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 관세, 미국의 4배" 트럼프, 사실무근 억지 주장 펼쳐

"한국 관세, 미국의 4배" 트럼프, 사실무근 억지 주장 펼쳐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트럼프 "한국이 미국에 고관세 부과한다"
실제 미국산 수입품 관세율은 0.79%에 그쳐
거세지는 트럼프發 관세 압박, 지자체 대응책 마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이 미국보다 평균 4배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언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으로 실제 대미 평균 관세율이 0%대에 그침에도 불구, 표면적인 최혜국 대우(MFN) 관세율 지표에 따라 사실과 다른 주장을 펼친 것이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미국의 '불공정 무역'을 조명하기 위해 상황을 과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韓 MFN 관세율 지적

4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최초로 진행된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한국의 평균 관세율은 (미국보다) 네 배 더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한국에 군사적으로 그리고 여러 방면에서 많은 지원을 제공한다"며 "하지만 그런 일(고관세 부과)이 벌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율 4배’ 발언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국끼리 부과하는 MFN 관세율 지표를 근거로 한다. MFN 관세율은 WTO 가입국들이 특정 국가에 대한 차별 없이 보편 적용하는 관세율을 뜻한다. 2023년 기준 미국의 MFN 관세율은 평균 3.3%, 한국의 MFN 관세율은 13.4%다.

정부 "트럼프 발언, 사실 아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실제 한미 교역에서는 MFN 관세율보다 양국이 체결한 FTA가 우선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쌀·오렌지 등 일부 미국산 농산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상품이 무관세로 수입·수출되고 있으며, 미국산 수입품에 적용되는 한국의 평균 관세율은 지난해 기준 0.79%(실효세율 기준)에 그친다. 추후 적용되는 관세 환급액까지 따지면 관세율은 더 낮아진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해'에 우리나라 정부는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수입품에 대한 우리나라 관세율은 사실상 0% 수준”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사실과 다르며, 주미한국대사관과 다양한 통상 채널을 통해 미국에 적극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진행할 관세 관련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일부러' 과장된 발언을 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국이 불공정하게 무역 흑자를 내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콕 집어 4배라는 표현을 택했다는 것이다. 이태규 한국경제인협회 글로벌 리스크 팀장은 “앞으로 본격적인 협상이 시작되면 또 다른 이야기가 나올 것”이라며 “(관세가 4배라는 발언은) 한국이 무역 흑자를 많이 내고 있고, 이를 바로잡겠다는 의지 표현이자 협상 전략”이라고 진단했다.

현대자동차 울산 공장의 수출품 선적 부두/사진=현대자동차

지자체 일제히 '비상'

미국의 관세 압박이 가중되는 가운데, 수출 위주 산업 구조를 가진 국내 지방자치단체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우선 최대 대미 자동차 수출 도시인 울산시는 ‘통상정책 비상 대응 전담반(TF)’을 가동하고, 이달 내 수출기업 현장 간담회를 열어 밀착 지원을 펼치겠다는 방침이다. 수출 중소기업 및 위기 기업을 위한 지원 예산도 조기 집행한다. 전체 예산의 80.5%인 20억1,200만원이 올해 상반기 중 투입될 예정이며, 수출보험 보증료 지원(1억9,700만원), 국제특송 해외 물류비 지원(1억원) 사업비는 이달 집행된다.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상남도도 수출입 기관, 자동차 업계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2024년 경남 자동차 수출액 36억4,950만 달러(약 5조2,530억원) 중 미국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85.34%(31억1,459만 달러)에 달한다. 경남도는 지난 4일부터 지역 중견 업체 현장을 방문해 여론을 수렴하고 있으며, 조만간 15개 중견 기업을 상대로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번 주에는 한국GM 창원 공장 측과 관세 대응과 관련한 필요 사항을 논의한다.

르노코리아 공장이 있는 부산시도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인 지난해 12월부터 무역 관련 기관 13곳이 참여하는 ‘수출위기 대응 통상대책반’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통상대책반은 △기관별 국제 통상 환경을 모니터링 △수출 애로사항 파악 △기관별 수출지원사업 현황 공유 △협력 가능 사업을 검토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올해 1월에는 기업 현장을 방문해 수시로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통상대책반과 연계 활동을 하는 ‘대미 수출위기 대응 기업현장지원단(TF)’도 구성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평판 훼손에도 홈플러스 회생 신청한 'MBK', 이자 깎기 위한 포석이었나

평판 훼손에도 홈플러스 회생 신청한 'MBK', 이자 깎기 위한 포석이었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신용 위험 현실화에 기업회생 절차 신청
부채 탕감 위해 선제적 조치 결정
메리츠證 리파이낸싱 당시 부동산 담보 잡아

국내 2위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시작한 가운데,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와 주 채권자 메리츠금융그룹 간 협상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메리츠는 홈플러스에 대한 금융권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업계에서는 MBK가 메리츠에 대한 대출금리를 얼마나 낮출 수 있을지 주시하는 모양새다. 현재 메리츠는 금리 인하, 원리금 상환 만기 연장 등의 조건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입장이지만, 담보인정비율(LTV)이 25%에 불과하다는 점은 메리츠에 유리한 카드로 작용할 전망이다. 어차피 원금 손실 가능성이 거의 없는 만큼 채무 조정에서 협상력을 갖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달 뒤면 현금 마른다" 회생 신청

6일 투자은행(IB) 및 법조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4일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기업회생 절차 개시 결정을 받았다. 이번 회생 신청은 대주단도 사전에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간 홈플러스는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으로 매달 6,000억~7,000억원씩 조달해 영업 대금을 충당해 왔다. 이런 상황에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가 나란히 홈플러스의 단기 신용등급을 A30에서 A3-로 하향조정하며, 국내 자본시장에서의 차환이 거의 불가능해진 것이다.

단기 신용등급 A3-는 장기 회사채 시장에서의 신용등급 BBB-와 동일하게 평가되는데, 여기서 한 단계 더 내려가면 정크본드 수준(BB+)이 된다. 이 때문에 지금 당장은 문제가 없더라도 두 달 뒤면 현금이 마를 수 있다고 판단, 갑작스레 회생을 결정하게 됐다는 게 MBK 측 설명이다.

홈플러스의 회생 결정으로 가장 난처해진 곳은 메리츠금융그룹이다. 현재 국내 금융권의 홈플러스 관련 대출·지급보증 등 위험노출액은 1조4,000억원으로, 이 중 대부분인 1조2,000억원을 메리츠증권, 메리츠화재, 메리츠캐피탈이 빌려줬다. 메리츠는 지난해 5월 홈플러스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차환) 당시 단독 주선사로 나섰는데, 금리가 10% 안팎에서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츠금융그룹 전체에서 메리츠증권의 익스포저가 6,551억2,000만원으로 가장 크고, 캐피탈과 화재가 각각 2,807억7,000만원씩 부담했다.

