업을 공급망에서 제외했고, 전력 시스템 및 전기 부품을 만드는 어드밴스드 에너지 인더스트리스는 오는 7월까지 중국의 마지막 공장을 폐쇄할 예정이다.

기업들 탈출 러시, 베트남·인도에 새 공장

이 같은 탈중국 움직임에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은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동남아시아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2018년 1,550억 달러(약 223조 5,800억원)에서 2023년 2,300억 달러(약 331조 7,700억원)로 증가했다. 칩 제조업체 인텔, 인피니온, 마이크론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고 노트북 제조업체 HP는 지난 3년간 조립 기지에 태국을 추가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지난해 반도체,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제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인 1,370억 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여파로 2023년 기준 중국은 전 세계 대부분의 노트북을 생산했지만, 올해는 비중이 80%로 줄어들고 베트남과 태국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중국 기업도 서구 고객들의 요청에 호응하기 위해 해외로 진출하는 추세다. 중국의 데이터 센터용 광 트랜시버 제조업체인 신역성통신기술은 해외 고객에 대한 공급을 늘리고 미·중 긴장의 여파를 피하기 위해 태국 공장을 확장했다. 또 노트북, 태양광 패널 및 산업 기계용 납땜 재료를 생산하는 바이탈신소재는 동남아시아에 자회사를 설립했다.

우리 기업들도 생산 거점을 동남아시아와 인도로 옮기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해 7월 방한한 팜민찐 베트남 총리를 만나 베트남을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생산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는 베트남 박닌성에 18억 달러(약 2조6,000억원)를 투자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공장을 짓기로 했다. 이번 투자로 박닌성에 대한 삼성그룹 누적 투자액은 83억 달러(약 11조원) 수준으로 불어났다.

LG디스플레이도 베트남 하이퐁 OLED 생산시설에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했고, LG이노텍 역시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하이퐁 공장 증설을 위해 3,759억원을 투자한다고 지난해 11월 공시했다. 아울러 LG전자는 인도 증시에 현지법인 상장을 추진 중이며 세 번째 가전 공장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中 "인력·장비 못 나간다", 생산기지 이전 저지

이에 중국은 주요 기업들의 생산 기지 이전 저지에 나선 상태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당국은 규제 기관과 지방 정부에 기술 이전 및 장비 수출을 제한하도록 구두 지시했다. 중국 정부는 특히 인도와 동남아시아 지역의 첨단 제조업에 필요한 인력과 특수 장비의 해외 이동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를 통해 자국 생산을 강화하고 잠재적 실업을 방지하며, 미국이 새로운 무역장벽을 도입할 경우 고관세를 우려한 외국 투자자들의 대규모 중국 탈출을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런 조치의 영향으로 애플의 주요 생산 파트너인 대만 폭스콘은 중국 직원들의 인도 파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직 생산에 직접적인 차질이 발생할 정도는 아니지만, 인도 공장은 중국으로부터 필요한 특수 장비를 추가로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애플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 국가로 부상한 상황이다.

동남아 지역도 중국의 제한 조치 영향권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최근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등지에서는 중국산 장비 도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애플에 장비를 공급하는 중국 업체 두 곳의 경우 지난해부터 인도 수출과 관련해 중국 정부의 특별 감찰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와 관련해 중국 외교부는 “중국은 모든 국가를 동등하게 대우하며 세계 각국 기업에 열려있다”며 “다른 국가의 이익을 해치면서 자국의 이익을 추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딥파이낸셜] 미 정부 ‘팬데믹 지원금’이 빈곤 감소에 미친 영향

[딥파이낸셜] 미 정부 ‘팬데믹 지원금’이 빈곤 감소에 미친 영향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코로나 기간 미국 정부 지원금 ‘3조 달러’ 규모
지원금 영향 ‘소득 빈곤’은 빠르게, ‘소비 빈곤’은 천천히 등락
지원금 저축했다 나중에 소비한 결과