10%대 대출 금리 조정 전망

현재 홈플러스 회생 성공의 키는 메리츠가 쥐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홈플러스는 오는 6월 3일까지 법원에 회생 계획안을 제출할 예정으로, 그 전에 관계인 집회에서 가결이 돼야 한다. 담보 채권자의 경우 4분의 3 이상, 담보가 없는 일반 회생 채권자는 3분의 2 이상 동의해야만 가결 조건을 충족한다. 담보채권(CP 포함) 총액 2조1,000억원 가운데 1조2,000억원이 1순위 담보권자 메리츠의 몫인 만큼, 메리츠가 동의하지 않으면 회생 계획안은 부결된다.

이에 업계는 MBK가 메리츠에 10%에 육박하는 인수금융 금리를 내려줄 것을 제안할 것으로 보고 있다. 회생 절차가 시작되면 포괄적 금지 명령이 내려져 차입금과 이자 상환이 유예돼, 최악의 경우 메리츠가 한 푼도 못 받는 상황에 처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홈플러스는 회생채권 중 공익채권으로 분류되는 근로자 임금과 상거래 채권 등만 먼저 갚으면 된다. 메리츠로부터 빌린 돈은 상환 우선순위에 없다. 이와 관련해 한 IB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메리츠는 고금리 대출을 통해 어마어마한 이자를 벌어들였는데 그런 공격적인 영업이 오히려 독이 된 꼴”이라며 “원리금 지급이 유예돼 돈이 당분간 묶여있게 됐고, 이율도 대폭 낮출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메리츠는 자금 회수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신탁 게약에 의해 맡겨진 재산은 기업 회생을 신청한 회사의 자산으로 간주하지 않아 회생 절차와 관계가 없다는 설명이다. 해당 신탁 재산은 부동산·유형자산 5조원 규모로 메리츠금융그룹이 1순위 수익권을 갖고 있다. 메리츠금융그룹에 따르면 기한이익상실(EOD) 발생 즉시 담보 처분권이 생기는 구조기 때문에 자금 회수에는 영향이 없다.

한국신용평가도 메리츠 자금 회수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한다. 윤소정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개시에도 불구하고 신탁재산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고, 채무자의 회생담보권을 구성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실제 메리츠금융그룹이 담보로 확보한 감정가액 합계는 4조8,000억원 규모로, LTV는 약 25% 수준이다. 윤 연구원은 "회수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담보자산의 우수한 LTV를 감안할 때 최종적인 손실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MBK, 홈플러스 '먹튀 책임론' 부상

이런 가운데 자본시장에선 MBK가 이번 위기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치명적인 악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최고의 경영 전문가 집단을 표방한 PEF가 랜드마크 거래에서 경영 실패를 인정한 셈이기 때문이다. 당초 MBK는 홈플러스 M&A(인수합병)를 기업 경영권 거래가 아닌, 부동산 금융 거래로 간주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세일앤드리스백(매각 후 재임차), 마스터리스(책임임대차·통임대 후 재임대) 등 부동산 금융을 총집합한 금융 거래였다. 20여 곳의 매장을 매각해 4조원을 확보했지만 이 과정에서 노조 및 지역사회와 갈등을 빚었고, 금융 논리에 매몰돼 쿠팡 등 이커머스의 급성장과 소비 침체로 인한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본질적인 변화조차 읽지 못했다.

치솟은 금융비용 부담과 대규모 유형자산 처분 및 미약한 투자, 이커머스 급성장에 맞물린 유통업 판도 변화는 결국 홈플러스의 경쟁력 악화로 이어졌다. 홈플러스는 2021년부터 매년 1,000억~2,000억원대 적자를 냈다. 최근 3개 회계연도 모두 영업적자와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해당 기간 부채비율은 각각 663.9%, 944.0%, 3,211.7%로 치솟았다. 이는 신용평가사들이 등급하락을 결정한 주요 원인이다.

게다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개시신청은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다. 기업회생절차 혜택을 이용해 부채 부담을 줄이면서도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MBK가 이를 재무적 리셋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기업회생절차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파산 위기에 직면했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MBK는 홈플러스 납품대금이나 이자를 갚지 못하는 상황이 아님에도 금융채무 탕감과 조정을 위해 법원에 손을 내밀었다.

상황이 이렇자 시민단체와 투자자들은 김병주 MBK 회장에게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기업인으로 도덕적,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사재까지 내놓는 방식으로 경영에 대한 책임을 지고 투자자들의 손실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과거 태광그룹의 부실로 발생한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며 '제2의 티메프 사태'가 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한 PEF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선 시장의 신뢰를 얻는 게 우선인 만큼 제2의 티메프 사태를 막기 위해선 MBK 차원의 자구책 마련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는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중에 경영 실패를 자인한 꼴이어서 더 뼈아플 것”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동아시아포럼] “경제 성장 둔화에 트럼프 관세까지”, 시름 깊어지는 인도 경제

[동아시아포럼] “경제 성장 둔화에 트럼프 관세까지”, 시름 깊어지는 인도 경제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트럼프 2기 정책, 인도 경제에 심각한 위협
이민 정책 개정 시 IP 서비스 산업도 “걱정”
대미 의존 줄이고 공급망 다변화 나서야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로 인도의 무역은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정책은 인도의 제약, 섬유, 정보통신(이하 IT) 등 핵심 산업 수출에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 어려운 환경을 헤쳐가기 위해 인도는 미국과 관세율 인하를 위한 양자 간 협상에 나서는 한편 수출 시장 다변화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 미국의 이민 정책도 인도의 IT 및 아웃소싱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시장 확장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사진=동아시아포럼

트럼프 재집권으로 인도 수출 차질 “불가피”

트럼프 1기 행정부가 보여준 관세와 보호무역 정책으로 볼 때 올해 더한 일이 벌어지지 말란 법도 없다. 미국의 주요 교역국인 인도 역시 트럼프 2기가 가져올 위기와 기회를 정확히 판단하고 움직여야 한다. 인도가 주요 표적은 아니지만 트럼프는 인도를 ‘관세왕’(tariff king)이라고 표현하며 비판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인도의 무역 가중평균 관세율(trade-weighted tariff rate, 무역 가중치에 따라 계산된 평균 관세율)은 세계무역기구(WTO) 기준에 부합하는 것은 물론 한국, 미국, 일본 등 일부 선진국들보다도 낮다. 이들 선진국은 보호 대상 품목에 상당히 높은 관세를 물리고 있다.

인도의 핵심 수출 산업인 제약, 섬유, IT 서비스 등이 트럼프 정책에 따른 관세 조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물론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와 트럼프의 친밀한 관계가 우호적인 관세 협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최근 트럼프의 미국 내 석유 및 가스 증산 정책에 인도가 부응해 수입을 허용한 것이 또 다른 가능성을 예견하게 해준다.

‘각국 공급망 다변화’ 기회 포착 “인도는 아직 무리”

대미 수출 물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인도의 단기 성장에 중요하지만 장기적 경제 안정을 위한다면 수출 다변화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 장벽은 각국의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China Plus One strategy, 중국 외 공급망 다변화)을 촉진하고 있기도 하다. 인도가 이들 수요의 일부를 수용할 수는 있지만 아직은 기회를 온전히 활용하기에 역부족으로 보인다. 하지만 세법 개정과 능동적인 무역 정책, 해외 투자 유입을 위한 규제 환경 조성 등을 통해 중국 외 제조업 대안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생산 연계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PLI, 인도의 국내 제조업 육성 정책) 제도는 국내 생산과 수출을 지원해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우방국 및 동맹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과 니어쇼어링(nearshoring, 인근 국가로의 생산기지 이전)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제조 환경 변화의 수혜자가 되도록 이끌어 줄 수 있다.

미국 이민법 개정 시 인도 IT 서비스 수출에도 ‘악영향’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이민법 개정을 통해 고숙련 및 저숙련 노동자의 미국 내 이동을 제한할 가능성도 있는데, 그렇게 된다면 인도의 IT 및 아웃소싱 산업이 영향을 받는다. 미국 기업들이 인도 IT 아웃소싱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할 때 타격은 심각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국 내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졸업생 부족과 국내 고숙련 인력 채용에 따른 고비용을 감안할 때 당장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장기적 영향에 대비해 인도 IT 기업들은 이미 아프리카와 남미 등에서 대안 시장을 물색하고 있다.

미국의 참여와 상관없이 인도는 인도-태평양 경제 번영 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for Prosperity, 한국, 미국, 일본, 인도, 아세안 포함 14개 회원국으로 구성, 이하 IPEF) 참여를 통해서도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경제 모델 분석을 통해 보면 미국의 개입 없이 IPEF 지역에서만 무역 자유화가 심화돼도 참여국들의 성장률은 3.7%에서 4.2%로 올라간다. IPEF 회원국들이 소다자주의(minilateralism,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다자간 협력)를 통해 공급망 및 무역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참여를 통해 일본, 호주 등과의 협력 관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인도는 IPEF 무역 부문(trade pillar, IPEF의 4개 부문 중 하나)에만 옵서버 정도로 관여해 왔지만 앞으로 공급망과 공정 경제, 청정 경제 부문(supply chain, fair economy, and clean economy pillars)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무역 협력 관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미국을 넘어서는 관계 강화만이 트럼프 정책 변화에 따른 취약성을 줄이는 길이다.

‘글로벌 무역 다변화’ 기회로 삼아야

트럼프의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 석유와 가스 등 화석 연료 생산 확대를 의미) 구호하의 화석 연료 증산 정책은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이 공급 제한을 통해 고유가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 글로벌 유가 인하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인도의 러시아 원유 수입과 유럽 수출은 미국 원유 생산량 증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고려해 인도는 IPEF의 청정 경제 부문과 ‘쿼드 기후 변화 적응 및 완화 패키지’(Quad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Package, 호주, 인도, 일본 등이 시작한 청정에너지 관련 협력) 등 보유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일본, 호주 등과 기후 친화적 기술(climate-friendly technologies) 및 탄소 배출 제로 제품(zero-emission products)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인도의 에너지 안보를 지키는 것은 물론 지속 가능 무역에서의 입지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트럼프의 보호주의 정책과 WTO 및 IPEF 등 다자간 기구 탈퇴는 글로벌 무역 양상을 흔들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간 진행된 세계화로 형성된 상호 의존성으로 혼란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트럼프의 정책으로 인도의 대미 무역 관계가 어려움을 겪겠지만, 이를 다변화를 통한 자생력 강화의 기회로 삼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원문의 저자는 니킬라 메논(Nikhila Menon) 인피섬 모델링(Infisum Modelling) 수석 연구원 외 1명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Trump 2.0 puts India’s trade policy to the test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동아시아포럼] 노동시장 불균형과 취약한 제조업, “인도 경제 발목”

[동아시아포럼] 노동시장 불균형과 취약한 제조업, “인도 경제 발목”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잘 나가던 인도 경제 성장률, 작년부터 “삐끗”
올해 전망도 “기대 못 미칠 듯”
‘비정규직 문제 해결’, ‘제조업 성장’ 없으면 “미래 기대 어려워”

[동아시아포럼] 섹션은 EAST ASIA FORUM에서 전하는 동아시아 정책 동향을 담았습니다. EAST ASIA FORUM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Australia National University) 크로퍼드 공공정책대학(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산하의 공공정책과 관련된 정치, 경제, 비즈니스, 법률, 안보, 국제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플랫폼입니다. 저희 폴리시 이코노미(Policy Economy)와 영어 원문 공개 조건으로 콘텐츠 제휴가 진행 중입니다.

작년 1분기까지만 해도 인상적인 성장을 이어가던 인도 경제가 성장률 하락으로 고민에 빠졌다. 아직 주요 경제 대국(major economies, GDP 상위 5개국) 가운데는 가장 높은 성장률이지만 소비 수요 둔화로 2024~25 회계연도 전망 또한 어둡다. 인도가 성장 엔진을 재점화하려면 막대한 수의 비정규직 인력을 정규직화하고 제조업 부문을 강화하는 구조적 개혁이 필수적이다.

사진=동아시아포럼

인도 경제 성장률, 작년 2분기 이후 둔화

인도 경제는 작년 초 요동치는 세계정세에도 성장세를 유지하는 듯 보였다. 2023~24 회계연도 성장률은 8.2%로 주요 경제 대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하지만 2024~25 회계연도 2분기에 급격한 하락세로 돌아서며 성장률 5.4%에 그쳐 이전 6분기 중 가장 낮은 실적을 보였다.

이러한 경제 성장 둔화는 이미 인도 국가통계청(National Statistics Office)의 예측에 반영돼 있는데, 2024~25 회계연도 성장률 예상이 6.4%로 이전 연도보다 2%P 가까이 낮다. 물론 높은 성장률에 속하지만 장기 목표 달성 가능성에 의구심을 더하는 수치임에는 분명하다. 2047년까지 선진국 반열에 오르겠다는 인도의 야심 찬 포부는 7% 아래의 성장률로는 달성이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실질 임금 하락으로 인한 소비 부진이 주원인

이러한 성장률 둔화의 주요 원인은 소비 수요 부진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행된 경기 부양책이 종료되면서 시작된 소비 축소는 인도 경제를 지속적으로 괴롭혀 왔다. 국내총생산(GDP)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개인 소비 지출(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은 2021~2023년 기간 GDP의 60%를 웃돌았으나 작년 10월에는 53%까지 내려갔다.