더 이코노미(The Economy) 및 산하 전문지들의 [Deep] 섹션은 해외 유수의 금융/기술/정책 전문지들에서 전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습니다. 본사인 글로벌AI협회(GIAI)에서 번역본에 대해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미국 정부는 무려 3조 달러(약 4,328조원) 규모의 지원금을 가구에 배분하며 미국 경제 정책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전례 없는 정부 개입으로 아동 빈곤율을 포함한 전반적 빈곤율이 개선되는 가운데 소득 빈곤(income poverty)과 소비 빈곤(consumption poverty) 간 차이가 목격되기도 했다. 정책이 시행된 2021년 소득 빈곤은 급격히 감소했지만 소비 빈곤은 시간을 두고 서서히 감소한 것이다. 또한 2022년 지원 정책의 종료와 함께 소득 빈곤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소비 빈곤은 팬데믹 이전 수준 이하를 유지했다. 모두 저축과 대출의 영향이었다.

사진=CEPR

미국, 팬데믹 기간 가구 지원금 ‘3조 달러’

팬데믹이 미친 광범위한 경제적 차질은 정부의 즉각적인 대규모 정책 대응을 불렀는데 이 중 경제 영향 지원금(Economic Impact Payments, 정부의 일회성 현금 지원, EIP), 확장적 실업 급여(expanded unemployment insurance, 실업 급여 대상을 일시적으로 확대), 아동 세액공제 확대(expanded Child Tax Credit, 2021년 공제액을 일시적으로 확대)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팬데믹 시기 해당 정책들이 미친 경제적 영향을 살펴보려면 두 가지 빈곤 지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가처분 소득 빈곤(disposable income poverty)은 세후 소득과 함께 식료품 보조, 주거 지원 등 비현금성 혜택을 포함한 실질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빈곤 정도를 평가한다. 한편 소비 빈곤은 상품과 서비스 구매 및 주택, 자동차 등 내구재 가치를 포함한 소비 측면의 지표다.

정부 지원과 함께 ‘소득 빈곤’은 빠르게, ‘소비 빈곤’은 천천히 감소

팬데믹 전후인 2015~2022년 기간 두 가지 지표의 움직임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코로나19 이전까지 소득 빈곤과 소비 빈곤은 나란히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었다. 하지만 2020년 팬데믹 확대 후 급격히 줄어든 가처분 소득 빈곤에 비해 소비 빈곤은 완만한 하락세를 기록해 두 지표 간 차이가 드러난다.

구체적으로 2021년까지 ‘아동 가처분 소득 빈곤’(Disposable income poverty for children)은 41% 감소했다 2022년 지원 프로그램이 종료되자마자 다시 85% 상승했다. 하지만 소비 빈곤은 2021년 5% 감소를 기록한 것에 이어 2022년에도 23% 감소하는 매우 다른 패턴을 보였다.

아동 소비 빈곤율 및 소득 빈곤율 추이(2015~2022년)
주: 연도(X축), 빈곤율(2015년 대비 변화율, %)(Y축), 공식 소득 빈곤(세액 공제 및 일부 지원금 누락, 청색), 가처분 소득 빈곤(노랑), 소비 빈곤(녹색), *공식 소득 빈곤은 세액 공제 및 지원금 누락으로 팬데믹 이후 상승/출처=CEPR

두 빈곤 지표 간 차이는 대부분 가구 저축과 대출로 설명할 수 있다. 지원금과 실업급여, 아동 세액공제 혜택을 복수로 받는 가구들은 소득의 일부를 저축할 수 있었던 것이다. 데이터를 봐도 저소득 가구의 2020~2021년 사이 자산 가치는 경제 영향 지원금이 지급될 때마다 급격한 상승을 보인다. 이러한 저축액이 이후 지원 프로그램이 종료된 소득 감소 시기에 가구들이 소비를 유지하거나 늘리는 데 도움을 준 것이다.