수요 둔화는 인도 근로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실질임금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한다. 물론 얼마 되지 않는 정규직도 임금 정체에서 자유롭지 않다. 인도 상공회의소 연맹(Federation of Indian Chambers of Commerce and Industry, FICCI))과 퀘스 코퍼레이션(Quess Corp Ltd, 인도 인력 및 자산 관리 서비스 기업)의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핵심 제조업 및 인프라 분야 명목 임금 성장률은 0.8~5.4%였다. 하지만 4.8~5.7%에 이르는 인플레이션율로 인해 실질 임금이 감소하거나 정체된 노동자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게다가 식료품 가격을 비롯한 생활비 상승은 인플레이션율을 상회하기도 한다. 이 와중에 기업들의 이익은 치솟아 불균형한 인도 경제의 현실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노동시장 불평등 및 높은 실업률 ‘구조적 문제’

임금 말고도 인도 노동 시장의 불평등과 높은 실업률은 상식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노동 시장 통계에 따르면 인도 노동자의 20%에 해당하는 정규직도 대다수가 고용 안정성과 복지 혜택에서 벗어나 있다. 정규직의 60%는 서면 계약 없이 고용됐고 53%는 사회보장제도가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니 나머지 80%를 차지하는 자영업자와 임시 노동자를 포함한 비정규직이 겪어야 하는 소득 및 고용 불안정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인도 정부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라는 야심 찬 목표를 내걸었다. 또한 제조업 분야 채용 기회 확대를 통해 노동자 삶의 질 개선과 경제 상황 안정을 이루려 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업 부문 성장을 위해 인도 정부는 14개 고성장 부문을 대상으로 한 생산 연계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이하 PLI)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해 이미 정부는 효과성 개선 작업에 들어갔다. PLI가 인도 산업 성장에 필요하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뿌리 깊은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인 정책 수단들이 강구돼야 할 것이다.

‘경상수지, 자본수지 악화’에 ‘환율 부담’까지

이밖에 인도의 국제수지도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높은 서비스 수출이 상품 무역 적자를 상쇄하기는 했지만 자본수지는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다. 해외 직접 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와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foreign portfolio investment, 해외 금융 자산 투자, FPI) 유출도 큰 규모로 이어져 재정 부담을 더하고 있다.

작년 4월부터 10월까지만 해도 인도에 대한 해외 직접 투자는 490억 달러(약 71조원)로 이전 2년 수준을 넘어섰다. 하지만 같은 기간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금 회수도 340억 달러(약 49조원)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작년 말부터 유출이 급증한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는 연간 순유출을 기록했다. 이는 이미 가치 하락 중인 인도 루피화의 절하 압력을 더할 수도 있다.

원문의 저자는 비스와짓 다르(Biswajit Dhar) 뉴델리 사회 개발 위원회(Council for Social Development) 교수입니다. 영어 원문 기사는 India’s economic growth engine begins to stall | EAST ASIA FORUM에 게재돼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미끄러진 韓 경제성장률, 올해도 부진 지속된다

미끄러진 韓 경제성장률, 올해도 부진 지속된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2.0%에 그쳐
한은 "올해 한국 경제 1.5% 성장한다"
해외 기관들 성장률 전망치도 1%대 머물러

지난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내수 전반이 얼어붙으며 경제 성장 동력이 약화한 결과다. 시장에서는 우리나라 경제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부진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2024년 경제성장률, 한은 기대 밑돌아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4분기 실질 GDP 증가율은 0.1%,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증가율은 2.0%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동일한 수준이자, 한은이 지난해 11월 제시한 전망치를 대폭 밑도는 수치다. 당초 한은은 우리 경제가 지난해 4분기 0.5%, 연간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반도체 수출이 호조를 보였지만, 민간 소비와 건설 투자를 중심으로 내수가 얼어붙으며 성장세가 꺾였다고 분석했다. 실제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재작년 1.4%p에서 지난해 0.1%p로 급감했고, 순수출 기여도는 0%p에서 지난해 1.9%p로 눈에 띄게 증가했다.

한은의 비관적 성장 전망

성장 부진 흐름은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지난달 25일 발표한 '2025년 2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가 1.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직전 전망치 대비 0.4%p 하향 조정된 수치다. 분기별 성장 전망치(전기 대비)는 1분기 0.2%, 2분기 0.8%, 3분기 0.7%, 4분기 0.5%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1월에는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 상황이 (성장률 하향의) 주요한 요인이었다면, 이번 전망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관세 정책 등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구체적으로 지난 1월 전망에서는 중국에는 2분기, 여타 국가에는 내년 중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가정했는데, 당초 예상보다 관세 부과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고 관세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등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진 점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은은 미국과 여타국이 상호 보복을 이어가며 통상 갈등이 격화한다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4%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과 연중 높아진 관세 효과가 시차를 두고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대로 미국이 자국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외 국가와 협상을 통해 저강도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성장률이 1.6%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도 예측했다.

기관들도 전망치 '줄하향'

해외 주요 기관들도 암울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국의 3대 은행 중 하나로 꼽히는 씨티그룹은 최근 한국의 올해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7%에서 0.3%로 대폭 내리고, 2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0.5%에서 0.7%로 올렸다. 이에 따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4%에서 1.2%로 하향 조정됐다. 씨티그룹은 "1분기 경기 회복 속도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며 그 원인으로 국내 정치적 교착 상태, 미국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 제한적인 재정 부양책 등을 꼽았다.

글로벌 리서치 전문기업인 캐피탈 이코노믹스는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1%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주요 해외 기관이 제시한 경제 성장률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캐피탈 이코노믹스는 “(한국의) 소비는 정치 혼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으로 부진이 불가피하다”면서 “부동산 부문도 미분양 주택 수가 과거 평균 대비 약 30% 높아 신규 착공 등 사업 위축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 상황에 민감한 투자은행(IB)들도 ‘성장률 쇼크’를 경고하고 나섰다. 국제금융센터에 의하면 지난해 1월 말 기준 글로벌 IB 8곳(바클레이스·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씨티·골드만삭스·JP모건·HSBC·노무라·UBS)이 예상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실질 GDP 기준)은 평균 1.6%로, 전월(1.7%) 대비 0.1%p 낮아졌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중국 관료주의 타파 전엔 경제 성장 힘들어” 학계 한 목소리

“중국 관료주의 타파 전엔 경제 성장 힘들어” 학계 한 목소리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직무 정당화 급급한 실태 지적
지식인, 관료제 타파보다 진입에 열중
국방 등 혁신 방해 주범으로 지목

중국에 만연한 관료주의와 형식주의가 경제 성장과 혁신을 가로막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많은 정부 관리자가 피상적인 업무에만 집중하느라 실질적 문제 해결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이 같은 관료주의의 폐해는 경제는 물론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방관자 역할에 만족하는 관리 대부분”

4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왕샹웨이 홍콩 침례대학교 저널리즘 교수를 인용해 “중국의 관료주의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가 됐다”며 “지나치게 비대해진 관료주의를 없애고, 민간기업에 대한 중국인들의 부정적인 시선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왕 교수는 과거 SCMP 편집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번 인터뷰에서 왕 교수는 미국의 사례를 들며 중국의 관료주의 타파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가 미국 연방 관료주의에 맞서 전쟁을 벌이는 동안, 중국 관리들은 방관자 역할에 만족하고 있다”며 “오늘날 중국에는 자신의 직무를 정당화하기 위해 그저 ‘시늉’만 하는 관료들이 너무 많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SCMP는 지난해에도 비슷한 주장을 전개한 바 있다. 당시 매체는 루드원 우한대학교 사회학 교수의 말을 빌려 “중국 경제 회복세가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는 가운데 하급 정부 관리들이 실질적인 문제에 대응하기보다 상급 당국에 보고를 더 우선시하는 상황”이라며 “실질적인 성과보다 피상적인 것에 집중하는 가운데 사회적인 침체가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내 주요 싱크탱크 또한 비슷한 분석을 내놨다. 펑펑 광둥사회개혁 회장은 “최근 당국자들은 경기 침체에 대한 책임을 꺼리면서 유형의 성과를 내는 데도 소홀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정치에 몸담은 이들은 이념적 올바름을 맹목적으로 고수하기보다는 성과 평가에서 역량을 입증해야 한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양회 이후 정책 변화가 없다면 향후 끔찍한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 최대 정치 행사로 꼽히는 양회는 매년 3월 초 개최돼 약 일주일에 걸쳐 진행된다. 중국 지도부는 이 자리에서 주요 경제 목표와 정책 우선순위를 논의·발표한다.

뿌리 깊은 ‘관료제의 천국’

중국의 비대한 관료주의는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미국의 역사가 존 킹 페어뱅크는 청나라 말기 중국을 가리켜 “관료제의 천국”이라고 표현했으며, 헝가리 출신 중국학 연구자 에티엔 발라스 또한 중국을 “영원한 관료제 사회”로 정의했을 정도다. 중국 내 지식인들 또한 이 같은 관료제의 최상부에 진입하기 위해 팔고문(八股文) 익히기를 마다하지 않는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정작 경제 성장의 큰 축인 상인은 개인적 이익 혹은 국가적 이해관계를 위해 이용하거나 쥐어짜야 할 대상으로만 존재해 왔다. 상업 활동은 언제나 관료의 감독과 징세에서 벗어날 수 없었으며, 관료제의 특권을 위협할 만큼 독자적으로 성장하는 것 또한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는 동안 관료들은 상호 보호 관계와 혈연관계를 맺으면서 사실상 세습적인 관료귀족제를 구축하기에 바빴다.

서구 학자들은 이 같은 악습이 오늘날로 이어져 중국의 자본주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중국의 지식인들은 중화 문명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자만심에 빠져 변화를 거부한 채 관료제의 끈을 붙잡고 있으며, 상인들은 뚜렷한 지위를 확립하지 못한 채 생산자 또는 유통자에 만족하고 있단 지적이다. 페어뱅크는 이를 두고 “중국 상인들에게 성공은 보다 나은 쥐덫을 만들어 시장을 장악하는 게 아니라 쥐덫 판매 독점권을 얻는 것을 말한다”고 비꼬기도 했다.

중국식 현대 사회주의, 끝끝내 못 버린 관료주의

문제는 뿌리 깊은 관료주의가 경제 성장은 물론 기술 발전, 민간 이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목을 잡고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최고 지도자에 오른 이후 줄곧 인민해방군(PLA)의 전투력을 향상하기 위해 힘써 왔다. 하지만 정치적 혹은 경제적 문제로 여전히 혁신성이 떨어지고 진전은 느리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국공내전이 끝난 1949년 이래 중국은 독특한 특성을 가진 대규모 방위 산업 시스템을 구축했다. 예비 부품에서 조립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각 방위 산업 부문에서 효율성과 자율성을 모두 제거하고, 국가의 명령과 지원으로만 전개되는 구조다. 군사 연구 또한 민군통합 없이 임무 지향적인 부분에 갇혔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천문학적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성과는 미진했다. 이에 중국은 국방 분야에 기업 방식을 도입해 기술 수준의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41개 연구 기관을 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와 개발에 필요한 투자 자금을 스스로 경쟁을 통해 확보하라는 것이다. 다만 이처럼 과감한 조치에도 ‘중국 남부산업그룹공사’를 제외한 40개 기관은 기업 전환에 끝내 실패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실패의 배경에 공산당 특유의 관료주의가 자리하고 있다고 짚었다. 겉으로는 기업화 전환을 촉구하면서도 ‘중국식 현대 사회주의’에 갇혀 있다는 지적이다. 국방 과학 기술의 특성상 보안이 중요한데, 자칫 기업으로 전환한 이후 문제가 발생하면 실무진은 그 책임을 떠안아야 해 전환에 소극적이라는 것이다. 단지 자리 지키기에 급급한 관료들 사이에선 혁신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일관된 견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끝없는 대내외 불확실성, 국내 대기업들 “덜고 또 덜고” 구조조정 속도

끝없는 대내외 불확실성, 국내 대기업들 “덜고 또 덜고” 구조조정 속도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M&A 시장 급팽창, 경영환경 비관적 전망
주요 수출시장 미국 정책 불확실성↑
한국 경제 저성장 고착화 우려 짙어져

한국 대기업들이 비핵심 사업 매각을 비롯한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중국과의 경쟁 심화 및 미국의 무역 장벽에 직면한 여러 기업이 앞다퉈 사업 간소화와 현금 유동성 확보에 나섰다는 진단이다. 이는 구조조정 및 신산업 발굴 없이는 저성장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란 한국은행의 분석과도 일맥상통한다.

성장 전략에서 방어 전략으로

4일(현지시각)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금융시장 플랫폼 딜로직 자료를 인용해 한국의 지난해 인수·합병(M&A) 거래가 930건으로 전년(817건)보다 13.8% 증가했고, 규모 또한 같은 기간 34.4% 증가한 683억 달러(약 99조5,000억원)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M&A 증가세는 한국 경제 악화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방어적 전략에서 비롯됐다는 게 FT의 분석이다.