저소득 가구의 자산 가치 추이(총소비가 빈곤선 수준의 50%~150% 사이인 가구 중 자산 가치 순위 상위 75% 대상)
주: 기간(분기)(X축), 자산 가치(달러)(2015년 1분기 대비 변화량, Y축), *빈곤선 이하 및 다소 상회 수준 저소득 가구 중 상위 75%의 자산 가치 수준을 나타냄/출처=CEPR

소비 빈곤, ‘저축 효과’로 지원 중단 후에도 지속 감소

실제로 앞서 언급한 세 개의 소득 지원 프로그램들이 아동 빈곤 감소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2021년의 경우 ‘아동 세액공제 확대’는 확대 이전 세액공제와 비교해 아동 빈곤을 1%P 더 줄이는 효과를 발휘했다. 또한 경제 영향 지원금은 3.1%P의 감소 효과를 기록해 세 개 프로그램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확장적 실업 급여 역시 1.2%P로 나쁘지 않았다.

2022년 지원 프로그램이 종료되면서 나타난 영향도 정확히 대칭적이다. 경제 영향 지원금 만료가 소득 빈곤 증가에 가장 크게 작용했고 아동 세액공제가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며 미세한 영향을 미쳤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소비 기반 빈곤 측정치들은 이때까지도 감소 추세를 이어갔다는 사실로 팬데믹 시기 서민들의 경제 수준 유지에 정부 정책과 저축이 상당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팬데믹 시기 소득 지원 프로그램이 아동 빈곤 감소에 미친 영향
주: 아동 세액공제 확대, 경제 영향 지원금, 확장적 실업 급여(좌측부터), 빈곤 감소율(%)(Y축)/출처=CEPR

인플레이션과 고금리로 지원 효과 단기에 그쳐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저소득 가구는 지속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 재정적 궁핍과 식량난을 겪는 모습도 함께 보였다. 전반적으로 개선된 경제 상황에도 더 큰 어려움에 처한 가구들의 존재는 팬데믹 시기 정책이 당장의 빈곤 완화에 도움을 줬지만 장기적 개선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정부 지원 정책 설계에서는 단기 구제와 지속 가능한 경제적 지원이 균형을 이룰 방안이 고민돼야 할 것이다.

한편 정부 지원 규모를 정확히 산정할 수 있는 조사 방법과 지표의 개발도 시급한 과제다.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통계는 오랜 기간 비판을 받아왔지만 팬데믹 기간에는 더욱 큰 한계를 드러냈다. 공식 빈곤 통계를 제공하는 인구조사국의 현재 인구 조사(Current Population Survey, CPS)가 집계한 2020년 실업 급여 지급액이 실제 지급액의 4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3,600억 달러(약 519조원)를 누락한 결과다. 저소득 가구의 빈곤율과 복지 지출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해 반드시 개선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의 저자는 브루스 마이어(Bruce Meyer)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해리스 공공정책대학원(Harris School Of Public Policy) 교수 외 2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Poverty during the pandemic and the role of government transfers | CEPR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대출 이자 버거운 기업 ‘수두룩’ 미국·한국 닮은꼴, 미국은 경기 둔화 초입

대출 이자 버거운 기업 ‘수두룩’ 미국·한국 닮은꼴, 미국은 경기 둔화 초입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미국 기업대출 연체액 40조원 상회
금리 인하 가능성↓, 상황 악화 우려
기업대출 비중 늘리는 은행권 ‘비상’

미국 기업들의 대출 연체율이 8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코로나19 팬데믹 초창기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한 기업들이 이후 급격한 금리 인상 탓에 차입금 상환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시장의 소비심리까지 위축되면서 기업의 현금흐름 악화를 가속하고 있다. 한국 또한 이 같은 흐름을 뒤쫓으며 경기 둔화의 사이클로 접어드는 양상이다.

경제 불확실성 속 기업 현금흐름 악화

17일(현지시각) 금융정보업체 뱅크레그데이터(BankRegData)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국 기업의 대출 연체 금액은 280억 달러(약 40조4,000억원)를 넘어서면서 1년 전과 비교해 54억 달러(약 7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2017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뱅크레그데이터는 “대출 연체액 증가에서 볼 수 있듯 기업의 현금 흐름이 악화하고 있다”고 진단하며 “소비자의 지출 감소나 비용 증가에 그 원인이 있는 만큼 미국 경기 전반의 둔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의 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도출됐다. 2023년 10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12개월간 미국 레버리지론 시장의 채무불이행률은 7.2%로 2020년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레버리지론은 복수의 금융회사가 기업에 공통의 조건으로 자금을 대여하는 신디케이트론(syndicated loan)의 일종으로,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게 특징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차입 비용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급증했다는 게 무디스의 설명이다. 무디스는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은 채권시장 대신 대출시장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고 짚으며 “하이일드채권(무디스 기준 Ba1 이하 저신용 회사 채권) 시장의 채무불이행 비율보다 레버리지론 시장의 불이행률이 더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이 같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는 점이다. 지난해 하반기까지만 해도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 둔화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현실은 다르게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식료품 가격 급등 영향으로 3%를 기록하며 하락세가 끊겼다. 이에 따라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도 매우 희박하다는 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노동 시장 경색, 소비자 체감도 짙어져