FT는 주요 사례로 SK그룹과 포스코의 구조조정을 들었다. SK그룹은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716개에 달하던 사업 부문을 660개로 8% 축소했고, 포스코 또한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에 투자를 집중한다는 명목으로 수익성이 비교적 낮은 비핵심 사업 45개를 매각했다. 국제 로펌 로프스앤그레이는 “한국의 대대적인 구조조정과 M&A는 주로 방어적 사고방식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며 “이는 많은 기업이 향후 경제를 비관적으로 내다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불안을 가중하는 요소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이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직후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데 이어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암시했다. 또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을 철회하는 등 친환경 관련 규제를 폐지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여기에 중국의 기술적 추격 또한 매서운 상황이다.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와 푸젠진화(JHICC) 등 반도체 업체들과 딥시크(Deepseek)를 필두로 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의 급부상에 국내 업체들의 위기의식이 짙어진 것이다. 한국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한국 기술 그룹은 연구개발(R&D) 지출에서 중국 그룹보다 1,500억 달러(약 217조5,700억원) 이상 뒤처졌는데, 이는 10년 전 90억 달러(약 13조원) 격차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FT는 지난해 4월에도 한국경제의 성장모델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진단을 내놓은 바 있다. 당시 FT는 한국은행이 발간한 ‘한국경제 80년 및 미래 성장 전략’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970년대 연평균 8.7%, 1980년대에는 9.5%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지만, 2020년대 2.1%, 2030년대 0.6%로 크게 꺾이고 2040년대에는 –0.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초저성장에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과거 값싼 에너지와 노동력에 의존한 한국의 국가주도 성장모델이 더는 주효하지 않다는 게 FT의 진단이었다. 매체는 “한국 제조업체에 막대한 산업 관세 보조금을 제공하는 한국전력은 1,500억 달러에 달하는 부채에 시름하고 있으며, 노동 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운데 5번째로 낮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조업과 대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과거의 성장 모델을 답습하는 한 혁신 둔화는 앞당겨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기존 산업 의존도↑, 경제성장 둔화는 당연한 일”

한국은행 또한 비슷한 예측을 내놨다. 한은은 최근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년 전 전망인 2.3%에서 1.5%로 내려 잡았다. 저성장이 고착하는 것이 아니냐는 시장의 우려에 이창용 한은 총재는 “그게 신산업도 구조조정도 없는 우리 경제의 실력”이라고 잘라 말했다.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과 성장동력이 그만큼 허약해졌다는 의미다.

이 총재는 “과거 고도성장에 익숙해져 1%대 성장이 위기라는 인식이 팽배하다”고 꼬집으며 “우리는 오랜 시간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산업을 찾지 않고 구조조정 없이 기존 산업에만 의존해 왔다”고 말했다. 작금의 상황에서 잠재성장률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재정을 동원하고 금리를 낮춰야 하는데, 이 경우 가계부채 증가 등 나라 살림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나아가 더 높은 성장을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어렵더라도 구조조정이 필수라고 조언했다. 이 총재는 “과거에는 수출 중심 경제가 유효했지만, 최근에는 수출 경쟁력이 많이 낮아져 낙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새로운 산업 없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022년 4월 취임 이후 줄곧 구조 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한 국가의 경제성장률은 금리나 통화 정책만으로 끌어올릴 수 없다는 게 이 총재의 일관된 시각이다.

0%대 경제성장률 가시화

이런 가운데 학계에서는 우리 경제가 산업 구조조정에 실패할 경우, 성장률이 0%대로 주저앉을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온다.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달 7일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 참석해 “생산성 성장률이 1% 미만으로 부진하면, 2050년에는 0%대 경제성장률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 교수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연구 결과를 인용했다. KDI에 의하면 국내 경제 성장률은 2031~2040년 1.3%로 하락할 전망이다. 이 시기 노동 투입의 성장 기여도는 -0.3%로 마이너스 전환한다. 이후 2041~2050년에는 노동 투입 기여도가 –0.7%로 추가 하락하고, 경제성장률은 0.7%로 추락하게 된다. 결국 경제성장률은 생산성 성장률에 의존하는 셈이다.

일각에서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 재편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간 설비 증설에 치중하느라 고부가가치 소재로 전환할 시기를 놓친 만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과제를 최우선에 둬야 한다는 까닭에서다. 한국경제학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김경수 성균관대 교수는 “고용 없는 성장은 생산성 하락으로 이어지는 만큼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해서는 고용 유연성 확대가 필수”며 “제조업에서 밀려나는 노동력을 흡수할 양질의 서비스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중국 브랜드가 장악한 러시아 자동차 시장, 현대차 ‘복귀’ 시동 걸까

중국 브랜드가 장악한 러시아 자동차 시장, 현대차 ‘복귀’ 시동 걸까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현대차, 2023년 러 공장 헐값 매각
바이백 옵션으로 2년 내 재매입 가능
서방 제재 틈타 중국車 러 시장서 약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현대차 공장 전경/사진=현대차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가 해제되면 자동차 분야에선 한국 완성차 업체가 가장 먼저 러시아 시장에 복귀할 것이라는 전망이 러시아 내부에서 나왔다. 러시아가 미국과 종전 협상에 나서면서 제재가 해제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현지에선 특히 한국 자동차의 시장 복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다만 한국 기업들이 자리를 비운 사이 러시아 시장을 잠식한 중국 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부담은 남아 있다.

러 전문가 "美가 모든 제재 해제하면 韓도 즉시 거래 허용할 것"

4일(현지시간)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자동차 전문지 자룰룜(Za Ruleum)의 막심 카다코프(Maxim Kadakov) 편집장은 “미국이 모든 제재를 갑자기 해제한다고 가정했을 때 한국은 즉시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한국인들이 가장 먼저 들어올 것”이라며 “제재가 해제되고 긍정적인 신호가 오면, 현대차와 기아는 6개월이나 그보다 일찍 자동차 판매를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러시아에서는 지난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으로 서방의 제재가 시작된 뒤 글로벌 기업들의 철수가 줄줄이 이어진 바 있다. 자동차 시장에서도 미국, 유럽, 일본 업체에 이어 2023년 12월 현대차가 공장 등을 매각하며 철수했다. 당시 현대차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등 자산을 현지 업체 아트파이낸스에 1만 루블(당시 약 14만원)에 팔았지만 2년 내 공장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Buy Back) 조건을 걸었다. 공장을 재매입하려면 이 옵션을 올해 12월 안에 행사해야 한다.

현대차의 러시아 현지 전략 차종 쏠라리스/사진=현대차

현대차 떠난 러시아 시장, 중국 차 브랜드가 잠식

다만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은 피할 수 없다. 국제사회의 제재 전 기아와 현대차는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외국 자동차 1·2위에 오르는 등 상당한 인기를 누렸다. 현지 전략 차종인 ‘쏠라리스’를 개발하며 시장 공략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2021년 8월에는 양사가 합산 점유율 27.5%를 기록, 1위에 올라서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빈자리를 중국차 브랜드들이 메우고 있다. 러시아 자동차 시장 분석기관 오토스탯(아브토스타트)에 따르면 하발, 체리자동차, 지리자동차, 장안자동차, 오모다, 엑시드, 제투어 등 중국 자동차 브랜드들은 지난해 러시아 시장 점유율 2~8위를 휩쓸었다. 10위 역시 중국의 탱크로, '톱10' 가운데 9개가 중국차 브랜드다. 더군다나 러시아 소비자들은 중국차의 저렴한 가격에 더해 품질에도 만족하는 분위기다. 러시아 국민 브랜드인 라다(Lada)마저 중국 기업에 밀릴 정도다. 이외 30여 개의 중국차 브랜드가 러시아 자동차 시장을 휩쓰는데, 판매되는 2대 가운데 1대가 중국산이다.

보다 못한 러시아 정부가 자국 자동차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선언했지만, 전쟁에 신경 쓰는 사이 밀려드는 중국차를 막아낼 겨를이 없다. 현재 체리자동차의 경우 서방 기업이 떠난 러시아의 공장을 활용해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전쟁 이전 폭스바겐이 운영했던 칼루가 지역 공장은 2년간 가동이 중단됐다가, 최근 체리자동차가 이곳에서 차량 생산을 시작했다. 앞서 폭스바겐과 벤츠, 닛산은 전쟁 이후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로 금융 결제나 부품 조달이 어려워지고 러시아 현지 사업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일면서 그해 러시아에서 철수했다. 이 공장들을 러시아 정부와 현지 기업이 인수했고, 체리자동차가 이를 임대해 차량을 조립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중국산 전기차 유럽 車 점유율 '18.2%' 껑충

러시아 시장 재진입이 망설여지기는 유럽 자동차 회사들도 마찬가지다. 당장 유럽 자동차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중국차 브랜드들과의 경쟁만도 버거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자토다이내믹스가 지난해 상반기 유럽 28개국의 신차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중국산 전기차의 시장 점유율은 18.2%로, 전년 동기 대비 5.1%포인트 성장했다. 같은 기간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모두 포함한 중국산 자동차의 유럽 판매량은 29만 대로, 현지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포인트 상승한 4.2%로 집계됐다.

중국산 전기차 호조를 바탕으로 유럽 전체 자동차 판매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상반기 유럽 자동차 판매 대수는 684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했다. 볼보와 폴스타, 로터스 모회사인 중국 지리그룹은 유럽 내 전기차 판매량을 전년 동기 대비 52% 늘리며 현대차·기아, 메르세데스-벤츠, 르노그룹을 앞질렀고, 2023년 유럽에 본격 진출한 BYD 역시 전년 동기보다 6배 가까이 늘어난 1만7,000대의 전기차를 등록하며 선전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급성장 중인 중국 전기차 시장을 견제하기 위해 EU 전역에서 통합적인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현재 EU 회원국들 간 전기차 보조금 제도는 조건이 크게 달라 통합 대응이 부족한 상황이다. 일부 회원국의 경우 보조금을 전혀 지급하지 않아 시장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과제도 남아있다. 가장 큰 과제는 보조금이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로 흘러가지 않도록 설계하는 동시에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처럼 자국 및 역내 기업에만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통상 분쟁을 피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이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친환경차 지원 정책을 폐지하겠다고 밝힌 점도 유럽 자동차업계에 추가적인 도전 과제로 작용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큰손’과 ‘나쁜 손’ 사이, 엔비디아 최신형 GPU 쓸어 담은 정체

‘큰손’과 ‘나쁜 손’ 사이, 엔비디아 최신형 GPU 쓸어 담은 정체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RTX 50 출시 한 달, 가격 거품 여전
AI 가속기 대용으로 업계 이목 집중
시리즈마다 매진 행렬, 상습적 사재기
사진=엔비디아

엔비디아의 최신형 그래픽카드 ‘RTX 50’ 시리즈가 출시 이후 한 달이 훌쩍 지났음에도 품귀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업계는 해당 모델의 공급량이 한정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으나, 가뜩이나 부족한 물량을 중국에서 되팔려는 일부 비양심 소비자가 시장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는 비판 또한 거세지는 모습이다.

미국 판매가보다 2배가량 높아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RTX 50 시리즈의 최상위 모델 RTX 5090은 국내 주요 쇼핑몰에서 일제히 매진돼 구매할 수 없는 상태다. RTX 5080 모델의 경우 일부 물량이 남아있지만, 적게는 220만원에서 많게는 280만원 이상 높은 가격대에 팔리고 있다. 앞서 엔비디아가 RTX 5080의 레퍼런스(표준 모델) 제품 출고 가격을 999달러(약 144만원)로 책정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통 과정에서 많게는 2배가량 가격이 뛴 셈이다.

이 같은 품귀현상의 원인으로는 게임용 GPU 공급 부족을 꼽을 수 있다. 그래픽카드 시장의 90%를 장악한 엔비디아는 GPU 생산을 대만 TSMC의 4나노(㎚·1㎚=10억분의 1m) 공정에 맡기고 있는데, TSMC의 생산 스케줄이 꽉 찬 탓이다. 애플, 퀄컴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TSMC의 최첨단 공정에 핵심 칩 생산을 맡긴 데다, 엔비디아 역시 확보한 생산시설을 그래픽카드보다 훨씬 고가의 인공지능(AI) 가속기용 GPU 생산에 우선 배정했다는 전언이다.

일각에선 국내 유통상이 물량 공급을 줄이고 가격을 올려 폭리를 취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달 초 한 온라인 쇼핑몰은 RTX 5090(마스터 모델)의 가격으로 859만9,000원을 제시했다. 이는 해당 모델의 미국 판매가 2,749달러(약 400만원)보다 약 115% 높은 수준이자, 불과 이틀 전 국내 유통가격(2월 28일·729만원)과 비교해도 130만원이나 오른 가격이다.

심지어 일부 유통업체는 RTX 50 시리즈 단품을 판매하지 않고, 완성형 PC 본체나 다른 재고 상품과 함께 ‘끼워팔기’를 하는 것으로 전해져 공분을 사기도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엔비디아가 AI 수요 급증에 산업용 GPU 생산에 집중하면서 소비자용 GPU 칩 생산을 줄인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공급 안정화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美 수출 제한에 우회 구입

이런 가운데 그래픽카드 수요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첨단 장비 수출 규제로 GPU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국 업체들이 한국에서 그래픽카드를 사재기하고 나선 것이다. 그래픽카드에 들어가는 GPU는 AI 가속기용 GPU보다 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기본적인 AI 학습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국내 AI 연구·개발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짙어지는 양상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중국이 각국에 풀리는 GPU 물량을 사들이면서 일반 소비자의 구매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며 “이로 인해 한국의 연구개발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웅 고려대 인공지능학과 교수 역시 “중국 기업들이 수천 개씩 사들이는 상황에서 국내 학교는 몇 개 가지고 연구를 해야 한다”며 “최근 혁신적인 연구 대부분이 학계가 아닌 업계에서 나온 이유”라고 꼬집었다.