여기에 지난달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또한 미국의 경기 둔화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고율 관세가 미국 경제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인플레이션 위험을 높인다는 지적이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소비자 물가는 일시적으로 0.5%~0.7%p 오를 것”이라면서 “올 연말에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3%를 웃돌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 같은 경기 둔화의 여파는 중산층과 서민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노동 시장 둔화 등으로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소비 여력이 급감할 것이란 관측이다. 미국의 세금 정책 연구기관 택스 파운데이션(Tax Foundation)은 트럼프 행정부가 20%의 보편 관세와 60%의 대(對)중국 관세를 부과할 경우, 장기적으로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이 1.3%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전일제 일자리는 최대 110만 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가계부채 규모 및 연체율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작년 4분기 가계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0.1%p 오른 3.6%를 나타냈다. 이는 2020년 2분기 이후 4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자, 2023년 2분기(2.6%) 이후 6개 분기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온 결과다. 연은은 “‘심각한 연체(90일 이상 연체)’로 분류된 부채를 보면, 주택담보대출은 안정세를 유지한 반면 자동차 대출과 신용카드 등에서 급증세를 나타냈다”며 “자동차 대출의 연체율은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3%를 나타냈고, 신용카드 연체율 또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7.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계기업 늘고 연체율 상승, 은행은 ‘한숨’

소비자의 지출 여력 축소에서 기업의 현금흐름 악화 및 대출상환 능력 저하로 이어지는 경기 둔화의 사이클은 미국과 한국에서 동일하게 발생한 현상이다. 한국경제인협회가 한국과 주요 5개국(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상장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9.5%(2,260곳 중 440곳)로 미국(2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3년 연속 ‘1’을 하회하는 기업을 말한다. 영업을 통해 거둬들인 수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중장기적으로도 나란히 우상향을 그리고 있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7.2%(163곳)에서 2024년 3분기 19.5%(440곳)로 12.3%p 증가했고, 같은 기간 미국은 9.2%에서 25.0%로 15.8%p 뛰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미국은 팬데믹 당시 대출이 크게 증가한 상태에서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하면서 기업의 이자 부담이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며 “한국도 경기 부진 장기화에 따른 판매 부진, 재고 증가로 기업 수익성이 크게 악화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12월 기업대출 연체율 하락 조짐이 보이며 분위기 반전을 신호탄을 쏘기도 했으나, 중소기업의 연체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44%로 전월 말(0.52%) 대비 0.08%p 하락했다. 다만 1년 전(0.38%)과 비교하면 0.06%p상승했다.

부문별 동향에서는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기업대출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상반된 모습을 나타냈다. 먼저 대기업대출의 연체율은 0.03%로 전월 말과 비슷했고, 1년 전(0.48%)과 비교하면 도리어 0.09%p 하락했다. 반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2%로 전월 말(0.75%) 대비 0.13%p 하락했으나 1년 전(0.48%)과 비교하면 0.14%p 상승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따라 기업대출에서 돌파구를 마련 중인 은행들은 건전성 관리라는 과제를 떠안게 됐다. 통상 미래 수익 전망치를 토대로 실행되는 기업대출은 유형자산을 담보로 잡는 주담대 등 가계대출보다 부실 위험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은행에서는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 자산에 따른 빠른 상·매각 등을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기업의 경영 환경이 개선되기 전까지는 건전성 제고에 한계가 있다”며 “가계대출 확대 또한 쉽지 않은 만큼 우량 자산을 발굴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