중국 업체의 손에 들어간 GPU 가운데 일부는 훨씬 높은 가격표를 달고 다시 시장에 풀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중국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실정이다. 이들 판매 게시물에는 “한국에서 가져온 제품”이라는 문구와 함께 “중국 수입 제한 품목이라 직접 휴대해 반입했다”는 설명이 적혀 있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중국 내 엔비디아 GPU 수요는 모두 개인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며 “싱가포르 등 제3국을 통한 우회 구입이 이뤄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데, 이는 충분히 근거가 있다”고 말했다.

中 업자들, 두둑한 현금 가방 들고 아시아 순회

엔비디아의 직전 주력 모델 RTX 40 시리즈 또한 아시아 전역에서 품귀 현상을 빚은 바 있다. 이는 중국의 우회 구입설에 힘을 싣는 요소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에 의하면 대만 최대 전자제품 판매 시장 광화상장의 소매 업체들은 2023년 출시된 RTX 4090을 전체 게임 시스템의 일부로만 판매하는 형식을 취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게임 시스템은 최소 4,500달러(약 660만원)를 웃도는 높은 금액에도 불티나게 팔린 것으로 전해진다.

심지어 20대가 넘는 PC를 단 한 명의 구매자가 사들인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닛케이는 광화상장의 한 상인을 인용해 “그들(중국인)은 미국의 제한 조치에 직면한 지역에서 훨씬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 대만, 베트남 등을 돌며 현금으로 가득 찬 가방을 연다”며 “길게는 몇 주씩 걸리는 대기 시간에도 막대한 수익이 기대되는 만큼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티몬 인수전 뛰어든 오아시스, IPO 전 '기반 다지기' 나섰나

티몬 인수전 뛰어든 오아시스, IPO 전 '기반 다지기' 나섰나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티몬, 조건부 인수 예정자로 오아시스 선정
지난해 11번가 인수 논의 한 차례 결렬
IPO 앞둔 오아시스, 외형 확장 위해 M&A 시도
사진=오아시스

신선식품 새벽배송 업체 오아시스가 기업회생절차를 밟는 티몬 인수에 나선다. 기업공개(IPO) 이전 외형 확장을 위해 추진했던 11번가 인수 관련 논의가 결렬되자, 또 다른 이커머스 기업 인수합병(M&A)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티몬 매각 초읽기, 오아시스 우위 선점

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티몬은 전날 서울회생법원에 M&A를 위한 조건부 인수 예정자로 오아시스를 선정해 달라고 신청했다. 티몬·위메프(티메프)는 지난해 7월 대규모 미정산 사태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이후 복수의 인수 희망자와 가격 등 조건을 논의해 왔다. 오아시스는 최근 티몬만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가격 접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오아시스의 티몬 인수가 완전히 확정된 것은 아니다. 현재 티메프 매각은 조건부 인수 예정자를 정해 두고 공개경쟁 입찰을 진행하는 ‘스토킹 호스(Stalking Hores)’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오아시스뿐만 아니라 티몬을 인수할 의향이 있는 다른 업체에도 기회가 남아 있다는 의미다.

티메프는 다음 주 매각 공고를 내고 공개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며, 공개 입찰에서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하는 업체가 없을 경우 오아시스가 티몬의 인수자로 확정된다. 만약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하는 업체가 나타날 경우 오아시스는 조건을 맞춰 ‘우선 매수권’을 행사할 수 있다.

11번가 인수 논의 결렬

업계는 오아시스가 '재차' 이커머스 인수전에 뛰어들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오아시스는 지난해 11번가의 지분 전량을 매입하는 방안을 타진한 바 있다. 11번가의 지분은 SK스퀘어가 80.26%를, 나일홀딩스컨소시엄(국민연금·H&Q코리아파트너스·MG새마을금고, 이하 나일홀딩스)이 18.18%를 보유하고 있다. 2023년 말 SK스퀘어가 지분 18.18%에 대한 콜옵션을 포기하며 매각 권한은 나일홀딩스 측에 넘어간 상태다.

당초 오아시스는 지분 맞교환 형태로 11번가 경영권을 인수하려 했다. 자사 주식과 물류 관계사인 루트의 주식을 섞어 11번가 주식과 맞바꾼 뒤, 상장을 통해 나일홀딩스가 현금을 엑시트(투자금 회수)해가는 구조다. 하지만 나일홀딩스는 이 같은 제안에 난색을 보였다. 나일홀딩스의 11번가 투자 기간은 현재 5년을 경과한 상태로, 엑시트가 필요한 시점에 지분 스왑을 통해 투자 기간을 연장할 경우 나일홀딩스에 돌아오는 실익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서다. 지분 교환 대상에 포함된 루트가 지난해 46억원 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한 적자 기업이라는 점도 문제로 꼽혔다. 이후로도 인수 방식에 대한 양 사의 이견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고, 매각 논의는 사실상 결렬됐다.

오아시스, IPO 재도전 노린다

오아시스가 11번가 인수 실패 이후 또다시 이커머스 기업 M&A를 타진하는 배경에는 IPO가 있다. 오아시스는 지난 2023년 2월 한 차례 증시 입성에 실패한 바 있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한 결과다. 당시 오아시스는 희망 공모가로 3만500~3만9,500원을 제시했지만, 기관투자자 대다수는 2만원 이하의 가격을 적어낸 것으로 전해진다. 상장 후 시가총액을 당초 계획한 9,700억~1조2,500억원에서 6,000억원 수준으로 낮춰야 겨우 공모 진행이 가능한 상황이 연출된 셈이다. 이에 오아시스는 부득이하게 상장 철회를 결정했다.

이후 오아시스는 내실을 다지며 재도전 기회를 노려 왔다. 수익성 개선 등에 힘을 실으며 IPO를 위한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아시스 매출액(연결 기준)은 2021년 3,569억원, 2022년 4,272억원, 2023년 4,754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2021년 56억원, 2022년 48억원에서 2023년 127억원으로 늘었다. 2024년 1~3분기 기준 매출은 3,884억원으로 전년 대비 10.4%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86억원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오아시스의 이전 11번가 인수 시도 역시 IPO를 위한 선택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시장 관계자는 "오아시스의 기존 신선식품 사업만으로는 몸값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지만, 11번가를 인수해 빠르게 외형을 확장하면 비교적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며 "오아시스가 이번 티몬 인수전에 뛰어든 것 역시 결국 비슷한 취지"라고 분석했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